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41A -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0541A KR20190120541A KR1020180043859A KR20180043859A KR20190120541A KR 20190120541 A KR20190120541 A KR 20190120541A KR 1020180043859 A KR1020180043859 A KR 1020180043859A KR 20180043859 A KR20180043859 A KR 20180043859A KR 20190120541 A KR20190120541 A KR 201901205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ewer
- moving
- vacuum packaging
- cooking
- sti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꼬치 자동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꼬치를 자동으로 회전 및 이동시켜 골고루 구워지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된 꼬치를 자동 이송시켜 급속냉동 및 진공포장 해줌으로써, 꼬치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의 과정을 일원화시킬 수 있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ewer automatic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and in more detail can be cooked to bake evenly by automatically rotating and moving the skewer, by automatically conveying the cooked skewer by rapid freezing and vacuum packag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and vacuum packaging system capable of unifying the processes of cooking, quenching and vacuum packaging of skewers.
통상적으로 노점이나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꼬치구이는 숯불에 굽는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꼬치를 숯불에 굽는 방법은 장작 등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준비과정이 복잡하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꼬치를 골고루 익히기 위해서 사람이 계속해서 꼬치를 돌려주어야 하며, 한정된 크기의 불판에서 꼬치를 조리해야 하기 때문에 꼬치를 대량으로 굽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의 온도를 일정하게 맞추기 어려워 꼬치의 맛이 일정하게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Grilled skewers, which are usually sold at stalls and restaurants, are often grilled on charcoal. The method of baking skewers on a charcoal fire has a problem in that the prepar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keep the temperature consta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irewood. In addition, in order to cook the skewer evenly, a person must continuously turn the skewer, and since the skewer must be cooked on a limited size plate, it is difficult to bake the skewer in large quantities,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charcoal const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ste is not cooked regularly.
한편,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냉동 꼬치나 음식점에 대량으로 납품되는 꼬치는, 꼬치 제조 공장에서 꼬치를 조리한 후 급냉 및 포장하여 판매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대량으로 꼬치를 제작하는 꼬치구이기의 기술이 미비한 상태이며, 구이기로부터 조리한 꼬치를 급냉기와 진공포장기로 자동 이송하는 구조적 설계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생산성 및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frozen skewers sold in convenience stores or skewers delivered in large quantities to restaurants are cooked at a skewer manufacturing plant, then quenched and packaged and sold.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of grilling skewers is currently produced. Incomplete state, there is no structural design to automatically transfer the skewers cooked from the roaster to the quenching and vacuum packaging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is lowered.
(특허문헌 1) KR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3033호(2000.07.15.)(Patent Document 1) KR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0-0013033 (2000.07.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꼬치를 자동으로 회전 및 이동시켜 골고루 구워지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된 꼬치를 자동 이송시켜 급속냉동 및 진공포장 해줌으로써, 꼬치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의 과정을 일원화시킬 수 있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and move the skewers automatically to cook evenly baked, by automatically transporting the cooked skewers by rapid freezing and vacuum packaging,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skewer cooking, quenching and vacuum packaging system that can centralize the process of cooking, quenching and vacuum packing of skewers.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과, 한 쌍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회전하며 스틱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꼬치를 이동시키는 꼬치 이동부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이동하는 꼬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꼬치 조리장치; 꼬치 조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꼬치 조리장치를 통해 조리된 꼬치를 꼬치 이동부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한 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꼬치 이송장치; 꼬치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된 꼬치를 전달받아 급송냉각시켜주는 급속냉동장치; 및 급속냉동장치로부터 급냉된 꼬치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진공포장시키는 진공포장장치를 포함한다.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a pair of frames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a pair of frames to rotate alo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and to fix both ends of the stick A skewer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skewer moving unit for moving the skewers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skewers at least one of which is disposed on the frame and moves; A skewer fee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and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skewer cooked through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from the skewer moving unit and then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Rapid freezing device for rapid cooling by receiving the skewers moved by the skewer transfer device; And a vacuum packaging device for automatically vacuum-packing the skewer cooled from the rapid freezing device.
여기서, 꼬치 이동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 제1 이동부는 스틱의 파지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부가 절개된 U자 모양의 홈이 마련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제2 이동부는 스틱의 송곳부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고리형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skewer moving par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moving part has a fixing part provided with a U-shaped groove having an upper portion cut in such a manner that the gripping part of the stick is fitted into and fixed. The second moving part may include an annular fixing part through which the awl part of the stick passes and is fixed.
여기서, 꼬치 이송장치는, 스틱의 송곳부를 측방으로 밀어 상기 고리형 고정부로부터 송곳부를 추출시켜주는 제1 추출모듈; 스틱의 파지부를 상방으로 밀어 고정부로부터 파지부를 추출시켜주는 제2 추출모듈; 및 제1 추출모듈 및 제2 추출모듈에 의해 꼬치 이동부로부터 추출된 꼬치를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kewer transfer device, the first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he awl part from the annular fixed part by pushing the awl part of the stick to the side; A second extraction module configured to extract the grip part from the fixing part by pushing the grip part upward of the stick; And it may include a conveyor belt for moving the skewer extracted from the skewer moving unit by the first extraction module and the second extraction modu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여기서, 컨베이어벨트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컨베이어벨트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nveyor belt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the conveyor bel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s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은 꼬치의 양단부가 꼬치 이동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을 따라 수직, 수평 및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며 외면 전체가 골고루 구워져 조리되므로 대량의 꼬치를 자동화하여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가 완료된 꼬치는 꼬치 이송장치에 의해 꼬치 이동부로부터 자동으로 추출된 후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급송냉각장치로 전달되어 급속냉동되며, 급속 냉각된 꼬치는 다시 진공포장장치로 자동 이송되어 진공포장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력을 최소화한 상태로 꼬치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을 자동으로 일원화시켜 꼬치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utomatic skewer cooking, quenching and vacuum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skewers are moved vertically, horizontally and diagonally along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skewers are fixed to the skewer moving parts, and the whole outer surface is baked and cooked so that a large amount of skewer The cooked skewers ar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skewers by the skewer transfer unit and then delivered to the rapid cooling unit along the conveyor belt for rapid freezing. The rapidly cooled skewers are then vacuum packed again. As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transported and vacuum pack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skewers can be remarkably increased by unifying the cooking, quenching and vacuum packing of skewers automatically in a state of minimizing man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이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조리장치의 꼬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이송장치의 작용에 따라 꼬치 이동부로부터 꼬치의 스틱이 추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이송장치의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the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kewer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kewer movement path of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kew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6 (a) and (b)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stick of the skewer is extracted from the skewer moving unit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skew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the skew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rms used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the use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100)과, 한 쌍의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회전하며 꼬치(1) 스틱(S)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꼬치(1)를 이동시키는 꼬치 이동부(200)와, 프레임(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이동하는 꼬치(1)를 가열하는 가열부(300)를 포함하는 꼬치 조리장치(10); 꼬치 조리장치(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꼬치 조리장치(10)를 통해 조리된 꼬치(1)를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한 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꼬치 이송장치(500); 꼬치 이송장치(500)에 의해 이동된 꼬치(1)를 전달받아 급송냉각시켜주는 급속냉동장치(600); 및 급속냉동장치(600)로부터 급냉된 꼬치(1)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진공포장시키는 진공포장장치(700)를 포함한다. 1, 2 and 5, the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X, Y, Z 좌표를 이용하여, X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Y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Z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되, 전후방향 중 꼬치 조리장치(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진공포장장치(7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명세서 전반 및 특허청구범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X, Y, and Z coordinates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by defining the X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Y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Z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꼬치 조리장치(10)는 한 쌍의 프레임(100), 꼬치 이동부(200), 가열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한 쌍의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을 구비하며,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외각형상은 측면에서 바라봤을 경우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는 꼬치 이동부(200)가 연결되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The pair of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모양과 구조가 같은 한 쌍의 부재이다. 이에, 제2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 프레임은(120)은 꼬치 이동부(200)가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수평부재(121)를 나란히 배치하고, 각 수평부재(121)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복수의 수직부재(122) 및 사방향 부재(123)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0)은 제2 프레임(120)과 동일하게 수직부재(111), 수평부재(112) 및 사방향 부재(113)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The
이와 같이,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수평부재(111)(121), 수직부재(112)(122) 및 사방향 부재(113)(123)로 이루어지며, 꼬치 이동부(200)는 각각의 수평부재(111)(121), 수직부재(112)(122) 및 사방향 부재(113)(123)의 일측에 구비된 기어(224)에 의해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으로부터 수평, 수직 및 사선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꼬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such, the
한편,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 하단의 전방 및 후방에는 바퀴(130)가 결합될 수 있다. 바퀴(130)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상단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손잡이(1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바퀴(130) 및 손잡이(140)이를 통하여, 이동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꼬치 이동부(2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배치되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꼬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꼬치 이동부(2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이동부(210) 및 제2 이동부(220)를 구성되며, 제1 이동부(210)는 제1 프레임(110)에 배치되고, 제2 이동부(220)는 제2 프레임(120)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The
제1 이동부(210)는 제1 롤러체인(211), 제1 연결부(212) 및 고정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롤러체인(211)은 서로 이웃하는 롤러링크(211a)와 롤러링크(211a)를 연결하는 핀 링크(211b)가 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제1 롤러체인(211)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The first moving
제1 연결부(212)는 제1 롤러체인(211)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제1 이동부(2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213)의 일단부는 제1 연결부(212)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꼬치(1) 스틱(S)의 파지부(S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절개되어 있는 'U'자 모양의 끼움홈(216)이 마련된다. 이때, 끼움홈(216)의 상단부는 스틱(S)의 삽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너비가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고정부(213)의 끼움홈(216)의 양측 상단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볼(214) 및 볼(214)을 지지하는 스프링(215)이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스틱(S)이 끼움홈(216)으로 삽입될 때에 볼(214)이 스프링(215)을 압축하면서 밀리게 되어 끼움홈(216)에 끼워진 스틱(S)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끼움홈(216)에 스틱(S)이 고정된 상태로 꼬치(1)가 회전하더라도 꼬치(1)가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틱(S)을 고정부(213)의 끼움홈(216)에서 인출할 때에도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볼(214)이 스프링(215)을 압축하게 되어 스틱(S)의 파지부(S2)를 고정부(213)로부터 쉽게 분리된다.Specifically, the
제2 이동부(220)는 제2 롤러체인(221), 제2 연결부(222) 및 고리형 고정부(223)를 구비한다. 제2 롤러체인(2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로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제2 연결부(222)는 제2 롤러체인(221)에 결합된다. 고리형 고정부(223)의 일단부는 제2 연결부(222)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스틱(S)의 송곳부(S1)가 통과되어 고정된다.The second moving
제1 롤러체인(211) 및 제2 롤러체인(221)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기어(224)에 연결되어 지그재그 루프를 형성한다. 서로 마주보는 기어(224)는 연결봉(217)에 의해서 연결됨으로써 제1 롤러체인(211) 및 제2 롤러체인(212)를 함께 회전 운동시켜준다.The
이와 같이, 꼬치(1)는 스틱(S)의 파지부(S2)와 송곳부(S1)가 각각 루프형상의 제1 이동부(210)와 제2 이동부(220)에 동시에 고정되므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지그재그 이동하더라도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In this way, the
가열부(300)는 꼬치(1)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한 쌍의 프레임(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이동하는 꼬치(1)를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열부(300)는 한 쌍의 프레임(100)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가열부(300)는 꼬치 이동부(200)의 회전 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각 수평부재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부(300)가 꼬치 이동부(200)의 회전 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꼬치(1)를 골고루 익힐 수 있게 된다.The
이때, 가열부(300)는 가스버너 또는 원적외선 히터로 형성되어 에너지 공급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원적외선은 빛으로 꼬치(1)를 익히기 때문에 꼬치(1)를 타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꼬치(1)를 속에서부터 익히기 때문에 꼬치(1)의 육즙을 유지하면서 익힐 수 있다.In this case, the
구동부(400)는 꼬치 이동부(200)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400)는 벨트(410) 및 동력모터를 구비한다. 벨트(410)는 동력모터(미도시)와 구동기어(225)를 서로 연결하다. 따라서 동력모터의 구동과 함께 벨트(410)가 회전하면서 구동기어(225)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225)에 연결된 꼬치 이동부(200)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꼬치 이동부(200)에 배치된 꼬치가 가열부(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익혀지게 된다.The driving
제어부(450)는 구동부(400)의 구동속도와 가열부(300)의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꼬치(1)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300)의 가열온도를 조정하거나 복수로 구비된 가열부(30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의 구동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꼬치(1)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온도 및 이동속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꼬치의 맛을 최상으로 올릴 수 있다. 제어부(500)는 구동부(400)의 전면에 배치되었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조리장치의 꼬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4 is a view showing a skewer movement path of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꼬치(1)는 사용자에 의해서 꼬치 조리장치(10)의 후방부터 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서, 꼬치(1)는 최초 하방향(A)을 향하게 되고,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다시 우측방향(B)을 향하여 배치방향이 변경된다. 이후에 꼬치(1)는 다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꼬치(1)는 설정된 경로를 따라 수평, 수직 및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 하, 좌, 우측방향으로 배치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꼬치(1)가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 하, 좌, 우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꼬치(1)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하고, 꼬치(1)를 골고루 익힐 수 있어 꼬치(1)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in one embodiment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는 작용을 하는 꼬치 조리장치(10)에 의해 구워져 조리된 꼬치(1)는 꼬치 조리장치(10)의 후방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꼬치 이송장치(500)에 의해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추출된 후 급속냉동장치(600)로 전달된다. 한편, 급속냉동장치(600)에서 급냉된 꼬치(1)는 이송벨트(650)에 의해 이동되어 인접하게 설치된 진공포장장치(700)로 전달되어 자동으로 진공포장되는데, 상술한 급속냉동장치(600) 및 진공포장장치(700)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냉각기 및 진공포장기의 구성 및 구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he skewers (1) baked and cooked by the
도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꼬치 조리장치(10)에 의해 조리된 꼬치(1)는 꼬치 이송장치(500)에 의해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추출된 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꼬치 이송장치(500)는 꼬치 조리찾이(10)의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조리된 꼬치(1)를 자동 추출함과 동시에 추출된 꼬치(1)를 정해진 방향 즉, 급속냉강장치(6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1 and 5 to 7, the
꼬치 이송장치(500)는 하우징(510), 제1 추출모듈(530), 제2 추출모듈(540) 및 컨베이어벨트(550)를 포함한다.The
하우징(510)은 제1 추출모듈(530), 제2 추출모듈(540) 및 컨베이어벨트(550)이 설치 또는 연결되는 부재로서, 꼬치 조리장치(10) 또는 급속냉동장치(600)에 일측이 결합되거나, 꼬치 조리장치(10)와 급속냉동장치(600) 사이에 독립적인 개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속냉동장치(600)의 전단부 상측에 하우징(510)의 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510)의 내부에는 컨베이어벨트(550)가 설치되며, 양측에는 제1 추출모듈(530) 및 제2 추출모듈(540)이 연결된다.The
제1 추출모듈(530)은 꼬치(1) 스틱(S)의 송곳부(S1)를 측방으로 밀어 고리형 고정부(223)로부터 스틱(S)의 송곳부(S1)를 추출시킨다. 제1 추출모듈(530)은 제1 케이싱(532), 제1 실린더(534) 및 제1 플랜저(5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제1 케이싱(532)은 하우징(5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1 케이싱(532)의 내부에는 제1 실린더(534)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1 플랜저(536)는 제1 실린더(534)에 의해 제1 케이싱(532)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작동한다. 이때, 제1 실린더(534)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제1 플랜저(536)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플랜저(536)는 제1 실린더(534)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2 이동부(220)의 고리형 고정부(223)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꼬치(1) 스틱(S)의 송곳부(S1)를 측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스틱(S)의 송곳부(S1)를 고리형 고정부(223)로부터 추출시킨다. The
제2 추출모듈(540)은 꼬치(1) 스틱(S)의 파지부(S2)를 상방으로 밀어 상단부가 절개되어 있는 고정부(213)로부터 스틱(S)의 파지부(S2)를 추출시킨다. 제2 추출모듈(540)은 제2 케이싱(542), 제2 실린더(544) 및 제2 플랜저(5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제2 케이싱(544)은 하우징(510)의 타측 즉, 제1 케이싱(532)와 대향하는 하우징(510)의 측면에 연결된다. 제2 케이싱(542)의 내부에는 제2 실린더(544)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2 플랜저(546)는 제2 실린더(544)에 의해 제2 케이싱(542)의 상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작동한다. 이때, 제2 실린더(544)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제2 플랜저(546)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플랜저(546)는 제2 실린더(544)에 의해 상바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 이동부(210)의 고정부(223)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꼬치(1) 스틱(S)의 파지부(S2)를 상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스틱(S)의 파지부(S2)를 고정부(223)의 'U'자 모양의 홈(216)으로부터 추출시킨다.The
상기와 같이, 제1 추출모듈(530) 및 제2 추출모듈(540)은 꼬치(1) 스틱(S)의 송곳부(S1)와 파지부(S2)를 각각 고리형 고정부(223)와 고정부(213)로부터 추출하여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꼬치(1)를 자동으로 추출시켜주도록 작동하며, 제1 추출모듈(530) 및 제2 추출모듈(540)에 의해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추출된 꼬치(1)는 컨베이어벨트(550)에 의해 급속냉동장치(600) 방향으로 자동 이동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컨베이어벨트(550)는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추출된 꼬치(1)를 전달받아 급송냉동장치(600)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컨베이어벨트(50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전단부와 후단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운동하며 상부면에 안치되는 꼬치(1)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The
컨베이어벨트(550)의 전단부는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추출된 꼬치(1)가 안정적으로 안치되도록 꼬치 이동부(200)의 내측 즉, 제1 이동부(210)와 제2 이동부(2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컨베이어벨트(550)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꼬치 이동부(200)로부터 추출된 꼬치(1)가 컨베이어벨트(550)로 전달될 시 컨베이어벨트(550)의 전단부로 꼬치(1)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해준다. The front end of the
덧붙여, 컨베이어벨트(550)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554)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스토퍼(554)는 컨베이어벨트(55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꼬치(1)가 컨베이어벨트(550)를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꼬치(1)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erefore, excludes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스틱
1:꼬치
10:꼬치 조리장치
500:꼬치 이송장치
600:급속냉동장치
700:진공포장장치S: Stick 1: Skewers
10: skewer cooking device 500: skewer feeding device
600: rapid freezing device 700: vacuum packaging device
Claims (5)
상기 꼬치 조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꼬치 조리장치를 통해 조리된 꼬치를 상기 꼬치 이동부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한 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꼬치 이송장치(500);
상기 꼬치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된 꼬치를 전달받아 급송냉각시켜주는 급속냉동장치(600); 및
상기 급속냉동장치로부터 급냉된 상기 꼬치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진공포장시키는 진공포장장치(700);를 포함하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
A pair of frames 100 facing each other, and a skewer mov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pair of frames to rotate alo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and to fix both ends of the stick S to move the skewers 1. At least one skewer cooking device 10 is disposed on the frame and includes a heating unit 300 for heating the moving skewer;
A skewer feeder 5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and automatically extracting skewers cooked through the skewer cooking apparatus from the skewer moving unit and then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rapid freezing device (600) for rapidly cooling the skewers received by the skewer transfer device; And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comprising a; vacuum packaging device for receiving the quenched quench from the rapid freezing device automatically vacuum packaging.
상기 꼬치 이동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부(210) 및 제2 이동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스틱(S)의 파지부(S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부가 절개된 U자 모양의 홈(216)이 마련된 고정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스틱(S)의 송곳부(S1)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고리형 고정부(2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kewer moving unit 200,
It includes a first moving unit 210 and the second moving unit 22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moving part includes a fixing part 213 provided with a U-shaped groove 216 cut in an upper part so that the holding part S2 of the stick S is fitted into and fixed.
The second moving part has an annular fixed part 223 to which the awl part (S1) of the stick (S) is passed and fix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상기 꼬치 이송장치(500)는,
상기 스틱의 송곳부를 측방으로 밀어 상기 고리형 고정부로부터 상기 송곳부를 추출시켜주는 제1 추출모듈(530);
상기 스틱의 파지부를 상방으로 밀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추출시켜주는 제2 추출모듈(540); 및
상기 제1 추출모듈 및 제2 추출모듈에 의해 상기 꼬치 이동부로부터 추출된 꼬치를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kewer transfer device 500,
A first extraction module 530 which pushes the awl part of the stick to the side to extract the awl part from the annular fixing part;
A second extraction module 540 which pushes the gripping part of the stick upward to extract the gripping part from the fixing part; And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comprising a; conveyor belt (550) for moving the skewer extracted from the skewer moving unit by the first extraction module and the second extraction modu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veyor belt is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상기 컨베이어벨트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554)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꼬치 조리 및 급냉, 진공포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utomatic conveyo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or bel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s (554) at regular interv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3859A KR102062067B1 (en) | 2018-04-16 | 2018-04-16 |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3859A KR102062067B1 (en) | 2018-04-16 | 2018-04-16 |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0541A true KR20190120541A (en) | 2019-10-24 |
KR102062067B1 KR102062067B1 (en) | 2020-01-03 |
Family
ID=6842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3859A KR102062067B1 (en) | 2018-04-16 | 2018-04-16 |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206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9951A (en) * | 1999-09-02 | 2001-03-21 | Takeda Seiko:Kk | Preparation of kabayaki and kabayaki preparation apparatus |
KR101629417B1 (en) * | 2015-12-16 | 2016-06-13 | 주식회사 정도산업 | Apparatus for grilling skewered food |
-
2018
- 2018-04-16 KR KR1020180043859A patent/KR10206206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9951A (en) * | 1999-09-02 | 2001-03-21 | Takeda Seiko:Kk | Preparation of kabayaki and kabayaki preparation apparatus |
KR101629417B1 (en) * | 2015-12-16 | 2016-06-13 | 주식회사 정도산업 | Apparatus for grilling skewered fo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2067B1 (en) | 2020-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2067B1 (en) | Automatic skewer cooking and quenching, vacuum packaging system | |
US10278540B1 (en) | Conveyor toaster assembly and method | |
CN108030402B (en) | High-efficient self-service kebab machin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
EP0212658A2 (en) | Douthnut making machine and process for moving objects through a frying tank | |
CN216363424U (en) | Intelligence hamburger work system | |
CN112715584B (en) | Commercial scald preventing oven | |
CN105877517A (en) | Fully automatic meat roasting machine | |
CN206745168U (en) | A kind of meat packing steam box | |
KR101629417B1 (en) | Apparatus for grilling skewered food | |
CN109953660B (en) | Full-automatic barbecue machine and barbecue method | |
CN110623013B (en) | Device for heating cake bread by microwave energy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20170090051A (en) | Pressure device for seasoned laver | |
US3996847A (en) | Apparatus for heating food products | |
CN213859385U (en) | Automatic ham sausage cutting equipment | |
US4699796A (en) | Process for moving food objects through a frying tank | |
KR101978099B1 (en) | Up heated laver roaster | |
CN211631660U (en) | Seafood mushroom thick broad-bean sauce apparatus for producing | |
US9211035B2 (en) | Food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CN101606827A (en) | Continuous slicing bread toaster | |
JP4242417B2 (en) | Food heating equipment | |
CN104643956B (en) | The intelligent shive baking machines of auto plate separation | |
CN111838218A (en) | General type uniform heating baking device for processing sea sedge products | |
KR200434732Y1 (en) | cooking kits | |
CN114617141B (en) | Food industrialization toasts processing smart machine | |
CN210695702U (en) | Device for heating cake bread by microwave ener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