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704A - 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 - Google Patents

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704A
KR20190121704A KR1020190044934A KR20190044934A KR20190121704A KR 20190121704 A KR20190121704 A KR 20190121704A KR 1020190044934 A KR1020190044934 A KR 1020190044934A KR 20190044934 A KR20190044934 A KR 20190044934A KR 20190121704 A KR20190121704 A KR 2019012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ater
motion chair
chair
mezzanine floo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문용
임성민
채정호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46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03588A1/en
Publication of KR2019012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ater with a motion chair, and specifically, to a theater structure, which is possible to provide higher interest and immersiveness to audiences when audiences watch a movie by having a motion chair therein. The theater includes: one or more mezzanine floors formed between a ceiling and a floor surface; a motion chair provided in the theater; and a screen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inner portion surfaces of the theater.

Description

모션 체어를 구비한 메자닌 플로어 구조의 상영관{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Theater with mezzanine floor structure with motion chairs {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

본 발명은 모션 체어모션 체어를 구비한 메자닌 플로어 구조의 상영관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자닌 플로어 구조의 상영관 내부에 모션 체어모션 의자를 구비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 감상시 더 높은 흥미와 몰입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상영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ater of a mezzanine floor structure with a motion chair motion chair. Specifically, a motion chair chair is provided inside a theater of a mezzanine floor structure to allow viewers to have a higher level of interest and immersion. It is about the structure of the auditorium.

영화 콘텐츠의 발전과 더불어 상영관을 운영하는 주체 역시 관객들에게 영화 감상시 보다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모션 체어 등을 활용하여 관객들이 단순히 눈으로만 영화를 감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른 신체 자극 또는 운동감을 느끼도록 하여 영화 감상 환경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vie contents, the actors who run the theater are also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to provide audiences with more diverse environments. As part of this technology development,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movie viewing environment by using motion chairs to allow viewers to feel other physical stimuli or movements, instead of simply watching movies with their own eyes.

한편, 종래 상영관들은 대부분 바닥에 고정이 된 객석만을 설치하여 왔는데, 이렇게 바닥에 고정이 된 객석들은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해 내는 데에는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었으며, 기존 상영관의 공간구조에 맞추어 객석배열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확장이 어려워 관객들에게 새로운 상영 환경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onventional theaters have been installed only in the audience fixed to the floor, the audience fixed to the floor was bound to implement a variety of movements, the audience arrangem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ace structure of the existing theater Because it was difficult to expand, there was a limit to providing a new screening environment to the audience.

또한, 기존의 상영관들은 대형 스크린이 전면에 설치되어 있음을 전제로 다수의 관객들이 시야를 가리지 않은 채 영화를 감상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객석을 경사지게 배열하여 왔는데, 이러한 상영관 구조는 필연적으로 객석 위 공간에 유휴공간을 남길 수 밖에 없어 상영관을 운영하는 주체로서는 상영관 건물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왔다.In addition, the existing theaters have been arranged inclined to allow a large number of audiences to watch a movie without a view, provided that a large scree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heater. Since there is no choice but to leave an idle space in the ho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ject of operating the theater cannot use the space in the theater building efficiently.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상영관 구조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상부 고정형모션 체어, 즉 상부가 고정된 형태의 체어 및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 체어를 상영관 내에 도입함으로써 종래 극장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heat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that is, the upper fixed chair and the chair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theater, I wan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또는 하부 고정형의 모션 체어를 도입함과 동시에 상영관 내 메자닌 플로어(mezzanine floor)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상영관 내 유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fully utilize the idle space in the existing theater by introducing a motion chair of the upper or lower fixed type and utilizing a mezzanine floor structure in the theat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can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s well as to provide additional technical elements that can be easily inv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became.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69149호(2013.09.13.)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0-0469149 (2013.09.13.)

본 발명은 상영관 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도입함으로써 관객이 영화 감상시 종래 체감하지 못하였던 느낌, 예를 들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상태를 체감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영화 감상의 몰입감 및 흥미를 제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 고정형 또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로 하여금 높은 자유도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운동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udience to experience a feeling that the audience could not feel conventionally, such as floating in the air, by introducing an upper fixed motion chair in the theater, thereby enhancing the immersion and interest in watching the movie. It is aimed at letting. In addition, the upper fixed or lower fixed motion chair to implement a high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to provide a user with a variety of movement.

나아가 본 발명은 상영관 내 메자닌 플로어를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활용하지 못하였던 유휴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mezzanine floor in the theater so that the idle space that has not been utilized conventionally can be utilized, and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is a space for installing an upper fixed motion chair. The purpose is to furthe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pace.

한편, 본 발명은 위 구성들 외에 평면 또는 곡면의 스크린을 상영관 내부면에 배치함으로써 관객들의 몰입감을 높이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Meanwhil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immersion of the audience by arranging a flat or curved scree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uditorium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s.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천장 및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천장 및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자닌 플로어(mezzanine floor); 상기 상영관 내에 구비되어 관객이 착좌할 수 있는 모션 체어; 및 상기 상영관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iling and a bottom surface, at least one mezzanine floor (mezzanine floor) form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bottom surface; A motion chair provided in the theater to seat an audience; And a screen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 inner surface of the theater.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의 수평 시야각이 80~100°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e theater,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seated on the motion chair may be 80 to 100 °.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모션 체어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및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는 상기 상영관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는, 착좌부; 등받이부; 및 서스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딩부는, 당해 서스펜딩부의 상측에 배치된 구조물에 설치되어 모션 체어를 리프팅(lifting)할 수 있다.The motion chair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fixed motion chair; And a lower fixed motion chair. Furthermore,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heater or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zzanine floor, wherein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includes: Seating part; Backrest portion; And a suspending portion, wherein the suspending portion may be installed on a structure disposed above the suspending portion to lift a motion chair.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딩부는, 당해 모션 체어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체어의 피칭(pitching), 롤링(rolling), 히빙(heaving), 또는 요잉(yawing)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ater, the suspend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the motion of the motion chair, wherein the driving unit is pitching, rolling, and moving of the motion chair. Or at least one of yawing.

또한, 상기 상영관은 상기 천장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에 설치된 레일(rail)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ater further comprises a rail (rail) provided on the ceiling or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the drive unit may be coupled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메자닌 플로어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크린은 평면 스크린이거나 또는 장축 방향, 단축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는 곡면 스크린일 수 있다.In the theater, the mezzanine floor may be formed of at least a por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creen may be a flat screen or a curved screen having curvatur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minor axis direction.

한편, 상기 상영관은 상기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투사장치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eater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may include a wide-angle lens or a fisheye lens.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영관은, 천장 및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면 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메자닌 플로어;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와 상기 천장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메자닌 플로어; 관객이 착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제1 모션 체어; 관객이 착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메자닌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제2 모션 체어; 및 상영관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ditor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eiling and a bottom surface, the first mezzanine floor is formed spaced above the bottom surface; A second mezzanine floor formed between the first mezzanine floor and the ceiling; A first motion chair that can be seated by an audience, the first motion chair being disposed on the first mezzanine floor; A second motion chair that can be seated by an audience, the second motion chair being disposed on the second mezzanine floor; And a scree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theater.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체어 또는 제2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이 80~100°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e theater,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viewer seated on the first motion chair or the second motion chair may be 80 to 100 °.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체어 및 제2 모션 체어는 천장 또는 제2 메자닌 플로어에 매달려 설치되는 모션 체어이거나, 또는, 상기 바닥면 또는 제1 또는 제2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uditorium, the first motion chair and the second motion chair are motion chairs which are suspended from a ceiling or a second mezzanine floor, or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first or second mezzanine floor (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f the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의 측단면 길이는 상기 제2 메자닌 플로어의 측단면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uditorium, the side cross-sectional length of the first mezzanine floor may be different from the side cross-sectional length of the second mezzanine floor.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 또는 제2 메자닌 플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면 대비 임의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In the auditorium, at least one of the first mezzanine floor or the second mezzanine floor may have an arbitrary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영관은, 관객들이 착좌할 수 있는 다수개의 모션 체어; 상기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들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를 포함하며, 임의의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이 8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tion chairs that the audience can sit;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to an audience seated in the motion chair; And a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wherein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seated on an arbitrary motion chair is 80 to 100 °.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의 천장 및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자닌 플로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체어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에 배치되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및 상기 상영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ater, one or more mezzanine floor form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heater; wherein the motion chair,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ezzanine floor disposed in the mezzanine floor It may include a lower fixed motion chair disposed in.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는 상기 상영관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heater,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heater and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의 경우 영화 관객들로 하여금 바닥에 발이 닿지 않은 채 모션 체어의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movie audience to experience various movements of the motion chair without touching the fl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상영관 구조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던 유휴공간을 객석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tilize the idle space that could not be utilized in the conventional theater structure as an aud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구조는 종래의 상영관을 쉽게 구조변경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영관 신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a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easil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theater can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heat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구조, 즉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와 메자닌 플로어를 포함하는 상영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상영관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상영관 구조로서, 도 1과 달리 메자닌 플로어가 하나만 포함된 상영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메자닌 플로어 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모션 체어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모션 체어의 아래 쪽으로 투명한 재질의 메자닌 플로어 영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초 구조물 상에 투사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또 다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1 illustrates a theat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theater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and a mezzanine floor.
2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3 i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4 is a plan view of the theater as viewed from above.
FIG. 5 illustrates a theater structure having another mezzanine floor, unlike FIG. 1.
6 shows another structure of a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e appearance of a plurality of motion chairs arranged on the mezzanine floor.
8 illustrates that a mezzanine floor reg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under the motion chair.
9 illustrates a screen in a theater and a projection apparatus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appearance of the base structure for implementing the audito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rojec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structure of FIG. 10.
12 is a plan view from above of another structure of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s of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interpret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embodiments herein, has a variety of applications. Accordingly, certain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figure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while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by separa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Also, the expression "comprising" certain elements mere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rresponding elements as the expression "ope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 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일 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와 메자닌 플로어(210, 230; mezzanine floor), 그리고 스크린(300) - 위 스크린(300)은 곡면 또는 평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음 - 및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Figure 1 show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audito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and mezzanine floor (210, 230; mezzanine floor), and the screen 300-the upper screen 300 is in the form of a curved or flat It may have a-and a projection device 400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관객이 영화 감상을 할 때에 앉을 수 있는 체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만 본 발명에서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기존 상영관 객석이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과 달리 상영관 내 다른 구조물, 예를 들어 상영관의 천장(500)이나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231; 底面)에 매달리듯 설치가 되는 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메자닌 플로어(210, 230)란 건물 내부의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된 중간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닥 면적이 정규 층보다 좁은 중간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자닌 플로어에 대해서는 후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용어 중 모션 체어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및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라는 용어를 따로 기재하기로 한다.First,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serves as a chair that can be seated when an audience watches a movie, but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xisting theater seats are fixed to the floor. Alternatively, the structure may include a chair that is installed as if suspended from another structure in the theater, for example, the ceiling 500 of the theater or the bottom surface 231 of the mezzanine floor. For reference, mezzanine floors (210, 230) refers to the middle floor installed between the floor a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means a middle floor with a narrower floor area than the regular floor, the mezzanine flo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do. For reference, among the term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chair may be understood as a generic term including both an upper fixed motion chair and a lower fixed motion chair,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terms upper fixed motion chair and lower fixed motion chair may be used. It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한편,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또한 관객이 착석할 수 있는 체어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그 자체가 구동부에 의해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착석해 있는 관객에게 마치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과 같은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착석한 관객의 발이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써 관객은 마치 공중에서 기구물을 탑승한 채 이동하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may also act as a chair that can be seated by the audience as well as can implement various movements by the driving unit itself, floating in the air to the audience seated in accordance with these movements It can provide the same sense of movement as you are. Preferably,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may be adjusted in height such that the seated foot of the seated audience does not touch the floor, thereby allowing the audience to feel as if they are moving aboard an object in the air.

도 2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착좌부(110), 등받이부(120), 및 서스펜딩부를 포함한다.2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Referring to FIG. 2,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includes a seat 110, a backrest 120, and a suspending portion.

착좌부(110) 및 등받이부(120)는 일반적인 체어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특징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는 서스펜딩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eating unit 110 and the backrest 12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chair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and in detail for the suspending portion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Let's explain.

서스펜딩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본 서스펜딩부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가 상부측에 존재하는 고정된 구조물, 예를 들어 상영관의 천장 또는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으로부터 연장되어 당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를 리프팅하는 구성이다. 즉, 본 서스펜딩부는 기존 일반 체어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반대로 체어를 상부 구조물로부터 리프팅하도록 한 구성이며, 이에 의해 종래의 상영관 좌석과는 다른 형태의 좌석을 구현할 수 있다. The suspending portion is positioned above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uspending portion is a fixed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for example, the ceiling of the theater or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It extends from) to lift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hat is, the suspending portion is configured to lift the chair from the upper structure as opposed to the conventional general chair is fixed to the floor surface, thereby realizing a seat of a different form than the conventional theater seats.

한편, 상기 서스펜딩부를 더 세분화하면 덮개면(131)과 구동부(133)로 구분할 수 있는데, 덮개면(131)은 도 2에서도 볼 수 있듯 관객의 머리 위를 덮을 수 있는 면을 지칭하고, 구동부(133)는 상기 덮개면(131)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당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일컫는다. 상기 덮개면(131)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곡면일 수 있으며, 덮개면과 결착되는 구동부(133)의 결착부 역시 상기 덮개면(131)의 곡면과 같은 곡면을 가지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덮개면(131)과 구동부(133)의 결착부를 곡면으로 하는 경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uspending portion is further subdivided, it can be divided into a cover surface 131 and a driving unit 133, the cover surface 131 refers to the surface that can cover the head of the audience as shown in Figure 2, The driving unit 13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surface 131 to generate the movement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he shape of the cover surface 131 may be preferably a curved surface, and the binding portion of the driving unit 133 bound to the cover surface may also be implemented to have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curved surface of the cover surface 131. . As such, when the binding portion of the cover surface 131 and the driving unit 133 is curved, it is effective to realize free movement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한편, 상기 구동부(133)가 구현해 낼 수 있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움직임에는 피칭(pitching), 롤링(rolling), 히빙(heaving), 또는 요잉(yawing) 이 포함될 수 있다. 피칭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가 앞뒤로 요동치는 움직임, 롤링은 좌우로 요동치는 움직임을 의미하며, 히빙은 상기 고정형 모션 체어(100)가 상승 및 하강하는 움직임, 요잉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가 좌우 방향으로 돌아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 때,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상기 천장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내부를 통해 배설되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역시 앞서 언급된 케이블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drive unit 133 may include pitching (rolling), rolling (heaving), or yawing (yawing). Pitching refers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swinging back and forth, rolling is the movement of swinging from side to side, hibing movement of the fixed motion chair 100 is raised and lowered, yawing is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 Means to move left and righ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cable disposed through the ceiling or the inside of the mezzanine floor,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may als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cable. .

도 2를 다시 참조할 때,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상영관 내 천장 또는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231)에 설치된 레일(600)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구동부(133)는 상기 레일(600)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당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may slide along a rail 600 installed on the ceiling in the auditorium or on the bottom 231 of the mezzanine floor.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33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may be coupled to the rail 600 so as to be slidable, thereby realizing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o be moved back and forth.

도 3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이용한 활용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관객이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에 올랐을 때 및 내릴 때 슬라이딩 되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the sliding motion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hat slides when the viewer ascends and lowers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Referring to FIG. ) Shows the movement.

도 3(a)는 관객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에 탑승한 채 영화를 감상하는 모습으로, 이 때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상영관의 전면 방향으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3 (a) shows the viewer watching a movie while riding in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and confirms that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is slid along the rail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heater. Can be.

반대로 도 3(b)는 관객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에 오를 때 또는 내릴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이 때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상영관 전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180도 회전함으로써 관객이 안전한 위치에서 오르거나 내릴 수 있게 위치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FIG. 3 (b) shows the state when the viewer ascends or descends to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At this time,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sli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of the theater. By rotating 180 degrees, the audience can be positioned to climb or descend from a safe position.

한편, 관객이 탑승 또는 하차하는 영역과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가 구동되는 영역 사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안전바(550)가 설치되어 관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afety bar 550 is installed between the area where the spectator rides or gets off and the area where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is driven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pectator.

한편, 도 4는 상영관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들이 도 4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시 각 관객의 수평 시야각을 도시한 것이다. 관객의 수평 시야각은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와 스크린(300) 사이의 거리, 그리고 스크린(300)의 길이(lscreen)에 의해 정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각 관객의 수평 시야각은 80도 내지 100도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각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배치를 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도 볼 수 있듯 84도를 이루도록 스크린(300) 및 모션 체어(100)를 배치할 수 있다. 수평 시야각은 도 4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모션 체어의 중심점으로부터 스크린(3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이르는 2개의 직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 plan view from above the theater, showing a horizontal viewing angle of each audience when the plurality of upper fixed motion chairs 100 a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may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and the screen 300, and the length l screen of the screen 300, prefer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can be arranged so that it can be formed between 80 degrees and 100 degrees, and more preferably screen 300 and motion to achieve 84 degrees as can be seen also in FIG. The chair 100 can be arranged.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refers to an angle formed between two straight lines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motion chair to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screen 300 as shown in FIG. 4.

참고로,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을 100도 이상(예컨대, 120도 내지 180도)까지 구현하기 위한 스크린(300) 및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설치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본 발명은 영화라는 컨텐츠, 즉 영상뿐 아니라 스토리 리딩도 함께 수반되는 컨텐츠의 특성상 관객들의 몰입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80도 내지 100도의 수평 시야각이 구현되도록 한 상영관을 제안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84도를 기준으로 10%이상 및 10%이하의 범위(±10%), 바람직하게는, 5%이상 및 5%이하의 범위(±5%) 내 수평 시야각이 구현되도록 한 상영관을 제안한다. 참고로, 앞선 설명에서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 즉 각 메자닌 플로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에도 적용이 되는 것임을 이해한다. 즉,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의 경우에 있어서도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은 100도 이상으로 구현되도록 스크린 및 각 모션 체어들의 설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80도 내지 100도, 더 바람직하게는 84도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수평 시야각이 구현되도록 모션체어 및 스크린 설치가 가능하다. For reference, it may be possible to install the screen 300 and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o implement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up to 100 degrees (eg, 120 to 180 degre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ie content In other word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nduce the audience's immersion due to the nature of the content that includes not only the video but also the story reading, we propose a theater with a horizontal viewing angle of 80 degrees to 100 degrees, more preferably 10% based on 84 degrees. We propose a theater that allows horizontal viewing angles to be implemented in the range above and below 10% (± 10%), preferably within range 5% and below 5% (± 5%). For reference, the foregoing description has been based on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but it is understood that this applies to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that is,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mezzanine floor. That is, even in the case of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can be installed on the screen and each motion chair so that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is 100 degrees or more, preferably 80 to 100 degrees, more preferably 84 degrees. Motion chairs and screens can be installed to achieve horizontal viewing angles within a preset range.

이상 모션 체어(100)의 구조 및 움직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상영관 내 또 다른 구성인 메자닌 플로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and movement of the motion chair 100 have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mezzanine floor, which is another component in the theater, will be described.

메자닌 플로어란 임의의 층과 다음 층, 혹은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층으로서, 정규 층에 비해 바닥 면적이 작은 중간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메자닌 플로어는 반드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자재에 관계 없이 상영관의 천장과 상영관의 바닥면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는 한 형성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1을 다시 참조할 때 도 1은 두 개의 메자닌 플로어(210, 230)가 형성된 상영관, 즉 3층으로 된 상영관을 도시한 것으로, 제1 메자닌 플로어(210)는 바닥면(700)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2 메자닌 플로어(230)는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210)와 천장(500) 사이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A mezzanine floor is an intermediate layer formed between an arbitrary layer and a next layer, or a ceiling and a floor, and may be defined as an intermediate layer having a smaller floor area than a regular layer. For reference, the mezzanine floor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formed of concrete,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method of formation as long as it can form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ceiling of the theater and the floor of the theater regardless of building materials. To reveal. Referring again to FIG. 1, FIG. 1 shows a theater, in which two mezzanine floors 210 and 230 are formed, that is, a three-layer auditorium, wherein the first mezzanine floor 210 is formed from the bottom surface 700. It is formed spaced apart upwards, the second mezzanine floor 230 shows an embodiment formed between the first mezzanine floor 210 and the ceiling (500).

한편, 앞서 설명한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는 메자닌 플로어 상에 배열될 수 있는데, 이 때 배열이란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의 서스펜딩부가 메자닌 플로어의 상면과 마주보는 구조면, 즉 상영관의 천장 또는 다른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리프팅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제1 메자닌 플로어(210) 위에 배열된 복수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들은 제2 메자닌 플로어(230)의 저면(231)에, 그리고 제2 메자닌 플로어(230) 위에 배열된 복수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들은 상영관 천장(500)에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on the mezzanine floor, wherein the arrangement is a structural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ezzanine floor, the suspending portion of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That is, it means a state of being extended from the ceiling of the theater or the bottom of the other mezzanine floor. Referring to FIG. 1, the plurality of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s 100 arranged on the first mezzanine floor 21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231 of the second mezzanine floor 230 and the second mezzanine floor 230. It can be seen that the plurality of upper fixed motion chairs 100 arranged above are installed in the ceiling 500 of the auditorium.

참고로 도 5는 한 개의 메자닌 플로어가 형성된 상영관, 즉 2층으로 된 상영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상영관 내에는 하나의 메자닌 플로어(210)만 형성이 되어 있어 총 2층으로 상영관이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들은 각각의 상부들이 천장(500)에 설치되어 매달려 있는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5에서는 메자닌 플로어 상에 상부 고정형 모션체어(100)들이 리프팅 되어 있는 모습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메자닌 플로어(210)에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도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For reference, FIG. 5 shows a theater in which one mezzanine floor is formed, that is, a two-story theater. Referring to FIG. 5, only one mezzanine floor 210 is formed in the auditorium, so that the auditorium may be implemented in a total of two floors, and the plurality of upper fixed motion chairs 100 may have ceilings of upper portions thereof.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anging is installed on the 500). 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only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ixed motion chairs 100 are lifted on the mezzanine floor, but it is understood that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may be installed in the mezzanine floor 210.

최근에는 상영관 내 전면 스크린의 크기가 대형화하면서 이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상영관 공간 역시 커지고 있는데, 기존의 상영관 구조는 좌석이 바닥면에 수평적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어 유휴공간의 계속된 증가가 부담이 되어 왔다. Recently, as the size of the front screen in the theater increases, the theater space required to install it is also increasing. The existing theater structure has to b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floor, so the continuous increase in idle space becomes a burden. come.

메자닌 플로어는 이와 같이 종래의 상영관 구조가 가지던 공간의 비효율성 문제, 즉 객석 위로 존재하는 유휴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도 1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메자닌 플로어를 활용하는 경우 공간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영관 운영자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The mezzanine floor is proposed to utilize the space in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auditorium structure, that is, the idle space existing above the auditorium, and when the mezzanine floor is utilized as shown in FIG. 1 or 5. I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so that it can accommodate more audiences and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theater operators.

한편, 상영관 내 형성되는 복수의 메자닌 플로어들은 각각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가로길이(이하 측단면 길이라 칭함)를 달리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제1 메자닌 플로어(210)의 측단면 길이는 제2 메자닌 플로어(230)의 측단면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영관 전면에 설치되는 측면 또는 곡면 스크린(300)과의 직선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각 층별 모션 체어에 착석한 관객과 곡면 스크린(300)으로부터의 직선거리가 일정하도록 각 메자닌 플로어의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mezzanine floors formed in the auditorium may have different transverse leng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de cross-sectional lengths) when viewed from the side,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1, the side cross-sectional length of the first mezzanine floor 210 is shorter than the side cross-sectional length of the second mezzanine floor 230, which is a side or curved screen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theater.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aight line distance from 300). That is, the length of each mezzanine floor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audience seated in each floor motion chair and the curved screen 300 is constant.

또 다른 한편, 상기 복수의 메자닌 플로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자닌 플로어는 수평면 대비 임의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한 층에 복수 열의 모션 체어들이 배열되는 경우 뒷 열에 앉은 관객은 앞 열에 시야가 가려 스크린을 제대로 볼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메자닌 플로어를 상기 스크린 방향으로 갈수록 더 낮아지게 기울여 형성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mezzanine floor of the plurality of mezzanine floors may be formed to have any inclination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rows of motion chairs are arranged on one floor, the viewer sitting in the rear row may have a blind spot in the front row, and thus may not be able to see the screen properly. To solve this problem, the mezzanine floor may be moved toward the screen. It can be formed by tilting it lower.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앞서 살펴본 도 5와 마찬가지로 한 개의 메자닌 플로어가 형성된 상영관, 즉 2층으로 된 상영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상영관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는 1) 바닥면(700)에 고정된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의 설치 위치, 2) 스크린(300)의 형태 및 설치태양을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theater in which one mezzanine floor is formed, that is, a two-story theater as in FIG. 5. In particular, in the theater shown in FIG. 6, 1)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5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700, 2) the form and installation aspect of the screen 300 are mention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경우 앞선 도 1 과 도 5에서도 볼 수 있듯 바닥면(700)에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들이 설치(참고로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들은 메자닌 플로어 상에도 설치될 수 있음)될 수 있는데, 이렇게 바닥면(700)의 체어에서 관람하는 관객들의 영화관람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들은 스크린(300) 가로길이의 약 2/5정도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이후부터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할 때, 제1열을 이루고 있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는 스크린(300)으로부터 거리 D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때 거리 D는 스크린(300) 가로길이의 2/5값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가로길이가 17m라 가정할 때, D값은 6.8m일 수 있다. First, in the case of the audito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5, the lower fixed motion chairs 5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700 (for reference, the lower fixed motion chairs 50 are also disposed on the mezzanine floor). The lower fixed motion chairs (50) are about 2/5 of the width of the screen (300)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watching a movie. It may be installed after a position away from the screen by a corresponding distance. Referring back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50 forming the first row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300 by a distance D, where the distance D is the screen 300. ) It corresponds to 2/5 of the width.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creen width is 17m, the D value may be 6.8m.

한편, 도 6에 도시된 스크린(30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과 하단을 잇는 직선이 상영관 전면의 벽면과 임의의 각도 θ를 이루도록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300)을 θ만큼 기울여 설치하는 것은 메자닌 플로어에 설치된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에 앉은 관객들이 스크린(300)에 재생되는 영상을 정면에 가깝게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 도면에서도 볼 수 있듯 상층에 위치해 있는 관객들의 경우 스크린(300)이 종래의 것들과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스크린을 정면으로 마주볼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영화 관람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스크린(300)의 하단은 종래 상영관들에 설치되던 스크린에 비해 더 낮은 위치까지 닿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닥면(700)과 유사한 높이에 스크린(300)의 하단이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스크린(300)의 하단을 낮은 위치까지 닿게 설치한 이유는 하부 고정형 체어(50)에 앉은 관객들이 보다 넓은 면적의 스크린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특히 영화를 보기 위해 관객들이 목을 꺾으면서까지 불편한 자세로 위쪽을 쳐다보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300 shown in FIG. 6 may be installed inclined such that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op and the bottom when viewed from the side forms an arbitrary angle θ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of the theater. The tilting of the screen 300 by θ is intended to allow the viewer sitting on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installed on the mezzanine floor to see the image played on the screen 300 close to the front. As shown in the case of the audience located on the upper floor, if the screen 300 is installed vertically as in the conventional ones, it may be inconvenient to watch a movie because the screen cannot be face to face. will b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end of the screen 300 shown in Figure 6 is installed to reach a lower position than the screen that was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theaters, for example, the screen at a height similar to the bottom surface 700 The lower end of the 300 may be installed to reach. The reason why the bottom of the screen 300 is installed so as to reach a low position is to allow the audience sitting on the lower fixed chair 50 to view a larger area of the screen, especially while the audience bends the neck to watch a movie. This is to avoid looking up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until.

또한, 참고로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와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들로 객석을 구현하는 경우, 관객 입장에서는 각자 자신이 원하는 객석을 선택하여 영화 관람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와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50)들로 객석을 구성하는 것은,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들로만 객석이 구성되어 있던 기존 상영관을 쉽게 개축하여 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새로운 상영관을 신축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ats are implemented by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and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50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udience can select the desired seats to view a movie by the audience. There is. In addition, constituting the auditorium with the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100 and the lower stationary motion chair 50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reconstructed the existing theater where the auditorium was composed only of the lower stationary motion chairs, thus creating a completely new theater. The effect is to reduce the cost of new construction.

도 7 및 도 8은 메자닌 플로어의 엣지영역(250) 및 엣지영역(250) 상에 배열된 복수의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들을 도시한 것이다. 7 and 8 illustrate an edge region 250 of the mezzanine floor and a plurality of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s 100 arranged on the edge region 250.

도 7을 참조할 때, 메자닌 플로어의 엣지영역(250)는 불투명한 재질의 바닥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서는 관객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관객으로 하여금 높이에 의한 공포심을 덜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엣지영역(250)의 외측으로는 안전패널(255)을 더 연장 형성시킴으로써 영화 감상 중 관객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에서 떨어지더라도 큰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edge region 250 of the mezzanine floor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bottom surfac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audience and having the viewer less fear of height. You can do that. In addition, the safety panel 255 is further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edge area 250 so that the audience may not be injured even when the viewer falls from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during movie watching.

도 8은 메자닌 플로어의 엣지영역(25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엣지영역(25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7과 반대로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에 착석한 관객으로 하여금 보다 높은 스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안전패널도 투명한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관객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기존 불투명 안전패널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관객의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다. 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dge region 250 of the mezzanine floo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hen the edge region 25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audience seated on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100 may have a higher thrill feeling as opposed to FIG. 7. 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FIG. 8, the safety panel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secure the safety of the audience and to secure the viewer's view that may be covered by the existing opaque safety panel.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언급된 엣지영역(250), 안전패널(255) 등은 상기 메자닌 플로어 상에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가 설치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들이다.Meanwhile, the edge region 250 and the safety panel 255 mentioned in FIGS. 7 and 8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even when the lower fixed motion chair is installed on the mezzanine floor.

이상 메자닌 플로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의 또 다른 구성들인 스크린과 투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We have looked at mezzanine floor. Hereinafter, a screen and a projection apparatus, which are still other components of the audito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스크린에 대해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 내 스크린(300)은 앞서 도 6에서의 설명에서도 본 바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반드시 평면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300)은 장축 또는 단축 방향으로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장축 및 단축 방향으로 모두 일정한 크기의 곡률을 가져 소위 부분 난형(卵形) 또는 부분 돔(dome)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스크린의 각 변 중 상대적으로 더 길이가 긴 변을 장축이라 정의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변을 단축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First, referring to the screen, the screen 300 in the auditor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lat shape as shown in the description in FIG. 6 above, but the sha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lat surface, preferably a curved surface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screen 300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major axis or the minor axis, or may have a constant curvature in the major axis and the minor axis, so that the screen 300 may be formed in a so-called partial oval or partial dome shape. May be For reference, the longer side of each side of the screen is defined as the long axis, and the shorter side is defined as the short axis.

도 9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300)은 모션 체어가 포함된 객석 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난형 또는 부분 돔(dome)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스크린(300)의 장축 또는 단축에 곡률이 생기도록 구현하는 경우 관객들에게 보다 높은 몰입감,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creen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n ovoid or partial dome shape concavely concave in the direction of an auditorium including a motion chair. If the curvature is implemented to provide a higher immersion,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audience.

다음으로 투사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투사장치란 영상을 광학 렌즈를 통해 스크린 상에 확대 투사하는 방식의 표시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의 투사장치(400)는 스크린의 크기에 비해 짧은 투사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광각 효과를 내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장치(400)는 스크린 곡률에 따라 곡면의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어안렌즈(fisheye lens)를 포함할 수 있는데, 어안렌즈란 초점 거리가 매우 짧은 것으로서 형상을 둥글게 왜곡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렌즈의 한 종류이다. 본 발명에서의 투사장치는 이와 같이 투사거리가 짧은 평면 또는 곡면 스크린 상에 영상이 왜곡 없이 투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광각 또는 어안 렌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the projection apparatus, the projection apparatus refers to a display device of a method of projecting an enlarged image on the screen through an optical lens, in particular, the projection apparatus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rt projection compared to the size of the screen It may include a lens that has a wide angle effect to overcome the distance. In addition, the projec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sheye lens for projecting an image on a curved screen according to the screen curvature, the fisheye lens is a very short focal length and rounded shape It is a type of lens that can produce a distorting effect. The proj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wide-angle or fisheye lens in order to allow the image to be projected without distortion on a flat or curved screen having a short throw dist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장치 내 구비되는 렌즈의 경우 0.5~0.8:1의 배율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ens provided in the pro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having a magnification of 0.5 ~ 0.8: 1.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영관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이러한 구조물 내에서 투사장치(4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t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device 400 is installed in such a structure.

도 10은 건축물 공간 내 지금까지 설명한 형태의 상영관을 구현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기초 구조물을 도시한 것인데, 참고로 도 10의 기초 구조물은 총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즉 바닥면(700)과 제1 메자닌 플로어(210)로 이루어진 상영관을 구현하기 기초 구조물의 일 예시로 볼 수 있다. FIG. 10 illustrates a basic structure tha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pace to implement a theater of the type described so far in the building space. For reference, the basic structure of FIG. 10 includes two layers, that is, the floor surface 700. ) And the first mezzanine floor 210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the basic structure to implement the auditorium.

기초 구조물은 다수의 직선형 또는 곡선형 부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기초 구조물의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장 아래의 직사각형 프레임(F)을 기준으로, 도 10에 표시된 부재a, 부재b, 부재c 들 중 부재 a 및 부재c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장변과 평행을 이루지 않은 채, 즉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평형 부재들의 배치형태는 궁극적으로 모션 체어들의 배치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살펴본 도 4의 평면도에서 보았듯 상영관 내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100)들은 직선의 일렬로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 확보 및 영상 관람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오목한 형태의 열(列)로 배치될 수 있는데, 도 10의 기초 구조물은 이러한 열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a, a', a''의 부재들은 모두 직사각형 프레임(F)과 비교할 때 같은 각도로 기울어진 채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층마다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진 채 배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이는 c, c', 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The foundation structure can be fabricated including a number of straight or curved members, the shape of which can be as shown in FIG. 10. Looking at the shap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in more detail, based on the lowest rectangular frame (F), among the members a, b, and c shown in Fig. 10, members a and c are not parallel to the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It can be seen that it is formed without being inclined at an angle, that is, the arrangement of these non-equilibrium members ultimately determines the arrangement of the motion chair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4 described above, the upper fixed motion chairs 100 in the auditorium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ut concave in order to secure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and the convenience of viewing the image. The foundation structure of FIG. 10 may be said to enable such a thermal arrangement. For reference, the members of a, a ', and a' 'may not only be disposed at the same angle as compared to the rectangular frame F, but may also be disposed at different angles for each lay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es equally to c, c ', and c' '.

도 11은 도 10과 같은 기초 구조물 상에 투사장치(4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상영관이 상영관 뒤쪽에 별도 영사실을 두어 해당 영사실 내에 투사장치들을 설치해 왔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영관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투사장치(400)를 메자닌 플로어의 앞단에 설치함으로써 모션 체어에 앉은 관객들에 의한 경로방해 없이 영상을 투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FIG. 1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device 400 is installed on the same foundation structure as in FIG. 10. Conventional theaters have been equipped with a separate projection room behind the theater, while the projection apparatuses ar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rojection room, while in implementing the t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ence sitting on the motion chair by installing the projection device 400 in front of the mezzanine floor It is possible to project an image without path disturbance.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상영관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좌측은 기존의 상영관 평면도, 우측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상영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측의 평면도를 살펴볼 때, 본 발명에서는 투사장치(400a)를 상영관의 측면 쪽에도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상영관이 전면에 설치된 스크린에만 영상을 투사시키던 것과 달리 측면에도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체어들 각각은 그 높이도 조절이 가능할 것이며, 90도 회전시 앞 열의 모션 체어에 앉은 관객에 의한 시야 방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각 모션 체어들의 높낮이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도 볼 수 있듯 상영관 내 측벽 쪽으로는 또 다른 투사면(300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사면(300a)는 벽면 그 자체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평면/곡면의 스크린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a simplified view of another view of the t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s a conventional theater plan view, the right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theater plan to b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plan view of the right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projection device (400a) on the side of the theater, it can be implemented to project the image on the side, unlike the conventional theater to project the image only on the screen installed in front. The height of each of the motion chairs will be adjustable, and the height of each motion chair can be controlled to minimize the disturbance of the viewer by the viewer sitting in the motion chair of the front row when rotated 90 degrees. 12, another projection surface 300a may be provided toward the side wall of the theater, and the projection surface 300a may be a wall or a flat / curved screen that is independently installed.

이상 모션 체어를 포함한 상영관, 더 나아가 메자닌 플로어 및 그 밖에 곡면 스크린, 투사장치를 포함하는 상영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theater including the motion chair, the mezzanine floor, and the curved screen and the theater including the projection apparatus were examined.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하부 고정형 모션체어
100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110 착좌부 120 등받이부 131 덮개면 133 구동부
210 제1 메자닌 플로어
230 제2 메자닌 플로어 231 제2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
250 메자닌 플로어의 엣지영역
255 안전패널
300 스크린
400 투사장치
500 천장
550 안전바
600 레일
50 lower fixed motion chair
100 (top fixed) motion chair
110 Seat 120 Backrest 131 Cover 133 Drive
210 Mezzanine Floor
230 2nd mezzanine floor 231 Bottom of 2nd mezzanine floor
Edge zone on 250 mezzanine floors
255 safety panel
300 screen
400 Projector
500 ceiling
550 safety bar
600 rails

Claims (21)

천장 및 바닥면을 포함하는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천장 및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자닌 플로어(mezzanine floor);
상기 상영관 내에 구비되어 관객이 착좌할 수 있는 모션 체어; 및
상기 상영관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스크린;
을 포함하는 상영관.
In a theater comprising a ceiling and a floor,
One or more mezzanine floors form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bottom surface;
A motion chair provided in the theater to seat an audience; And
A scree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theater;
The theat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감형 의자에 착좌한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이 80~100°인,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seated on the haptic chair is 80-100 °,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체어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및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motion chair comprises an upper stationary motion chair; And a lower fixed motion chair,
Thea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는 상기 상영관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heater or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Thea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는,
착좌부;
등받이부; 및
서스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딩부는, 당해 서스펜딩부의 상측에 배치된 구조물에 설치되어 모션 체어를 리프팅(lifting)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Seating part;
Backrest portion; And
Suspending unit; including;
The suspending unit is installed on a structure disposed above the suspending unit to lift the motion chair,
Thea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딩부는, 당해 모션 체어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5,
The suspend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movement of the motion chair,
Thea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체어의 피칭(pitching), 롤링(rolling), 히빙(heaving), 또는 요잉(yawing)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unit,
Generating movement of at least one of pitching, rolling, heaving, or yawing of the motion chair,
Thea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에 설치된 레일(rail)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The driving unit is coupled to slidably along the rail,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자닌 플로어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mezzanine floor,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o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평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comprises a flat frame,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장축 방향 또는 단축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has a curvature in the major or minor axis direction,
T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를 더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
A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Further comprising,
Thea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장치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jection device,
Including a wide-angle lens or fisheye lens,
Theater.
천장 및 바닥면을 포함하는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메자닌 플로어;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와 상기 천장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메자닌 플로어;
관객이 착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제1 모션 체어;
관객이 착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메자닌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제2 모션 체어; 및
상영관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스크린;
을 포함하는 상영관.
In a theater comprising a ceiling and a floor,
A first mezzanine floor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 second mezzanine floor formed between the first mezzanine floor and the ceiling;
A first motion chair that can be seated by an audience, the first motion chair being disposed on the first mezzanine floor;
A second motion chair that can be seated by an audience, the second motion chair being disposed on the second mezzanine floor; And
A scree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theater;
The theater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체어 또는 제2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이 80~100°인,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4,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seated on the first motion chair or the second motion chair is 80 ~ 100 °,
The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체어 및 제2 모션 체어는 천장 또는 제2 메자닌 플로어에 매달려 설치되는 모션 체어이거나, 또는, 상기 바닥면 또는 제1 또는 제2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motion chair and the second motion chair are motion chairs suspended from a ceiling or a second mezzanine floor, or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first or second mezzanine floo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의 측단면 길이는 상기 제2 메자닌 플로어의 측단면 길이와 상이한,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4,
The side cross section length of the first mezzanine floor is different from the side cross section length of the second mezzanine floor,
The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자닌 플로어 또는 제2 메자닌 플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면 대비 임의의 기울기를 가지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4,
At least one of the first mezzanine floor or the second mezzanine floor has an arbitrary slop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ater.
관객들이 착좌할 수 있는 다수개의 모션 체어;
상기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들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를 포함하며,
임의의 모션 체어에 착좌한 관객들의 수평 시야각이 80~100°인,
상영관.
Multiple motion chairs that the audience can seat;
A screen displaying an image to an audience seated in the motion chair; And
A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Including;
The horizontal viewing angle of the audience seated on any motion chair is 80-100 °,
Theat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영관의 천장 및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자닌 플로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체어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에 배치되는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 및 상기 상영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 고정형 모션 체어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19,
And at least one mezzanine floor form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heater.
The motion chair includes an upper fixed motion chair disposed on the mezzanine floor and a lower fixed motion chai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heater.
Theat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형 모션 체어는 상기 상영관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또는 상기 메자닌 플로어의 저면(底面)에 설치되는 모션 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영관.
The method of claim 20,
The upper fixed motion chair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heater or a motion chai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ezzanine floor.
Theater.
KR1020190044934A 2018-04-18 2019-04-17 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 KR201901217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4685 WO2019203588A1 (en) 2018-04-18 2019-04-18 Theater having mezzanine floor structure equipped with motion chai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5216 2018-04-18
KR1020180045216 2018-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04A true KR20190121704A (en) 2019-10-28

Family

ID=6842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934A KR20190121704A (en) 2018-04-18 2019-04-17 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70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49Y1 (en) 2011-05-12 2013-10-01 이지선 A motion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49Y1 (en) 2011-05-12 2013-10-01 이지선 A motion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5555B2 (en) Motion simulator theater with suspended seating
US10398990B2 (en) Rotating performance stage
EP1987214B1 (en) Circular motion theater
US20120247030A1 (en) Virtual reality dome theater
KR20160008994A (en) Theater With Screen Which Has Curvature And Chair Control System Of The Same
US20160333597A1 (en) Immersive theater
EP0778380B1 (en) Theatre
US20130242263A1 (en) Cinema structure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projecting and viewing a motion picture
JPH0868220A (en) Dome theater
US11859378B2 (en) Portable motion picture theater
RU2761944C2 (en) Layout of cinema halls in multiplex cinemas and cinema hall for multi-screen cinema
CN103114744A (en) Panoramic film watching system
CN209799475U (en) Multifunctional theater system
CN201187161Y (en) Upward movie hall
KR20190121704A (en) A theater comprising motion-enabled chair
KR101272163B1 (en) Image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0941165B1 (en) Theater for displaying image on sphere-type screen
TWI707082B (en) Multifunctional theater system and its working method
CN209855308U (en) Flight cinema system
KR200472385Y1 (en) Possible two-way viewing wall display apparatus of the projection method
JPH0960316A (en) Theater
KR102522965B1 (en) Video projection system that can realize various genres
JP2022088101A (en) Projecting system
WO2019203588A1 (en) Theater having mezzanine floor structure equipped with motion chairs
KR20200086011A (en) 4D video product experi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