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659A -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 Google Patents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659A
KR20190121659A KR1020180045265A KR20180045265A KR20190121659A KR 20190121659 A KR20190121659 A KR 20190121659A KR 1020180045265 A KR1020180045265 A KR 1020180045265A KR 20180045265 A KR20180045265 A KR 20180045265A KR 20190121659 A KR20190121659 A KR 20190121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nt end
reflection function
indirect reflection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125B1 (ko
Inventor
정상휘
Original Assignee
정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휘 filed Critical 정상휘
Priority to KR102018004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1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by artificial light source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1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more than on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화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말단부가 상기 화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단부; 및 상기 절곡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면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Illuminated signboard with indirect reflection function through folding end}
본 발명은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절곡단부에 조명을 설치하고 화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서, 절곡단부로부터 반사되는 빛과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중첩된 상태로 화면을 밝게 비출 수 있어 광고 내용을 보다 부각시킬 수 있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간판은 화면에 광고 내용을 도장하거나 부착하고, 간판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발광시키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간판은 단순하게 화면 상에 광고 내용을 도료로 도장하거나 유색 테이프로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아크릴이나 기타 재료를 광고 내용의 형태로 입체감 있게 제작하여 화면 상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입체감 있게 제작된 부분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광고 내용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광고 내용 마다 별도의 조명이 설치되는 채널 간판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채널만 고장 나더라도 광고 내용이 불분명해지며 미관상으로도 보기가 매우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광고 내용은 글자와 무늬, 색과 여백 등을 표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반영되어 만족감을 주면서도 보는 사람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도록 표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채널 간판인 광고 내용 마다 별도의 조명이 설치되는 방식의 간판보다 저렴한 간판의 형태로서, 본체부 내부에 조명이 설치되는 방식의 간판은 광고 내용 뒤에서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본래의 색과는 달리 어둡게 표현될 여지가 있어 사용자가 의도한 바와 달라질 수 있으며, 보는 사람에게도 광고 내용의 어필이 부족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절곡단부에 조명을 설치하고 화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서, 절곡단부로부터 반사되는 빛과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중첩된 상태로 화면을 밝게 비출 수 있어 광고 내용을 보다 부각시킬 수 있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464267호(등록일: 2012.12.14.) 한국등록특허공보(B1) 제10-1781130호(등록일: 2017.09.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말단부가 화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단부에 화면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설치함으로서 광고 내용을 보다 부각시킬 수 있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본체부 내부에 열선을 설치함으로서, 눈이나 고드름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내용의 시각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도료를 도장함으로서 상황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표현함으로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화면교체기능이 구비된 커스터마이징 간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화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말단부가 상기 화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단부; 및 상기 절곡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면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단부는 빛 반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부는, 광고 내용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광고부; 및 광고 내용이 돌출 형성되며, 후단에 별도의 조명이 설치되는 제2 광고부;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고부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 화면부, 절곡단부 및 제2 광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아연도금 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에는 열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선은 부분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를 스마트 기기에서 제어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말단부가 화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단부에 화면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설치함으로서 광고 내용을 보다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본체부 내부에 열선을 설치함으로서, 눈이나 고드름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내용의 시각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도료를 도장함으로서 상황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표현함으로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부가 변화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은 기본적으로 본체부(100), 화면부(200), 절곡단부(300) 및 조명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 형상일 수 있으며, 아연도금 강판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관으로는 정면를 기준으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등 기타 다양한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체부(100)에는 열선(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열선은 부분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간판의 특성 상 겨울철에는 눈이나 고드름에 의해 광고 내용이 가려지게 될 수 있는데, 본체부(100) 내부에 열선이 설치되어 있다면 눈이나 고드름을 쉽게 녹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이나 고드름에 의해 광고 내용이 가려지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면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광고 내용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국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은 화면부(200)를 통해 광고 내용을 노출시켜 대중들에게 광고하게 된다.
절곡단부(300)는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말단부가 상기 화면부(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조명부(40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가 상기 화면부(200)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400)는 절곡단부(300)에 설치되며, 화면부(20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조명부(400)를 구성하는 조명 장치로는 LED, 백열등, 형광등 등의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단부(300)에 형성된 화면부(200)의 중심축과 수직하는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400)는 단일 또는 다중의 색으로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절곡단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말단부가 화면부(200)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조명부(400)에서 발산되는 빛을 화면부(2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래 조명부(400)에서 발산되는 빛과 절곡단부(300)를 통해 반사되는 빛이 중첩되게 되므로, 화면부(200)에는 더욱 밝은 빛이 도달하게 되어 화면부(200)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전기를 소비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곡단부(300)는 빛 반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빛 반사재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백색의 도료가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부(200)가 변화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부(200)는 광고 내용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광고부(210) 및 광고 내용이 돌출 형성되며, 후단에 별도의 조명이 설치되는 제2 광고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고부(210)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고무재질로서 제1 광고부(210)를 형성하게 되면 보다 적은 비용으로 돌출된 광고 내용을 제작할 수 있으며, 더욱이 고무재질은 단순한 작업으로도 절단이 가능하여 제1 광고부(210)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광고부(220)는 후단에 별도의 조명이 설치됨으로서, 후광으로서 돌출된 광고 내용을 돋보이게 하는 구성으로서, 아연도금 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광고부(220)는 후광으로서 비춰지기 때문에 웅장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데, 상기 도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도료일 수 있다.
상기 시온도료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안료를 포함한 도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온도계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기계 장치의 가동 부분이나 넓은 면적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곤 한다. 이러한 상기 시온도료와 함께 일반도료를 조합하여 광고 내용을 문자, 무늬, 배경 등으로 구분하여 도장한다면 온도에 따라 다양한 광고 내용이 표현되도록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구름과 태양의 모양이 표현되어 있는 간판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낮에 표현되도록 하고, 밤에는 간판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별과 달의 모양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색이나 그림의 모양 등은 얼마든지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하는 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열선이 내장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처럼 부분적으로 열선을 통해 온도이 가능하다면 상기 시온도료를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500)와 통신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는 상기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를 스마트 기기(500)에서 제어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미도시)는 상기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부분적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미도시)는 Wi-Fi나 Bluetooth 등과 같이 통신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부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 기기(500)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부에 접속하여 상기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상기 온도 조절부 및 통신부를 모두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는 스마트 기기(500)를 통해 언제라도 열선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판에서 표현되는 광고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기기(5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 통신에 의해 원격으로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화면부
210: 제1 광고부 220: 제2 광고부
300: 절곡단부 400: 조명부
500: 스마트 기기

Claims (9)

  1.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가 도장되어 있는 화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말단부가 상기 화면부(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단부(300); 및
    상기 절곡단부(300)에 설치되며 상기 화면부(20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부(300)는 빛 반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200)는,
    광고 내용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광고부(210); 및
    광고 내용이 돌출 형성되며, 후단에 별도의 조명이 설치되는 제2 광고부(220);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부(210)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화면부(200), 절곡단부(300) 및 제2 광고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아연도금 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열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부분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를 스마트 기기(500)에서 제어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KR1020180045265A 2018-04-18 2018-04-18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KR10212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65A KR102120125B1 (ko) 2018-04-18 2018-04-18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65A KR102120125B1 (ko) 2018-04-18 2018-04-18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59A true KR20190121659A (ko) 2019-10-28
KR102120125B1 KR102120125B1 (ko) 2020-06-08

Family

ID=6842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265A KR102120125B1 (ko) 2018-04-18 2018-04-18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125B1 (ko)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052A (ja) * 1999-03-26 2000-10-06 Shuya Yamashita 示温物質を用いた表示方法
KR200374158Y1 (ko) * 2004-11-11 2005-01-24 주식회사 대청마스터스 옥외광고용 조명 간판
KR100902390B1 (ko) * 2008-06-30 2009-06-11 (주)대동금속 간판부재
KR100943533B1 (ko) * 2009-06-19 2010-02-22 (주)서일테크씨에프 입체문자채널간판
KR20100050668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필룩스 간접 조명 광고판
KR20120122076A (ko) * 2011-04-28 2012-11-07 이효제 광열디스플레이
KR20120138284A (ko) * 2011-06-14 2012-12-26 김문석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464267Y1 (ko) 2012-01-31 2012-12-28 조정엽 전,후면 조명이 가능한 광고간판
KR20150064640A (ko) * 2013-12-03 2015-06-11 주은만 블랙 라이트 광고문자
KR20150085403A (ko) * 2014-01-15 2015-07-23 정 호 조 슬림형 광고용 간판
KR20160029329A (ko) * 2014-09-05 2016-03-15 애드케이원(주) 간판용 보조 조명장치
KR20160118788A (ko) * 2015-04-03 2016-10-12 임현식 간접조명장치용 프레임
KR20170045064A (ko) * 2015-10-16 2017-04-26 주식회사 루미맥스 엣지타입의 도광판 구조를 갖는 led 조명등
KR20170068786A (ko) * 2015-12-10 2017-06-20 신범호 조명장치
KR101781130B1 (ko) 2015-03-06 2017-09-22 김준열 채널 간판 및 상기 채널 간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052A (ja) * 1999-03-26 2000-10-06 Shuya Yamashita 示温物質を用いた表示方法
KR200374158Y1 (ko) * 2004-11-11 2005-01-24 주식회사 대청마스터스 옥외광고용 조명 간판
KR100902390B1 (ko) * 2008-06-30 2009-06-11 (주)대동금속 간판부재
KR20100050668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필룩스 간접 조명 광고판
KR100943533B1 (ko) * 2009-06-19 2010-02-22 (주)서일테크씨에프 입체문자채널간판
KR20120122076A (ko) * 2011-04-28 2012-11-07 이효제 광열디스플레이
KR20120138284A (ko) * 2011-06-14 2012-12-26 김문석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464267Y1 (ko) 2012-01-31 2012-12-28 조정엽 전,후면 조명이 가능한 광고간판
KR20150064640A (ko) * 2013-12-03 2015-06-11 주은만 블랙 라이트 광고문자
KR20150085403A (ko) * 2014-01-15 2015-07-23 정 호 조 슬림형 광고용 간판
KR20160029329A (ko) * 2014-09-05 2016-03-15 애드케이원(주) 간판용 보조 조명장치
KR101781130B1 (ko) 2015-03-06 2017-09-22 김준열 채널 간판 및 상기 채널 간판의 제조 방법
KR20160118788A (ko) * 2015-04-03 2016-10-12 임현식 간접조명장치용 프레임
KR20170045064A (ko) * 2015-10-16 2017-04-26 주식회사 루미맥스 엣지타입의 도광판 구조를 갖는 led 조명등
KR20170068786A (ko) * 2015-12-10 2017-06-20 신범호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125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7448A1 (en) Low profile graphic display device and method
KR20080079359A (ko)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KR20030012696A (ko) 광고와 조명 인테리어 표시매체 및 간접광고 조명등
CN107077800A (zh) 装饰性发光装置
US20130301138A1 (en) Marking board with back-focusing and brightness enhancement effect
JP2009525505A (ja) 発光文字プラカード
WO2003091973A8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avec micro-sources lumineuses et panneau d'eclairage souple
KR20190121659A (ko) 절곡단부를 통한 간접반사기능이 구비된 조명 간판
KR20180134032A (ko) 조명장식이 설치된 창호
CN201727203U (zh) 一种魔术镜子
KR102569497B1 (ko) 플렉시블 led를 이용한 간판
KR20090001569U (ko) 엘이디 조명 아크릴 간판
KR101031918B1 (ko) 액자형 조립식 간판 프레임
US8074386B2 (en) Integrated mirror and graphics display system
KR20100041723A (ko)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KR100338715B1 (ko) 투명 아크릴 플라스틱 판의 조각면을 이용하여 다양한조명을 연출하는 조명 간판 및 등갓 조명 스탠드
JP6349491B1 (ja) 照明装置付きシート状案内表示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114499U (ja) 看板装置
KR200477219Y1 (ko) 확산식 라이팅 구조를 갖는 장식 배지
JP6535893B2 (ja) レリーフを用いた装飾用壁材
KR20150106182A (ko) Led 사인보드
CN111989731B (zh) 设计性标识系统
JP3154778U (ja) 表示装置
KR102099003B1 (ko) 자석을 이용한 화면교체기능이 구비된 커스터마이징 간판
KR20100107992A (ko) 시인성이 향상된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