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63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634A
KR20190120634A KR1020180044051A KR20180044051A KR20190120634A KR 20190120634 A KR20190120634 A KR 20190120634A KR 1020180044051 A KR1020180044051 A KR 1020180044051A KR 20180044051 A KR20180044051 A KR 20180044051A KR 20190120634 A KR20190120634 A KR 2019012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indow
mobile terminal
holes
fine holes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수
권도형
김동현
박상욱
정상훤
홍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634A/ko
Priority to US16/050,241 priority patent/US10834243B2/en
Publication of KR2019012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윈도우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 크랙의 전파로 인해 출력 영역을 시청하는데 방해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구비된 전면 윈도우 및 상기 전면 윈도우의 제1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면 윈도우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은 어레이 패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윈도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외부의 터치 입력을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패널이 적층되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출력 방식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분된다.
LCD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곽에 글래스 레이어를 갖는다. 반면 OLED 방식, 특히 P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별도의 글래스 레이어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양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두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었을 때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취약하다. LCD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글래스 레이어 만으로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없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깨질 수 있으며,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데드 픽셀이 발생할 수 있다.
전면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한다.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면 윈도우는 글래스(Glass) 또는 세라믹(Ceramic)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윈도우의 구비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이동 단말기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형상 특징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 또는 모퉁이가 충격이 가해질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이로 인해 전면 윈도우 테두리 영역으로부터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크랙은 재질 특성상 전면 윈도우 테두리 영역에서 발생하더라도 내부로 진행되어 확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력하는 출력 영역까지 크랙이 확장되어 시인성을 해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이동 단말기 윈도우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 크랙의 전파로 인해 출력 영역을 시청하는데 방해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구비된 전면 윈도우 및 상기 전면 윈도우의 제1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면 윈도우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은 어레이 패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은, 상기 전면 윈도우의 인접한 모서리와 평행한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열 중 상기 전면 윈도우의 인접한 모서리와 가장 인접한 열은, 상기 가장 인접한 열의 미세 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전면 윈도우의 인접한 모서리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가장 인접한 열의 미세 홀의 반지름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열 중 각 열의 복수의 미세 홀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이고, 상기 각 열의 인접한 미세 홀은 각 중심간 제2 거리가 각 미세 홀의 반지름 합의 1.5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열은,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이 격자 무늬로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열 사이의 제3 거리는 인접한 열의 각 미세 홀의 각 반지름 합의 1.5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면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영역에 대응되는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외곽에 위치하여 배면 적어도 일 영역에 인쇄 영역을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베젤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면 윈도우의 전면에는 지문 방지 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세 홀은 레이저 가공 및 에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미세 홀은 0.0005mm 이상 0.0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크랙이 전면 윈도우 내부로 확장될 확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세 홀의 구비에도 불구하고 전면 윈도우의 강성이 크게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세 홀의 구비에도 불구하고 방수 성능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면 윈도우의 크랙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면 윈도우의 일 영역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미세 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미세 홀의 어레이 패턴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면 윈도우의 일 단면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구성인 디스플레이 패널(1512)와 디스플레이 패널(1512)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12)의 출력 영역을 광학적으로 보장하고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512)을 보호하는 전면 윈도우(1511)를 포함한다.
전면 윈도우(1511)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전면 윈도우(1511)와 전면 윈도우(1511)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 패널(1512)사이에 배치되거나, 전면 윈도우(1511)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5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512)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 윈도우(1511) 외측 테두리 부근 영역에서 발생한 크랙이 전면 윈도우(1511) 내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미세 홀(210)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면 윈도우(151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이 윈도우로 구성되는 경우 등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어디든지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면 윈도우(1511)의 소재는 글래스(Glass)가 될 수 있다. 이때 글래스는 단일, 또는 복수의 적층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윈도우(1511)는 글래스 및 플라스틱(Plastic)의 적층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TCM을 포함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PG2540, GP3012, PP2550 등의 전면 윈도우(1511)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수치 등에 관한 특징은 전면 윈도우(1511)가 약 80Gpa의 탄성 계수를 갖고 두께가 0.5mm 인 경우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미세 홀(210)은 전면 윈도우(1511)의 외곽 테두리 영역 부근 제1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미세 홀(210)은 도 2와 같이 전면 윈도우(1511)의 외곽 테두리 부근의 전체 둘레 영역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미세 홀(210)이 전면 윈도우(1511) 전체 둘레영역을 따라 구비되는 경우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발생한 충격 또는 크랙이 전면 윈도우(1511) 내측으로 전파될 가능성을 최소화 한다.
또는 복수의 미세 홀(210)은 전면 윈도우(1511)의 일부 둘레 영역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 전면 상측 또는 하측에는 카메라(121a), 리시버(152a) 또는 버튼(미도시) 등으로 인해 미세 홀(210)이 구비될 충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미세 홀(210)은 전면 윈도우(1511)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미세 홀(210)이 외곽 테두리에 지나치게 인접하여 구비되면 외곽 테두리 영역의 강성이 저하되어 오히려 전면 윈도우(1511)가 더 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특히 미세 홀(210)이 원형인 경우, 모서리부터 가장 인접한 미세 홀(210) 중심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로 정의한다. 제1 거리는 미세 홀(210)의 반지름의 1.5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적으로, 제1 거리가 미세 홀(210)의 반지름의 1.5배 미만이 되는 경우 전면 윈도우(1511)의 강성이 1/5로 급격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복수의 미세 홀(210)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구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미세 홀이 원형인 경우, 미세 홀(210)은 0.0005mm 이상 0.02mm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도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미세 홀이 원형인 것을 전제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영역에 대응되는 전면 윈도우(1511) 영역을 투명부(1511a)라 하고, 나머지 외측 영역을 베젤부(1511b)라 정의한다.
상기 반지름 조건을 만족하는 미세 홀(210)은 육안으로 잘 보이지는 않아 그 자체로 시인되지는 않는다. 다만 투명부(1511a)에 미세 홀(210)이 구비되는 경우 빛의 진행을 방해하여 출력 영역에 있어서 왜곡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베젤부(1511b)에 구비됨으로써 전면 윈도우(1511) 외곽 테두리에서 발생한 크랙이 투명부(1511a)까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실시 예와 달리, 복수의 미세 홀(210)은 전면 윈도우(1511)의 투명부(1511a) 경계로부터 제2 거리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열의 미세 홀(210)의 중심으로부터 투명부(1511a)까지의 거리 제2 거리는 0.0005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에 의해 0.0005mm 정도의 제조 공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미세 홀(210)이 베젤부(1511b)에 구비되므로 크랙이 투명부(1511a)로 전파되는 것을 막는 역할은 도 2의 실시 예와 같다. 다만 도 2의 실시 예와 달리 복수의 미세 홀(210)이 전면 윈도우(1511)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충분히 이격 구비될 수 있어 모서리 영역의 충격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효과도 있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 확대도이다.
복수의 미세 홀(210)은 어레이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어레이 패턴은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배치 특성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미세 홀(210)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반복되어 구비된다. 어레이 패턴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은 후술하도록 한다.
복수의 미세 홀(210)이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한다고 할 때, 하나의 열에 구비되는 복수의 미세 홀(210)은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정 열 내의 미세 홀(210) 중심간 거리인 홀 간 거리는 각 미세 홀(210) 반지름 합의 1.5배 이상 5배 이하가 적절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의해, 상기 범위보다 미세 홀(210)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지는 경우 크랙이 투명부로 전파되는 것을 막는 저지율이 25% 이하로 감소하며, 상기 범위보다 미세 홀(210)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지는 경우 전면 윈도우의 강성이 1/5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홀 간 거리는 1.5배 이상 3배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크랙이 투명부까지 전파되는 것을 막는 저지율이 50%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복수의 미세 홀(210)은 복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열은 인접한 모서리(1511c)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인접한 모서리(1511c)에서 크랙이 발생한 경우, 미세 홀(210)은 복수의 열로 중첩되어 구비되어 전면 윈도우(1511) 모서리(1511c)에서 발생한 크랙이 투명부(1511a)까지 전달될 확률을 최소화 시킨다.
크랙이 투명부(1511a)로 전달되는 확률을 최소화 하기 위해 열의 개수는 많을수록 좋으나, 미세 홀(21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전면 윈도우(1511)의 강성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미세 홀(210)은 모서리(1511c)에 평행한 3열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열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열은 미세 홀(210) 중심간 거리인 열 간 거리는 각 미세 홀(210) 반지름 합의 1.5배 이상 5배 이하가 적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미세 홀(210)의 반지름이라 함은 인접한 두 미세 홀(210) 각각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에 의해, 상기 범위보다 미세 홀(210)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지는 경우 크랙이 투명부(1511a)로 전파되는 것을 막는 저지율이 25% 이하로 감소하며, 상기 범위보다 미세 홀(210)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지는 경우 전면 윈도우(1511)의 강성이 1/5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열 간 거리는 1.5배 이상 3배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크랙이 투명부(1511a)까지 전파되는 것을 막는 저지율이 50% 이상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복수 열은 위상 차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각 열의 인접한 미세 홀(210)들은 전면 윈도우(1511)의 모서리(1511c)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 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면 윈도우의 크랙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면 윈도우에서 발생하는 크랙(300)은 일반적으로 도 5(a)와 같은 경향을 띤다. 최초 크랙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진하는 성질의 제1 크랙(310), 제1 크랙(310)의 일정 지점에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진행하는 제2 크랙(320)을 포함하게 된다. 크랙(300) 전체 관점에서 보면 최초 크랙인 제1 크랙(310)의 진행 방향을 따라 계속 진행하되,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진행된다. 다만 이는 전체적인 경향을 띠는 것으로 반드시 이러한 형태인 것은 아니다.
도 5(b)는 상대적으로 낮은 스트레스가 가해진 경우, 도 5(c)는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가 가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제2 크랙(320)의 개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미세 홀로 크랙(300)의 진행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크랙(300)의 발생 및 진행 패턴의 고려가 필요하다. 한 가지 방안으로, 제2 크랙(320)으로 전파되기 전에 제1 크랙(310)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면 윈도우의 일 영역 확대도이다.
도 4의 실시 예와 달리, 도 5와 같은 크랙 전파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열은 복수의 미세 홀(210)이 격자 무늬로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접한 복수열은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열의 미세 홀(210) 사이를 지나간 크랙이 다음 열에서 미세 홀(210)에서 만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미세 홀(210)을 도시한 것이다.
특정 열의 특정 미세 홀(210) 중심은 인접한 열 내의 인접한 두 미세 홀(211)의 접선 범위 사이에 구비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가장 이상적으로는 인접한 두 미세 홀(211)의 접선의 사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미세 홀(210)의 어레이 패턴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복수의 미세 홀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경우를 개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미세 홀(210)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4와 같이 위상차가 없는 복수의 열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서로 다른 반경의 미세 홀(210)을 배치함으로써 전면 윈도우(1511)의 강성 저하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크랙의 투명부 전파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도 11의 경우, 전면 윈도우(1511) 모서리(1511c)에 인접한 열의 미세 홀(212)의 직경은 작게하여 충격이 주로 가해지는 전면 윈도우(1511) 외측 영역의 강성은 상대적으로 높게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미세 홀(213)의 직경을 크게하여 크랙의 전파 저지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6과 같이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열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반경의 미세 홀(210)을 교차로 구비시킴으로써 강성 및 크랙의 전파 저지율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면 윈도우(1511)의 일 단면 개념도이다.
인쇄층(1513)은 전면 윈도우(1511)의 배면(1511d)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전면 윈도우의 물성인 광학적 투명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512)의 출력 영역 이외에 불필요한 영역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윈도우(1511)의 영역을 투명부(1511a)와 베젤부(1511b)로 나눌 때, 복수의 미세 홀(210)은 인쇄층(1513)을 포함하는 베젤부(1511b)에 구비될 수 있다. 인쇄층(1513)이 구비된 영역에 미세 홀(210)을 배치시킴으로써 전면 윈도우(1511)의 배면(1511d)에 인쇄층(1513)이 위치하므로 미세 홀(210)을 통한 액체의 유입 가능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 전면 윈도우(1511)의 전면(1511e)에는 지문 방지 코팅층(1514)이 구비될 수 있다. 지문 방지 코팅층(1514)의 재질 특성상 전면 윈도우(1511)의 접촉각은 지문 방지 코팅층(1511e)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커지게 되고, 따라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전면 윈도우(1511) 배면 내부 영역으로 들어갈 확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복수의 미세 홀은 레이저(Laser) 및 에칭(Etching)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공정을 통해 미세 홀이 형성되는 경우, 미세 홀 형성 과정에 있어서 미세 홀 주변 영역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크랙 발생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에칭 가공은 이러한 미세 홀 주변의 미세한 크랙을 제거한다. 에칭 가공은 레이저 가공이 된 전면 윈도우를 불산 또는 알칼리 용액에 그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511: 전면 윈도우
1511a: 투명부
1511b: 베젤부
1511c: 모서리
1511d: 전면 윈도우 배면
1511e: 전면 윈도우 전면
1512: 디스플레이 패널
1513: 인쇄층
1514: 지문 방지 코팅층
210: 미세 홀
300: 크랙
310: 제1 크랙
320: 제2 크랙

Claims (12)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구비된 전면 윈도우; 및
    상기 전면 윈도우의 제1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전면 윈도우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은 어레이 패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은,
    상기 전면 윈도우의 인접한 모서리와 평행한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열 중 상기 전면 윈도우의 인접한 모서리와 가장 인접한 열은,
    상기 가장 인접한 열의 미세 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전면 윈도우의 인접한 모서리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가장 인접한 열의 미세 홀의 반지름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 중 각 열의 복수의 미세 홀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이고,
    상기 각 열의 인접한 미세 홀은 각 중심간 제2 거리가 각 미세 홀의 반지름 합의 1.5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은,
    상기 복수의 미세 홀이 격자 무늬로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열 사이의 제3 거리는 인접한 열의 각 미세 홀의 각 반지름 합의 1.5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영역에 대응되는 투명부; 및
    상기 투명부의 외곽에 위치하여 배면 적어도 일 영역에 인쇄 영역을 형성하는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베젤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윈도우의 전면에는 지문 방지 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홀은 레이저 가공 및 에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홀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홀은 0.0005mm 이상 0.0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80044051A 2018-04-16 2018-04-16 이동 단말기 KR20190120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51A KR20190120634A (ko) 2018-04-16 2018-04-16 이동 단말기
US16/050,241 US10834243B2 (en) 2018-04-16 2018-07-31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51A KR20190120634A (ko) 2018-04-16 2018-04-16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34A true KR20190120634A (ko) 2019-10-24

Family

ID=6816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51A KR20190120634A (ko) 2018-04-16 2018-04-16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34243B2 (ko)
KR (1) KR20190120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7038B2 (en) 2021-03-31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498B1 (ko) * 2018-09-13 202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12084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81541B (zh) * 2020-06-28 2021-08-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710245B (zh) * 2020-07-17 2022-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104B1 (en) * 1999-06-25 2003-02-04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wiring device
WO2005049110A2 (en) * 2003-11-15 2005-06-02 Medrad, Inc. Catheter for diagnostic imaging and therapeutic procedures
JP2010114069A (ja) * 2008-10-10 2010-05-2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KR20100076439A (ko) * 2008-12-26 2010-07-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표면에 마이크로 기포 형성방법
KR20130074432A (ko) * 2011-12-26 201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형 장치용 투명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형 장치
US9250445B2 (en) * 2012-08-08 2016-02-02 Carol Ann Tosaya Multiple-pixel-beam retinal displays
US20140093095A1 (en) * 2012-09-28 2014-04-03 Nokia Corporation Porous cover structures for mobile device audio
CN104956693B (zh) * 2012-10-18 2018-08-0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音频换能器系统的谐振阻尼
CN204249481U (zh) * 2014-11-07 2015-04-08 上海本朴科技发展有限公司 带有曲面边框的屏幕保护膜
US20160349808A1 (en) * 2015-05-29 2016-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cro-Hole Perforated Structure
EP3317716B1 (en) * 2015-07-03 2020-03-1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ed reality
KR102326122B1 (ko) * 2015-09-03 2021-11-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7095545A1 (en) * 2015-11-30 2017-06-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Multi-fiber ferrule and opt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7038B2 (en) 2021-03-31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0049A1 (en) 2019-10-17
US10834243B2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7448B2 (en) Mobile terminal
US9436225B2 (en) Mobile terminal
US9829733B2 (en) Mobile terminal
KR20190120634A (ko) 이동 단말기
EP2916194B1 (en) Mobile terminal
KR102384640B1 (ko) 이동 단말기
EP3187966B1 (en) Mobile terminal
KR102560669B1 (ko) 이동 단말기
US9971175B2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70054910A (ko) 이동 단말기
KR102152168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33977A (ko) 이동 단말기
US2019017913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device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KR1018327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0493B1 (ko) 이동 단말기
US11529789B2 (en) Mobile terminal
US20220243096A1 (en) Adhesive tape and mobile terminal
KR102257631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8712A (ko) 이동 단말기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US11431832B2 (en) Mobile terminal
US12009367B2 (en) Mobile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