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177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177A
KR20190123177A KR1020180047002A KR20180047002A KR20190123177A KR 20190123177 A KR20190123177 A KR 20190123177A KR 1020180047002 A KR1020180047002 A KR 1020180047002A KR 20180047002 A KR20180047002 A KR 20180047002A KR 20190123177 A KR20190123177 A KR 2019012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information
designated
user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봉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8004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177A/ko
Publication of KR2019012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06Q4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현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신용자 확인부가 지정된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1≤R<U)명의 신용자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신용평가 수집부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2 단계와, 신용자 선별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장치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는 제3 단계와, 활동내역 확인부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사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신용정보 계량부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상기 확인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적용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제5 단계와, 신용정보 관리부가 상기 계량화된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Method for Quantifying Credit Information of Credit Consumer by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주기적으로 무상 제공되는 잉여 자원의 선물을 근거로 블록체인 상의 유한한 토큰을 무상 분배하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것이다.
신용(Credit) 또는 신뢰(Trust)의 의미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믿음의 정도로서 사람과의 관계를 이어주는 바탕이 된다. 공동체 사회는 신뢰를 기반으로 물물교환 및 외상거래를 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신용와 신뢰는 같은 의미로 해석된다.
1차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경제활동이 증가하였고, 신용의 측정이 필요하였으며, 다소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신용도를 수치화 하였다. 이렇게 수치화된 신용도를 이용하여 모든 경제행위에 신용을 활용하고 신용평가의 데이터화 및 체계화를 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용평가회사는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신용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금융소외자의 인구는 후진국일수록 많다. 또한 신용정보의 집중화 및 관리 독점에 따른 폐해로 개인정보 유출로 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비용으로 전가된다. 신용평가기관은 신용정보 사용료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정보관리 관련 정책 수립 및 개선에 따른 간접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신용등급 정보 관리 소홀에 따른 금융거래 불이익으로 개인은 이자 비용이 증가하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며, 기업은 대외 신인도 하락으로 자금조달이 어렵게 된다.
자격증이나 학력, 시간, 구매 등은 개인의 통제하에 이루어지며 개인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신용정보에 대한 소유권은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신용평가기관에 의해 자신의 신용정보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신용정보는 사용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거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현재 활용되고 있는 신용정보는 과거 기준으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평가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신용정보의 소유권을 사용자 개인에게 귀속시켜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사용자 소유의 개인 자산으로 자산화하는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어야 하지만, 종래 제안된 방식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1≤R<U)명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주기적으로 무상 제공되는 잉여 자원의 선물을 근거로 블록체인 상의 유한한 토큰을 무상 분배하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고,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과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현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신용자 확인부가 지정된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1≤R<U)명의 신용자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신용평가 수집부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2 단계와, 신용자 선별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장치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는 제3 단계와, 활동내역 확인부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사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신용정보 계량부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상기 확인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적용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제5 단계와, 신용정보 관리부가 상기 계량화된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연동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노드장치를 통해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을 블록체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현하거나 기 구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사에서 구축한 노드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통해 가상으로 노드장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현한 가상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운영사에서 구축한 노드장치와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통해 가상으로 에뮬레이션한 가상 노드장치를 포함하여 구현한 복합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혼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씨앗 제공부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U(U≥2)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 별 i(i≥1)개의 소멸성 선물용 씨앗을 생성하여 U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선물 처리부가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j(1≤j≤i)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1≤k≤i, i<U)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지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용 씨앗을 선물한 선물자를 식별하는 선물자정보와 상기 선물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k명의 수령자를 식별하는 k개의 수령자정보와 상기 k명의 수령자가 수령한 씨앗 수령 개수와 일시를 포함하는 k개의 씨앗 수령 정보를 포함하는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열매 전환부가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확인하고 지정된 전환 규칙에 따라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단계와, 열매 확인부가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지정된 열매 단위 이상의 토큰 수취용 열매를 전환받은 u(1≤u≤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총량 F(F≥1.0)를 산출하는 단계와, 토큰 분배부가 상기 산출된 F를 근거로 지정된 단위 T(T≥1.0)의 토큰을 상기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보유량에 부합되게 무상 분배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블록체인화 절차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명의 사용자에게 T개의 토큰을 무상 분배한 거래내역의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신용자 선별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장치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물용 씨앗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 전까지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되지 않는 경우 자동 소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큰 분배부는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u명의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설정된 토큰의 총량 T(T≥1.0)를 F로 나누어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단위에 맞춰 각 사용자에게 분배될 사용자 별 t(t<T)개의 토큰 수량을 각기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 별로 각기 산출된 t개의 토큰을 각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분배하기 위한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의 토큰 컨트랙트(Token Contract)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동 관리부가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1≤z≤U)명의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와, 토큰 관리부가 상기 z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z개의 사용자 별 전자지갑에 보유된 토큰 중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을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기간은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발행된 토큰과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을 포함하는 전체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기간,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명의 신용자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한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기 위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관계 형성을 위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지정된 항목 별로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여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을 조정하여 계량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는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과 동등하거나 우량한 점수 또는 등급으로 계량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주기적으로 무상 제공되는 잉여 자원의 선물을 근거로 블록체인 상의 유한한 토큰을 무상 분배하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함으로써, 신용정보의 소유권을 사용자 개인에게 귀속시키고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사용자 소유의 개인 자산으로 자산화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신용자의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록체인 연동 내지 전자지갑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한 토큰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한 토큰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신용자의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신용자의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1≤R<U)명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주기적으로 무상 제공되는 잉여 자원의 선물을 근거로 블록체인 상의 유한한 토큰을 무상 분배하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고,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사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과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U(U≥2)명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U개의 사용자단말(180)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에 구비된 M(M≥2)개의 노드장치(195)와,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와 연동하고 사용자단말(180)과 통신하는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의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나 상기 운영서버(100)의 물리적 서버 구성 또는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도면1은 상기 운영서버(100)를 별도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할 것이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사용자단말(180)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 중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유선망에 연결된 컴퓨터,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과, 무선망에 연결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단말(180)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는 앱(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의 구성은 웹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단말(180)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단말(180)에 설치된 앱이나 웹 방식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블록체인 상의 노드장치(195)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로 방송된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기능과, 상기 수집된 지정 개수의 거래내역을 블록화하여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신규 블록의 체인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해시값을 근거로 상기 생성된 신규 블록의 체인 연결을 다른 노드와 합의하거나 다른 노드의 체인 연결을 검증하는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과, 상기 블록체인화 절차를 ?애 합의 또는 검증된 블록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거래내역블록에 체인 연결하여 저장하는 기능 중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에 구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되며, 동일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에서 운영되는 모든 노드장치(195)는 동일한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적용된 동일 버전의 동일한 블록체인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 중 상기 사용자단말(180)이나 노드장치(195) 이외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의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하, 편의 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정된 절차 중 일부는 사용자단말(180)의 앱이나 노드장치(195)의 블록체인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또는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권리범위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단말(180)은 회원으로 가입할 사용자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180)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본인 인증 절차를 통해 인증된 U(U≥2)명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저보는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등록 또는 할당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포함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노드장치(195)를 통해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을 블록체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거나 기 구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연동부(104)를 구비하며, 회원 가입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단말(180)과 연동하여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을 보유하기 위한 사용자의 전자지갑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성된 전자지갑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지갑 관리부(108)를 구비한다.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104)는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M(M≥2)개의 노드장치(195)를 통해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에 대한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 및/또는 합의 및/또는 검증된 블록을 체인 연결한 거래내역블록을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거나, 또는 M개의 노드장치(195)를 통해 기 구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104)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의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여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에 대한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 및/또는 합의 및/또는 검증된 블록을 체인 연결한 거래내역블록을 분산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장치(195)를 구현하거나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장치(195)와 통신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에 분산형으로 구비된 M개의 노드장치(195)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사에서 구축한 노드장치(195)를 통해 구현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104)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장치(195)와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는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통해 가상으로 노드장치(195)를 에뮬레이션하여 구현한 가상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104)는 상기 서버를 통해 구현된 가상의 노드장치(195)와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는 상기 운영사에서 구축한 노드장치(195)와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통해 가상으로 에뮬레이션한 가상 노드장치(195)를 포함하여 구현한 복합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록체인 연동부(104)는 상기 가상의 노드장치(195) 또는 실제 노드장치(195)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포함하거나,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혼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포함하는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는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에 대한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 및/또는 합의 및/또는 검증된 블록을 체인 연결한 거래내역블록을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능 외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등록 저장하여 관리하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갑 관리부(108)는 회원 가입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단말(180)과 연동하여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예컨대, 하기의 토큰 분배부(136)를 통해 분배되는 토큰)을 보유하기 위한 사용자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갑이 생성되면, 상기 지갑 관리부(108)는 상기 전자지갑으로 상기 토큰을 분배하기 위한 전자지갑 정보를 상기 사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안전하게 관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전자지갑의 생성 과정에서 공개키와 개인키가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갑 관리부(108)는 상기 전자지갑의 공개키를 상기 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지갑의 개인키는 사용자에 의해 별도 관리되거나, 또는 상기 지갑 관리부(108)가 별도의 안전한 저장용 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게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서비스서버(11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계 서비스를 참조하는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는 회원 가입된 U명의 사용자 간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관계 서비스, 및/또는 사용자 간 관계 형성을 위해 지정된 행위(예컨대, 글, 사진,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등록,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에 대한 댓글 달기,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컨텐츠나 댓글에 대한 추천, 공감, 호응 등)를 처리하는 하나 이사의 관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하기의 씨앗 제공이나 씨앗 선물 등의 절차는 상기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 서비스와 연동하여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서비스서버(110)(예컨대, SNS서버, 블로그서버, 인터넷카페서버, 지식교환서버 등)와 연동하여 상기 관계서비스서버(110)에 회원 가입되고 상기 운영서버(100)에도 회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관계서비스서버(1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간 정보 교환이나 사용자 간 관계 형성을 위해 지정된 각종 관계 서비스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하기의 씨앗 제공이나 씨앗 선물 등의 절차는 상기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가 참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서비스서버(110)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 서비스와 연동하여 처리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하기의 씨앗 제공부(116)와 선물 처리부(124)와 열매 전환부(128)와 열매 확인부(132) 중 적어도 일부 구성부는 상기 관계서비스서버(110)에 구비(또는 운영서버(100)와 관계서비스서버(110)에 분산 구비)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U(U≥2)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각 사용자 별 i(i≥1)개의 소멸성 선물용 씨앗을 생성하여 U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씨앗 제공부(116)와,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i개의 선물용 씨앗 중 j(1≤j≤i)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1≤k≤i, i<U)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지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용 씨앗을 선물한 선물자를 식별하는 선물자정보와 상기 선물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k명의 수령자를 식별하는 k개의 수령자정보와 상기 k명의 수령자가 수령한 씨앗 수령 개수와 일시를 포함하는 k개의 씨앗 수령 정보를 포함하는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선물 처리부(124)와,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확인하고 지정된 전환 규칙에 따라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열매 전환부(128)와,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지정된 열매 단위 이상의 토큰 수취용 열매를 전환받은 u(1≤u≤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총량 F(F≥1.0)를 산출하는 열매 확인부(132)와, 상기 산출된 F를 근거로 지정된 단위 T(T≥1.0)의 토큰을 상기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보유량에 부합되게 무상 분배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토큰 분배부(136)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상기 u명의 사용자에게 T개의 토큰을 무상 분배한 거래내역의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블록체인화 절차부(140)를 포함하며,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까지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지 않은 i개의 선물용 씨앗 또는 (j-i)개의 선물용 씨앗을 자동 소멸시키는 씨앗 관리부(1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씨앗 제공부(116)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예컨대, 매일 자정, 또는 사용자들의 활동이 개시되는 매일 오전 06:00시 등)에 회원 가입된 U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각 사용자 별 i(i≥1)개의 소멸성 선물용 씨앗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물용 씨앗은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코드(또는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물용 씨앗은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코드(또는 번호) 이외에 자신이 생성된 일시나 순번 또는 생성된 규칙을 식별하는 지정된 식별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씨앗 제공부(116)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선물용 씨앗을 U명의 각 사용자에게 i개씩 제공한다. 예를들어, 씨앗 제공부(116)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선물용 씨앗 3개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씨앗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물용 씨앗은 U명의 사용자 별 계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씨앗 제공부(116)는 상기 U명의 사용자 별 계정정보와 각 사용자 별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씨앗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갑 관리부(108)를 통해 생성된 전자지갑에 상기 토큰 이외에 상기 선물용 씨앗도 보관 가능한 경우, 상기 씨앗 제공부(116)는 상기 U명의 사용자 별 전자지갑으로 각 사용자 별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물용 씨앗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 전까지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되지 않는 경우 자동 소멸되는 특징을 지닌다.
상기 씨앗 관리부(120)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까지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지 않은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자동 소멸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씨앗 관리부(120)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까지 다른 사용자에게 일부 선물하고 남은 (j-i)개의 선물용 씨앗을 자동 소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씨앗 소멸 시점은 선물되지 않은 씨앗의 소멸을 위해 별도 지정된 시점, 특정 씨앗 생성 시점 이후의 다음 번 씨앗 생성 시점, 토큰 분배를 위해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물용 씨앗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물용 씨앗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큰으로 가치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U명의 사용자에게 i개의 선물용 씨앗이 제공된 경우, 상기 선물 처리부(124)는 상기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와 연동하여 상기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i개의 선물용 씨앗 중 j(1≤j≤i)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1≤k≤i, i<U)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본인이 신뢰하는 k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j개의 선물용 씨앗을 선물한 경우, 상기 선물 처리부(124)는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용 씨앗을 선물한 선물자(=사용자)를 식별하는 선물자정보와 상기 선물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k명의 수령자(=사용자)를 식별하는 k개의 수령자정보와 상기 k명의 수령자가 수령한 씨앗 수령 개수와 일시를 포함하는 k개의 씨앗 수령 정보를 포함하는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열매 전환부(128)는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확인하고 지정된 전환 규칙에 따라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토큰 수취용 열매는 상기 선물용 씨앗의 코드(또는 번호)와 구별되는 별도의 코드(또는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선물용 씨앗에서 전환된 비율에 대응하는 지정된 단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큰 수취용 열매의 단위는 비율에 따라 전환되는 특성 상 지정된 소수점 자리의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열매 전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규칙은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전환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매 전환부(128)는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전환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매 전환부(128)는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일대일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전환 비율은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는 회원(또는 사용자) 수,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은 회원(또는 사용자) 수, 토큰 수취용 열매를 보유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토큰의 단위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토큰의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은 회원(또는 사용자)들에게 지정된 기준가치 이상의 토큰이 분배될 수 있도록 계산된 비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열매 전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규칙은 각 사용자가 지정된 기준기간 P(3≥1)단위 이내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없는 경우에 지정된 전환 비율에 따라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규칙과, 각 사용자가 지정된 기준기간 P단위 이내의 기간 중 d(d≥0)단위 전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 1/(P-d)의 비율에 따라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매 전환부(128)는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지정된 기준기간 P단위 이내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전환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고, 각 사용자가 지정된 기준기간 P단위 이내의 기간 중 d(d≥0)단위 전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1/(P-d)의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매 전환부(128)는 사용자가 10일 이내의 기간 중 d일 전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1/(10-d)의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열매 전환부(128)는 상기 지정된 전환 규칙에 따라 선물용 씨앗에서 전환된 토큰 수취용 열매와 사용자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열매 확인부(132)는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지정된 열매 단위 이상의 토큰 수취용 열매를 전환받은 u(1≤u≤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총량 F(F≥1.0)를 산출하고, 상기 토큰 분배부(136)는 상기 산출된 F를 근거로 지정된 단위 T(T≥1.0)의 토큰을 상기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보유량에 부합되게 무상 분배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토큰 분배부(136)는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u명의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설정된 토큰의 총량 T(T≥1.0)를 F로 나누어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단위에 맞춰 각 사용자에게 분배될 각 사용자 별 t(t<T)개의 토큰 수량을 각기 산출하고, 각 사용자 별로 각기 산출된 t개의 토큰을 각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분배하기 위한 거래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의 토큰 컨트랙트(Token Contract)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화 절차부(140)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상기 u명의 사용자에게 T개의 토큰을 무상 분배한 거래내역의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화 절차부(140)는 상기 생성된 거래내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로 방송하여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는 상기 거래내역에 대한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여 생성 및/또는 합의 및/또는 검증된 블록을 체인 연결한 거래내역블록을 분산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은 각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계량화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운영서버(100)는 각 사용자이 자신에게 분배된 토큰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및/또는 상기 토큰의 분배 과정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등을 근거로 지정된 규칙에 따라 각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계량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운영서버(100)는 자신에게 분배된 토큰을 지정된 기간 내에 거래소를 통해 현금화하는 사용자의 신용도를 하락시킬 수 있다. 한편 운영서버(100)는 자신에게 분배된 토큰을 거래하더라도 현금화하지 않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투자에 이용하는 사용자의 신용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1≤z≤U)명의 사용자를 확인하는 활동 관리부(144)와, 상기 z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z개의 사용자 별 전자지갑에 보유된 토큰 중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각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을 차감하는 토큰 관리부(148)를 구비한다.
상기 활동 관리부(144)는 상기 관계 서비스 처리부(112)와 연동하여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명의 사용자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활동내역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토큰 거래내역,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활동내역,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기 위해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활동하는 활동내역,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관계 형성을 위해 활동하는 활동내역 중에서 지정된 하나 이상의 활동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기간은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발행된 토큰과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을 포함하는 전체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확인기간은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명의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토큰 관리부(148)는 상기 z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z개의 사용자 별 전자지갑(예컨대, 상기 지갑 관리부(108)를 통해 관리되는 전자지갑)에 보유된 토큰 중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각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을 차감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은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발행된 토큰과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을 포함하는 전체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비율,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토큰 량은 상기 토큰 분배부(136)를 통해 지정된 단위가 주기적으로 무상 분배됨에도 상기 토큰 관리부(148)를 통한 토큰 차감에 의해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1≤R<U)명의 신용자를 확인하는 신용자 확인부(152)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신용평가 수집부(156)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는 신용자 선별부(160)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사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확인하는 활동내역 확인부(164)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상기 확인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적용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신용정보 계량부(168)와, 상기 계량화된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 저장하여 관리하는 신용정보 관리부(172)를 구비한다.
상기 신용자 확인부(152)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토큰을 분배 가능한 U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서버(150)를 통해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생성되어 등록된 상태를 유지하는 R명의 신용자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확인부(152)는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서버(150)로 상기 사용자정보를 전송하여 (약식)조회를 요청하는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명의 신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신용자 확인부(152)는 각 사용자단말(180)의 접속 시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접속한 사용자단말(180)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신용평가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신용평가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180)로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서버(150)를 통해 사용자 본인의 신용평가정보를 조회 요청하여 유효한 신용평가정보를 등록하는 R명의 신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용평가 수집부(156)는 상기 신용자 확인부(152)를 통해 확인된 R명의 신용자에 대한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단말(180)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수집/제공받은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또는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상기 신용자 선별부(160)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상기 선물용 씨앗의 주기적 제공과 지정된 기간 내 선물 과정을 근거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을 무상 분배하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명의 신용자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씨앗을 선물받아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신용자 외에, 상기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한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용자 선별부(160)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된 씨앗을 선물받아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신용자 외에, 상기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한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더 포함하는 r명의 신용자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활동내역 확인부(164)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토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상기 토큰을 거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토큰 거래내역 이외에,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신용자 활동내역,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기 위해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관계 형성을 위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용정보 계량부(168)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상기 확인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적용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지정된 항목 별로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여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을 조정하여 계량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용정보 계량부(168)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지정된 항목 별로 수치화 또는 등급화한 계량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계량정보를 통해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을 조정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는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과 동등하거나 우량한 점수 또는 등급으로 계량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용정보 관리부(172)는 상기 계량화된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블록체인 연동 내지 전자지갑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고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노드장치(195)를 통해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을 블록체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구현하거나 기 구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한다(200).
한편 사용자단말(180)은 사용자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하여 회원가입을 요청하며(205),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단말(180)로부터 상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정보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180)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210). 만약 상기 사용자 본인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단말(180)로 사용자 인증 오류를 전송하고(215), 상기 사용자단말(180)은 상기 사용자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220).
한편 상기 사용자 본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관리하고(230), 상기 사용자단말(180)로 회원 가입 결과를 전송하며(215), 상기 사용자단말(180)은 상기 회원 가입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235).
한편 사용자단말(180)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예컨대, 하기의 토큰 분배부(136)를 통해 분배되는 토큰)을 보유하기 위한 사용자의 전자지갑을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하며(24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도 상기 사용자단말(18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전자지갑을 생성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한다(24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토큰 보융를 위해 생성된 사용자의 전자지갑 정보를 확인하고(250), 상기 사용자정보와 전자지갑 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안전하게 관리한다(25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한 토큰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해 지정된 시점에 사용자들에게 지정 개수의 소멸성 선물용 씨앗을 제공하여 지정된 시간 내에 자신이 신뢰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게 한 후, 각 사용자들이 신뢰의 증표로 선물받아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고, 지정된 시점에 각 사용자들이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총량을 근거로 상기 토큰 수취용 열매를 보유한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을 통해 구현되는 지정된 단위의 토큰을 각 사용자들의 열매 보유 단위에 부합하게 무산 분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U(U≥2)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 별 i(i≥1)개의 소멸성 선물용 씨앗을 생성하고(300), U명의 사용자에게 사용자 별 i개의 선물용 씨앗 제공 절차를 수행한다(305).
한편 운영서버(100)는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j(1≤j≤i)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1≤k≤i, i<U)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지 확인한다(310). 만약 상기 씨앗 선물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이 도래하는지 확인한다(315). 만약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씨앗 소멸 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j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310). 한편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이 도래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 중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지 않은 i개의 선물용 씨앗 또는 (j-i)개의 선물용 씨앗을 자동 소멸킨다(320).
한편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j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함이 확인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용 씨앗을 선물한 선물자를 식별하는 선물자정보와 상기 선물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k명의 수령자를 식별하는 k개의 수령자정보와 상기 k명의 수령자가 수령한 씨앗 수령 개수와 일시를 포함하는 k개의 씨앗 수령 정보를 포함하는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확인한다(3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확인하고 지정된 전환 규칙에 따라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고(335), 사용자정보와 토큰 수취용 열매를 연계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340). 한편 상기 전환 규칙은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전환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환 규칙은 각 사용자가 지정된 기준기간 P(3≥1)단위 이내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없는 경우에 지정된 전환 비율에 따라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규칙과, 각 사용자가 지정된 기준기간 P단위 이내의 기간 중 d(d≥0)단위 전에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 1/(P-d)의 비율에 따라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이 도래하는지 확인한다(345). 만약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이 도래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열매 단위 이상의 토큰 수취용 열매를 전환받은 u(1≤u≤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총량 F(F≥1.0)를 산출하고(350), 상기 산출된 F를 근거로 지정된 단위 T(T≥1.0)의 토큰을 상기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보유량에 부합되게 무상 분배하는 절차를 수행한다(35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u명의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설정된 토큰의 총량 T(T≥1.0)를 F로 나누어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단위에 맞춰 각 사용자에게 분배될 사용자 별 t(t<T)개의 토큰 수량을 각기 산출하고, 사용자 별로 각기 산출된 t개의 토큰을 각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분배하기 위한 거래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를 통해 상기 u명의 사용자에게 T개의 토큰을 무상 분배한 거래내역의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한다(360).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거래내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로 방송하여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내역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의 노드장치(195)를 통해 블록체인화 절차를 거쳐 거래내역블록에 분산 기록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한 토큰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를 위해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사용자들에게 토큰이 무상 분배된 후,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1≤z≤U)명의 사용자를 확인한 경우에 상기 z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z개의 사용자 별 전자지갑에 보유된 토큰 중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을 차감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사용자들에게 토큰이 무상 분배된 후,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1≤z≤U)명의 사용자를 확인한다(400). 여기서, 상기 지정된 활동내역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토큰 거래내역,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활동내역,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기 위해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활동하는 활동내역,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관계 형성을 위해 활동하는 활동내역 중에서 지정된 하나 이상의 활동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명의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z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각 사용자 별 전자지갑(예컨대, 상기 지갑 관리부(108)를 통해 관리되는 전자지갑) 정보를 근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여 각 전자지갑에 보유된 토큰 중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각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을 확인하고(405), 블록체인 네트워크(190)와 연동하여 각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을 차감하는 절차를 수행한다(41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신용자의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토큰을 분배 가능한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서버(150)를 통해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생성되어 등록된 상태를 유지하는 R(1≤R<U)명의 신용자를 확인한다(50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R명의 신용자에 대한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고(505), 상기 수집된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또는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510).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한다(51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노드장치(195)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토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확인한다(5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상기 토큰을 거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90) 상의 토큰 거래내역 이외에,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신용자 활동내역,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기 위해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 지정된 관계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관계 형성을 위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상기 확인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적용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고(525), 상기 계량화된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 저장하여 관리한다(530).
100 : 운영서버 104 : 블록체인 연동부
108 : 지갑 관리부 112 : 관계 서비스 처리부
116 : 씨앗 제공부 120 : 씨앗 관리부
124 : 선물 처리부 128 : 열매 전환부
132 : 열매 확인부 136 : 토큰 분배부
140 : 블록체인화 절차부 144 : 활동 관리부
148 : 토큰 관리부 152 : 신용자 확인부
156 : 신용평가 수집부 160 : 신용자 선별부
164 : 활동내역 확인부 168 : 신용정보 계량부
172 : 신용정보 관리부 180 : 사용자단말
190 : 블록체인 네트워크 195 : 노드장치

Claims (16)

  1.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현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신용자 확인부가 지정된 U(U≥2)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에 유효한 신용평가정보가 등록된 R(1≤R<U)명의 신용자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신용평가 수집부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공인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2 단계;
    신용자 선별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장치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지정된 토큰 분배 절차를 통해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1≤r≤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는 제3 단계;
    활동내역 확인부가 상기 r명의 신용자에 대한 블록체인 상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사의 지정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확인하는 제4 단계;
    신용정보 계량부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상기 확인된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적용하여 신용자 별 신용정보를 계량화하는 제5 단계; 및
    신용정보 관리부가 상기 계량화된 신용자 별 신용정보와 상기 신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에 매핑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연동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노드장치를 통해 지정된 정보 구조의 거래내역을 블록체인화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현하거나 기 구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사에서 구축한 노드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통해 가상으로 노드장치를 에뮬레이션하여 구현한 가상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운영사에서 구축한 노드장치와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통해 가상으로 에뮬레이션한 가상 노드장치를 포함하여 구현한 복합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혼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씨앗 제공부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U(U≥2)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사용자 별 i(i≥1)개의 소멸성 선물용 씨앗을 생성하여 U명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선물 처리부가 i개의 선물용 씨앗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j(1≤j≤i)개의 선물용 씨앗을 본인이 신뢰하는 k(1≤k≤i, i<U)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지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용 씨앗을 선물한 선물자를 식별하는 선물자정보와 상기 선물자로부터 선물용 씨앗을 수령한 k명의 수령자를 식별하는 k개의 수령자정보와 상기 k명의 수령자가 수령한 씨앗 수령 개수와 일시를 포함하는 k개의 씨앗 수령 정보를 포함하는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열매 전환부가 상기 씨앗 선물 관계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확인하고 지정된 전환 규칙에 따라 각 사용자가 수령한 선물용 씨앗을 지정된 비율의 토큰 수취용 열매로 전환하는 단계;
    열매 확인부가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지정된 열매 단위 이상의 토큰 수취용 열매를 전환받은 u(1≤u≤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총량 F(F≥1.0)를 산출하는 단계;
    토큰 분배부가 상기 산출된 F를 근거로 지정된 단위 T(T≥1.0)의 토큰을 상기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보유량에 부합되게 무상 분배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블록체인화 절차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명의 사용자에게 T개의 토큰을 무상 분배한 거래내역의 블록체인화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신용자 선별부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장치에 기록된 거래내역블록의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상기 R명의 신용자 중 지정된 단위 이상의 토큰을 무상 분배받은 이력이 있는 r명의 신용자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용 씨앗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지정된 씨앗 소멸 시점 전까지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되지 않는 경우 자동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분배부는,
    지정된 토큰 분배 시점에 u명의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설정된 토큰의 총량 T(T≥1.0)를 F로 나누어 u명의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 수취용 열매의 단위에 맞춰 각 사용자에게 분배될 사용자 별 t(t<T)개의 토큰 수량을 각기 산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별로 각기 산출된 t개의 토큰을 각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분배하기 위한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의 토큰 컨트랙트(Token Contract)를 통해 구현되는 토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활동 관리부가 지정된 확인기간 동안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z(1≤z≤U)명의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토큰 관리부가 상기 z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z개의 사용자 별 전자지갑에 보유된 토큰 중 지정된 활동내역이 없는 사용자 별 무활동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게 무상 분배된 토큰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의 지정된 비율을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기간은,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발행된 토큰과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을 포함하는 전체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기간, 또는
    상기 무상 분배된 토큰 량의 인플레이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산출된 기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명의 신용자는,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한 이력이 있는 신용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신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하는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지정된 씨앗 생성 시점에 생성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선물용 씨앗을 선물받기 위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자 별 활동내역은,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이나 관계 형성을 위해 활동하는 신용자 활동내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신용자 별 활동내역을 지정된 항목 별로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여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을 조정하여 계량화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자 별 신용정보는,
    상기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자 별 신용평가정보에 대응하는 점수 또는 등급과 동등하거나 우량한 점수 또는 등급으로 계량화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KR1020180047002A 2018-04-23 2018-04-23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KR20190123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02A KR20190123177A (ko) 2018-04-23 2018-04-23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02A KR20190123177A (ko) 2018-04-23 2018-04-23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77A true KR20190123177A (ko) 2019-10-31

Family

ID=6842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02A KR20190123177A (ko) 2018-04-23 2018-04-23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oni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energy sector: A systematic review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N111127168B (zh) 基于区块链的光伏融资租赁方法、系统及存储介质
Antal et al. Blockchain based decentralized local energy flexibility market
CN108805656A (zh) 供需匹配方法、平台、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6733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p2p理财平台资金银行存管管理方法
CN112685766B (zh) 基于区块链的企业征信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704531B (zh) 基于区块链的用电客户信用管理方法及系统
CN110717832B (zh) 基于区块链的清洁能源交易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144420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728494B (zh) 不动产业务的办理方法、不动产权信息系统及装置
CN110599178A (zh) 一种基于智能合约的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1325581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99348B (zh) 股权激励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Dzobo et al. Proposed framework for blockchain technology in a decentralised energy network
CN113177731B (zh) 一种基于智能合约的水资源决策管理系统
CN108352010A (zh) 用于管理认证服务客户数据的方法和系统
JP2022183219A (ja) 制御方法
Pop et al. TRADING ENERGY AS A DIGITAL ASSET: A BLOCKCHAIN‐BASED ENERGY MARKET
KR100941702B1 (ko) 대표자 개인신용과, 쇼핑몰 매출실적 및 민원/분쟁사실의종합적 평가를 통한 판매자 신용 공개 시스템
Khudnev Blockchain: foundational technology to change the world
Li et al. Secure electronic ticketing system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CN11146050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安全服务系统以及在自治社区中的应用
KR20190123179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거래 방법
KR2019012317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용자의 신용정보 계량화 방법
CN113344574A (zh) 电力交易可信数据链的管理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