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75A -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75A
KR20190122075A KR1020180045756A KR20180045756A KR20190122075A KR 20190122075 A KR20190122075 A KR 20190122075A KR 1020180045756 A KR1020180045756 A KR 1020180045756A KR 20180045756 A KR20180045756 A KR 20180045756A KR 20190122075 A KR20190122075 A KR 20190122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paper pad
a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316B1 (ko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문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문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문축산
Priority to KR102018004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축사의 공기 유입부분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되 장치 상부에는 담수조를 구비하여 중간에 장착되는 종이패드의 상부측으로 물을 점적 공급하여 기존의 물과잉공급에 의한 공기유통구에 수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공기통과량을 보장하고, 담수조의 급수공이 막히면 장치를 정지하지 않고 담수조 상부를 덮는 덮개만 개방시켜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등 공기유통구의 수막형성을 방지하면서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축사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A CATTLE SHED COOLING APPARATUS WITH A DROP WATER SUPPLY CONTAINER}
본 발명은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축사의 공기 유입부분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되 장치 상부에는 담수조를 구비하여 중간에 장착되는 종이패드의 상부측으로 물을 점적 공급하여 기존의 물과잉공급에 의한 공기유통구에 수막이 형성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공기통과량을 보장하고, 담수조의 급수공이 막히면 장치를 정지하지 않고 담수조 상부를 덮는 덮개만 개방시켜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등 공기유통구의 수막형성을 방지하면서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축사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나 공장 등은 더운 여름철에 실내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내부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 또는 환기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통풍 및 환기시설만으로는 시설물의 실내의 온도를 충분하게 낮추어주지 못하므로 공장의 경우 조업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조업효율이 떨어지고, 축사의 경우에는 고온으로 인한 심한 스트레스에 의해 가축이 성장이 늦어지거나 폐사가 이루어지는 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대규모의 공장이나 축사의 실내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매식 에어컨을 설치하려 할 경우 과도한 시설비용의 부담이 있고, 사용전기료에 대한 운전비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운전비용의 절감을 위해 지열이나 지하수를 이용한 냉방장치 등이 일부 개발되어 사용되지만, 이 역시 초기시설비용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비현실적인 대안이어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물의 기화열을 이용한 냉방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종래 냉방장치는 굴곡진 종이패드를 다층 적층하고 적층 사이로 물을 공급하여 물이 종이패드에 흡수되도록 하면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온공기를 통과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낮은 온도의 공기를 공장이나 축사 내부로 공급해 냉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방식은 상부측으로 급수관을 배관하고 급수관 면에 일정간격으로 급수공을 형성하여 급수공을 통해 종이패드에 물을 지속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급수관에 의한 물공급은 구조상 단부측의 급수공까지 원활한 물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정압력 이상을 유지해야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은 일정압력 이상을 갖기 때문에 물의 점적공급이 어렵고 분사되는 형태로 공급된다. 이러한 분사방식의 공급은 물을 과공급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에도 수막을 형성하여 공기통과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열교환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급수공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 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급수공의 막힘현상이 쉽게 발생될 수 있고, 수압은 유지한체 급수공의 크기가 축소되므로 분사압력이 높아져 종이패드가 손상될 수 있고, 관형태이기 때문에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워 급수관을 잠근 다음 역방향 분사 또는 급수관을 부분 분리하여 세척솔로 세척하여야 하므로 일시적으로 냉방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9936호(2002.03.15.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기화 냉방을 위한 극미립의 수분자 생성 유닛트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흡습패드의 상부에 급수파이프를 설치하고, 급수파이프 측면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물이 분출되고록 하고, 분출되는 방향에는 수막조성판을 형성하여 분출되는 물의 분사압력을 제거하여 흡수패드로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1은 수막조성판을 추가 설치하여 분사압력에 의한 흡습패드의 파손은 방지하는 장점이 있지만, 급수파이프에서 직접 물을 분출하기 때문에 급수파이프의 구멍을 막힘을 방지하는 최소한의 사이즈로 제공하면서 일정압력 이상으로 물을 배출하여야 함으로 과다하게 물을 배출시켜 공기이동통로에도 수막을 형성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408호(2015.06.05.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는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쿨링패드에 의해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별도로 물저장통에 냉매로 냉각하는 냉각기를 장착하여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낮추는 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선행문헌2는 쿨링패드로의 물 공급방식이 라인상에 펌프가 설치된 급수라인에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강한 수압을 갖는 물이 다량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쿨링패드를 종이로 형성할 경우 강한 수압이 작용하는 쿨링패드의 상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다량의 물 공급에 의해 공기 이동 통로에도 수막이 형성되어 공기통과량을 감소시켜 열교환율이 낮아 냉방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이패드에 형성된 공기이동통로에 수막형성을 방지하면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축사 냉방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9936호(2002.03.15.등록) : 기화 냉방을 위한 극미립의 수분자 생성 유닛트 한국등록특허 제10-1528408호(2015.06.05.등록) :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는,
종이패드로의 물공급이 급수라인에서 수압으로 직접 공급하지 않고 별도의 담수조를 통해 자유낙하 방식으로 공급하여 물분사에 의한 종이패드 파손을 방지하면서 급수공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점적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장치를 평면형이 아닌 ㄷ 자 형태로 돌출된 돌출형으로 형성하여 돌출된 량만큼 패드에 의한 열교환면적을 증가시켜 냉방효율을 향상시킨 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는,
축사에 공기가 유입되는 창문의 벽체에 브라켓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시켜 실내로 제공하는 축사냉방장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 통기공과 상하 물이동공이 교차되도록 형성된 종이패드와; 상기 종이패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전면에는 종이패드 장착 및 탈거시 분리되는 패드고정판을 장착하고, 후면에는 종이패드의 상부 후면을 지지하는 걸림판부가 형성되는 하부가 개구된 컵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치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안치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에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 걸림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담수조와; 상기 담수조가 안착되는 상부케이스의 상부를 덮고 상부면에는 급수배관이 장착되는 급수배관연결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간에는 종이패드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전면벽체와 후면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담수조의 급수공에서 공급되는 물을 포집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포집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어 두 부재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측면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출구와 덮개의 급수배관연결구에는 순환라인을 설치하여 물을 순환시키되, 상기 순환라인은, 원수 공급관이 연결되어 물을 보충하는 물저장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출구와 물저장조를 연결하는 배수관과, 상기 물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덮개의 급수배관연결구를 연결하는 급수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단턱 상부의 전면벽체를 일부 전면으로 절곡시킨 안내판부로 형성하여 종이패드 탈착시 걸림을 방지하면서 종이패드의 전방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하여 포집공간으로 안내하고; 상기 후면벽체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경사로 갖도록 연장된 안내판부를 형성하여 종이패드의 후방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하여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부가 형성된 전면벽체와 후면벽체에는 종이패드 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종이패드면과 전면벽체 또는 후면벽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배수홈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수조는 바닥면의 폭방향 단면이 V 자 형태로 절곡되고 돌출된 첨단부에 급수공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수조는 바닥면의 폭방향 단면이 W 자 형태로 절곡되고 돌출된 2개의 첨단부에 각각 급수공을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2열로 급수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공기유입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의 실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하고; 꺾인 부분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수직판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및 측면수직판과 연결수직판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측면과 1개의 전면 공간에 각각 종이패드를 장착하여 3면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는,
종이패드로의 물공급이 급수라인에서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담수조에 저장 후 자유낙하에 의해 점적 공급되므로, 기존의 수압에 의해 종이패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 구간을 통해 물의 점적공급이 가능하므로, 물 과잉 공급시 공기통로에 수막이 형성되어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현상을 방지해 공기유통량을 유지시켜 냉각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물의 점적공급은 일부구간에서는 물이 종이패드의 표면을 따라 흐르지 않고 내부를 통해서만 흡수방식으로 공급되므로 이러한 구간을 통해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종이패드 내에서는 물이 분산되어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공기와의 접촉시 열흡수에 의한 기화가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종이패드의 표면으로 흐르는 물에의한 냉각보다는 신속한 냉각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돌출형으로 구성하면 돌출된 길이만큼 종이패드에 의한 열교환면적이 증가되어 제한된 면적에서의 냉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축사 냉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 부분의 분해단면도.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담수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케이스에 배수홈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라인이 설치된 축사냉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다른 축사냉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축사 냉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수직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 부분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담수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다른 축사냉방장치(10)는, 종이패드(20)와, 상기 종이패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와 측면수직판(70)과, 상기 상부케이스에 장착되어 종이패드로 물을 공급하는 담수조(40) 및 상기 담수조의 상부를 덮는 덮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이패드(20)는 주름이 형성된 패드를 다수 적층하여 형성하되 적층되는 방향이 종이패드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게 하고, 적층되는 주름도 인접한 주름이 서로 어긋나도록 적층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종이패드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된 물이 흘러내려가는 물이동공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통기공과 물이동공은 대각선방향으로 형성하여 통과하는 공기가 물과 열교환하는 구간을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이패드 이외에 합성수지에 의해 패드를 형성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로 형성할 경우 공급된 물이 합성수지 표면을 통해서만 흐름이 발생되어 열교환면적은 합성수지 표면적과 동일하지만, 종이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종이 내부로도 물이 흡수되어 유동되고 섬유질에 의해 표면적도 거칠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표면적이 증가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열교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구간에서는 물을 흡수한 종이패드 내에서는 물의 표면적이 증대되고, 이에 공기가 통과 또는 접촉됨에 따라 열흡수율을 높아져 신속하게 기화되므로 단시간에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종이패드 장착시 종이패드(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단면을 보면 하부로 개구된 컵형태로서 상부케이스의 양측면 중 실외측인 후면에는 종이패드의 실외측 상부면을 지지하는 걸림판부(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판부(32)와 대향되는 방향인 실내측인 전면에는 패드고정판(31)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패드고정판(31)은 판체 형상으로 상부측이 볼트결합을 포함한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상부케이스의 실내측 측벽에 결합된다. 특히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 및 측면수직판(70)이 형성하는 내측공간으로 종이패드(20)를 장착 또는 교체할 때에는 패드고정판(31)만 분리하면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패드고정판(31)이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면 내장된 종이패드(20)의 상부측이 실내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30)는 전방의 패드고정판(31)과 후방의 걸림판부(32)에 의해 내설되는 종이패드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여 종이패드(2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부케이스(30)에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치홈(3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안치홈(33)은 후술되는 담수조(40)를 내설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케이스(30)의 상부면을 원뿔대 형태로 돌출시키고 돌출된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부케이스를 하부로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부면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시켜 안치홈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30)는 브라켓(90)을 통해 축사에 공기를 유입하는 창 또는 입구 내벽면에 고정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케이스의 안치홈(33)에는 담수조(40)가 안치된다. 상기 담수조(40)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로, 상단의 양측면에는 걸림대(41)를 형성하여 안치홈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 담수조(40)는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급수공(4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공(43)은 저장된 물을 하부에 위치하는 종이패드(20)로 점적 공급하는 것으로, 2~5mm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공(43)은 수압없이 자중에 의해 공급되기 때문에 2mm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면 물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5mm 이상으로 형성하면 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과공급된 물이 종이패드에 형성된 통기공과 물이동공에 수막을 형성하여 공기 유통을 일시적으로 차단시켜 공기유통량을 낮춰 결국 열교환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로 급수공을 형성하여 물이 한 방울씩 연속적으로 떨어지게 하거나 소량으로 공급되게 하는 점적방식으로 공급해 통기공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본적으로 종이패드의 표면을 따라 물이 흐르되 물이 흐르는 않고 흡수만 이루어지는 면적도 증가시켜 종이패드로의 흡수로 표면적이 증가된 물이 단시간에 열을 흡수하여 기화되므로 냉각효과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수조의 급수공(43) 간격은 30~80mm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종이필터에 최대한 균일하게 물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와 도 2c를 참조한 바와같이 담수조(40)의 바닥면을 V자 형태 또는 W자 형태로 절곡하고, 돌출된 첨단부에 급수공(43)을 형성하여 급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낙하하게 하며, 필요에 따라 단일열 또는 복수열로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열일 경우 제1열과 제2열을 담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치하여 급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2열 이상으로 급수공을 배열하여 급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덮개(50)는 담수조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담수조(4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담수조를 안치하기 위해 상부케이스의 상부를 원뿔대형태로 돌출시켜 원뿔대 상부측에 담수조를 안치하고, 원뿔대의 경사면에 덮개(50)가 안치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이외에 상부케이스 상부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담수조 안치와 덮개를 덮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50)에는 급수배관연결구(51)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급수배관을 연결하여 담수조로 물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배관연결구(51)는 상술된 바와같이 덮개에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 담수조의 상부측 또는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형성하여 물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덮개가 물공급과는 관계없이 열거나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배관연결구(51)에는 유량조절밸브를 장착하여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여 담수조를 넘치지 않도록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60)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부케이스(3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종이패드가 안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60)는 상부로 개구된 ㄷ자 형태인 컵형태로 전면벽체(62)와 후면벽체(63)가 형성되고 전면벽체(62)와 후면벽체(63)에는 각각 동일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단턱(61)이 형성되어 단턱(61) 상부에 종이패드(20)가 안착되며, 안착된 종이패드는 전면벽체(62)와 후면벽체(6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단턱(61) 사이의 종이패드 하부공간에는 포집공간(64)으로 활용된다. 상기 포집공간(64)은 담수조의 급수공에서 공급되어 종이패드(20)를 통과한 물을 포집한다. 상기 포집공간(64)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 바닥면에는 배출구(65)가 형성되어 포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하부케이스(60)는 단턱(61) 상부의 전면벽체(62)를 일부 전면으로 절곡시킨 안내판부(66)로 형성하여 종이패드 탈착하는 과정에서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벽체(62)의 안내판부(66)는 실내측으로 상향경사를 갖도록 돌출되므로, 종이패드의 전방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하여 포집공간으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전면벽체(62)에는 상부공간에서 하부 포집공간(64)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홈(67)을 더 형성하여 안내판부에 의해 포집된 물이 안치된 종이패드에 의해 막힘없이 포집공간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종이패드를 안치시키는 단턱을 하부케이스의 길이방향 전구간을 통해 형성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형성하면 단턱 사이의 공간이 배수홈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이패드에 형성된 유로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접한 유로와는 교차되게 형성될 경우 종이패드의 유로가 배수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부케이스에는 별도로 배수홈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벽체(63)의 상단에도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를 갖는 안내판부(66)를 형성하여 종이패드의 후방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하여 포집공간(64)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전면벽체와 같이 배수홈(67)을 다수 형성하여 안내판부에서 포집된 물을 포집공간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측면수직판(70)은,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어 두 부재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킨다. 상기 측면수직판(70)은 종이패드(20)를 탈착하는 방향이 아닌 후방으로는 상부케이스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대를 형성하여 장착된 종이패드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 및 측면수직판(70)은 일체로 결합하고, 상부케이스에 구성된 패드고정판(31)만 탈착가능하게 구성하여 내측으로 종이패드(20)를 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벽면에 설치시 공기가 유입되는 후면의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에 브라켓(90)을 설치하여 벽면에 고정시키는 등 공지된 다양한 고정수단을 통해 축사 또는 공장시설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본 발명의 냉방장치를 장착하여 열교환에 의해 공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축사냉방장치(10)는 순환라인(80)을 설치하여 종이패드로 공급된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순환라인(80)은 원수공급관(85)이 연결되어 수량이 부족하면 보충이 이루어지는 물저장조(81)와, 하부케이스(60)의 배출구(65)와 물저장조(81)를 연결하여 하부케이스에서 포집된 물을 물저장조로 이송시키는 배수관(82)과, 상기 물저장조(81)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83)와, 상기 펌프(83)와 덮개(50) 또는 담수조 또는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급수배관연결구(51)를 연결하여 펌핑된 물을 담수조로 공급하는 급수배관(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순환라인(80)은 종이패드로 공급되어 하부케이스(60)에서 포집된 물을 순환시켜 상부케이스 내에 안착된 담수조로 재공급하여 물을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축사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라인(80) 상에는 필터를 더 장착하여 순환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82)이나 급수배관(84)은 고정브라켓을 통해 축사냉방장치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a와 같이 축사냉방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90)에 추가적으로 갈고리 형태의 배수관 고정용 브라켓을 더 형성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포집된 물의 배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사냉방장치(10)는 도 1b에 도시된 평판형 이외에 돌출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는 공기가 유입되는 후방측에 개구부를 갖는 ㄷ자 형태 즉, 실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여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는 ㄷ자 형태로 구성하였고, 단부측에는 측면수직판(70)을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꺾인 부분에는 연결수직판(71)을 수직으로 장착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간격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직판(71)은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측만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공하거나, 실외측만 설치 또는 실내측과 실외측 모두 설치하여 간격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실외측에만 설치하여 실내측으로부터의 종이패드(20)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돌출형 축사냉방장치에는 실내측 전면 1개와 양 측면 2개로 하는 총 3개의 종이패드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넓은 면적의 종이패드에 분산통과시켜 열교환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형 축사냉방장치는 상부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안치홈 및 이에 설치되는 담수조도 ㄷ자형태로 형성되어 점적 물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축사냉방장치(10)는 상부케이스(30)의 담수조(40)로 물을 공급하면, 담수조(40)에서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은 자체중량에 의해 하부의 급수공(43)을 통해서 종이패드(20)로 공급된다.
종이패드(20)에서는 종이패드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물이 하부로 흐르면서 종이패드에 흡수되고, 더운공기는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로 흐르는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종이패드(20)에 공급되는 물은 점적방식으로 공급되므로 과공급에 의한 유로에 수막이 형성되거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의 통과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어 축사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키고 반대측으로 배기되며, 열교환된 물은 하부케이스(60)에서 포집되어 배출된다.
이때 하부케이스(60)에 포집된 물은 물저장조(81)로 공급되고, 물저장조에 저장된 물은 펌프(83)에 의해 담수조(40)로 공급되어 순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물저장조의 수량이 부족하면 원수공급관(85)을 통해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여 물저장조(81)의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10 : 축사냉방장치
20 : 종이패드
30 : 상부케이스
31 : 패드고정판 32 : 걸림판부
33 : 안치홈
40 : 담수조
41 : 걸림대 42 : 물수용공간
43 : 급수공
50 : 덮개
51 : 급수배관연결구
60 : 하부케이스
61 : 단턱 62 : 전면벽체
63 : 후면벽체 64 : 포집공간
65 : 배출구 66 : 안내판부
67 : 배수홈
70 : 측면수직판
71 : 연결수직판
80 : 순환라인
81 : 물저장조 82 : 배수관
83 : 펌프 84 : 급수배관
85 : 원수공급관
90 : 브라켓

Claims (7)

  1. 축사에 공기가 유입되는 창문의 벽체에 브라켓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시켜 실내로 제공하는 축사냉방장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 통기공과 상하 물이동공이 교차되도록 형성된 종이패드(20)와;
    상기 종이패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전면에는 종이패드 장착 및 탈거시 분리되는 패드고정판(31)을 장착하고, 후면에는 종이패드의 상부 후면을 지지하는 걸림판부(32)가 형성되는 하부가 개구된 컵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치홈(33)이 형성된 상부케이스(30)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안치홈(33)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부에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 걸림대(4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수용공간(4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급수공(4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담수조(40)와;
    상기 담수조(40)가 안착되는 상부케이스(30)의 상부를 덮고 상부면에는 급수배관이 장착되는 급수배관연결구(51)가 형성된 덮개(50)와;
    상기 상부케이스(3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간에는 종이패드(20)가 안착되는 단턱(61)이 형성되어 전면벽체(62)와 후면벽체(6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담수조의 급수공에서 공급되는 물을 포집하는 포집공간(64)이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포집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출구(65)가 형성된 하부케이스(60)와;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어 두 부재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측면수직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출구(65)와 덮개의 급수배관연결구(51)에는 순환라인(80)을 설치하여 물을 순환시키되,
    상기 순환라인(80)은, 원수 공급관(85)이 연결되어 물을 보충하는 물저장조(81)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배출구(65)와 물저장조(81)를 연결하는 배수관(82)과, 상기 물저장조(81)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83)와, 상기 펌프(83)와 덮개의 급수배관연결구(51)를 연결하는 급수배관(8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60)는,
    단턱 상부의 전면벽체(62)를 일부 전면으로 절곡시킨 안내판부(66)로 형성하여 종이패드 탈착시 걸림을 방지하면서 종이패드의 전방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하여 포집공간(64)으로 안내하고,
    상기 후면벽체(6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경사로 갖도록 연장된 안내판부(66)를 형성하여 종이패드의 후방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하여 포집공간(64)으로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부(66)가 형성된 전면벽체(62)와 후면벽체(63)에는 종이패드 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포집공간(64)으로 안내하도록 종이패드면과 전면벽체 또는 후면벽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배수홈(67)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조(40)는 바닥면의 폭방향 단면이 V 자 형태로 절곡되고 돌출된 첨단부에 급수공(43)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조(40)는 바닥면의 폭방향 단면이 W 자 형태로 절곡되고 돌출된 2개의 첨단부에 각각 급수공(43)을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2열로 급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60)는 공기유입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의 실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하고,
    꺾인 부분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수직판(71)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및 측면수직판과 연결수직판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측면과 1개의 전면 공간에 각각 종이패드를 장착하여 3면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냉방장치.
KR1020180045756A 2018-04-19 2018-04-19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KR10208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756A KR102081316B1 (ko) 2018-04-19 2018-04-19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756A KR102081316B1 (ko) 2018-04-19 2018-04-19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75A true KR20190122075A (ko) 2019-10-29
KR102081316B1 KR102081316B1 (ko) 2020-02-25

Family

ID=6842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756A KR102081316B1 (ko) 2018-04-19 2018-04-19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775B1 (ko) 2020-04-02 2022-01-28 이상원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축사 급속 냉방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493A (ko) * 2000-04-10 2001-11-07 김동태 패드상자를 이용한 냉풍장치
KR200269936Y1 (ko) 2001-12-14 2002-03-27 이동욱 기화 냉방을 위한 극미립의 수분자 생성 유닛트(Unit)
KR200309861Y1 (ko) * 2003-01-16 2003-04-08 에어 테크. 컴파니, 리미티드 증발방식의 열교환기
KR200453634Y1 (ko) * 2010-11-16 2011-05-16 공두식 냉풍기
KR101528408B1 (ko) 2013-12-24 2015-06-11 양수복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KR101606323B1 (ko) * 2015-07-01 2016-03-24 송석찬 증발식 쿨링패드의 지지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493A (ko) * 2000-04-10 2001-11-07 김동태 패드상자를 이용한 냉풍장치
KR200269936Y1 (ko) 2001-12-14 2002-03-27 이동욱 기화 냉방을 위한 극미립의 수분자 생성 유닛트(Unit)
KR200309861Y1 (ko) * 2003-01-16 2003-04-08 에어 테크. 컴파니, 리미티드 증발방식의 열교환기
KR200453634Y1 (ko) * 2010-11-16 2011-05-16 공두식 냉풍기
KR101528408B1 (ko) 2013-12-24 2015-06-11 양수복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KR101606323B1 (ko) * 2015-07-01 2016-03-24 송석찬 증발식 쿨링패드의 지지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316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718B2 (en) Cooling tower with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ections
AU2009299103B2 (en) Modular cooling system
KR101082792B1 (ko) 고효율 냉각탑
CN105283729A (zh) 具有间接热交换器的冷却塔
KR20120000051A (ko) 직접 강제주입 유체 냉각기/냉각 타워 및 그들을 위한 액체 수집기
CN107110516B (zh) 空调热泵系统与蒸发式冷却系统
MX2012009812A (es) Unidad y método de enfriamiento de condensador por evaporación.
CN101251340A (zh) 冷却塔空气入口和排放盘
KR102081316B1 (ko) 점적 물공급 담수조를 구비한 축사냉방장치
KR20140078351A (ko) 히트펌프가 구비된 가열탑
CN115479326A (zh) 换热设备
KR102112144B1 (ko) Ess를 위한 모듈형 공조시스템
KR100837619B1 (ko) 축사용 공기정화겸용 냉·난방장치
CN108716737A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106574809B (zh) 空调系统与蒸发式冷却系统
CN218348754U (zh) 换热设备
KR101069944B1 (ko) 고효율 기화식 가습기 및 이를 활용한 공기조화시스템
CN215909348U (zh) 风道件、通风换热部件以及空调器
CN101619878A (zh) 水膜式空调机及其所用室内换热器
CN108291781B (zh) 空调塔机
CN108413535B (zh) 一种空气调节装置
CN208365686U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01488156U (zh) 水膜式空调机及其所用室内换热器
KR101036974B1 (ko) 항온항습기
CN219347509U (zh) 布液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