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025A -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025A
KR20190120025A KR1020180043660A KR20180043660A KR20190120025A KR 20190120025 A KR20190120025 A KR 20190120025A KR 1020180043660 A KR1020180043660 A KR 1020180043660A KR 20180043660 A KR20180043660 A KR 20180043660A KR 20190120025 A KR20190120025 A KR 20190120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se
car key
wireless car
cros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승일
Priority to KR102018004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025A/ko
Publication of KR2019012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8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fo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복수로 구분되어 서로 교차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로 연결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서로 교차하여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 촬영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가 특정 방향으로 교차 슬라이드되는 운동에너지를 스위치를 누르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스위치 누름부;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에 자동차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PCB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가 서로 교차하여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스위치 누름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눌리는 동시에, 제어부에도 선택된 기능이 실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Wireless car key case and its method for storing parking zone with switch pressing part}
본 발명은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센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주차 구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한번의 동작으로 케이스의 제어부에서는 촬영을 하고 무선 자동차 키 PCB의 문 잠금 스위치도 눌려서 자동차 문이 잠기도록 하는,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자동차 키는 스마트 키나 리모트 키로 불리며 원거리에서도 자동차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자동차 키의 잠금 버튼을 누를 때 주차 구역을 촬영하고 이를 무선 자동차 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주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기술이 존재하며, 향후에는 주차 구역을 표시하는 무선 자동차 키가 출시될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로 주차 구역을 표시하는 무선 자동차 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키를 새로 교체하거나 새차를 구매해야하므로, 기존 무선 자동차 키 사용자는 이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무선 자동차 키의 PCB는 그대로 사용하고, 케이스만 주차 구역을 촬영하고 표시할 수 있는 케이스로 교체하여 주차 구역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촬영 시 주차 구역이 표시된 위치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주차 구역 표시가 작게 촬영 될 수 있으므로 주차 구역 글자를 인식하고 확대해서 표시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3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395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에 운전자가 사용하던 무선 자동차 키 PCB를 넣을 수 있으며, 주차 구역 촬영을 위한 이미지 센서부,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를 구비한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한번의 동작으로 상기 제어부에서는 촬영을 하고, 기존 운전자가 사용하던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잠금 스위치도 눌릴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은 두 부분 이상으로 구분되어 일측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로 연결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면 촬영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의 영상이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가 교차 슬라이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이동하며 스위치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에 자동차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PCB를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가 서로 교차하여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스위치 누름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눌리는 동시에, 제어부에도 선택된 동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의 케이스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던 기존 리모트 키 PCB를 그대로 사용해서, 한번의 동작으로 자동차 문 잠금과 사진 촬영 및 디스플레이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주차 구역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 된 주차 구역 문자를 확대해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멀리서 주차 구역을 촬영했더라도 주차 구역 문자를 알아 볼 수 있도록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문 잠금 및 열림 시 잠금 및 열림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자동차 문의 열림 여부 상태도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고정된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고정된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고정된 돌출부를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와 제어부의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비교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걸리는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걸리는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걸리는 돌출부를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와 제어부의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비교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와 제어부의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비교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와이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와이어를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비교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비교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주차 구역 저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에서 잠금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에서 열림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가 한개 또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는 경우,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거나 부호를 생략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요소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상부/하부 케이스 혹은 밀다/당기다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도록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 뿐이므로, 그 상대적인 표현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따른 케이스를 상부/하부로 구분하여 표현했지만, 슬라이드 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면 상부/중부/하부로 구분되거나, 좌측부/우측부로 구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 이다. 또한 케이스를 앞뒤로 밀거나 당기는 것 뿐아니라 측면이나 대각선으로 미는 것 등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가 상호 교차하여 슬라이드 되는 구조라면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케이스를 미는 것으로 표시했지만, 상대적으로 하부케이스를 미는 것으로도 볼 수 있으므로, 상부케이스를 민다는 표현은 어느 일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시킨다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고정된 돌출부를 사용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고정된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해서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고정된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분리해서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스(100)의 일측이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두 부분 이상으로 구분 되어 일측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로 연결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케이스(110)나 하부케이스(120) 등 일측을 슬라이드 시키면 촬영되는 이미지센서부(510)와, 상기 이미지센서부(5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 혹은 아이콘 이미지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이미지센서부(510)와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상부케이스(110) 혹은 하부케이스(120)이 교차되어 슬라이드 시 스위치를 누르도록 형성된 스위치 누름부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자동차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PCB(300)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교차하여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스위치 누름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눌리는 동시에, 제어부에도 선택된 기능이 실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좌우 이동이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는 상하 이동하는 기구물로 누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높이가 다른 기구물을 좌우로 이동해 스위치를 누르거나, 좌우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는 기구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케이스(100)를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구분하고 상부케이스(110)를 밀어서 자동차 문을 잠그고 당겨서 자동차 문을 여는 것으로 가정해서 설명하지만, 상기 케이스(100)가 상/중/하 혹은 좌/우 등 상호 교차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복수의 케이스로 구분되거나, 옆이나 대각선 등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해서 자동차 문을 잠그거나 열도록 구성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는 하부케이스(120)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부케이스(110)에 장착된 것으로 가정하지만, 케이스의 다른 부분에 장착된 것 역시 권리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케이스(110)를 슬라이드 시,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가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11a)와 하부케이스의 돌출부 구멍(121b)으로 구성되는 일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고정된 돌출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11a)가 상기 하부케이스(120)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의 돌출부 구멍(121b)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구멍(121b)은 크게는 하부케이스(120)의 한 면이 될 수도 있고, 누르려는 스위치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작게는 상기 고정된 돌출부(111a)가 삽입되는 크기 정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는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가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11a)에 닿을 수 있는 방향으로 하부케이스(120)에 놓인다.
도 4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어부(200)의 스위치와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가 눌리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다. 가운데 단면도는 좌/우 어느 곳으로도 움직이지 않은 경우로 어떤 스위치도 눌리지 않는다. 도 4의 맨 위의 단면도 처럼 상부케이스(110)가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11a)도 상기 하부케이스(120) 내부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누른다. 동시에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21a)가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를 누른다. 여기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자동차 문 잠금 스위치로 그리고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를 이미지센서부(510) 촬영 스위치라고 하면, 자동차 문 잠금과 동시에 촬영되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잠금 아이콘(501)과 합쳐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한다. 도 4 맨 하단의 단면도는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당겨서 도 4의 좌측으로 이동 시킨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측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11a)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21a)에 의해 제어부의 제2스위치(220)와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이 동시에 눌린다. 제어부의 제2스위치(220)를 자동차 문의 열림 아이콘(502) 표시 스위치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를 자동차문 열림 스위치라고 하면, 자동차 문 열림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500)에 열림 아이콘(502)이 표시된다.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따른 실시예로 스위치 누름부로 걸리는 돌출부를 사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걸리는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해서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걸리는 돌출부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분리해서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케이스(100) 일측이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을 슬라이드 시,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가 상부케이스의 걸림부(112a), 하부케이스의 걸림부 구멍(122b) 그리고 하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22c)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고정되거나 부착된 상부케이스의 걸림부(112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걸림부(112a)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걸림부 구멍(122b)를 관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22c)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10)가 슬라이드 되는 방향 대로 하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22c)도 슬라이드 되며, 슬라이드 되면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 혹은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누르게 된다.
도 7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어부(200)의 스위치와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가 눌리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다. 가운데 단면도는 좌/우 어느 곳으로도 슬라이드되지 않은 경우로 어떤 스위치도 눌리지 않는다. 도 7의 첫번째 단면도 처럼 상부케이스(110)가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고정된 상부케이스의 걸림부(112a)도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걸림부(112a)에 꼽혀있는 하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22c)도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누른다. 동시에 하부케이스의 걸림부(122a)역시 상부케이스의 걸림부 구멍(112b)를 관통해 상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12c)꼽혀 있으므로, 상기 상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12c)가 고정되고 상부케이스(11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를 누른다. 여기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자동차 문 잠금 스위치로 그리고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를 이미지센서부(510) 촬영 스위치라고 하면, 자동차 문 잠금과 동시에 촬영되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잠금 아이콘(501)과 합쳐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한다. 도 7의 제일 하단의 단면도는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당겨서, 좌측으로 이동 시킨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측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상기 상부케이스의 걸림부(112a)에 꼽혀있는 하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22c)도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를 누른다. 동시에 하부케이스의 걸림부(122a)역시 상부케이스의 걸림부 구멍(112b)를 관통해 상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12c)에 꼽혀 있으므로,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12c)가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2스위치(220)도 누른다. 제어부의 제2스위치(220)를 자동차 문의 열림 아이콘(502) 표시 스위치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를 자동차문 열림 스위치라고 하면, 자동차 문 열림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500)에 열림 아이콘(502)이 표시된다.
도 8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따른 실시예로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도면은 이해하기 쉽도록 케이스의 옆면과 밑면을 생략해서 내부가 보이도록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랙앤피니언기어를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와 제어부의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을 슬라이드 시,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가 상부케이스(110)의 슬라이드되는 면의 일 부분에 고정되는 랙기어(113a)와, 상기 랙기어(113a)가 고정된 한쪽 케이스의 반대편 케이스인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랙기어(113a)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3b)와, 상기 피니언 기어(123b)의 면에 걸리거나 고정되며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에 가로로 배치된 가로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이다.
도 11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어부(200)의 스위치와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가 눌리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다. 가운데 단면도는 좌/우 어느 곳으로도 슬라이드되지 않은 경우로 어떤 스위치도 눌리지 않는다. 도 11의 첫번째 단면도 처럼 상부케이스(110)가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고정된 상부케이스의 랙기어(113a)도 우측으로 이동하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구멍(123a)을 통과해 상기 상부케이스의 랙기어(113a)에 맞물리는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가 회전한다. 여기서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구멍(123a)은 크게는 하부케이스(120)의 한 면 전체가 될 수도 있고 작게는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만 조금 돌출되는 크기 일 수도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에 고정되거나 걸려 있는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가로대(123c)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의 회전운동에 따라 호를 그리며 이동하며 상하운동을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가로대(123c)가 호를 그리며 움직이는 경로의 일측에 놓인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가로대(123c)의 이동에 따라 눌린다. 하부케이스(120)에 고정되며 상부케이스의 기둥부 구멍(113b)을 통과해 상부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된 하부케이스의 기둥부(123d)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케이스(110)가 우로 이동하므로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가 눌리다. 도면에는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를 4개 표시하였지만 개수는 스위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가로대(123c)의 한쪽을 고정시키면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를 1개로도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수는 중요하지 않다. 도면과 같이 스위치가 2개인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의 랙기어(113a)의 길이가, 어느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에도 맞물리지 않고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와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 사이에 놓이는 길이가 되면, 상부케이스(1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따라 한쪽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만 회전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를 누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우로 슬라이드 시 상부케이스의 랙기어(113a)도 우로 슬라이드하고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가 회전하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가로대(123c)가 호를 그리며 이동하여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리고, 동시에 하부케이스의 기둥부(123d)에 의해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도 눌린다. 여기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자동차 문 잠금 스위치로 그리고 제어부의 제1스위치(210)를 이미지센서부(510) 촬영 스위치로 하면, 자동차 문 잠금과 동시에 촬영되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잠금 아이콘(501)과 합쳐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랙기어(113a)의 좌측에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면, 도 11의 제일 하단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측 슬라이드 이동 시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 역시 전술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랙기어(113a)나 상기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는 톱니선이나 톱니바퀴 등 톱니나 기어를 사용해 직선운동을 회전 회전 운동으로 바꿔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 8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으로 하부케이스의 기둥부(123d)를 사용했지만, 제어부(200)는 새로 만들어 지는 것 이므로 제어부(200)에 신호를 주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100)의 일측을 밀어서 운전자가 기존에 사용한던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관한 것이 주요 기술사항이므로 이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대해서는 따로 표시하지 않지만, 제어부(200)는 새로 만들어 지는 것 이므로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스위치 누름부들이나 다른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도 제어부(2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은 도면에 도시한 방법에 국한 되지 않는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따른 실시예로 스위치 누름부로 와이어를 사용한 도면이다. 여기서 와이어는 휘는 성질을 가진 철사, 줄 혹은 얇은 판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도면은 이해하기 쉽도록 케이스의 옆면과 밑면을 생략해서 내부가 보이도록했고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 수단만 도시했다. 제어부(2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소개한 실시예들과 같은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121a), 상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112c), 하부케이스의 기둥부(123d), 하부케이스의 와이어(124a) 및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123b) 등 다른 여러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스위치와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가 같이 눌린 후 문이 잠기고 촬영되과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이후로는 상부케이스(11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와이어를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와이어를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와이어의 양끝단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에 각각 메달려 있을 때 와이어가 수직에 가까울 수록 느슨해지고 수직에서 벗어 날 수록 당겨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다른 부분의 케이스에, 각각 양끝이 고정되어 U자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U자 고리형으로 형성된 와이어의 안쪽에 걸리며,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대;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교차 슬라이드 이동 시 와이어가 위아래로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면서, 가로대를 움직이고, 가로대에 스위치가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양끝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서 U자형 고리를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와이어(124a)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형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와이어(124a)에 걸리는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는 상하 이동시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방향으로,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가 상하로만 움직이고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도록, 가로대(124c)의 좌우에 판이나 기둥형태로 배치되는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 고정부(124d)가 구성된다. 도 13의 와이어 가로대의 수직 가상선(600c)은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 중심의 수직선을 나타내는 가상의 선이다. 도 13 두번째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상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114a)는 상기 와이어 가로대의 수직 가상선(600c) 오른쪽에 위치한다. 도 13의 첫번째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상부케이스(110)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상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114a)는 더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케이스의 와이어(124a)를 당기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누른다. 반대로 도 13의 세번째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상부케이스(110)가 왼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상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114a)는 상기 와이어 가로대의 수직 가상선(600c)에 가까워 지면서 하부케이스의 와이어(124a)는 느슨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에서 떼진다. 반면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는 눌린다. 실제 적용하려면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124c)에 탄성부재를 설치해 초기 위치로 되돌려야 하는 등 부가적인 요소들이 필요하나 설명이 복잡해지므로 생략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110)의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 혹은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린다. 즉, 도 13에서 상부케이스(110)를 우측으로 슬라이드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리도록 하였으므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를 누르기 위한 상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114a)는 상기 와이어 가로대의 수직 가상선(600c)의 우측에 존재해야하며,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는 상기 와이어 가로대의 수직 가상선(600c) 부근을 많이 넘지 않도록, 슬라이드 이동 거리가 설정되어야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리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상부케이스(110)를 좌측으로 슬라이드시켜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를 누른다면, 상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114a)가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의 좌측에 위치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따른 실시예로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도면이다. 여기서 유도판은 납작한 판형으로 평면 혹은 곡률면을 갖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로 유도판을 사용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일측이 슬라이드되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비교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교차 슬라이드 되는 밑 면의 일 부분에 고정되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구멍(125a)을 통해 하부케이스(120)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케이스의 유도판(11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115a)에 끼워지며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에 닿도록 가로로 배치되는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가 구성된다. 상기 유도판 가로대(125b)가 스위치를 누르는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즉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고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유도판 가로대(125b)의 좌우에 기다란 면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 고정부(125c)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115a)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를 충분히 꼽을 수 있는 높이의 홈 또는 구멍이 상기 가로대 유도판의 이동 방향으로 기다란 굴곡 형태로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이 형성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115a)이 좌우로 이동 시 상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가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높낮이가 있는 굴곡 혹은 직선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의 양단이 낮고 중간이 높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어느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낮은 양단의 좌측에는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310)가, 우측에는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위치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의 높은 중간 부분이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의 위치로 오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에 걸려있던 상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가 위로 움직이고,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린다.
도 16의 두번째 단면도는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어느 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은 초기 위치 상태이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의 낮은 굴곡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가 놓여지기 때문에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리지 않는다. 도 16의 첫번째 단면도는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오른쪽 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이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115a)이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의 높은 굴곡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가 놓여지기 때문에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가 눌린다. 도 16의 세번째 단면도는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왼쪽 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이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115a)이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115b)의 낮은 굴곡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125b)가 놓여지기 때문에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320)는 눌리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밀어서 제어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제어부(200)가 sleep 모드에서 깨어나도록 한다. 제어부(200)가 시작되면 제어부(200)의 잠금+촬영 버튼 혹은 열림 버튼이 눌렸는지 체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폴링한다.
제어부(200)는 제어부(200)의 잠금+촬영 버튼이 눌린 경우 이미지센서부(510)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주차 구역 표시 문자를 검출한다. 주차 구역 표시 문자를 검출되면, 주차 구역 표시 문자 부분이 확대된 이미지 데이터를 만든다. 상기 주차 구역이 확대된 이미지 데이터에 잠금 아이콘(501) 이미지 데이터를 합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하고 종료하거나 sleep 모드에 진입한다.
제어부(200)는 제어부(200)의 열림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열림 아이콘(502)을 디스플레이하고 종료하거나 sleep 모드에 진입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전원이 떨어지거나 sleep모드에 진입한다.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에서 잠금과 열림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잠금 시에는 도 19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0)에 주차구역이 촬영된 이미지와 잠금 아이콘(501)이 표시될 수 있다. 열림 시에는 도 18과 같이 열림 아이콘(502)이 크게 표시되어 운전자가 쉽게 열린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해결 과제는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어떤 스위치가 눌렸는지 상기 제어부(200)가 인식하기 쉽도록 구성된,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300)의 스위치 누름부와 함께 사용되는 제어부(200)의 스위치를 누르거나 신호를 주기 위한 수단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무선 자동차 키 PCB(300) 혹은 제어부(200)의 스위치 누름부 실시예 혹은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상부케이스
111a : 상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
111b : 상부케이스의 돌출부 구멍
112a : 상부케이스의 걸림부
112b : 상부케이스의 걸림부 구멍
112c : 상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
113a : 상부케이스의 랙기어
113b : 상부케이스의 기둥부 구멍
114a : 상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
115a : 상부케이스의 유도판
115b : 상부케이스의 유도판의 가로대 유도 홈
120 : 하부케이스
121a :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돌출부
121b : 하부케이스의 돌출부 구멍
122a : 하부케이스의 걸림부
122b : 하부케이스의 걸림부 구멍
122c : 하부케이스의 걸리는 돌출부
123a :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구멍
123b :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123c : 하부케이스의 피니언기어 가로대
123d : 하부케이스의 기둥부
124a :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124b :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고정부
124c :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
124d : 하부케이스의 와이어 가로대 고정부
125a :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구멍
125b :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
125c : 하부케이스의 유도판 가로대 고정부
200 : 제어부
210 : 제어부의 제1스위치
220 : 제어부의 제2스위치
300 : 무선 자동차 키 PCB
310 :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
320 :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2스위치
500 : 디스플레이부
501 : 잠금 아이콘
502 : 열림 아이콘
510 : 이미지센서부
520 : 배터리
600a : 제어부의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중간 가상성
600b :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중간 가상선
600c : 와이어 가로대의 수직 가상선

Claims (7)

  1. 복수로 구분되어 서로 교차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로 연결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서로 교차하여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 촬영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가 특정 방향으로 교차 슬라이드되는 운동에너지를 스위치를 누르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스위치 누름부;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에 자동차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PCB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가 서로 교차하여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상기 스위치 누름부에 의해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가 선택적으로 눌리는 동시에, 제어부에도 선택된 기능이 실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서 어느 한쪽 케이스의 교차 슬라이드 되는 면의 일 부분에 고정되는 돌출부와;
    상기 한쪽 케이스의 슬라이드되는 면에 고정된 돌출부가, 반대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구멍;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대편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돌출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스위치 면이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가 상기 돌출부를 향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서 어느 한쪽 케이스의 교차 슬라이드 되는 면의 일 부분에 고정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반대편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걸림부 구멍과;
    상기 걸림부에 걸려 걸림부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리는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반대편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걸림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스위치가 눌리도록,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가 상기 걸리는 돌출부를 향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서 어느 한쪽 케이스의 교차 슬라이드 되는 면의 일 부분에 고정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가 고정된 한쪽 케이스의 반대편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면에 걸리거나 고정되며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의 스위치에 가로로 배치된 가로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에서 서로 다른 부분의 케이스에, 각각 양끝이 고정되어 U자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와;
    상기 U자 고리형으로 형성된 와이어의 안쪽에 걸리며,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 스위치에 가로로 배치되는 가로대;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교차 슬라이드 이동 시 와이어가 위아래로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면서, 가로대를 움직이고, 가로대에 스위치가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기 복수로 구분되는 케이스의 어느 한쪽 교차 슬라이드 되는 면의 일 부분에 고정되며, 반대편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가로대 유도판과;
    상기 가로대 유도판에 연결되며, 상기 무선 자동차 키 PCB 혹은 제어부의 스위치에 가로로 닿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가 스위치를 누르는 방향으로만 이동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가로대 양단에 형성되는 가로대 고정부와;
    상기 가로대 유도판의 면에는 상기 가로대를 충분히 꼽을 수 있는 크기의 홈 또는 구멍이 상기 가로대 유도판의 이동 방향으로 길고 굴곡있게 파이거나 뚫려 있는 가로대 유도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7.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sleep모드에서 깨어나 제어부가 시작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제어부의 잠금+촬영 스위치가 눌렸는지 판별하고, 눌려 있으면 이미지 센서부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주차 구역 표시 문자를 검출하고, 주차 구역 문자가 검출되면 이미지 데이터의 주차 구역 표시 부분만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에 잠금 아이콘 데이터를 합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제어부의 열림 스위치가 눌렸는지 판별하고, 열림 아이콘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의 주차 구역 저장 방법
KR1020180043660A 2018-04-14 2018-04-14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KR20190120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60A KR20190120025A (ko) 2018-04-14 2018-04-14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660A KR20190120025A (ko) 2018-04-14 2018-04-14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25A true KR20190120025A (ko) 2019-10-23

Family

ID=6846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660A KR20190120025A (ko) 2018-04-14 2018-04-14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0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7723A (zh) * 2020-01-15 2020-05-08 陈景顺 一种无卡便无法跨越的校园门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952A (ko) 2004-07-05 200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자동차용 리모콘
KR20150031346A (ko) 2013-08-10 2015-03-24 이정용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952A (ko) 2004-07-05 200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내장형 자동차용 리모콘
KR20150031346A (ko) 2013-08-10 2015-03-24 이정용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7723A (zh) * 2020-01-15 2020-05-08 陈景顺 一种无卡便无法跨越的校园门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3182B2 (en) Automatic sliding mechanism
EP2772830B1 (en) Display apparatus
JP636234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4238946B (zh) 一种触控方法、装置及终端
US7379763B2 (en) Automatic sliding mechanism
EP2664980A2 (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ctuation procedure of the keyboard
KR20190120025A (ko)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CN201337137Y (zh) 一种带指纹数据删除装置的储物柜
CN103429030A (zh) 滑动开关及具有滑动开关的电子装置
KR101566673B1 (ko) 도어용 핸들
CN105988611B (zh) 手持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050013A (zh) 一种改进的电气柜门锁
KR101471437B1 (ko) 지문인식 디지털 도어락
CN100422910C (zh) 按键结构
WO2014102005A1 (de) Gehäuse,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onischen schlüssel
CN202075693U (zh) 带发光提示功能的信息输入装置
CN207835989U (zh) 一种防误触车用遥控器
JP2006038170A (ja) ラッチ装置
CN205857977U (zh) 一种电气柜门锁
JP2006331867A (ja) スイッチ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話
CN204496334U (zh) 一种卡合部件、开合结构及电气设备
CN108712179A (zh) 一种卡托组件及其应用方法、移动端
JP2014224370A (ja) 取手装置
JP4262738B2 (ja) ワイヤレスマウス
WO1991002368A1 (en) Magnetic card-typ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