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25A -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 Google Patents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25A
KR20190120925A KR1020180044315A KR20180044315A KR20190120925A KR 20190120925 A KR20190120925 A KR 20190120925A KR 1020180044315 A KR1020180044315 A KR 1020180044315A KR 20180044315 A KR20180044315 A KR 20180044315A KR 20190120925 A KR20190120925 A KR 2019012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ation film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plate
elliptical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675B1 (ko
Inventor
김선국
윤혁
류성호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4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75B1/ko
Priority to JP2020550095A priority patent/JP7039113B2/ja
Priority to CN201980024143.7A priority patent/CN111971596B/zh
Priority to TW108113407A priority patent/TWI708108B/zh
Priority to US16/982,896 priority patent/US11937487B2/en
Priority to EP19788015.6A priority patent/EP3783401B1/en
Priority to PCT/KR2019/004624 priority patent/WO2019203562A1/ko
Publication of KR2019012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타원 편광판 및 유기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이 우수한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ELLIPTICAL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출원은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의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플렉시블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유기 발광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형성된 금속 전극 및 금속 배선에 의해 외부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반사된 외부 광에 의해 시인성과 대비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일면에 원 편광판을 부착하여 상기 반사된 외부 광이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원 편광판은 시야각 의존성이 강하여 측면으로 갈수록 반사 방지 성능이 저하되어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22138호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이 우수한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타원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론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타원 편광판은 선 편광자(50), 제 1 위상차 필름(10), 제 2 위상차 필름(20), 제 3 위상차 필름(30) 및 제 4 위상차 필름(40)을 순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자는 입사 광에 대하여 선택적 투과 및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예를 들어,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 광으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 편광자는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 편광이고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이 상기 선편광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인 편광자를 의미한다.
상기 선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PVA 연신 필름 등과 같은 고분자 연신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한 편광자 또는 배향된 상태로 중합된 액정을 호스트로 하고, 상기 액정의 배향에 따라 배열된 이방성 염료를 게스트로 하는 게스트-호스트형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 편광자로는 PVA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 편광자의 투과율 내지 편광도는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 편광자의 투과율은 42.5% 내지 55%일 수 있고, 편광도는 65% 내지 99.9997%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면서,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인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조 오차(error) 또는 편차(variation) 등을 감안한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경우는, 약 ±15도 이내의 오차, 약 ±10도 이내의 오차 또는 약 ±5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은 광학 이방성 필름으로서 복굴절을 제어함으로써 입사 편광을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의 x축, y축 및 z축을 기재하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x축은 위상차 필름의 면내 지상축과 평행한 방향 의미하고, y 축은 위상차 필름의 면내 진상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z축은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x축과 y축은 면내에서 서로 직교를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의 광축을 기재하면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지상축을 의미한다. 상기 위상차 필름이 막대 형상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지상축은 상기 막대 형상의 장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디스크 형상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지상축은 상기 디스크 형상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의 Nz 값은 하기 수식 1로 계산된다.
[수식 1]
Nz = (nx-nz)/(nx-ny)
본 명세서에서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위 -C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위 +C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일반식 3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위 +B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위 -B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일반식 5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위 +A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일반식 6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소위 -A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일반식 1]
nx = ny > nz
[일반식 2]
nx = ny < nz
[일반식 3]
ny < nx ≠ nz
[일반식 4]
nx > ny > nz
[일반식 5]
nx > ny = nz
[일반식 6]
nx = nz > ny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는 하기 수식 2로 계산된다.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Rin)는 하기 수식 3으로 계산된다.
[수식 2]
Rth = (nz-ny) × d
[수식 3]
Rin = (nx-ny) × d
수식 1 내지 수식 3 및 일반식 1 내지 6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상기 정의한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이다.
본 명세서에서 역파장 분산 특성(reverse wavelength dispersion)은 하기 수식 4를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고, 정상 파장 분산 특성(normal wavelength dispersion)은 하기 수식 5를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플랫 파장 분산 특성(flat wavelength dispersion)은 하기 수식 6을 만족하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식 4]
R(450)/R(550) < R(650)/R(550)
[수식 5]
R(450)/R(550) > R(650)/R(550)
[수식 6]
R(450)/R(550) = R(650)/R(550)
본 명세서에서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을 기재하면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약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R(λ)는 λnm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 제 2 위상차 필름, 제 3 위상차 필름 및 제 4 위상차 필름의 광학 물성을 조절함으로써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초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은 경사각 40도 및 방위각 45도 또는 135도에서의 색 편차의 최대 값이 2.8 미만, 2.7 미만, 2.6 미만, 2.5 미만 또는 2.4 미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색 편차는 상기 타원 편광판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적용되었을 때 측면의 색상이 정면의 색상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실시예의 컬러 특성 시뮬레이션 평가에서 ΔE* ab의 수식으로 계산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은 Nz 값이 1 미만인 +B 플레이트 또는 -A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Nz 값은 구체적으로 0.8 이하, 0.6 이하 또는 0.5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Nz 값의 하한은 구체적으로 -20 이상, -15 이상, -10 이상, -8 이상, -6 이상 또는 -4 이상일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은 0 nm 내지 180 nm 일 수 있다. 상기 면상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0 nm 이상일 수 있고, 180 nm 이하, 170 nm 이하, 160 nm 이하, 150 nm 이하, 145 nm 이하 또는 140 nm 이하일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0 nm 내지 220 n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0 nm 이상일 수 있고, 220 nm 이하, 210 nm 이하, 200 nm 이하, 190 nm 이하 또는 187.5 nm 이하일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은 면내 지상축이 상기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은 수식 1의 Nz 값이 1 초과인 -B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일반식 1을 만족하는 -C 플레이트인 경우 nx=ny이므로 Nz=(nx-nz)/(nx-ny) 값은 정의되지 않는다.
제 2 위상차 필름이 -B 플레이트인 경우 Nz 값은 구체적으로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또는 3.1 이상일 수 있고,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또는 20 이하일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이 -B 플레이트인 경우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 값이 0.5 nm 내지 55 nm일 수 있다. 상기 면상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0.5 nm 이상, 1 nm 이상 또는 1.5 nm일 수 있고, 55 nm 이하, 50 nm 이하 또는 49 nm 이하일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이 -B 플레이트인 경우,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160 nm 내지 -5 n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160 nm 이상, -150 nm 이상, -140 nm 이상 또는 -137.5 nm 이상일 수 있고, -5 nm 이하, -10 nm 이하, -15 nm 이하, -20 nm 이하 또는 -25 nm 이하일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이 -B 플레이트인 경우, 면내 지상축은 상기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수직 또는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이 -C 플레이트인 경우,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220 nm 내지 0 n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구체적으로 0 nm 이하일 수 있고, -220 nm 이상, -210 nm 이상, -200 nm 이상, -190 nm 이상 또는 -185 nm 이상일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제 2 위상차 필름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위상차 필름은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일 수 있고, 그 지상축은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일 수 있고, 그 지상축은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와 제 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의 합계 수치는 -40 nm 내지 70 nm일 수 있다. 상기 합계 수치는 구체적으로 -40 nm 이상, -30 nm 이상, -20 nm 이상, -10 nm 이상 또는 -5 nm 이상일 수 있고, 70 nm 이하, 60 nm 이하, 50 nm 이하, 45 nm 이하 또는 40 nm 이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3 위상차 필름은 Nz 값이 0.8 내지 1.2일 수 있다. 제 3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거나, -B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A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3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1.0인 경우 +A 플레이트이고, 0.8 이상 내지 1.0 미만 경우 +A 플레이트에 가까운 +B 플레이트이며, 1.0 초과 내지 1.2 이하인 경우 +A 플레이트에 가까운 -B 플레이트이다.
제 3 위상차 필름은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n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 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n배 만큼 위상 지연 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 광을 그 입사광의 파장의 1/4배 큼 위상 지연 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제 3 위상차 필름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120 nm 내지 160nm, 구체적으로 130 nm 내지 150 nm일 수 있다. 제 3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 3 위상차 필름의 면내 지상축은 상기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약 40도 내지 50도, 약 43도 내지 47도, 구체적으로 약 45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4 위상차 필름은 +C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B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B 플레이트인 경우 Nz 값은 -4.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4.0 이하인 경우 +C 플레이트에 가까운 +B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Nz 값의 하한은 예를 들어 -3000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이 +C 플레이트인 경우 nx=ny이므로 Nz=(nx-nz)/(nx-ny) 값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제 4 위상차 필름이 +B 플레이트인 경우 면내 지상축은 선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약 40도 내지 50도, 약 43도 내지 47도, 구체적으로 약 45도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4 위상차 필름은 0 nm 이상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 nm 내지 300 n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 nm 이상, 10 nm 이상, 20 nm 이상, 30nm 이상, 50 nm 이상 또는 65 nm 이상일 수 있고, 300 nm 이하, 250nm 이하, 200nm 이하, 150 nm 이하, 100 nm 이하 또는 75 nm 이하일 수 있다. 제 4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내지 제 4 위상차 필름은 각각 역 파장 분산 특성, 정상 파장 분산 특성 또는 플랫 파장 분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위상차 필름은 R(450)/R(550) 값이 0.6 내지 1.3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위상차 필름은 R(450)/R(550) 값이 0.6 내지 1.3이거나, Rth(450)/Rth(550) 값이 0.6 내지 1.3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3 위상차 필름은 R(450)/R(550) 값이 0.60 내지 1.0, 구체적으로 0.6 내지 0.99 또는 0.6 내지 0.92일 수 있다. 제 3 위상차 필름의 R(650)/R(550) 값은 상기 R(450)/R(550) 값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1.01 내지 1.19, 1.05 내지 1.15 또는 1.09 내지 1.11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4 위상차 필름은 Rth(450)/Rth(550)은 0.6 내지 1.3일 수 있다. 상기에서 R(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를 의미하고, Rth(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의미한다. 제 1, 제 2, 제 3 내지 제 4 위상차 필름의 파장 분산 특성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우수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내지 제 4 위상차 필름은 각각 고분자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으로는, PC(polycarbonate), 노르보넨 수지(norbonene resin), PVA(poly(vinyl alcohol)), PS(polystyren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P(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 Par(poly(arylate)), PA(polya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S(polysulfone) 등을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을 적절한 조건에서 연신 또는 수축 처리하여 복굴절성을 부여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위상차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필름은 액정 분자를 배향 및 중합시킨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분자는 중합성 액정 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액정 분자는, 액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 예를 들면 메조겐(mesogen) 골격 등을 포함하고, 중합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액정 분자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액정 분자가 중합되어 액정 필름 내에서 액정 고분자의 주쇄 또는 측쇄와 같은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내지 제 4 위상차 필름은 두께는 각각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 2, 제 3 내지 제 4 위상차 필름은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0.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타원 편광판은 표면처리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처리 층으로는 반사방지 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표면처리 층은 선 편광자의 외측에, 예를 들어, 제 1 위상차 필름이 배치된 반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층으로는 굴절률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타원 편광판에서, 제 1 위상차 필름, 제 2 위상차 필름, 제 3 위상차 필름, 제 4 위상차 필름 내지 선 편광자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되어 있거나 혹은 직접 코팅에 의해 서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로 또는 접착제로는 광학 투명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은 외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장치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비편광된 광(incident unpolarized light)(이하 "외광"이라 한다)은 선 편광자를 통과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 즉 제 1 편광 직교 성분만이 투과되고, 편광된 광은 제 3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원편광된 광은 기판, 전극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에서 반사되면서 원편광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고 상기 원편광된 광이 제 3 위상차 필름을 다시 통과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다른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 즉 제 2 편광 직교 성분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 2 편광 직교 성분은 선 편광자를 통과하지 못하여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외광 반사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은 특히 측면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장치의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은 시야각 편광 보상 원리를 통해 측면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은 유기 발광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타원 편광판을 적용한 유기 발광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 발광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과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의 일면에 위치하는 타원 편광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타원 편광판의 제 4 위상차 필름 (40)이 선 편광자 (50)에 비하여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상부 전극 및 봉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캐소드는 전자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은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 는 IZO 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 및 상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부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 기판은 유리, 금속 및/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타원 편광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서 빛이 나오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 측으로 빛이 나 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타원 편광판은 외광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전극 및 배선 등과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유기 발광 장치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기 발광 장치의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타원 편광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반사 특성 및 색 특성이 우수한 초고시인성의 타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예 1 컬러 특성 시뮬레이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정면 및 측면에서의 컬러 특성(Techwiz 1D plus, 사나이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평가하였다. 색편차(Color difference, △E* ab, dE)는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식에서 (L* 1,a* 1,b* 1)은 정면 (경사각 0°, 방위각 0°)에서의 반사 색상 값을 의미하며, (L* 2,a* 2,b* 2)는 측면(특정 경사각 및 방위각)에서의 반사 색상 값을 의미한다. dE max 값은 경사각 40도 및 방위각 45도 또는 135도에서의 dE 값 중 최대 값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색 편차 수치(dE 값)가 의미하는 것은 측면의 색상이 정면의 색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E* ab 값이 2.3이면,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로 볼 수 있는데, △E* ab 값이 2.4 미만이면 JND에 근접한 성능을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1
편광자, 제 1 위상차 필름, 제 2 위상차 필름, 제 3 위상차 필름 및 제 4 위상차 필름을 순차로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을 준비하고, 상기 타원 편광판을 제 4 위상차 필름이 OLED 패널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였다.
편광자는 단체 투과율(Ts)이 42.5%인 선 편광자이고, OLED 패널은 Galaxy S6이다. 제 1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그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룬다. 제 2 위상차 필름은 -C 플레이트이다. 제 3 위상차 필름은 R(450)/R(550) 값이 0.86이고, Rin 값이 140 nm이며, 그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45도를 이룬다. 제 4 위상차 필름은 Rth 값이 60 nm인 +C 플레이트이다. 상기에서 Rin은 위상차 필름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 값을 의미하고, Rth는 위상차 필름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의미한다.
표 1, 표 2 및 표 3은 각각 제 1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5, -2.0 및 -4.0인 경우에, 40도 경사각에서 dE Max 값이 2.4 미만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위상차 필름의 광학 물성을 나타낸다.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Rth Rth 총계
0.5 0 0 0 0 2.36
0.5 5 2.5 -2.5 0 2.37
0.5 10 5 -5 0 2.38
0.5 15 7.5 -7.5 0 2.38
0.5 20 10 -10 0 2.37
0.5 25 12.5 -12.5 0 2.37
0.5 30 15 -15 0 2.35
0.5 35 17.5 -17.5 0 2.34
0.5 40 20 -20 0 2.34
0.5 40 20 -15 5 2.39
0.5 45 22.5 -22.5 0 2.36
0.5 45 22.5 -17.5 5 2.35
0.5 50 25 -25 0 2.37
0.5 50 25 -20 5 2.31
0.5 55 27.5 -27.5 0 2.40
0.5 55 27.5 -22.5 5 2.27
0.5 60 30 -25 5 2.24
0.5 60 30 -20 10 2.36
0.5 65 32.5 -27.5 5 2.22
0.5 65 32.5 -22.5 10 2.30
0.5 70 35 -30 5 2.25
0.5 70 35 -25 10 2.24
0.5 75 37.5 -32.5 5 2.27
0.5 75 37.5 -27.5 10 2.18
0.5 75 37.5 -22.5 15 2.37
0.5 80 40 -35 5 2.31
0.5 80 40 -30 10 2.15
0.5 80 40 -25 15 2.28
0.5 85 42.5 -37.5 5 2.36
0.5 85 42.5 -32.5 10 2.17
0.5 85 42.5 -27.5 15 2.20
0.5 90 45 -35 10 2.20
0.5 90 45 -30 15 2.13
0.5 90 45 -25 20 2.35
0.5 95 47.5 -37.5 10 2.24
0.5 95 47.5 -32.5 15 2.12
0.5 95 47.5 -27.5 20 2.24
0.5 100 50 -40 10 2.29
0.5 100 50 -35 15 2.14
0.5 100 50 -30 20 2.15
0.5 105 52.5 -42.5 10 2.37
0.5 105 52.5 -37.5 15 2.17
0.5 105 52.5 -32.5 20 2.11
0.5 105 52.5 -27.5 25 2.30
0.5 110 55 -40 15 2.22
0.5 110 55 -35 20 2.11
0.5 110 55 -30 25 2.19
0.5 115 57.5 -42.5 15 2.30
0.5 115 57.5 -37.5 20 2.16
0.5 115 57.5 -32.5 25 2.16
0.5 115 57.5 -27.5 30 2.36
0.5 120 60 -40 20 2.21
0.5 120 60 -35 25 2.21
0.5 120 60 -30 30 2.23
0.5 125 62.5 -42.5 20 2.28
0.5 125 62.5 -37.5 25 2.25
0.5 125 62.5 -32.5 30 2.25
0.5 130 65 -40 25 2.30
0.5 130 65 -35 30 2.30
0.5 130 65 -30 35 2.30
0.5 135 67.5 -42.5 25 2.34
0.5 135 67.5 -37.5 30 2.34
0.5 135 67.5 -32.5 35 2.34
0.5 140 70 -40 30 2.38
0.5 140 70 -35 35 2.38
0.5 140 70 -30 40 2.38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Rth Rth 총계
-2 0 0 0 0 2.36
-2 5 15 -15 0 2.37
-2 10 30 -30 0 2.35
-2 15 45 -45 0 2.30
-2 20 60 -60 0 2.23
-2 20 60 -55 5 2.32
-2 25 75 -80 -5 2.38
-2 25 75 -75 0 2.16
-2 25 75 -70 5 2.22
-2 30 90 -95 -5 2.36
-2 30 90 -90 0 2.11
-2 30 90 -85 5 2.12
-2 30 90 -80 10 2.29
-2 35 105 -110 -5 2.37
-2 35 105 -105 0 2.08
-2 35 105 -100 5 2.04
-2 35 105 -95 10 2.18
-2 40 120 -120 0 2.11
-2 40 120 -115 5 2.02
-2 40 120 -110 10 2.10
-2 40 120 -105 15 2.35
-2 45 135 -135 0 2.20
-2 45 135 -130 5 2.07
-2 45 135 -125 10 2.10
-2 45 135 -120 15 2.29
-2 50 150 -150 0 2.40
-2 50 150 -145 5 2.19
-2 50 150 -140 10 2.18
-2 50 150 -135 15 2.32
-2 55 165 -160 5 2.40
-2 55 165 -155 10 2.35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Rth Rth 총계
-4 0 0 -2.5 -2.5 2.35
-4 0 0 0 0 2.36
-4 2.5 12.5 -15 -2.5 2.36
-4 2.5 12.5 -12.5 0 2.37
-4 5 25 -27.5 -2.5 2.36
-4 5 25 -25 0 2.37
-4 7.5 37.5 -40 -2.5 2.35
-4 7.5 37.5 -37.5 0 2.36
-4 10 50 -52.5 -2.5 2.33
-4 10 50 -50 0 2.34
-4 10 50 -47.5 2.5 2.38
-4 12.5 62.5 -65 -2.5 2.31
-4 12.5 62.5 -62.5 0 2.30
-4 12.5 62.5 -60 2.5 2.34
-4 15 75 -77.5 -2.5 2.28
-4 15 75 -75 0 2.27
-4 15 75 -72.5 2.5 2.30
-4 15 75 -70 5 2.36
-4 17.5 87.5 -92.5 -5 2.37
-4 17.5 87.5 -90 -2.5 2.25
-4 17.5 87.5 -87.5 0 2.23
-4 17.5 87.5 -85 2.5 2.25
-4 17.5 87.5 -82.5 5 2.31
-4 20 100 -105 -5 2.34
-4 20 100 -102.5 -2.5 2.22
-4 20 100 -100 0 2.19
-4 20 100 -97.5 2.5 2.20
-4 20 100 -95 5 2.26
-4 20 100 -92.5 7.5 2.35
-4 22.5 112.5 -117.5 -5 2.32
-4 22.5 112.5 -115 -2.5 2.21
-4 22.5 112.5 -112.5 0 2.17
-4 22.5 112.5 -110 2.5 2.17
-4 22.5 112.5 -107.5 5 2.21
-4 22.5 112.5 -105 7.5 2.29
-4 25 125 -130 -5 2.30
-4 25 125 -127.5 -2.5 2.21
-4 25 125 -125 0 2.15
-4 25 125 -122.5 2.5 2.14
-4 25 125 -120 5 2.17
-4 25 125 -117.5 7.5 2.24
-4 25 125 -115 10 2.36
-4 27.5 137.5 -142.5 -5 2.33
-4 27.5 137.5 -140 -2.5 2.23
-4 27.5 137.5 -137.5 0 2.16
-4 27.5 137.5 -135 2.5 2.14
-4 27.5 137.5 -132.5 5 2.15
-4 27.5 137.5 -130 7.5 2.22
-4 27.5 137.5 -127.5 10 2.32
-4 30 150 -155 -5 2.38
-4 30 150 -152.5 -2.5 2.27
-4 30 150 -150 0 2.19
-4 30 150 -147.5 2.5 2.15
-4 30 150 -145 5 2.16
-4 30 150 -142.5 7.5 2.21
-4 30 150 -140 10 2.30
-4 32.5 162.5 -165 -2.5 2.33
-4 32.5 162.5 -162.5 0 2.25
-4 32.5 162.5 -160 2.5 2.20
-4 32.5 162.5 -157.5 5 2.20
-4 32.5 162.5 -155 7.5 2.23
-4 32.5 162.5 -152.5 10 2.31
-4 35 175 -175 0 2.33
-4 35 175 -172.5 2.5 2.27
-4 35 175 -170 5 2.26
-4 35 175 -167.5 7.5 2.29
-4 35 175 -165 10 2.35
-4 37.5 187.5 -185 2.5 2.38
-4 37.5 187.5 -182.5 5 2.36
-4 37.5 187.5 -180 7.5 2.38
실시예 2
제 1 위상차 필름과 제 2 위상차 필름을 각각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를 설정하였다.
제 1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그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룬다.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그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룬다.
표 4 및 표 5는 각각 제 1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5 및 -4.0 인 경우에, 40도 경사각에서 dE Max 값이 2.4 미만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위상차 필름의 광학 물성을 나타낸다.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Nz Rin Rth Rth 총계
0.5 100 50 1.6 33.3 -20 30 2.28
0.5 100 50 2.1 22.7 -25 25 2.25
0.5 100 50 2.6 18.8 -30 20 2.31
0.5 100 50 2.6 15.6 -25 25 2.30
0.5 100 50 3.1 14.3 -30 20 2.27
0.5 100 50 3.1 11.9 -25 25 2.36
0.5 100 50 3.6 11.5 -30 20 2.26
0.5 100 50 4.1 11.3 -35 15 2.38
0.5 100 50 4.1 9.7 -30 20 2.26
0.5 100 50 4.6 9.7 -35 15 2.36
0.5 100 50 4.6 8.3 -30 20 2.26
0.5 100 50 5.1 8.5 -35 15 2.34
0.5 100 50 5.1 7.3 -30 20 2.26
0.5 100 50 5.6 7.6 -35 15 2.34
0.5 100 50 5.6 6.5 -30 20 2.26
0.5 100 50 6.1 6.9 -35 15 2.33
0.5 100 50 6.1 5.9 -30 20 2.26
0.5 100 50 6.6 6.3 -35 15 2.32
0.5 100 50 6.6 5.4 -30 20 2.26
0.5 100 50 7.1 5.7 -35 15 2.32
0.5 100 50 7.1 4.9 -30 20 2.26
0.5 100 50 7.6 5.3 -35 15 2.31
0.5 100 50 7.6 4.5 -30 20 2.27
0.5 100 50 8.1 4.9 -35 15 2.31
0.5 100 50 8.1 4.2 -30 20 2.27
0.5 100 50 8.6 4.6 -35 15 2.31
0.5 100 50 8.6 3.9 -30 20 2.28
0.5 100 50 9.1 4.3 -35 15 2.31
0.5 100 50 9.1 3.7 -30 20 2.28
0.5 100 50 9.6 4.1 -35 15 2.30
0.5 100 50 9.6 3.5 -30 20 2.28
0.5 100 50 10.1 3.8 -35 15 2.30
0.5 100 50 10.1 3.3 -30 20 2.28
0.5 100 50 10.6 3.6 -35 15 2.30
0.5 100 50 10.6 3.1 -30 20 2.29
0.5 100 50 11.1 3.5 -35 15 2.30
0.5 100 50 11.1 3.0 -30 20 2.29
0.5 100 50 11.6 3.3 -35 15 2.30
0.5 100 50 11.6 2.8 -30 20 2.29
0.5 100 50 12.1 3.2 -35 15 2.30
0.5 100 50 12.1 2.7 -30 20 2.29
0.5 100 50 12.6 3.0 -35 15 2.30
0.5 100 50 12.6 2.6 -30 20 2.29
0.5 100 50 13.1 2.9 -35 15 2.30
0.5 100 50 13.1 2.5 -30 20 2.29
0.5 100 50 13.6 2.8 -35 15 2.30
0.5 100 50 13.6 2.4 -30 20 2.30
0.5 100 50 14.1 2.7 -35 15 2.30
0.5 100 50 14.1 2.3 -30 20 2.30
0.5 100 50 14.6 2.6 -35 15 2.30
0.5 100 50 14.6 2.2 -30 20 2.30
0.5 100 50 15.1 2.5 -35 15 2.29
0.5 100 50 15.1 2.1 -30 20 2.30
0.5 100 50 15.6 2.4 -35 15 2.29
0.5 100 50 15.6 2.1 -30 20 2.30
0.5 100 50 16.1 2.3 -35 15 2.29
0.5 100 50 16.1 2.0 -30 20 2.30
0.5 100 50 16.6 2.2 -35 15 2.29
0.5 100 50 16.6 1.9 -30 20 2.30
0.5 100 50 17.1 2.2 -35 15 2.29
0.5 100 50 17.1 1.9 -30 20 2.30
0.5 100 50 17.6 2.1 -35 15 2.29
0.5 100 50 17.6 1.8 -30 20 2.30
0.5 100 50 18.1 2.0 -35 15 2.29
0.5 100 50 18.1 1.8 -30 20 2.30
0.5 100 50 18.6 2.0 -35 15 2.29
0.5 100 50 18.6 1.7 -30 20 2.30
0.5 100 50 19.1 1.9 -35 15 2.29
0.5 100 50 19.1 1.7 -30 20 2.31
0.5 100 50 19.6 1.9 -35 15 2.29
0.5 100 50 19.6 1.6 -30 20 2.31
0.5 100 50 20.1 1.8 -35 15 2.29
0.5 100 50 20.1 1.6 -30 20 2.31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Nz Rin Rth Rth 총계
-4 27.5 137.5 3.1 48.8 -102.5 35 2.25
-4 27.5 137.5 4.1 37.9 -117.5 20 2.12
-4 27.5 137.5 4.1 36.3 -112.5 25 1.94
-4 27.5 137.5 4.1 34.7 -107.5 30 2.17
-4 27.5 137.5 5.1 31.1 -127.5 10 2.30
-4 27.5 137.5 5.1 29.9 -122.5 15 1.94
-4 27.5 137.5 5.1 28.7 -117.5 20 1.91
-4 27.5 137.5 5.1 27.4 -112.5 25 2.08
-4 27.5 137.5 6.1 26.0 -132.5 5 2.37
-4 27.5 137.5 6.1 25.0 -127.5 10 1.99
-4 27.5 137.5 6.1 24.0 -122.5 15 1.90
-4 27.5 137.5 6.1 23.0 -117.5 20 1.96
-4 27.5 137.5 6.1 22.1 -112.5 25 2.24
-4 27.5 137.5 7.1 21.7 -132.5 5 2.18
-4 27.5 137.5 7.1 20.9 -127.5 10 1.95
-4 27.5 137.5 7.1 20.1 -122.5 15 1.89
-4 27.5 137.5 7.1 19.3 -117.5 20 2.04
-4 27.5 137.5 7.1 18.4 -112.5 25 2.36
-4 27.5 137.5 8.1 18.7 -132.5 5 2.13
-4 27.5 137.5 8.1 18.0 -127.5 10 1.93
-4 27.5 137.5 8.1 17.3 -122.5 15 1.92
-4 27.5 137.5 8.1 16.5 -117.5 20 2.10
-4 27.5 137.5 9.1 16.4 -132.5 5 2.10
-4 27.5 137.5 9.1 15.7 -127.5 10 1.93
-4 27.5 137.5 9.1 15.1 -122.5 15 1.95
-4 27.5 137.5 9.1 14.5 -117.5 20 2.16
-4 27.5 137.5 10.1 15.1 -137.5 0 2.38
-4 27.5 137.5 10.1 14.6 -132.5 5 2.09
-4 27.5 137.5 10.1 14.0 -127.5 10 1.93
-4 27.5 137.5 10.1 13.5 -122.5 15 1.98
-4 27.5 137.5 10.1 12.9 -117.5 20 2.21
-4 27.5 137.5 11.1 13.6 -137.5 0 2.36
-4 27.5 137.5 11.1 13.1 -132.5 5 2.07
-4 27.5 137.5 11.1 12.6 -127.5 10 1.94
-4 27.5 137.5 11.1 12.1 -122.5 15 2.00
-4 27.5 137.5 11.1 11.6 -117.5 20 2.24
-4 27.5 137.5 12.1 12.4 -137.5 0 2.34
-4 27.5 137.5 12.1 11.9 -132.5 5 2.07
-4 27.5 137.5 12.1 11.5 -127.5 10 1.95
-4 27.5 137.5 12.1 11.0 -122.5 15 2.02
-4 27.5 137.5 12.1 10.6 -117.5 20 2.28
-4 27.5 137.5 13.1 11.4 -137.5 0 2.33
-4 27.5 137.5 13.1 11.0 -132.5 5 2.06
-4 27.5 137.5 13.1 10.5 -127.5 10 1.96
-4 27.5 137.5 13.1 10.1 -122.5 15 2.04
-4 27.5 137.5 13.1 9.7 -117.5 20 2.30
-4 27.5 137.5 14.1 10.5 -137.5 0 2.32
-4 27.5 137.5 14.1 10.1 -132.5 5 2.06
-4 27.5 137.5 14.1 9.7 -127.5 10 1.96
-4 27.5 137.5 14.1 9.4 -122.5 15 2.06
-4 27.5 137.5 14.1 9.0 -117.5 20 2.33
-4 27.5 137.5 15.1 9.8 -137.5 0 2.31
-4 27.5 137.5 15.1 9.4 -132.5 5 2.06
-4 27.5 137.5 15.1 9.0 -127.5 10 1.97
-4 27.5 137.5 15.1 8.7 -122.5 15 2.07
-4 27.5 137.5 15.1 8.3 -117.5 20 2.35
-4 27.5 137.5 16.1 9.1 -137.5 0 2.30
-4 27.5 137.5 16.1 8.8 -132.5 5 2.06
-4 27.5 137.5 16.1 8.4 -127.5 10 1.98
-4 27.5 137.5 16.1 8.1 -122.5 15 2.09
-4 27.5 137.5 16.1 7.8 -117.5 20 2.36
-4 27.5 137.5 17.1 8.5 -137.5 0 2.30
-4 27.5 137.5 17.1 8.2 -132.5 5 2.06
-4 27.5 137.5 17.1 7.9 -127.5 10 1.99
-4 27.5 137.5 17.1 7.6 -122.5 15 2.10
-4 27.5 137.5 17.1 7.3 -117.5 20 2.38
-4 27.5 137.5 18.1 8.0 -137.5 0 2.29
-4 27.5 137.5 18.1 7.7 -132.5 5 2.06
-4 27.5 137.5 18.1 7.5 -127.5 10 1.99
-4 27.5 137.5 18.1 7.2 -122.5 15 2.11
-4 27.5 137.5 18.1 6.9 -117.5 20 2.39
-4 27.5 137.5 19.1 7.6 -137.5 0 2.29
-4 27.5 137.5 19.1 7.3 -132.5 5 2.06
-4 27.5 137.5 19.1 7.0 -127.5 10 2.00
-4 27.5 137.5 19.1 6.8 -122.5 15 2.12
-4 27.5 137.5 20.1 7.2 -137.5 0 2.29
-4 27.5 137.5 20.1 6.9 -132.5 5 2.06
-4 27.5 137.5 20.1 6.7 -127.5 10 2.00
-4 27.5 137.5 20.1 6.4 -122.5 15 2.13
실시예 3
제 1 위상차 필름과 제 2 위상차 필름을 각각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를 설정하였다.
제 1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그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룬다.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그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룬다.
표 6 및 표 7은 각각 제 1 위상차 필름의 Nz 값이 0.5 및 -4.0인 경우에, 40도 경사각에서 dE Max 값이 2.4 미만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위상차 필름의 광학 물성을 나타낸다.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Nz Rin Rth Rth 총계
0.5 100 50 1.6 25.0 -15 35 2.29
0.5 100 50 2.1 18.2 -20 30 2.28
0.5 100 50 2.6 15.6 -25 25 2.30
0.5 100 50 3.1 11.9 -25 25 2.28
0.5 100 50 3.6 11.5 -30 20 2.35
0.5 100 50 3.6 9.6 -25 25 2.28
0.5 100 50 4.1 9.7 -30 20 2.31
0.5 100 50 4.1 8.1 -25 25 2.32
0.5 100 50 4.6 8.3 -30 20 2.30
0.5 100 50 4.6 6.9 -25 25 2.35
0.5 100 50 5.1 7.3 -30 20 2.29
0.5 100 50 5.1 6.1 -25 25 2.37
0.5 100 50 5.6 6.5 -30 20 2.28
0.5 100 50 5.6 5.4 -25 25 2.39
0.5 100 50 6.1 5.9 -30 20 2.28
0.5 100 50 6.6 6.3 -35 15 2.39
0.5 100 50 6.6 5.4 -30 20 2.27
0.5 100 50 7.1 5.7 -35 15 2.37
0.5 100 50 7.1 4.9 -30 20 2.27
0.5 100 50 7.6 5.3 -35 15 2.37
0.5 100 50 7.6 4.5 -30 20 2.27
0.5 100 50 8.1 4.9 -35 15 2.36
0.5 100 50 8.1 4.2 -30 20 2.27
0.5 100 50 8.6 4.6 -35 15 2.35
0.5 100 50 8.6 3.9 -30 20 2.27
0.5 100 50 9.1 4.3 -35 15 2.35
0.5 100 50 9.1 3.7 -30 20 2.27
0.5 100 50 9.6 4.1 -35 15 2.34
0.5 100 50 9.6 3.5 -30 20 2.27
0.5 100 50 10.1 3.8 -35 15 2.34
0.5 100 50 10.1 3.3 -30 20 2.27
0.5 100 50 10.6 3.6 -35 15 2.33
0.5 100 50 10.6 3.1 -30 20 2.27
0.5 100 50 11.1 3.5 -35 15 2.33
0.5 100 50 11.1 3.0 -30 20 2.27
0.5 100 50 11.6 3.3 -35 15 2.33
0.5 100 50 11.6 2.8 -30 20 2.27
0.5 100 50 12.1 3.2 -35 15 2.32
0.5 100 50 12.1 2.7 -30 20 2.27
0.5 100 50 12.6 3.0 -35 15 2.32
0.5 100 50 12.6 2.6 -30 20 2.27
0.5 100 50 13.1 2.9 -35 15 2.32
0.5 100 50 13.1 2.5 -30 20 2.27
0.5 100 50 13.6 2.8 -35 15 2.32
0.5 100 50 13.6 2.4 -30 20 2.27
0.5 100 50 14.1 2.7 -35 15 2.32
0.5 100 50 14.1 2.3 -30 20 2.28
0.5 100 50 14.6 2.6 -35 15 2.31
0.5 100 50 14.6 2.2 -30 20 2.28
0.5 100 50 15.1 2.5 -35 15 2.31
0.5 100 50 15.1 2.1 -30 20 2.28
0.5 100 50 15.6 2.4 -35 15 2.31
0.5 100 50 15.6 2.1 -30 20 2.28
0.5 100 50 16.1 2.3 -35 15 2.31
0.5 100 50 16.1 2.0 -30 20 2.28
0.5 100 50 16.6 2.2 -35 15 2.31
0.5 100 50 16.6 1.9 -30 20 2.28
0.5 100 50 17.1 2.2 -35 15 2.31
0.5 100 50 17.1 1.9 -30 20 2.28
0.5 100 50 17.6 2.1 -35 15 2.31
0.5 100 50 17.6 1.8 -30 20 2.29
0.5 100 50 18.1 2.0 -35 15 2.31
0.5 100 50 18.1 1.8 -30 20 2.29
0.5 100 50 18.6 2.0 -35 15 2.31
0.5 100 50 18.6 1.7 -30 20 2.29
0.5 100 50 19.1 1.9 -35 15 2.31
0.5 100 50 19.1 1.7 -30 20 2.29
0.5 100 50 19.6 1.9 -35 15 2.30
0.5 100 50 19.6 1.6 -30 20 2.29
0.5 100 50 20.1 1.8 -35 15 2.30
0.5 100 50 20.1 1.6 -30 20 2.29
제1위상차 필름 제2 위상차 필름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 dE Max
@ 40°경사각
Nz Rin Rth Nz Rin Rth Rth 총계
-4 27.5 137.5 9.1 14.5 -117.5 20 2.37
-4 27.5 137.5 10.1 13.5 -122.5 15 2.36
-4 27.5 137.5 10.1 12.9 -117.5 20 2.36
-4 27.5 137.5 11.1 12.1 -122.5 15 2.32
-4 27.5 137.5 11.1 11.6 -117.5 20 2.35
-4 27.5 137.5 12.1 11.0 -122.5 15 2.29
-4 27.5 137.5 12.1 10.6 -117.5 20 2.35
-4 27.5 137.5 13.1 10.5 -127.5 10 2.37
-4 27.5 137.5 13.1 10.1 -122.5 15 2.27
-4 27.5 137.5 13.1 9.7 -117.5 20 2.36
-4 27.5 137.5 14.1 9.7 -127.5 10 2.33
-4 27.5 137.5 14.1 9.4 -122.5 15 2.26
-4 27.5 137.5 14.1 9.0 -117.5 20 2.37
-4 27.5 137.5 15.1 9.0 -127.5 10 2.30
-4 27.5 137.5 15.1 8.7 -122.5 15 2.25
-4 27.5 137.5 15.1 8.3 -117.5 20 2.38
-4 27.5 137.5 16.1 8.4 -127.5 10 2.28
-4 27.5 137.5 16.1 8.1 -122.5 15 2.24
-4 27.5 137.5 16.1 7.8 -117.5 20 2.38
-4 27.5 137.5 17.1 7.9 -127.5 10 2.26
-4 27.5 137.5 17.1 7.6 -122.5 15 2.24
-4 27.5 137.5 17.1 7.3 -117.5 20 2.39
-4 27.5 137.5 18.1 7.5 -127.5 10 2.25
-4 27.5 137.5 18.1 7.2 -122.5 15 2.23
-4 27.5 137.5 19.1 7.0 -127.5 10 2.23
-4 27.5 137.5 19.1 6.8 -122.5 15 2.23
-4 27.5 137.5 20.1 6.9 -132.5 5 2.38
-4 27.5 137.5 20.1 6.7 -127.5 10 2.22
-4 27.5 137.5 20.1 6.4 -122.5 15 2.23
비교예 1
제 1 위상차 필름과 제 2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지 않고, 편광자, 제 3 위상차 필름 및 제 4 위상차 필름을 순차로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을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를 설정하였다. 비교예 1의 dE max 값은 2.8이었다.
10: 제 1 위상차 필름
20: 제 2 위상차 필름
30: 제 3 위상차 필름
40: 제 4 위상차 필름
50: 선 편광자
100: 타원 편광판
200: 유기 발광 표시 패널

Claims (18)

  1. 선 편광자, 제 1 위상차 필름, 제 2 위상차 필름, 제 3 위상차 필름 및 제 4 위상차 필름을 순차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은 하기 수식 1의 Nz 값이 1 미만인 +B 플레이트 또는 -A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은 하기 수식 1의 Nz 값이 1 초과인 -B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C 플레이트이며,
    상기 제 3 위상차 필름은 하기 수식 1의 Nz 값이 0.8 내지 1.2이고, 면내 지상축은 상기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43도 내지 47도를 이루며,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은 하기 수식 1의 Nz 값이 -4.0 이하인 +B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하는 +C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와 제 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의 합계 수치가 -40 nm 내지 70 nm이며,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수식 2로 정의되는 타원 편광판:
    [수식 1]
    Nz = (nx-nz)/(nx-ny)
    [수식 2]
    Rth = (nz-ny) × d
    [일반식 1]
    nx = ny > nz
    [일반식 2]
    nx = ny < nz
    수식 1 내지 2 및 일반식 1 내지 2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위상차 필름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x축은 위상차 필름의 면내 지상축(slow axis)과 평행한 방향이며, y축은 위상차 필름의 면내 진상축(fast axis)과 평행한 방향이고, z축은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이고, d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의 Nz 값은 -6 내지 0.5인 타원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0 nm 내지 180 nm인 타원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0 nm 내지 220 nm인 타원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은 면내 지상축이 상기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을 이루는 타원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차 필름의 R(450)/R(550)은 0.6 내지 1.3이고, R(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를 의미하는 타원 편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Nz 값이 3.1 이상인 타원 편광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내 위상차 값이 0.5 nm 내지 55 nm인 타원 편광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160 nm 내지 -5 nm인 타원 편광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이고, 면내 지상축은 상기 선 편광자의 흡수축과 수직 또는 평행을 이루는 타원 편광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은 -C 플레이트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220 nm 내지 0 nm인 타원 편광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차 필름의 R(450)/R(550)은 0.6 내지 1.3이거나, Rth(450)/Rth(550)은 0.6 내지 1.3이고 R(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를 의미하고, Rth(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의미하는 타원 편광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상차 필름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130 nm 내지 150 nm인 타원 편광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상차 필름의 R(450)/R(550)는 0.6 내지 1.0이고, R(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를 의미하는 타원 편광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0 nm 내지 300 nm인 타원 편광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위상차 필름의 Rth(450)/Rth(550)은 0.6 내지 1.3이고, Rth(λ)는 λnm 광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의미하는 타원 편광판.
  17. 제 1 항의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타원 편광판의 제 4 위상차 필름이 선 편광자에 비하여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기발광장치.
KR1020180044315A 2018-04-17 2018-04-17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10218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15A KR102183675B1 (ko) 2018-04-17 2018-04-17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JP2020550095A JP7039113B2 (ja) 2018-04-17 2019-04-17 楕円偏光板および有機発光装置
CN201980024143.7A CN111971596B (zh) 2018-04-17 2019-04-17 椭圆偏光板和有机发光器件
TW108113407A TWI708108B (zh) 2018-04-17 2019-04-17 橢圓偏光板與有機發光裝置
US16/982,896 US11937487B2 (en) 2018-04-17 2019-04-17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EP19788015.6A EP3783401B1 (en) 2018-04-17 2019-04-17 Elliptical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CT/KR2019/004624 WO2019203562A1 (ko) 2018-04-17 2019-04-17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15A KR102183675B1 (ko) 2018-04-17 2018-04-17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25A true KR20190120925A (ko) 2019-10-25
KR102183675B1 KR102183675B1 (ko) 2020-11-27

Family

ID=6823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15A KR102183675B1 (ko) 2018-04-17 2018-04-17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37487B2 (ko)
EP (1) EP3783401B1 (ko)
JP (1) JP7039113B2 (ko)
KR (1) KR102183675B1 (ko)
CN (1) CN111971596B (ko)
TW (1) TWI708108B (ko)
WO (1) WO20192035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7648A (zh) * 2020-09-04 2022-03-04 三星Sdi株式会社 偏光板和包括该偏光板的光学显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674B1 (ko) * 2018-04-17 2020-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102261688B1 (ko) * 2018-04-17 2021-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WO2023080232A1 (ja) * 2021-11-08 2023-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光学積層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表示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785A (ko) * 2005-08-30 2007-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7703A (ko) * 2004-06-29 2008-07-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위상차필름의 설계 방법
KR20090122138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KR20140089678A (ko) * 2013-01-04 2014-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KR20160109525A (ko) * 2015-03-11 2016-09-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40565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KR20170068861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121987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5895B2 (en) * 2005-06-14 2009-10-20 Lg Chem, Ltd.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wo sheets of biaxial negative retardation film and a plate
TW200821691A (en) * 2006-07-26 2008-05-1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98941B2 (ja) 2006-11-20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34546A (ja) 2006-11-29 2008-06-12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127046B2 (ja) 2008-02-12 2013-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66255A (ko) * 2009-12-11 2011-06-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JP5830949B2 (ja) 2010-07-06 2015-12-09 東ソー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用フマル酸ジエステル系樹脂及びそれよりなる位相差フィルム
CN106094090B (zh) 2011-12-19 2017-12-22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20140118595A (ko) 2013-03-29 2014-10-08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001500B2 (ja) 2013-05-17 2016-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5106114A (ja) 2013-12-02 2015-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1993736B1 (ko) * 2015-07-14 2019-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BR112018004023B1 (pt) 2015-08-28 2022-09-20 Dayco Ip Holdings, Llc Restritores utilizando o efeito venturi
JP6712157B2 (ja) 2016-03-25 2020-06-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KR102509462B1 (ko) * 2016-04-05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102084118B1 (ko) * 2017-09-29 2020-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83674B1 (ko) * 2018-04-17 2020-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102261688B1 (ko) * 2018-04-17 2021-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KR102183676B1 (ko) * 2018-04-17 2020-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703A (ko) * 2004-06-29 2008-07-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위상차필름의 설계 방법
KR20090127375A (ko) * 2004-06-29 2009-12-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24785A (ko) * 2005-08-30 2007-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액정표시장치
KR20090122138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KR20140089678A (ko) * 2013-01-04 2014-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KR20160109525A (ko) * 2015-03-11 2016-09-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40565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KR20170068861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121987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7648A (zh) * 2020-09-04 2022-03-04 三星Sdi株式会社 偏光板和包括该偏光板的光学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71596B (zh) 2022-05-31
TW201944152A (zh) 2019-11-16
CN111971596A (zh) 2020-11-20
EP3783401A4 (en) 2021-05-19
US11937487B2 (en) 2024-03-19
TWI708108B (zh) 2020-10-21
JP2021516789A (ja) 2021-07-08
JP7039113B2 (ja) 2022-03-22
KR102183675B1 (ko) 2020-11-27
EP3783401B1 (en) 2022-09-07
WO2019203562A1 (ko) 2019-10-24
EP3783401A1 (en) 2021-02-24
US20210013276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006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102183676B1 (ko)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TWI645976B (zh) 抗反射光學濾波器與有機發光元件
KR102183675B1 (ko) 타원 편광판 및 유기발광장치
TWI708077B (zh) 橢圓偏光板與有機發光裝置
KR101953370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TWI708078B (zh) 橢圓偏光板及有機發光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