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960A -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960A
KR20190122960A KR1020180046517A KR20180046517A KR20190122960A KR 20190122960 A KR20190122960 A KR 20190122960A KR 1020180046517 A KR1020180046517 A KR 1020180046517A KR 20180046517 A KR20180046517 A KR 20180046517A KR 20190122960 A KR20190122960 A KR 20190122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clothing
informa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김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진 filed Critical 김대진
Priority to KR102018004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960A/en
Publication of KR2019012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9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04N5/22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bstract

Provided are a clothing virtual wear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ing virtual wear system comprises: a photograph unit photographing images of clothing or users; a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the images of the clothing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s clothing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analyzing the images of the user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nd storing the images of the users as user information; and an image process unit proces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generating images in which the user wears the clothing.

Description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직접 의류를 입어보지 않고도 사용자의 의류 착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generate a user's clothing wearing image without the user directly wearing the clothing.

일반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옷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직접 매장에 방문할 뿐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 및 디자인의 옷을 피팅룸에서 입어보아야 한다. 이 경우, 방문한 매장에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 및 알맞은 사이즈의 옷의 재고가 존재해야 하며, 원하는 디자인 및 사이즈의 옷을 선택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방문한 매장에 원하는 사이즈 또는 디자인의 옷의 재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원하는 옷을 구매하기 위해 다른 매장을 방문하거나 매장에 재 방문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buy the clothes that suits you, you should not only go directly to the store, but also wear clothes of various sizes and designs in the fitting room. In this case, there must be a stock of clothes of the desired design and size in the store visited, and sufficient time is required to select clothes of the desired design and size. For this reason, when there is no stock of clothes of a desired size or design in the visited store, there may be a problem of visiting another store or revisiting the store to purchase desired clothes.

KR 2000-0054111AKR 2000-0054111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의류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것과 동일한 영상을 생성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he same image as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even if the user does not wear the clothing directly.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의 착용 결과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wearing results from various angles in the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고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해당 의류의 착용 결과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check the wearing result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image even if there is no invento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추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recommended clothing to the user.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의류 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의류의 영상을 의류 정보로 보관하는 의류 정보 보관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정보로 보관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의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n image of a garment or a user; A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the image of the clothing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s clothing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analyzer for analyzing and storing the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s user information; And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generate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상기 촬영부는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a stereoscopic image using at least three cameras.

상기 촬영부는,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an image of the garment or the user by using a chroma key technique.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처리하는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처리하는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보관하는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may include a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configured to process an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or stored from the outside; And a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an image of the user processed by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user's body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n external input or by analyzing an image of the user.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의류 정보 보관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로부터 각각 상기 의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영상을 전달 받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receive the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mage from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respectively, and generate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의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may generate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by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 가상 착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의류 가상 착용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해 의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의류 영상과 상기 사용자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의류 영상을 입체로 촬영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ing virtual wearing method. The virtual clothing wearing method may include photographing and storing a garment image using a camera; Photographing and analyzing a user image using the camera; And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and the user image, wherein the photographing the garment image includes capturing the garment image in three dimensions using at least three cameras.

상기 의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the photographing of the clothing image, the clothing image may be photographed using a chroma key technique.

상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the photographing and analyzing of the user image, the user image may be photographed using the chroma key technique.

상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사용자 영상을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nd analyzing of the user image may include analyzing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image; Processing the user image using the chroma key techniqu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processed user image.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분석 처리할 수 있다.The analyzing of the user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analyzing an image of the user or analyzing a body size of a user received from an external source.

상기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의류 영상 및 상기 보관된 사용자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synthesizing of the image may include synthesizing the stored clothing image and the stored user image to generate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상기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가지는 상기 의류 영상을 상기 저장된 의류 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synthesizing of the image may include using the garment image ha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user's body information as the stored garment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옷을 직접 입어보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옷을 착용해 본 것과 동일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pparel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output the same image as the user directly wearing clothes without the user directly wearing clothes.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보다 짧은 시간동안 사용자가 다양한 옷의 착용 결과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wearing results of the various clothes in an image for a shorter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입체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을 비틀거나 하지 않고 영상을 회전시켜 다양한 각도에서의 착용 결과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tereoscopic image, the user can rotate the image without twisting the body to check the wearing result at various angles as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반영하여 종래보다 정확한 의류 가상 착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obtain a more accurate virtual clothing image of the clothing by reflecting the user's body siz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미리 리스트 업 한 의류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선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hortening a clothing selection time by using clothing information previously listed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해당 매장에 재고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착용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cloth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inventory in the store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wearing resul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정보 및 착용 의류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commending clothing to a user by accumulating user information and wearing cloth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및 방법은, 최종 의류 선택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누적 종합하여 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mulatively aggregate the final clothing selec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to generate big data, and can recommend the clothing to the user based on the generated big data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정보 분석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의류 가상 착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of FIG. 1.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virtual clothing we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정보 분석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of FIG. 1 in more detail. Hereinafter, a virtual clothing we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100)은, 촬영부(110), 의류 정보 보관부(130), 사용자 정보 분석부(150) 및 영상 처리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10, a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15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170. It includes.

촬영부(110)는 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부(110)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가상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의류 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촬영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의류 또는 사용자의 입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깊이 카메라 또는 복수개의 일반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10 captures an external image. The photographing unit 110 generates image information by capturing an image of the clothing or the user to generate a virtual imag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clothing.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captur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clothing or a user, and may be formed to include a depth camera or a plurality of general cameras.

또, 촬영부(110)는 가상 영상을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 의류 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크로마키 기법이란, 영상의 합성을 용이하게 해 주는 영상 처리 기법으로 영상을 합성하고 싶은 부분을 동일한 색으로 형성하여 영상에서 특정 영역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기법이다. 즉, 촬영부(110)는 의류와 사용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합성하기 위해 배경이 블루 스크린 또는 그린 스크린으로 형성된 지역에서 의류 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의류와 사용자의 영상만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use a chroma key technique in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clothing or the user in order to easily generate the virtual image. The chroma key technique is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facilitating the synthesis of an image. The chroma key technique is a technique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in an image by forming a portion to be synthesized with the same color. That is,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acquire only the image of the clothing and the user by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clothing or the user in an area where the background is formed of a blue screen or a green screen to easily synthesize the image of the clothing and the user.

일 예로. 촬영부(110)는 의류의 입체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의류를 착용하는 마네킹의 색깔도 스크린의 색과 일치시킴으로써 마네킹의 형상도 영상에서 제외하도록 촬영할 수 있다. 또, 촬영부(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입체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크로마키 기준이 되는 기준 띠 등을 신체에 부착한 상태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cquir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garment,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photograph the mannequin wearing the garment to match the color of the screen so that the shape of the mannequin is also excluded from the image.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cquir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user's body,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photograph the imag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attaches a reference band, which is a chroma key reference, to the body.

의류 정보 보관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의류 정보를 저장한다. 의류 정보 보관부(130)는 촬영부(110)에서 크로마키 기법으로 촬영된 의류의 입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의류 정보 보관부(130)는 의류의 입체 영상과 해당 의류의 사이즈 및 디자인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류 정보로 생성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tores clothing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clothing photographed by the chroma key in the photographing unit 110. In this case,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y generate and store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reoscopic image of the clothing and the size and design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s clothing information.

사용자 정보 분석부(15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고 저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정보 분석부(150)는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210),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30) 및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250)을 포함한다.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150 analyzes and stores an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To this end,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150 includes a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210, a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30, and a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250.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210)은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고 처리한다.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210)은 촬영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전달 받으면, 영상 편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영상이 의류 영상과 결합하였을때 어색하지 않도록 영상에 나타나고 있는 의류 부분을 분석하고, 해당 부분을 편집 처리하여 사용자의 영상에서 의류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210)은 일 예로 피부와 의류 사이의 높이(깊이) 차이를 이용하여 의류 부분을 제외할 수도 있고, 피부와 의류 사이의 색 차이를 이용하여 의류 부분을 제외할 수도 있으며, 촬영부(110)에서 사용자 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기준 띠를 이용하여 의류 부분을 제외할 수도 있다.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210 analyzes and processes an image of a user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When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210 receives an image of the user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10, the image is edited to analyze a portion of clothing displayed on the image so as not to be awkward when the image of the user is combined with the clothing image. This part can be edited to exclude clothing from the user's video. In this case,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210 may exclude the clothing part using, for example, a height (depth) difference between the skin and the clothing, or may exclude the clothing part using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skin and the clothing. When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in the photographing unit 110, the clothing part may be excluded by using a reference band attached to the user's body.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3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한다.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30)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거나, 기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기 저장된 정보를 불러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30)은 사용자가 신체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30 analyzes and processes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or stored from the outside.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30 may check the user's body information by directly inputting his or her own body information, or by reading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when the user is a previously stored user. 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30 may obtain the user's body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input the body information.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250)은 사용자의 영상을 보관한다.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250)은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210)에서 처리된 사용자의 의류를 제외한 영상과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23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사용자 정보로써 저장한다.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250 stores an image of a user.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250 stores the image excluding the clothing of the user processed by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210 and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by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230 as user information.

영상 처리부(170)는 의류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가상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70)는 의류 정보 보관부(130)에 보관된 의류 정보와 사용자 정보 분석부(150)에 보관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영상을 사용자 영상에 합성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17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정보와 대응하는 사이즈의 의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70 generates a virtual image in which the user wears clothing by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he imag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virtual image by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to the user image by using the gar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gar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nd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150.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or 170 may obtain user information, and may generate an image by obtaining clothing information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dy information by us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user image.

즉, 영상 처리부(170)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100 사이즈와 대응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170)는 100 사이즈의 의류 정보를 의류 정보 보관부(130)로부터 전달 받아 사용자 영상에 해당 의류의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또, 영상 처리부(17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의류의 영상을 일부 편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영상 처리부(170)가 전달 받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서 각각의 신체 부위에 대한 치수를 확인하고 기성복의 사이즈와 차이가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170)는 의류의 영상을 편집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치수와 대응하는 맞춤 의류 영상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영상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맞춤복을 입었을 때의 가상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user's body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size 100 in the user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receives the 100 size clothing information from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o the user image An image of the garment may be synthesized.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70 may partially edit the image of the clothing according to the user's body information. As an example, when the image processor 170 checks the dimensions of each body part in the received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size of the ready-to-wear, the image processor 170 edits the image of the clothing to user's body The virtual image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wears the tailored garment by synthesizing the tailored garm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mension of the site and synthesizing it with the image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분석부(150)는 취향 및 유행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해 줄 수 있도록 리스트 분석 모듈(270) 및 의류 추천 모듈(29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st analysis module 270 and 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290 to recommend clothing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aste and fashion. It may be.

리스트 분석 모듈(270)은 전체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리스트, 관심을 가진 관심 리스트, 방송에 노출되는 노출 리스트, SNS에서 언급되는 언급 리스트 등을 분석한다. 리스트 분석 모듈(270)은 각각의 리스트를 획득하여 분석하고, 어떤 디자인의 의류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며, 각각의 리스트에 대한 순위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list analysis module 270 analyzes a purchase list purchased by all users, an interest list of interest, an exposure list exposed to the broadcast, a reference list mentioned in the SNS, and the like. The list analysis module 270 may obtain and analyze each list, identify which designs of clothes have a positive response, and generate a ranking for each list.

의류 추천 모듈(290)은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한다. 의류 추천 모듈(290)은 사용자의 구매 내역, 관심 내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자주 구매하는 스타일 또는 디자인의 의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 또 의류 추천 모듈(290)은 리스트 분석 모듈(270)에서 리스트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유행인 디자인,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의류, 사용자와 유사한 취향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디자인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290 recommends clothing to the user. 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290 may recommend clothing of a style or design that the user frequently purchases with interest,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and interest history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290 uses the analysis result of analyzing the list in the list analysis module 270 to design a fashion that is popular to the user, clothing having a positive response, and a lot of people having similar tastes to the user. Etc.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의류 가상 착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 가상 착용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방법이 구성될 수도 있음이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virtual clothing we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wearing a virtual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using the virtual clothing wearing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the method may be configured using various syste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방법(300)은, 의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단계(S310),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S320) 및 의류 영상과 사용자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clothing wearing method 300 includes photographing and storing a garment image (S310), photographing and analyzing a user image (S320), and synthesizing a garment image and a user image. (S330).

먼저,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촬영부를 이용하여 의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한다(단계 S310).First,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photographs and stores the clothing image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step S310).

촬영부는 의류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부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가상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의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촬영부는 바람직하게는 의류의 입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깊이 카메라 또는 복수개의 일반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captures clothing images. The photographing unit generates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garment image to generate a virtual image in which the user wears clothing.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unit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capturing a stereoscopic image of the clothing, and may be formed to include a depth camera or a plurality of general cameras.

또, 촬영부는 가상 영상을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 의류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크로마키 기법이란, 영상의 합성을 용이하게 해 주는 영상 처리 기법으로 영상을 합성하고 싶은 부분을 동일한 색으로 형성하여 영상에서 특정 영역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기법이다. 즉, 촬영부는 의류 영상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경이 블루 스크린 또는 그린 스크린으로 형성된 지역에서 의류 영상을 촬영하여 의류 영상만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may use a chroma key technique in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clothing image in order to easily generate a virtual image. The chroma key technique is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facilitating the synthesis of an image. The chroma key technique is a technique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in an image by forming a portion to be synthesized with the same color. That is, the photographing unit may acquire only the garment image by photographing the garment image in an area where the background is formed of a blue screen or a green screen to facilitate the synthesis of the garment image.

일 예로. 촬영부는 의류의 입체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의류를 착용하는 마네킹의 색깔도 스크린의 색과 일치시킴으로써 마네킹의 형상도 영상에서 제외하도록 촬영할 수 있다.As an exampl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cquir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clothing, 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the mannequin wearing clothing so that the shape of the mannequin is also excluded from the image by matching the color of the screen.

촬영부를 통해 의류 영상을 촬영하면,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의류 정보 보관부로 의류 영상을 전달하고, 의류 정보를 저장한다. 의류 정보 보관부는 촬영부에서 크로마키 기법으로 촬영된 의류의 입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의류 정보 보관부는 의류의 입체 영상과 해당 의류의 사이즈 및 디자인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류 정보로 생성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When the garment image i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the garment virtual wearing system transmits the garment image to the gar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stores the garment information.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may stor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clothing photographed by a chroma key technique in the photographing unit. In this case,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may generate and sto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reoscopic image of the clothing and the size and design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s clothing information.

다음으로,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촬영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한다(단계 S320).Next,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photographs the user image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user image (step S320).

촬영부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가상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촬영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입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깊이 카메라 또는 복수개의 일반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generates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user in order to generate a virtual image in which the user wears clothing.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unit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capturing a stereoscopic image of the user, and may be formed to include a depth camera or a plurality of general cameras.

또, 촬영부는 가상 영상을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입체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크로마키 기준이 되는 기준 띠 등을 신체에 부착한 상태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may use a chroma key technique in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user's image in order to easily generate a virtual image. As an exampl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cquir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user's body, 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the image while the user attaches a reference band, which is a chroma key reference, to the body.

한편, 단계 S320은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321), 사용자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S322) 및 사용자 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step S320 may further include analyzing user body information (S321), processing the user image (S322), and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S323) to analyze the captured user image. .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 분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한다(단계 S321).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특히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한다.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alyz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using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step S321).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alyz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 particular, using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은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한다.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거나, 기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기 저장된 정보를 불러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은 사용자가 신체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analyzes and processes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or stored from the outside.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may check the user's body information by directly inputt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or by reading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if the user is a previously stored user. Furthermore,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may obtain the user's body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input the body information.

다음으로,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 분석부에 포함된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을 처리한다(단계 S322).Next,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processes the user image using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step S322).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은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고 처리한다.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은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전달 받으면, 영상 편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영상이 의류 영상과 결합하였을때 어색하지 않도록 영상에 나타나고 있는 의류 부분을 분석하고, 해당 부분을 편집 처리하여 사용자의 영상에서 의류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은 일 예로 피부와 의류 사이의 높이(깊이) 차이를 이용하여 의류 부분을 제외할 수도 있고, 피부와 의류 사이의 색 차이를 이용하여 의류 부분을 제외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기준 띠를 이용하여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의류 부분을 제외할 수도 있다.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analyzes and processes the image of the user. When the user's image processing module receives the captured user's image, the user edits the image so that the image of the user does not become awkward when the user's image is combined with the clothing image. Clothing can be excluded from the video. In this case,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may exclude the clothing part by using a height (depth) difference between the skin and the clothes, and may exclude the clothing part by us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skin and the clothes. The clothing part may be excluded by using a chroma key technique by using a reference band attached to a user's body when photographing the photograph.

마지막으로,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 분석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보관한다(단계 S323).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은 단계 S322에서 처리된 사용자의 의류를 제외한 영상과 단계 S321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사용자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Finally,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stores the user information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step S323).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may store, as user information, an image excluding the user's clothing processed in step S322 and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step S321.

이어,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영상 처리부를 이용하여 의류 영상과 사용자 영상을 합성한다(단계 S330).Subsequently,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synthesizes the clothing image and the user image using the image processor (step S330).

영상 처리부는 단계 S310의 의류 정보와 단계 S323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가상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정보와 대응하는 사이즈의 의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generates a virtual image in which the user wears clothing by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of step S310 and the user information of step S323.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or may obtain user information, and may generate an image by obtaining clothing informa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dy information by us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user image.

즉,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100 사이즈와 대응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는 100 사이즈의 의류 정보를 단계 S310에서 저장된 의류 정보로부터 전달 받아 사용자 영상에 해당 의류의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또, 영상 처리부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의류의 영상을 일부 편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계 S321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서 각각의 신체 부위에 대한 치수를 확인한 결과 기성복의 사이즈와 차이가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는 단계 S310에서 저장한 의류의 영상을 편집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치수와 대응하는 맞춤 의류 영상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영상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맞춤복을 입었을 때의 가상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user's body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size 100 in the user informa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receive the clothing information of the size 100 from the clothing information stored in step S310 and synthesize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to the user image. Also, the image processor may partially edit the image of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information. As an example, if the size of each body part is checked in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in step S321 and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size of the ready-to-wear, the image processor edits the image of the clothing stored in step S310 to edit the body part of the user. The user may create a virtual image when the user wears a custom-made garment by creating a custom garm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and synthesizing it with the user's imag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가상 착용 방법(300)은, 취향 및 유행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해 줄 수 있도록 단계 S320에 리스트를 분석하는 단계(S324) 및 의류를 추천하는 단계(S3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clothing wearing method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nalyzing the list in step S320 (S324) and recommending the clothing to recommend the clothing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aste and fashion Step S325 may be further included.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리스트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리스트를 분석한다(단계 S324). 리스트 분석 모듈은 전체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리스트, 관심을 가진 관심 리스트, 방송에 노출되는 노출 리스트, SNS에서 언급되는 언급 리스트 등을 분석한다. 리스트 분석 모듈은 각각의 리스트를 획득하여 분석하고, 어떤 디자인의 의류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며, 각각의 리스트에 대한 순위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analyzes the list using the list analysis module (step S324). The list analysis module analyzes purchase lists purchased by all users, interest lists of interests, exposure lists exposed to broadcasts, and mention lists mentioned in SNS. The list analysis module may obtain and analyze each list, identify which designs of clothing have a positive response, and generate a ranking for each list.

다음으로,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은, 의류 추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한다(단계 S325). 의류 추천 모듈은 사용자의 구매 내역, 관심 내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자주 구매하는 스타일 또는 디자인의 의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 또 의류 추천 모듈은 단계 S324에서 리스트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유행인 디자인,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의류, 사용자와 유사한 취향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디자인 등을 사용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Next,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recommends clothing to the user using 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step S325). 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may recommend to the user clothes of a style or design that the user frequently purchases with interest,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and interest history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lothing recommendation module uses the analysis result of analyzing the list in step S324 to recommend to the user a design that is currently in fashion, a clothing that responds positively, and a design that is selected by a lot of people with similar tastes to the user. Can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e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ing, deleting, adding, and the like,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110: 촬영부
130 : 의류 정보 보관부 150 : 사용자 정보 분석부
170 : 영상 처리부 210 :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
100: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110: shooting unit
130: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170: Image processing unit 210: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Claims (14)

의류 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의류의 영상을 의류 정보로 보관하는 의류 정보 보관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정보로 보관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의류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A photographing unit which photographs an image of clothing or a user;
A clothing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the image of the clothing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s clothing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analyzer for analyzing and storing the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s user information; And
And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generate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hotographing unit virtual clothing system for wearing a three-dimensional image by using at least three camera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photographing unit,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for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clothing or the user using a chroma key techniqu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처리하는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처리하는 사용자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영상 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 보관하는 사용자 정보 보관 모듈;을 포함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A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configured to process an image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 user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or stored from the outside; And
And a us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mage of the user processed by the user image processing module a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body information is a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obtained by receiving an input from the outside or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us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의류 정보 보관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분석부로부터 각각 상기 의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image processor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garment by receiving the garment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gar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user information analyzer, respectivel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의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하는 의류 가상 착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clothing virtual wearing system for generating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information.
카메라를 이용해 의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의류 영상과 상기 사용자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의류 영상을 입체로 촬영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Photographing and storing a garment image using a camera;
Photographing and analyzing a user image using the camera; And
And synthesizing the garment image and the user image, wherein the photographing the garment image comprises capturing the garment image in three dimensions using at least three camera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 영상을 촬영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photographing of the garment image may include photographing the garment image using a chroma key techniqu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hotographing and analyzing of the user image may include photographing the user image by using the chroma key techniqu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사용자 영상을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aking and analyzing the user image,
Analyz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from the user image;
Processing the user image using the chroma key technique;
And storing the processed user im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분석 처리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alyzing of the user's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analyzing an image of the user or analyzing a body size of a user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의류 영상 및 상기 보관된 사용자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영상을 생성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ynthesizing the image may include synthesizing the stored clothing image and the stored user image to generate an image of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가지는 상기 의류 영상을 상기 저장된 의류 영상으로 사용하는 의류 가상 착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synthesizing of the image may include using the garment image ha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user's body information as the stored garment image.
KR1020180046517A 2018-04-23 2018-04-23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KR201901229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17A KR20190122960A (en) 2018-04-23 2018-04-23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17A KR20190122960A (en) 2018-04-23 2018-04-23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60A true KR20190122960A (en) 2019-10-31

Family

ID=6842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17A KR20190122960A (en) 2018-04-23 2018-04-23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296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111A (en) 2000-05-23 2000-09-05 김영인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through 3-dimension virtual reality shopping ma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111A (en) 2000-05-23 2000-09-05 김영인 Apparatus and method for purchasing by through 3-dimension virtual reality shopping m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2696B2 (en) Image capture feedback
CN11178724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fitting
US20190228448A1 (en) System, Platfor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hopping Using a Virtual Shopping Assistant
CN108965982A (en) Video record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JP5232669B2 (en) camera
JP5439787B2 (en) Camera device
WO2016078296A1 (en) Garment try-on method and apparatus
JP6120467B1 (en)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556158B1 (en) The social service system based on real image using smart fitting apparatus
JP202103396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23653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view
KR20190071341A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body model
JP7144571B2 (en) Information equipment and camera image sharing system
CN106470337A (en) For the method for the personalized omnirange video depth of fiel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200025291A (en) A shopping service procedure and shopping service system using personal community device
KR101794882B1 (en) Method of matching photographing support staff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CN113014832A (en) Image editing system and image editing method
JP2017228278A (en)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122960A (en) Cloth virtual wearing system and method
JP2007102478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19133276A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terminal
KR102179916B1 (en) Coordination providing system 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 mirror
JP2013168969A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JP6534168B1 (en) Makeup support system and makeup support method
JP5922517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hoo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