KR20190123575A -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575A
KR20190123575A KR1020180047444A KR20180047444A KR20190123575A KR 20190123575 A KR20190123575 A KR 20190123575A KR 1020180047444 A KR1020180047444 A KR 1020180047444A KR 20180047444 A KR20180047444 A KR 20180047444A KR 20190123575 A KR20190123575 A KR 2019012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eel plate
exterior panel
member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263B1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18004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2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04F13/087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the basic insulating layer comprising mutual alignment or inter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전면 강판; 배면 강판; 및 전면 강판과 배면 강판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복수의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제1 측면 프레임; 제2 측면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하부 프레임 각각은 전면 강판과 결합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에 결합되는 제2 부재, 제1, 2 부재 사이에서 제1, 2 부재 각각과 결합되는 단열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제1, 2 부재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홈 단부에 단열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 단열 부재가 삽입된 제1, 2 부재 각각의 결합홈 단부를 압축하는 단계;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끝단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단계; 전면 강판 및 배면 강판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Exterior panels for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단열재는 발전소, 공장, 상가, 주택 등의 다방면의 건축물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건축물 외단열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패널, 메탈패널, 알루미늄쉬트패널 등은 경량자재이며, 건식공법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 추세의 변화에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른 자재에 비해 경제성, 단열성, 공기단축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샌드위치패널, 메탈패널, 알루미늄쉬트패널 등은 자재 특성상 시공시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연결부(Joint)가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결로현상 및 누수가 빈번히 발생되는 취약점으로 기술적인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전면 강판; 전면 강판의 후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면 강판; 및 전면 강판과 배면 강판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각각의 끝단에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복수의 프레임은 전면 강판 및 배면 강판 각각의 상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전면 강판과 배면 강판 각각의 수평 방향 양쪽 끝단 중 어느 한 제1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 전면 강판과 배면 강판 각각의 수평 방향 양쪽 끝단 중 나머지 제2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2 측면 프레임; 및 전면 강판 및 배면 강판 각각의 하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하부 프레임 각각은 전면 강판과 결합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에 결합되는 제2 부재, 제1, 2 부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제1, 2 부재 각각과 결합되는 단열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에 구비되는 제1 부재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배수로를 구비하고, 단열 부재는 상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에 구비된 배수로와 배면 강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 배수로와 상부 프레임의 단열 부재 사이에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가스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프레임은 제1 측면 프레임에 구비된 제1 측면 배수로와 전면 강판 사이에 제1 측면 프레임에 구비된 제1 측면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가스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2 측면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의 단열 부재와 전면 강판 사이에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하부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가스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가스켓 홈과 하부 가스켓은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에 구비된 배수로보다 전면 강판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부재 각각에서 단열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홈 단부에는 내부 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결합홈 각각에는 단열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부재 각각에 구비된 결합홈은 2개 이고, 단열 부재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 각각이 제1 부재의 결합홈과 제2 부재의 결합홈에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부재는 전도성 금속 재질 또는 절연성 재질이고, 단열 부재는 제1, 2 부재의 절연성 재질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절연성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2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재질이고, 단열 부재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2 부재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홈 단부에 단열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열 부재 결합 단계; 단열 부재가 삽입된 제1, 2 부재 각각의 결합홈 단부를 압축하여,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을 형성하는 압축 단계;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끝단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프레임 조립 단계;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전면 및 후면에 전면 강판 및 배면 강판을 결합하는 강판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열 부재 결합 단계에서, 단열 부재는 제1, 2 부재의 결합홈 단부에서 제1, 2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2 부재의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단열 부재를 통해 제1, 2 부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압축 단계에서 단열 부재가 삽입된 제1, 2 부재 각각의 결합홈 단부가 두 개의 롤러에 사이에 삽입 및 압축되어, 제1 부재와 단열 부재 사이의 유격 및 제2 부재와 단열 부재 사이의 유격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쌍 또는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1, 2 측면 프레임쌍 중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구비되고, 프레임 조립 단계에서,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가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각각의 끝단과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끝단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각 프레임이 제1, 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2 부재 사이에 단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장 패널을 통해 전도되는 열전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제1, 2 부재 각각의 결합홈 단부에 단열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시킨 이후, 결합홈 단부를 압축함으로써, 결합홈과 단열 부재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여, 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라 조립된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수평 방향 모습 및 수직 방향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각 부분이 결합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평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심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상부 프레임과 제1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상부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하부 프레임과 제1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하부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전면 강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배면 강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2는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4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6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평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제2 측면 프레임에 대한 제1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제2 측면 프레임에 대한 제2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7은 도 46에서 단열 부재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8은 도 46에서 압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면이라 함은 패널의 전면, 후면이라 함은 패널의 후면, 전면 방향이라 함은 패널 전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후면 방향이라 함은 패널 후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두께 방향이라 함은 패널의 두께와 나란한 방향으로,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상부 방향이라 패널의 위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방향이라 함은 패널의 아래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 방향이라 함은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측면이라 함은 패널의 수평 방향 양쪽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을 의미하고, 제2 측면 이라 함은 패널의 수평 방향 양쪽 측면 중 나머지 한 측면을 의미한다.
제1 측면 방향이라 함은 패널의 중심에서 제1 측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측면 방향이라 함은 패널의 중심에서 제2 측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이라 함은 패널이 수평으로 결합되는 방향, 즉 제1, 2 측면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 어느 부분의 내부면은 패널의 안쪽면, 즉 패널의 심재가 위치하는 쪽의 면을 의미하고, 어느 부분의 외부면은 패널의 바깥쪽면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어떤 부분의 폭 또는 길이가 10%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라 조립된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에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수평 방향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도 1에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수직 방향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각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각 부분이 결합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평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이 조립된 구조는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과 하지 철물(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은 각각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이 수직 방향(y-y’) 및 수평 방향(x-x’)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외장 패널의 각각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x-x’)으로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제1 측면과 반대쪽 제2 측면이 서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은 하지 철물(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지 철물(30)의 일측이 건물의 외벽에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미리 고정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하지 철물(30)의 타측에 복수의 외장 패널이 별도의 체결 수단(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20)이 외장 패널 각각을 관통하여, 하지 철물(30)에 고정됨으로써, 외장 패널이 하지 철물(3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및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조립 및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은 서로 두께 방향(z-z’)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배면 강판(600)은 전면 강판(500)의 후면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각각의 끝단에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고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은 강철 재질을 포함하는 강판의 각 끝단이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장 패널 전면에서 봤을 때, 전체적인 평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두께는 0.25mm ~ 2.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0.3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서는 전면 강판(500)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평탄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표면에는 복수의 요철 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잇다.
일례로,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표면에는 500골 내지 1000골 정도의 골짜기를 가지는 주름이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24 내지 도 2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 각각은 금속 재질 또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알루미늄이 포함된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 각각은 불연성 소재에 열전도성이 낮은 금속 재질 또는 절연성 재질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플라스틱 재질 또는 탄소 재질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 중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은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은 알루미늄이 포함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상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부 프레임(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하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측면 프레임(3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수평 방향(x-x’) 양쪽 끝단 중 어느 한 제1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제1 측면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왼쪽 측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측면 프레임(4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수평 방향(x-x’) 양쪽 끝단 중 나머지 제2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제2 측면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오른쪽 측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7 내지 도 19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건축용 외장 패널 각각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상부 프레임(100)이 결합되어 상부 돌출부(11)가 형성될 수 있고, 건축용 외장 패널 각각의 하부에는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하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하부 함몰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 각각은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면에 형성된 상부 돌출부(11)가 하부 측면에 형성된 하부 함몰부(13)에 맞닿아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외장 패널의 상부 돌출부(11)에서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 상부의 전면 상단턱으로부터 상부 측면까지의 제1 돌출 길이(H11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강판(600) 상부의 배면 상단턱으로부터 상부 측면까지의 제2 돌출 길이(H11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장 패널의 하부 함몰부(13)에서, 전면 강판(500)의 하부 측면 끝단으로부터 함몰면까지의 제1 함몰 깊이(H13a)는 배면 강판(600)의 하부 측면 끝단으로부터 함몰면까지의 제2 함몰 깊이(H13b)보다 크고, 상부 돌출부(11)의 제1 돌출 길이(H11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이 맞닿아 결합될 때, 외장 패널의 전면에는 상대적으로 큰 제1 돌출 길이(H11a)로 인하여, 복수의 외장 패널이 수직 방향(y-y’)으로 결합되었을 때, 수평 방향(x-x’)으로 마치 이격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외장 패널의 외관을 더욱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돌출부(11)의 전면 상단턱은 전면 강판(500)에 형성되고, 배면 상단턱은 배면 강판(6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은 상부 돌출부(11)의 제1, 2 측면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함몰부(13)는 하부 프레임(200) 자체의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외장 패널 각각의 제1 측면에는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제1 측면 프레임(300)이 결합되어,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끝단이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보다 수평 방향(x-x’)으로 더 돌출된 제1 측면 돌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외장 패널 각각의 제2 측면에는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이 결합되어,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보다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이 제1 측면 방향(x)으로 더 함몰된 제2 측면 함몰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돌출부(15)의 형상은 제1 측면 프레임(300) 자체의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측면 함몰부(17)의 형상은 제2 측면 프레임(400) 자체의 단면 형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의 평면 형상은 제1 측면 돌출부(15)의 상하부 측면과 제2 측면 함몰부(17)의 상하부 측면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돌출부(15)에서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측면 돌출 길이(W15)는 제2 측면 함몰부(17)에서 함몰된 제2 측면 함몰 길이(W17)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돌출부(11)의 상부 측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의 내측으로 함몰되고, 수평 방향(x-x’)으로 연장되어, 외장 패널의 제1, 2 측면까지 길게 형성되는 상부 배수로(11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돌출부(15)의 돌출된 제1 측면에는 상부 배수로(110)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y-y’)으로 외장 패널의 하부 측면까지 길게 연장되는 제1 측면 배수로(34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측면 함몰부(17)의 함몰된 제2 측면에는 상부 배수로(110)와 연결되어, 외장 패널의 하부 측면까지 길게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 배수로(4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배수로(110)와 제1, 2 측면 배수로의 연결 구조는 외장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z’)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고, 외장 패널의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외장 패널의 누수를 차단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돌출부(11)에서 상부 측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스켓(130)이 상부 배수로(110)와 이격된 위치에 외장 패널의 제1, 2 측면까지 길게 수평 방향(x-x’)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가스켓(130)은 상부 배수로(110)에서 패널의 후면쪽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상부 가스켓(130) 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함몰부(13)의 하부 측면에는 상부 배수로(110) 및 상부 가스켓(130)과 엇갈리는 위치에 하부 가스켓(270)이 외장 패널의 제1, 2 측면까지 길게 수평 방향(x-x’)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가스켓(270)은 외장 패널이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상부 가스켓(130)이나 상부 배수로(110)에 하부 가스켓(270)이 중첩되지 않도록, 상부 배수로(110)보다 패널의 전면쪽에 위치하며, 하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하부 가스켓(270) 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돌출부(15)에서 수평 방향(x-x’)으로 돌출되는 돌출면의 끝단에는 제1 측면 가스켓(360)이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길게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측면 함몰부(17)에는 상부 돌출부(11), 하부 함몰부(13) 및 제1 측면 돌출부(15)와 다르게, 가스켓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외장 패널을 서로 결합할 때, 각각의 외장 패널을 수평 방향(x-x’)으로 밀어서 각 외장 패널의 제1, 2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데,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돌출부(15)와 제2 측면 함몰부(17) 모두에 가스켓이 구비된 경우, 시공시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측면 돌출부(15)에 가스켓이 구비되고, 제2 측면 함몰부(17)에는 가스켓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제2 측면 함몰부(17)에 가스켓이 구비되고, 제1 측면 돌출부(15)에 가스켓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상부 돌출부(11)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후면 쪽에 상부 가스켓(130)이 구비되고, 하부 함몰부(13)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전면 쪽에 하부 가스켓(270)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상부 돌출부(11)에서 상부 배수로(110)의 전면 쪽에 상부 가스켓(130)이 구비되고, 하부 함몰부(13)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후면 쪽에 하부 가스켓(27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외장 패널의 각 부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외형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용 외장 패널은 내부에 단열을 위한 심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건축용 외장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심재(4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이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 패널의 내부는 비어 있을 수 있으며, 외장 패널의 단열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외장 패널의 내부에 단열을 위한 심재(40)가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재(40)는 (1) 유리원석을 용융시켜 인공으로 섬유화하고, SiO2계 화학조성물로 형성되는 그라스울(Glass Wool), (2) 현무암 등 화성암을 약 1,500℃이상의 고열도 녹여 인공 섬유화하고, SiO2-Al2O3-CaO계 화학조성물로 형성되는 미네랄 울(Mineal Wool) 또는 우레탄 폼 등이 이용되거나, (3) 비드법 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심재(4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 기능이 있으면, 재질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고, 하나의 외장 패널 내에 한 종류의 심재(40)만 사용되거나, 여러 종류의 심재(40)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을 전면 강판(500) 쪽에서 봤을 때, 외장 패널의 중심부 쪽에는 우레탄 폼이나 비드법 단열재(40a)가 위치하고, 외장 패널의 가장 자리 쪽에는 글라스 울(40b)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외장 패널 내부에서 수직 방향(y-y’) 양쪽 측면 중 상부 가장 자리 및 하부 가장 자리 내부에는 글라스 울(40b)이 위치하고, 상하부 가장 자리 사이의 중심부에는 우레탄 폼이나 비드법 단열재(40a)가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외장 패널 내부에서 수평 방향(x-x’) 양쪽 측면 중 제1, 2 측면 쪽 내부에는 글라스 울(40b)이 위치하고, 제1, 2 측면 사이의 중심부에는 우레탄 폼이나 비드법 단열재(40a)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다르게, 외장 패널을 두께 방향(z-z’)으로 봤을 때,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쪽의 전면 가장 자리 및 후면 가장 자리에는 글라스 울(40b)이 위치하고, 전후면 가장 자리 사이의 중심부에는 우레탄 폼이나 비드법 단열재(40a)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 패널의 제조 비용을 보다 감소시키면서, 외장 패널의 단열 기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건축용 외장 패널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측면 프레임(300)을 분해한 측면도이고, 도 9는 상부 프레임(10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은 상부 프레임(100)에 제1 측면 프레임(300)이 결합된 외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은 외부면에 상부 배수로(110), 상부 가스켓 홈(120), 상부 가스켓(130), 제1 상부 지지부(140) 및 제2 상부 지지부(150)를 포함하고,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더해,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160)가 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160)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상부 끝단에서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갖고,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배수로(110)는 상부 프레임(100)의 외부면에서 수직 방향(y-y’)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부 가스켓 홈(120)은 상부 프레임(100)의 외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y’)으로 함몰되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배수로(110)와 두께 방향(z-z’)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가스켓 홈(120)은 상부 배수로(110) 보다 배면 강판(60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가스켓 홈(120) 입구의 폭은 상부 가스켓 홈(120)의 내부면보다 좁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가스켓 홈(120)에는 상부 가스켓(130)이 삽입 체결되고, 상부 가스켓(130)이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방향(y)으로 돌출되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가스켓(130)이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 외부로부터 배면 강판(600) 뒤쪽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할 수 있어, 외장 패널의 열교 차단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로부터 외장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외장 패널의 뒤쪽으로 흐르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가스켓(130)은 상부 몸통부(133), 상부 머리부(131) 및 상부 연결부(133)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몸통부(133)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부 가스켓 홈(120)에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부 머리부(131)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부 연결부(133)는 상부 몸통부(133)와 상부 머리부(13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연결부(133)의 폭은 상부 몸통부(133) 및 상부 머리부(131)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가스켓(130)이 상부 가스켓 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을 결합하여 건축물 외벽에 시공할 때에, 상부 가스켓(130)을 별도로 시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부(140)는 상부 프레임(100)의 전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100S1)부터 제2 측면(1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상부 지지부(140)를 전면 강판(500)의 상부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1 상부 지지부(140)가 전면 강판(500)의 상부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상부 지지부(150)는 상부 프레임(100)의 후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100S1)부터 제2 측면(1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상부 지지부(150)를 배면 강판(600)의 상부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2 상부 지지부(150)가 배면 강판(600)의 상부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평면 형상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돌출부(15) 및 제2 측면 함몰부(17)의 상부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00)의 전면 쪽 일부가 수평 방향(x-x’)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배수로(110)가 구비되는 제1, 2 측면(100S1, 100S2)의 양쪽 끝단이 수평 방향(x-x’)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건축용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20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2는 하부 프레임(20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3은 하부 프레임(200)에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제1 측면 프레임(300)이 결합된 외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하부 프레임(200)은 제1 내지 제5 하부 프레임 부분(210, 220, 230, 240, 250), 하부 가스켓 홈(260), 하부 가스켓(270), 제1 하부 지지부(281) 및 제2 하부 지지부(283)를 포함하고,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더해, 하부 프레임(200)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160)가 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290)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하부 프레임 부분(210)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하부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함몰되어 위치하고,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갖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 부분(220)은 제1 하부 프레임 부분(210)의 전면 방향(z) 끝단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하부 프레임 부분(230)은 제2 하부 프레임 부분(220)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하부 프레임 부분(220)의 일부와 제3 하부 프레임 부분(230) 전체는 전면 강판(500)과 결합될 때, 전면 강판(500)의 하부 끝단 내부면이 덮힐 수 있다.
제4 하부 프레임 부분(240)은 제1 하부 프레임 부분(210)의 후면 방향(z’) 끝단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5 하부 프레임 부분(250)은 제4 하부 프레임 부분(240) 끝단에서 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하부 프레임 부분(240)의 일부와 제5 하부 프레임 부분(250) 전체는 배면 강판(600)과 결합될 때, 배면 강판(600)의 하부 끝단 내부면이 덮힐 수 있다.
하부 가스켓 홈(260)은 제1 하부 프레임 부분(210)의 외부면에 상부 방향(y)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가스켓(270)이 하부 가스켓 홈(260)에 삽입 체결되어,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가스켓(270) 역시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부터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스켓 홈(260)이 상부 배수로(110)의 위치 및 상부 가스켓 홈(120)의 위치와 엇갈리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일례로, 하부 가스켓 홈(260)은 상부 배수로(110) 보다 전면 강판(50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하부 가스켓(270) 역시 상부 배수로(110)보다 전면 강판(50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가스켓 홈(260)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만약 상부 가스켓(130)이 상부 배수로(110)보다 전면 강판(50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하부 가스켓 홈(260)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부 배수로(110) 보다 배면 강판(60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하부 가스켓 홈(260)의 입구는 하부 가스켓 홈(260)의 내부면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가스켓(270)이 하부 가스켓 홈(2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하부 가스켓 홈(26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가스켓(270)은 하부 몸통부(273), 하부 머리부(271) 및 하부 연결부(275)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통부(273)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 가스켓 홈(26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 머리부(271)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하부 프레임 부분(210)으로부터 하부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 연결부(275)는 하부 몸통부(273)와 하부 머리부(27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연결부(275)의 폭은 하부 몸통부(273) 및 하부 머리부(271)의 폭보다 좁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부 가스켓(270)이 하부 가스켓 홈(26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하부 지지부(281)는 제3 하부 프레임 부분(230)의 전면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에서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하부 지지부(281)를 전면 강판(500)의 하부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1 하부 지지부(281)가 전면 강판(500)의 하부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하부 지지부(283)는 제5 하부 프레임 부분(250)의 후면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200S1)에서 제2 측면(200S2)까지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하부 지지부(283)를 배면 강판(600)의 하부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2 하부 지지부(283)가 배면 강판(600)의 하부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의 평면 형상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돌출부(15) 및 제2 측면 함몰부(17)의 하부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00)의 전면 쪽 일부가 수평 방향(x-x’)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배수로(110)와 수직 방향(y-y’)으로 중첩되는 제1, 2 측면(200S1, 200S2)의 양쪽 끝단이 수평 방향(x-x’)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5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6은 제1 측면 프레임(300)에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다른 프레임이 결합된 외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제1 측면 프레임(300)은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310, 320, 330), 제1 측면 배수로(340), 제1 측면 가스켓 홈(350), 제1 측면 가스켓(360), 제1 측면 제1 지지부(370) 및 제1 측면 제2 지지부(380)를 포함하고,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더해,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390)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390)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310)은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과 맞닿고,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320)은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100S1) 끝단과 맞닿고,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310)보다 수평 방향(x-x’)으로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고,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320)의 외부 면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끝단과 맞물리는 부분에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면 배수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면 프레임의 제3 부분(330)은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310) 끝단에서 수평 방향(x-x’)으로 밴딩되어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320) 끝단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2, 3 부분(310, 320, 330)의 상부 끝단면은 상부 프레임(100) 제1 측면 끝단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상부 프레임(100)과 결합되고,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2, 3 부분(310, 320, 330)의 하부 끝단면은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끝단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하부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310)을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500S1) 끝단 중 후면 방향(z’)으로 밴딩된 부분이 덮도록, 제1 측면 프레임(300)과 전면 강판(500)이 결합될 수 있고,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320)을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600S1) 끝단 중 전면 방향(z)으로 밴딩된 부분이 덮도록, 제1 측면 프레임(300)과 배면 강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에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제1 측면 돌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 배수로(340)는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320)의 외부면에서 상부 배수로(110)의 끝단과 맞물리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측면(100S2) 방향(x’)으로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배수로(340)의 폭은 상부 배수로(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 배수로(110)로 유도되는 물이 제1 측면 배수로(340)를 통해, 외장 패널의 하부 방향(y’)으로 원할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은 제1 측면 프레임의 제3 부분(330)의 외부면에 위치하고, 외장 패널의 후면 방향(z’)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은 제1 측면 프레임의 제3 부분(330)에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부분(310)보다 제2 부분(32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의 입구는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의 내부면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면 가스켓(360)이 안정적으로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에는 전면 방향(z)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가스켓(360)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가스켓(360)은 제1 측면 몸통부(363), 제1 측면 머리부(361) 및 제1 측면 연결부(365)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면 몸통부(363)는 제1 측면 가스켓 홈(35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1 측면 머리부(361)는 제1 측면 프레임(300) 제3 부분에서 외장 패널의 전면 방향(z)으로 돌출되고, 제1 측면 연결부(365)는 제1 측면 몸통부(363)와 제1 측면 머리부(36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연결부(365)의 폭은 제1 측면 몸통부(363) 및 제1 측면 머리부(36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연결부(365)를 통해 제1 측면 몸통부(363)에 연결된 제1 측면 머리부(361)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제1 측면 머리부(361)가 수평 방향(x-x’)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면 제1 지지부(370)는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310)이 전면 강판(500)에 두께 방향(z-z’)으로 맞닿는 끝단으로부터 제2 측면 방향(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제1 지지부(370)를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500S1)쪽 전면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1 측면 제1 지지부(370)가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500S1)쪽 전면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제2 지지부(380)는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320)이 배면 강판(600)에 두께 방향(z-z’)으로 맞닿는 끝단으로부터 제2 측면 방향(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제2 지지부(380)를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600S1)쪽 후면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1 측면 제2 지지부(380)가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600S1) 쪽 후면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2 지지부(370, 380)는 외장 패널을 건축물 외벽에 시공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 중에,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시키는 경우,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형상이 외장 패널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40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8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9는 제2 측면 프레임(400)에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및 다른 프레임이 결합된 외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제2 측면 프레임(400)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 내지 제3부분(410, 420, 430), 제2 측면 배수로(440), 제2 측면 제1 지지부(450) 및 제2 측면 제2 지지부(460)를 포함하고,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더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470)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470)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은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과 맞닿고,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분(420)은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과 맞닿고,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으로부터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방향(x)으로 함몰되어 위치하고,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3 부분(430)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 끝단에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이 위치하는 수평 방향(x-x’)으로 밴딩되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분(420)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분(420)의 외부면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끝단과 맞물리는 부분에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측면 배수로(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3 부분(410, 420, 430)의 상부 끝단면은 상부 프레임(100) 제2 측면 끝단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상부 프레임(100)과 결합되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3 부분(410, 420, 430)의 하부 끝단면은 하부 프레임(200) 제2측면 끝단의 내부면에 맞닿도록 하부 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을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 중 후면 방향(z’)으로 밴딩된 부분이 덮도록, 제2 측면 프레임(400)과 전면 강판(500)이 결합될 수 있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분(420)을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 중 전면 방향(z)으로 밴딩된 부분이 덮도록, 제2 측면 프레임(400)과 배면 강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에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제2 측면 함몰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 배수로(440)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분(420)의 외부면에서 상부 배수로(110)의 끝단과 맞물리는 부분에 위치하고, 제1 측면 방향(x)으로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외장 패널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배수로(440)의 폭은 상부 배수로(110)의 폭보다 크고, 제1 측면 배수로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배수로(110)로 유도되는 물이 제2 측면 배수로(440)를 통해, 외장 패널의 하부 방향으로 원할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에는 제1 측면 프레임(300)과 달리, 가스켓 홈이나 가스켓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측면 제1 지지부(450)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이 전면 강판(500)에 두께 방향(z-z’)으로 맞닿는 끝단으로부터 제1 측면 방향(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제1 지지부(450)를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쪽 전면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2 측면 제1 지지부(450)가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쪽 전면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측면 제2 지지부(460)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분(420)이 베면 강판에 두께 방향(z-z’)으로 맞닿는 끝단으로부터 제1 측면 방향(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제2 지지부(460)를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쪽 배면 끝단이 덮도록 배치되어, 제2 측면 제2 지지부(460)가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쪽 배면 끝단의 내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지지부(450, 460)는 외장 패널을 건축물 외벽에 시공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 중에,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시키는 경우,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형상이 외장 패널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서로 수직 방향(y-y’)으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쌍(100, 200) 또는 수평 방향(x-x’)으로 마주보는 제1, 2 측면 프레임쌍(300, 400) 중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가 구비되고,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는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앞선 도 8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 각각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160, 290)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 각각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390, 47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00)에는 상부 배수로(110)를 중심으로 전면 방향(z) 쪽 및 후면 방향(z’) 쪽으로,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면에 복수의 내부 돌출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200)에는 상부 배수로(110)가 수직 방향(y-y’)으로 투영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전면 방향(z) 쪽 및 후면 방향(z’) 쪽으로, 하부 프레임(200)의 내부면에 복수의 내부 돌출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프레임(300)에는 제1 측면 배수로(340)를 중심으로 전면 방향(z) 쪽 및 후면 방향(z’) 쪽으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부면에 복수의 내부 함몰부(39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 프레임(400)에는 제2 측면 배수로(440)를 중심으로 전면 방향(z) 쪽 및 후면 방향(z’) 쪽으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부면에 복수의 내부 함몰부(4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160, 290)는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390, 47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상부 프레임(100)과 제1 측면 프레임(300)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상부 프레임(100)과 제2 측면 프레임(400)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하부 프레임(200)과 제1 측면 프레임(300)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하부 프레임(200)과 제2 측면 프레임(400)이 결합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 끝단과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상부 끝단이 서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돌출부(160)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함몰부(390)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면 끝단과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상부 끝단이 서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돌출부(160)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함몰부(47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 끝단과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하부 끝단이 서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2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돌출부(290)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함몰부(39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2 측면 끝단과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하부 끝단이 서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2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돌출부(290)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복수의 내부 함몰부(39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일례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160, 290)는 서로 마주보는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일례로, 제1 측면 프레임(300)과 제2 측면 프레임(400)]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390, 47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외장 패널을 제조할 때에, 외장 패널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장 패널을 제조할 때에, 배면 강판(600)의 외부면이 지면을 향하고, 내부면이 지면 위로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프레임 각각이 배면 강판(600)의 상하부 끝단의 내부면 및 제1, 2 측면의 끝단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세워질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는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쌍의 프레임과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지지하도록 하여, 각 프레임이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프레임에 구비된 내부 돌출부 및 내부 함몰부는 외장 패널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에 내부 돌출부(160, 290)가 구비되고,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에 내부 함몰부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에 내부 함몰부(390, 470)가 구비되고,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에 내부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전면 강판(5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24는 전면 강판(500)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5의 (a)는 도 24에서 y-y’라인에 따른 전면 강판(500)의 수직 방향(y-y’)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5의 (b)는 도 24에서 x-x’라인에 따른 전면 강판(500)의 수평 방향(x-x’)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6의 (a)는 도 25에서 500K1 부분의 전면 확대도, 도 26의 (b)는 도 25에서 500K1 부분의 후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7의 (a)는 도 25에서 500K2 부분의 전면 확대도, 도 26의 (b)는 도 25에서 500K2 부분의 후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면 강판(500)은 앞서 설명한 4개의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외장 패널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면 강판(500)은 전면 바디(510), 전면 상단턱(520), 전면 돌출부(530), 전면 상부 프레임 덮개(540), 제1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50), 제2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60), 전면 강판 제1 측면(570) 및 전면 강판 제2 측면(580)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전면 강판(500)의 각 부분은 하나의 강판을 밴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5의 (a), 도 26,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바디(510)는 외장 패널의 전면에 수직 방향(y-y’) 및 수평 방향(x-x’)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전면 상단턱(520)은 전면 바디(510)의 상부 끝단에서 배면 강판(600)이 위치하는 두께 방향(z-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전면 돌출부(530)는 전면 상단턱(520)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전면 상부 프레임 덮개(540)는 전면 돌출부(530)의 상부 끝단에서 배면 강판(600)이 위치하는 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상부 프레임 덮개(540)는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측면 일부를 덮어 상부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강풍이나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에 의해 전면 강판(500)이 상부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50)는 전면 바디(510)의 하부 끝단에서 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제2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60)는 제1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50)의 후면 방향(z’)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전면 하부 프레임(200) 덮개는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측면 및 함몰 수직면을 덮어, 하부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강풍이나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에 의해 전면 강판(500)이 하부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5의 (b), 도 26,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 제1 측면(570)은 전면 바디(510)의 수평 방향(x-x’) 제1 측면 쪽 끝단에서 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전면 강판 제2 측면(580)은 전면 바디(510)의 수평 방향(x-x’) 제2 측면 쪽 끝단에서 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강판(500) 제1, 2 측면(570, 580)은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의 제1, 2 측면을 덮어,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돌출부(530)의 상부 방향(y) 연장 폭(H530)은 상단턱의 두께 방향(z-z’) 연장 폭(W520)보다 클 수 있으며, 상단턱의 두께 방향(z-z’) 연장폭(W520)은 제1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50)의 연장폭(W550)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전면 돌출부(530)의 상부 방향(y) 연장 폭(H530)은 하부 프레임(200)의 제2 하부 프레임 부분(220)의 하부 방향(y’) 연장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을 서로 수직 방향(y-y’)으로 결합하였을 때, 복수의 외장 패널을 전면에서 보면, 수직 방향(y-y’)으로 결합된 복수의 전축용 외장 패널 사이가 마치 이격된 것처럼 보이도록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의 외관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면 강판(500) 제1, 2 측면(570, 580)의 두께 방향(z-z’) 연장 폭(W580)은 전면 상단턱(520)의 두께 방향(z-z’) 연장폭(W520)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배면 강판(6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28은 배면 강판(600)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9의 (a)는 도 28에서 y-y’라인에 따른 배면 강판(600)의 수직 방향(y-y’)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9의 (b)는 도 28에서 x-x’라인에 따른 배면 강판(600)의 수평 방향(x-x’)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0의 (a)는 도 28에서 600K1 부분의 전면 확대도, 도 30의 (b)는 도 28에서 600K1 부분의 후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1의 (a)는 도 28에서 600K2 부분의 전면 확대도, 도 31의 (b)는 도 28에서 600K2 부분의 후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배면 강판(600)은 앞서 설명한 4개의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하여, 외장 패널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면 강판(600)은 배면 바디(610), 배면 상단턱(620), 배면 돌출부(630), 배면 상부 프레임 덮개(640), 제1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50), 제2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60), 배면 강판 제1 측면(670) 및 배면 강판 제2 측면(680)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배면 강판(600)의 각 부분은 하나의 강판을 밴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9의 (a), 도 30,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바디(610)는 외장 패널의 후면에 수직 방향(y-y’) 및 수평 방향(x-x’)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고, 배면 상단턱(620)은 배면 바디(610)의 상부 끝단에서 전면 강판(500)이 위치하는 두께 방향(z-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배면 돌출부(630)는 배면 상단턱(620)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배면 상부 프레임 덮개(640)는 배면 돌출부(630)의 끝단에서 전면 강판(500)이 위치하는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면 상부 프레임 덮개(640)는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측면 일부를 덮어 상부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강풍이나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에 의해 배면 강판(600)이 상부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50)는 배면 바디(610)의 하부 끝단에서 전면 강판(500)이 위치하는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제2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60)는 제1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50)의 후면 방향(z’)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9의 (b), 도 30,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강판 제1 측면(670)은 배면 바디(610)의 수평 방향(x-x’) 제1 측면 쪽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배면 강판 제2 측면(680)은 배면 바디(610)의 수평 방향(x-x’) 제2 측면 쪽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면 강판 제1, 2 측면(670, 680) 은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의 일부를 덮어,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배면 상단턱(620)의 두께 방향 폭(W620)은 제1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50)의 연장폭(W650)과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배면 상단턱(620)의 두께 방향 폭(W620)은 전면 상단턱(520)의 두께 방향 폭(W520)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배면 상단턱(620)은 전면 상단턱(520)보다 상부 프레임(100)쪽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면 돌출부(630)의 상부 방향(y) 연장 폭(H630)은 전면 돌출부(530)의 상부 방향(y) 연장 폭(H530)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 배면 하부 프레임 덮개(650)의 수직 방향(y-y’) 위치는 제1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550)의 수직 방향(y-y’) 위치보다 상부 방향(y)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이 조립 및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 각각의 독특한 형상에 의해, 외장 패널의 상부에는 상부 돌출부(11), 하부에는 하부 함몰부(13), 제1 측면에는 제1 측면 돌출부(15), 제2 측면에는 제2 측면 함몰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제2 측면 함몰부(17)를 제외한 상부 돌출부(11)의 돌출된 상부 측면, 하부 함몰부(13)의 함몰된 하부 측면, 제1 측면 돌출부(15)의 돌출된 측면 각각의 부분에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가스켓은 외장 패널을 서로 결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시공할 때, 외장 패널에 미리 일체로 고정된 가스켓은 시공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시공 과정이 가스켓에 의해 방해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x-x’)으로 결합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32는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수직 방향(y-y’)으로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33은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수평 방향(x-x’)으로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은 수직 방향(y-y’)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외장 패널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외장 패널(10a)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하부 함몰부(13)가 하부에 위치한 제3 외장 패널(10c)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상부 돌출부(11)에 맞닿아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외장 패널(10c)의 상부 돌출부(11)와 제1 외장 패널(10a)의 하부 함몰부(13) 사이는 도 32와 같이, 제1 외장 패널(10a)의 하부 가스켓(270)과 제3 외장 패널(10c)의 상부 가스켓(130)으로 인하여 수직 방향(y-y’)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전면 강판(500)의 하부 끝단과 제3 외장 패널(10c)의 전면 상단턱(520) 사이 및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배면 강판(600)의 하부 끝단과 제3 외장 패널(10c)의 배면 상단턱(62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전면 강판(500)의 하부 끝단과 제3 외장 패널(10c)의 전면 상단턱(520) 사이의 제1 이격 간격(D1)은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배면 강판(600)의 하부 끝단과 제3 외장 패널(10c)의 배면 상단턱(620) 사이의 제2 이격 간격(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축용 외장 패널의 조립 구조는 제1 외장 패널(10a)과 제3 외장 패널(10c) 사이가 수직 방향(y-y’)으로 이격되어 있어도, 상부 배수로(110)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한 하부 가스켓(270)과 상부 가스켓(130)으로 인하여, 복수의 외장 패널의 전면 외부로부터 건축물 외벽이 위치하는 후면 방향(z’)으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 배수로(110)가 상부 가스켓(130)과 하부 가스켓(27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외장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건축물 외벽과 외장 패널 사이의 공간에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배수로(110)로 유입되는 물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측면 배수로를 통하여 외장 패널의 하부 방향(y’)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x-x’)으로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외장 패널 중 수평 방향(x-x’)으로 어느 한 측면에 위치한 제1 외장 패널(10a)과 제1 외장 패널(10a)의 제2 측면에 수평으로 위치한 제2 외장 패널(10b)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장 패널(10a)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측면 돌출부(15)가 제2 외장 패널(10b)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측면 함몰부(17)에 맞닿아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장 패널(10a)의 제1 측면 돌출부(15)와 제2 외장 패널(10b)의 제2 측면 함몰부(17) 사이는 도 33과 같이, 제1 외장 패널(10a)의 제1 측면 가스켓(360) 인하여 수평 방향(x-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과 제2 외장 패널(10b)에 구비된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 사이 및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끝단과 제2 외장 패널(10b)에 구비된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과 제2 외장 패널(10b)에 구비된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 사이의 제3 이격 간격(D3)과 제1 외장 패널(10a)에 구비된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끝단과 제2 외장 패널(10b)에 구비된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 사이가 제4 이격 간격(D4)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축용 외장 패널의 조립 구조는 제1 외장 패널(10a)과 제2 외장 패널(10b) 사이가 수평 방향(x-x’)으로 이격되어 있어도, 제1 외장 패널(10a)의 제1 측면 돌출부(15)에 구비된 제1 측면 가스켓(360)으로 인하여, 복수의 외장 패널의 전면 외부로부터 건축물 외벽이 위치하는 후면 방향(z’)으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x-x’)으로의 양측면에 가스켓이 구비된 것이 아니라, 양측면 중 한쪽 측면에만 제1 측면 가스켓(360)이 구비되어 있어, 복수의 외장 패널을 수평 방향(x-x’)으로 조립할 때, 가스켓이 조립 시공 과정에 전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외장 패널을 조립할 때에, 외장 패널을 수평 방향(x-x’)으로 이동시켜, 도 33과 같이 결합시킬 수 있는데,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돌출부(15)와 제2 측면 함몰부(17) 양측 모두에 가스켓이 구비된 경우, 가스켓이 서로 걸려 시공이 불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돌출부(15)와 제2 측면 함몰부(17) 중 제1 측면 돌출부(15)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측면 가스켓이 제1 측면 돌출부(15)에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제1 측면 돌출부(15)가 아닌 제2 측면 함몰부(17)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외장 패널의 상부에 상부 돌출부(11), 하부에 하부 함몰부(13), 제1 측면에 제1 측면 돌출부(15), 제2 측면에 제2 측면 함몰부(17)가 구비된 경우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축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창호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개의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창호와의 결합을 위해, 외장 패널의 제1 측면에서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되고, 제1 측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서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되고, 제2 측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 패널이 창호의 창틀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외장 패널의 제1, 2 측면 각각에서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되거나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된 일례를 설명한다.
도 34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34는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35의 (a) 및 (b)는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에 사용되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된 점을 제외하고, 상부 돌출부(11), 하부 함몰부(13) 및 제2 측면 함몰부(17)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되면서, 상부 돌출부(11)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 쪽의 평면 형상 및 하부 함몰부(13)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 쪽의 평면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 쪽의 평면 형상이 수평 방향(x-x’)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부 배수로(110)를 형성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측면 끝 라인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200)에서도 제1 측면 쪽의 평면 형상이 수평 방향(x-x’)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1 측면 끝 라인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의 위치와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끝단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에 사용되는 변형된 제1 측면 프레임(300’)은 제1 실시예의 제1 측면 프레임(300)과 비교하여 제3 부분이 생략되고,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동일한 수직 방향(y-y’) 라인 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측면 가스켓(360) 홈과 제1 측면 가스켓(360)이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에 따라 변형된 제1 측면 프레임(300’)은 제1 측면 프레임 바디(320’), 제1 측면 배수로(340), 제1 측면 제1 지지부(370) 및 제1 측면 제2 지지부(380)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더해, 제1 측면 프레임 바디(320’)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390)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 바디(320’)는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 및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끝단과 맞닿고,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측면 프레임 바디(320’)의 외부면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끝단과 맞물리는 부분에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면 배수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에 따라 변형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나머지 제1 측면 배수로(340), 제1 측면 제1, 2 지지부(370, 380) 및 내부 함몰부(390)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35의 (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변경례에 따라 변형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평면 형상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서, 도 36은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37의 (a) 및 (b)는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된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 사용되는 제2 프레임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된 점을 제외하고, 상부 돌출부(11), 하부 함몰부(13) 및 제2 측면 함몰부(17)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되면서, 상부 돌출부(11)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면 쪽의 평면 형상 및 하부 함몰부(13)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미도시)의 제2 측면 쪽의 평면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면 쪽의 평면 형상이 수평 방향(x-x’)으로 함몰되지 않고, 상부 배수로(110)를 형성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2 측면 끝 라인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미도시)에서도 제2 측면 쪽의 평면 형상이 수평 방향(x-x’)으로 함몰되지 않고, 제2 측면 끝 라인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의 위치와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된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 사용되는 변형된 제2 측면 프레임(400)은 제1 실시예의 제1 측면 프레임(300)과 비교하여 제3 부분이 생략되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분(410)과 제2 부분(420)이 동일한 수직 방향(y-y’) 라인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례에 따라 변형된 제2 측면 프레임(400)은 제2 측면 프레임 바디(420’), 제2 측면 배수로(440), 제2 측면 제1 지지부(450) 및 제2 측면 제2 지지부(460)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에 더해, 제2 측면 프레임 바디(420’)의 내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470)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 바디(420’)는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 및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과 맞닿고,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며, 상부 측면부터 하부 측면까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제2 측면 프레임 바디(420’)의 외부면에는 상부 배수로(110)의 끝단과 맞물리는 부분에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측면 배수로(44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례에 따라 변형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나머지 제2 측면 배수로(440), 제2 측면 제1, 2 지지부(450, 460) 및 내부 함몰부(470)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37의 (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변경례에 따라 변형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평면 형상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2 변경례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제1 측면 돌출부(15)가 생략되거나 제2 측면 함몰부(17)가 생략되어, 창호와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고 긴밀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및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의 각 부분이 압출 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및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단열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각 프레임의 각 구성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단열 부재가 구비되어, 외장 패널의 단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 38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내용은 제1 실시예로 대체하고, 차이점이 발생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수평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1 측면 프레임(300)쪽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상부 프레임(100)쪽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 38 및 도 39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및 제1 측면 프레임(300)만이 각 프레임(100, 300)의 배수로(110, 340) 후면 쪽에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PA100, PA300)를 구비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하부 프레임(2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 역시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및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복수의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00), 제1 측면 프레임(300), 제2 측면 프레임(400) 및 하부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00), 제1 측면 프레임(300), 제2 측면 프레임(400) 및 하부 프레임(200) 각각은 제1 부재(FA100, FA200, FA300, FA400), 제2 부재(FB100, FB200, FB300, FB400) 및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서 제1 부재(FA100, FA200, FA300, FA400)는 전면 강판(500)과 결합되고, 제2 부재(FB100, FB200, FB300, FB400)는 제1 부재(FA100, FA200, FA300, FA400)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600)에 결합될 수 있다.
각 프레임의 제1 부재(FA100, FA200, FA300, FA400)와 제2 부재(FB100, FB200, FB300, FB400) 각각은 압출 성형 방식으로 일례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는 제1, 2 부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제1, 2 부재 각각과 결합되어,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를 통해 제1 부재(FA100, FA200, FA300, FA400)와 제2 부재(FB100, FB200, FB300, FB4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는 상부 프레임(100), 제1 측면 프레임(300), 제2 측면 프레임(400) 및 하부 프레임(2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단열 부재(PA100)와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에 구비된 단열 부재(PA300, PA400) 및 하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단열 부재(PA200)가 서로 동일한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은 복수의 프레임 각각이 동일한 선상에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를 구비함으로써,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으로부터 후면 강판 쪽으로 열교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건축용 외장 패널의 경우, 전면 강판(500)이나 배면 강판(600) 및 복수의 프레임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은 프레임에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전면 강판(500)으로 유입된 열기나 냉기가 프레임으로 통해 배면 강판(6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단열 부재(PA100, PA200, PA300, PA400)와 제1, 2 부재가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형성된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100)은 제1 부재(FA100), 제2 부재(FB100) 및 단열 부재(PA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제1 부재(FA100)는 외부면 일부에 전면 강판(500)이 결합되고, 상부 프레임(100)의 제2 부재(FB100)는 상부 프레임(100)의 제1 부재(FA100)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프레임(100)의 단열 부재(PA100)는 제1, 2 부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제1, 2 부재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제1, 2 부재(FA100, FB100) 각각에서 단열 부재(PA100)와 결합되는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는 내부 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부재 결합홈 각각에는 단열 부재(PA1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부재의 제1, 2 결합홈 단부(FA, FB)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은 2개 이고, 상부 프레임(100)의 단열 부재(PA100)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PA100) 각각이 제1 부재(FA100)의 결합홈과 제2 부재(FB100)의 결합홈에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부재(FA100, FB100)는 전도성 금속 재질이고, 단열 부재(PA100)는 제1, 2 부재의 재질과 다른 절연성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부재(FA100, FB10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이고, 단열 부재(PA100)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100)을 통하여, 열기나 냉기가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부재(FA100)는 제1 결합홈 단부(FA), 상부 배수로(110), 상부 가스켓 홈(120), 상부 가스켓(130), 제1 상부 지지부(140) 및 내부 돌출부(160)를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100)의 제2 부재(FB100)는 제2 결합홈 단부(FB) 및 제2 상부 지지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부재(FA100)를 형성하는 제1 결합홈 단부(FA), 상부 배수로(110), 상부 가스켓 홈(120), 제1 상부 지지부(140) 및 내부 돌출부(160)는 압출 성형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00)의 제2 부재(FB100)를 형성하는 제2 상부 지지부(150)와 제2 결합홈 단부(FB)도 압출 성형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부재(FA100, FB100)에서 제1, 2 결합홈 단부(FA, F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00)의 단열 부재(PA100)는 상부 배수로와 배면 강판(6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배수로(110)와 상부 프레임(100)의 단열 부재(PA100) 사이에 상부 가스켓 홈(120)과 상부 가스켓(130)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에서 단열 부재(PA100)가 상부 배수로(110)의 후면 측에 위치하고, 상부 배수로(110)와 상부 프레임(100)의 단열 부재(PA100) 사이에 상부 가스켓 홈(120)과 상부 가스켓(130)이 위치되도록 하여, 혹시 모를 누수 등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에 빗물 등이 유입되더라도 1차적으로 상부 배수로가 차단하고, 2차적으로 상부 가스켓 홈과 상부 가스켓이 빗물 등을 차단하여,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와 단열 부재(PA100) 사이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2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200)은 제1 부재(FA200), 제2 부재(FB200) 및 단열 부재(PA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의 제1 부재(FA200)는 외부면 일부에 전면 강판(500)이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2 부재(FB200)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1 부재(FA200)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200)의 단열 부재(PA200)는 제1, 2 부재(FA200, FB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제1, 2 부재(FA200, FB20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제1, 2 부재(FA200, FB200) 각각에서 단열 부재(PA200)와 결합되는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는 내부 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부재 결합홈 각각에는 단열 부재(PA2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결합홈 단부(FA, FB) 각각에 구비된 결합홈은 2개 이고, 하부 프레임(200)의 단열 부재(PA200)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PA200) 각각이 제1 부재(FA200)의 결합홈과 제2 부재(FB200)의 결합홈에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부재는 전도성 금속 재질이고, 단열 부재(PA200)는 제1, 2 부재의 재질과 다른 절연성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이고, 단열 부재(PA200)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200)을 통하여, 열기나 냉기가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의 제1 부재(FA200)는 제1 결합홈 단부(FA), 제1 하부 프레임(200) 부분의 일부(210a), 제2, 3 하부 프레임 부분(220, 230), 하부 가스켓 홈(260), 하부 가스켓(270), 제1 하부 지지부(281) 및 내부 돌출부(290)를 구비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2 부재(FB200)는 제2 결합홈 단부(FB), 제1 하부 프레임(200) 부분의 나머지 일부(210b), 제4, 5 하부 프레임 부분(240, 250), 제2 하부 지지부(28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의 제1 부재(FA200)는 하부 가스켓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제1 결합홈 단부(FA), 제1 하부 프레임(200) 부분의 일부(210a), 제2, 3 하부 프레임 부분(220, 230), 하부 가스켓 홈(260), 제1 하부 지지부(281) 및 내부 돌출부(290)가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200)의 제2 부재(FB200)는 제2 결합홈 단부(FB), 제1 하부 프레임(200) 부분의 나머지 일부(210b), 제4, 5 하부 프레임 부분(240, 250), 제2 하부 지지부(283)가 압출 성형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부재에서 제1, 2 결합홈 단부 제1, 2 결합홈 단부(FA, F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에서 하부 프레임(200)의 단열 부재(PA200)와 전면 강판(500) 사이에 하부 프레임(200)의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가스켓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가스켓은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에 구비된 제1, 2 측면 배수로보다 전면 강판(500)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프레임(300)은 제1 부재(FA300), 제2 부재(FB300) 및 단열 부재(PA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부재(FA300)는 외부면 일부에 전면 강판(500)이 결합되고,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2 부재(FB300)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부재(FA300)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단열 부재(PA300)는 제1, 2 부재(FA300, FB3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제1, 2 부재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프레임(300)에 구비된 제1, 2 부재 각각에서 단열 부재(PA200)와 결합되는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는 내부 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결합홈 각각에는 단열 부재(PA2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2 부재 각각에 구비된 결합홈은 2개 이고,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단열 부재(PA200)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PA200) 각각이 제1 부재(FA200)의 결합홈과 제2 부재(FB200)의 결합홈에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2 부재(FA300, FB300)는 전도성 금속 재질이고, 제1 측면 단열 부재(PA200)는 제1, 2 부재의 재질과 다른 절연성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2 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이고, 단열 부재(PA200)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면 프레임(300)을 통하여, 열기나 냉기가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부재(FA200)는 제1 결합홈 단부(FA),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310), 제1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 일부(320a), 제1 측면 프레임의 제3 부분(330), 제1 측면 배수로(340), 제1 측면 가스켓 홈(350), 제1 측면 가스켓(360) 및 제1 측면 제1 지지부(370) 및 내부 함몰부(390)를 구비하고,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2 부재(FB200)는 제2 결합홈 단부(FB),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2 부분 나머지 일부(320b) 및 제1 측면 제2 지지부(38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가스켓(360)을 제외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부재(FA200)의 각 부분은 압출 성형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2 부재(FB200) 역시 압출 성형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2 부재(FA300, FB300)에서 제1, 2 결합홈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단열 부재(PA200)는 제1 측면 배수로와 배면 강판(6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프레임(300)에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측면 배수로(340)와 전면 강판(500) 사이에 제1 측면 가스켓 홈(350)에 고정되어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가스켓(36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프레임(400)은 제1 부재(FA400), 제2 부재(FB400) 및 단열 부재(PA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재(FA400)는 외부면 일부에 전면 강판(500)이 결합되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재(FB400)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재(FA400)와 이격되고, 배면 강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단열 부재(PA400)는 제1, 2 부재(FA400, FB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제1, 2 부재(FA400, FB40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프레임(400)에 구비된 제1, 2 부재 각각에서 단열 부재(PA400)와 결합되는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는 내부 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부재 결합홈 각각에는 단열 부재(PA4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부재(FA400, FB400) 각각에 구비된 결합홈은 2개이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단열 부재(PA400)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PA400) 각각이 제1 부재(FA400)의 결합홈과 제2 부재(FB400)의 결합홈에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부재(FA400, FB400)는 전도성 금속 재질이고, 제1 측면 단열 부재(PA400)는 제1, 2 부재(FA400, FB400)의 재질과 다른 절연성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부재(FA400, FB40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이고, 단열 부재(PA200)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측면 프레임(400)을 통하여, 열기나 냉기가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재(FA400)는 제1 결합홈 단부(FA), 제2 측면 프레임의 제1 부분(410), 제2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 일부(420a), 제2 측면 프레임의 제3부분(430), 제2 측면 배수로(440), 제2 측면 제1 지지부(450), 및 내부 함몰부(470)를 구비하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부재(FB400)는 제2 결합홈 단부(FB), 제2 측면 프레임의 제2 부분 나머지 일부(420b) 및 제2 측면 제2 지지부(46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부재(FA200)의 각 부분과 제2 부재(FB200)의 각 부분은 압출 성형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1, 2 부재에서 제1, 2 결합홈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단열 부재(PA400)는 제2 측면 배수로(440)와 배면 강판(6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 패널의 각 프레임은 제1, 2 부재 각각에 구비되는 제1, 2 결합홈 각각이 2개로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PA200)가 제1, 2 결합홈 각각에 삽입되어, 각 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 측면 프레임(400)에서, 제3 부분의 외측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제2 측면 프레임(400)에 대한 제1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에서 제2 측면 프레임(400)에 대한 제2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4의 (a)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프레임(400)에서 제2 측면 함몰부(17)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 방향(x-x’)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3 부분(43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요철(430P)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3 부분(430)은 도 4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건축용 외장 패널을 하지 철물(30) 전면에 시공할 때, 인접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측면 가스켓(360)이 맞닿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3 부분(430)의 외측면에 복수의 요철(430P)이 형성되는 경우, 서로 접하여 시공되는 두 개의 건축용 외장 패널 사이의 측면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열교(熱交)를 보다 긴밀하게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3 부분(430)의 외측면에 복수의 요철(430P)은 도 4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부와 함몰부가 번갈아 형성되며, 돌출부와 함몰부가 각각 곡면을 가지고 형성되거나,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각각 각진 형상인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돌출부와 함몰부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3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47은 도 46에서 단열 부재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8은 도 46에서 압축 단계(S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여기의 도 47 및 도 48의 (b)에 도시된 제1, 2 결합홈 단부(FA, FB)는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에 공통으로 구비되는 제1 부재의 제1 결합홈(D1) 단부(FB)와 제2 부재의 제2 결합홈(D2) 단부(FB)와 단열 부재(PA)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단열 부재 결합 단계(S1), 압축 단계(S2), 프레임 조립 단계(S3) 및 강판 결합 단계(S4)를 포함한다.
단열 부재 결합 단계(S1)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2 부재에 형성된 각각의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 형성된 각 결합홈에 단열 부재(PA)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에 포함되는 제1 부재의 제1 결합홈(D1) 단부(FA)는 제1 결합홈(D1)과 제1 결합홈(D1) 양측에 제1, 2 단부팁(FA1, FA2)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부재(FB200)의 제2 결합홈(D2) 단부(FB)도 제2 결합홈(D2)과 제2 결합홈(D2) 양측에 제1, 2 단부팁(FB1, FB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홈(D1)은 제1 결합홈 단부(FA)에서 제1 부재측(또는 전면 강판) 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결합홈(D2)도 제2 결합홈(D2) 단부(FB)에서 제2 부재측(또는 배면 강판)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결합홈(D1, D2) 각각의 입구 폭은 내부 폭보다 좁을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2 결합홈(D1, D2) 각각은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단열 부재(PA)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열 부재(PA)는 제1 결합홈(D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결합부(PA1)와 제2 결합홈(D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결합부(PA2) 및 제1 결합부(PA1)와 제2 결합부(PA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PA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결합부(PA1, PA2) 각각의 끝단 폭은 연결부(PA3) 쪽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단열 부재 결합 단계(S1)에서, 도 47과 같이, 단열 부재(PA)는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서 제1, 2 부재의 길이 방향(또는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제1, 2 결합홈 단부(FA, FB) 각각의 제1, 2 결합홈(D1, D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단열 부재(PA)를 통해 제1, 2 결합홈 단부(FA, FB)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단열 부재(PA)와 제1, 2 결합홈(D1, D2)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단열 부재(PA)의 제1, 2 결합부가 제1, 2 결합홈(D1, D2)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열 부재(PA)와 제1, 2 결합홈(D1, D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압축 단계(S2)에서는 이와 같은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열 부재(PA)가 삽입된 제1, 2 부재 각각의 제1, 2 결합홈 단부(FA, FB)를 압축하여,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압축 단계(S2)에서 단열 부재(PA)가 삽입된 제1, 2 부재 각각의 제1, 2 결합홈 단부(FA, FB)가 두 개의 롤러(R1, R2)에 사이에 삽입 및 압축되어, 제1 결합홈(D1)과 단열 부재(PA) 사이의 유격 및 제2 결합홈(D2)과 단열 부재(PA) 사이의 유격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압축 단계(S2)에서는 도 4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부재(PA)가 삽입된 제1, 2 결합홈 단부(FA, FB)를 제1, 2 롤러(R1, R2)를 통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롤러(R1, R2)의 압축에 따라, 도 4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결합홈 단부(FA, FB)에 구비된 제1, 2 단부팁(FA1, FA2, FB1, FB2)이 화살표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2 결합홈(D1, D2)과 단열 부재(PA)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 부재와 단열 부재(PA)로 형성되는 각 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후, 프레임 조립 단계(S3)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의 끝단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앞선 제1 실시예의 도 20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쌍(100, 200) 또는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1, 2 측면 프레임쌍(300, 400) 중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에 내부 돌출부(160, 290)가 구비되고,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에 내부 함몰부(390, 470)가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프레임 조립 단계(S3)에서는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가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각각의 끝단과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의 끝단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 끝단에 제1 측면 프레임(300)이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 돌출부(160)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부 함몰부(390)에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 끝단에 제2 측면 프레임(400)이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 돌출부(160)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부 함몰부(470)에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하부 끝단에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 끝단이 수평으로 연결되되, 하부 프레임(200)의 내부 돌출부(290)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부 함몰부(390)에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하부 끝단에 하부 프레임(200)의 제2 측 끝단이 수평으로 연결되되, 하부 프레임(200)의 내부 돌출부(290)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부 함몰부(470)에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프레임이 수직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강판 결합 단계(S4)가 진행될 수 있다.
강판 결합 단계(S4)에서는 도 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조립되어 결합된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 각각의 전면 및 후면에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이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6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지만, 프레임 조립 단계(S3)와 강판 결합 단계(S4) 사이에는 조립된 각 프레임의 내측면에 심재(40)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강판 결합 단계(S4) 이후, 전면 강판(500)과 각 프레임 사이 및 배면 강판(600)과 각 프레임 사이를 접착성 밀봉재로 도포하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전면 강판;
    상기 전면 강판의 후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면 강판; 및
    상기 전면 강판과 상기 배면 강판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각각의 끝단에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전면 강판 및 배면 강판 각각의 상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전면 강판과 상기 배면 강판 각각의 수평 방향 양쪽 끝단 중 어느 한 제1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전면 강판과 상기 배면 강판 각각의 상기 수평 방향 양쪽 끝단 중 나머지 제2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강판 및 상기 배면 강판 각각의 하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전면 강판과 결합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배면 강판에 결합되는 제2 부재,
    상기 제1, 2 부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부재 각각과 결합되는 단열 부재를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부재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배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에 구비된 배수로와 상기 배면 강판 사이에 구비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 배수로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열 부재 사이에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상부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가스켓을 더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에 구비된 제1 측면 배수로와 상기 전면 강판 사이에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에 구비된 제1 측면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가스켓을 더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열 부재와 상기 전면 강판 사이에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하부 가스켓 홈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가스켓을 더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스켓 홈과 상기 하부 가스켓은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에 구비된 배수로보다 상기 전면 강판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부재 각각에서 상기 단열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홈 단부에는 내부 폭보다 좁은 입구폭을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 각각에는 상기 단열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부재 각각에 구비된 상기 결합홈은 2개 이고,
    상기 단열 부재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단열 부재 각각이 상기 제1 부재의 결합홈과 상기 제2 부재의 결합홈에 각각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부재는 전도성 금속 재질 또는 절연성 재질이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2 부재의 절연성 재질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절연성 재질인 건축용 외장 패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재질이고, 상기 단열 부재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를 포함하는 재질인 건축용 외장 패널.
  12.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제1, 2 측면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2 부재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홈 단부에 단열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열 부재 결합 단계;
    상기 단열 부재가 삽입된 상기 제1, 2 부재 각각의 결합홈 단부를 압축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을 형성하는 압축 단계;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끝단을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는 프레임 조립 단계;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전면 및 후면에 전면 강판 및 배면 강판을 결합하는 강판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 결합 단계에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2 부재의 결합홈 단부에서 상기 제1, 2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2 부재의 결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단열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2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단계에서 상기 단열 부재가 삽입된 상기 제1, 2 부재 각각의 결합홈 단부가 두 개의 롤러에 사이에 삽입 및 압축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단열 부재 사이의 유격 및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단열 부재 사이의 유격이 감소되거나 제거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쌍 또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쌍 중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조립 단계에서,
    상기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가 상기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각각의 끝단과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각각의 끝단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되는 건축용 외장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80047444A 2018-04-24 2018-04-24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44A KR102177263B1 (ko) 2018-04-24 2018-04-24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44A KR102177263B1 (ko) 2018-04-24 2018-04-24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75A true KR20190123575A (ko) 2019-11-01
KR102177263B1 KR102177263B1 (ko) 2020-11-10

Family

ID=6853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444A KR102177263B1 (ko) 2018-04-24 2018-04-24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946B1 (ko) * 2022-04-05 2023-05-31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가변부를 포함하는 퍼즐방음판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356B1 (ko) 2021-07-13 2022-02-14 이정재 건축용 준불연 외장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2539864B1 (ko) 2021-07-19 2023-06-02 유도건 건축용 외장 패널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76B1 (ko) * 2008-10-23 2009-07-2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KR20100116924A (ko) * 2009-04-23 2010-11-02 (주)가이인터내셔날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구조
KR101554922B1 (ko) * 2015-04-23 2015-09-22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20170036540A (ko) * 2015-09-24 2017-04-03 서울주택도시공사 분리가능한 층 유닛간 오픈 조인트 구조
KR101750692B1 (ko) * 2016-12-19 2017-06-27 (주)청송중앙알미늄 커튼월 어셈블리
KR101818754B1 (ko) * 2015-07-20 2018-02-2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패널과 이를 이용하는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76B1 (ko) * 2008-10-23 2009-07-2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방수커플링 구조물
KR20100116924A (ko) * 2009-04-23 2010-11-02 (주)가이인터내셔날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구조
KR101554922B1 (ko) * 2015-04-23 2015-09-22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101818754B1 (ko) * 2015-07-20 2018-02-2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패널과 이를 이용하는 조립구조
KR20170036540A (ko) * 2015-09-24 2017-04-03 서울주택도시공사 분리가능한 층 유닛간 오픈 조인트 구조
KR101750692B1 (ko) * 2016-12-19 2017-06-27 (주)청송중앙알미늄 커튼월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946B1 (ko) * 2022-04-05 2023-05-31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가변부를 포함하는 퍼즐방음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263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8924C2 (ru) Угловая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деталь, угловая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уется эта деталь,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э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190123575A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3454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223647B1 (ko) 건축패널들의 조립구조
KR20170141433A (ko) 탈부착이 용이한 단열커튼월
KR10228118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082412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JP7071535B2 (ja) 建築用の外装パネル及びその組立構造
KR10201345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741803B1 (ko) 통합형 커튼월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시스템
JP5919584B2 (ja) 入隅部における外壁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用ジョイナー
KR20190096914A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150133462A (ko) 창틀 프레임
KR20200095629A (ko) 건식 공법을 외단열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855998B1 (ko) 창문과 창틀에 단열구조를 구비한 시스템 창호
KR20220104588A (ko)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KR20190096915A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577017B1 (ko) 누수방지 및 열교 차단을 위한 건축용 패널 조립 시스템
RU2566493C1 (ru) Профиль и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для светопрозрач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517040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328728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건축용 외장 패널과 환기구의 연결 구조
KR200420873Y1 (ko) 알루미늄 합금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서브프레임이 결합된슈퍼 윈도우 프레임
JP3987883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
JP2012046907A (ja) タイト材及びそれを備えた窓用縦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