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740A -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 Google Patents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740A
KR20190119740A KR1020180043078A KR20180043078A KR20190119740A KR 20190119740 A KR20190119740 A KR 20190119740A KR 1020180043078 A KR1020180043078 A KR 1020180043078A KR 20180043078 A KR20180043078 A KR 20180043078A KR 20190119740 A KR20190119740 A KR 2019011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ne dust
dust collecting
atmospheric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1095B1 (en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102018004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95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9Anti-retur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01D2259/455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for being employed as mobile cleaners for ambient air, i.e. the earth's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vehicle and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hich has an inlet formed in a front side thereof and has an outlet formed in a rear side thereof; a backflow preventing pad which is formed in an inn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vent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inner diameter size of the vent holes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nt holes to the rear side thereof; and a filter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in a state that the filter unit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ckflow prevent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or in the vehicle not only can easily collect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within the main body, but also can greatly improve fine dust collection efficiency without concern that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flown in the main body flows backward again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Further,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not only can easily suck and collect fine dust stor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a fine dust collection unit which may be installed at a highway entrance, a public vehicle waiting station, a public office, etc., but also can greatly contribute to job creation by recruiting workers who will collect fine dust with the fine dust collection unit. In addition,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s effects of circulating the fine dust to the nature and enabling a portion of the fine dust to be produced into products such as a concrete pile and others by gathering collected fine dust at a recycling plant, and manufacturing a solid body with the fine dust as slag, i.e., a raw material of cement products.

Description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과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외 또는 차량에 설치되어 대기 중에 부유 중이 미세먼지를 보다 용이하게 본체의 내부에 집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역류할 우려가 없어 미세먼지의 집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고속도로 출입구, 공공차량 대기소,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흡입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수거부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수거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모집하여 고용함으로서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거된 미세먼지를 재활용 공장에 집하하여 시멘트 제품의 원료인 슬래그로 사용해 고형물로 만들어 자연으로 순환시키고 일부는 콘크리트 파일 등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과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or in the vehicle to collect the fine dust in the air more easily in the atmosphere more easily, as well as the external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gain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re is no fear of backflow, so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fine dust can be greatly improved, and furthermore, through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which can be installed in the highway entrance, public vehicle waiting station, government office, etc. Not only can it be collected by suction, but also by recruiting and hiring workers who want to collect fine dust using the fine dust collection unit, it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job creation.In addition, the collected fine dust is collected in a recycling plant for cement products. It is used as slag, which is a raw material of raw material, to be made into solids, circulating in nature, and some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that can be produced as a product such as a pile,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산업이 발달하고 기술이 진보되면서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echnology advances, pollutants are released, causing serious air pollution.

배출된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이송, 확산되는데, 이 중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오염 미세먼지는 코나 기관지 등에서 걸러지지 않고 호흡기관 깊숙이 침투해 천식,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비염, 폐 질환 같은 호흡기질환을 일으키거나 눈에 붙어 결막염, 안구건조증 같은 안질환을 유발한다.Emitted pollutants are transported and diffused in the air. Among them, the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air do not get caught in the nose or bronchus, but penetrate deep into the respiratory tract, causing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bronchitis, allergic rhinitis, and lung disease. It can cause eye diseases such as conjunctivitis and dry eye.

또한, 미세먼지는 피부 유해성분이 섞여있을 경우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fine dust may cause allergic dermatitis when mixed with harmful ingredients of the skin.

이러한 미세먼지는 1mm정도에서 0.1㎛ 이하까지 미세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도 이동 가능하여 공해분진이나 오염물질을 힘들게 분리 하더라도 미세한 분진이 다시 정화된 공기와 섞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Since such fine dust is fine from about 1 mm to 0.1 μm or less, it can be moved even by the flow of air, and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pollution dust or pollutants, the fine dust is mixed with the purified ai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부 동력 없이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만으로, 대기 중에 부유 중인 미세먼지를 집진 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7906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n air fine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a moving means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suspended in the air with only an air flow by traveling of a moving means without external power is registered. Proposed as -1517906.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7906호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부의 전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유입부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미세먼지의 집진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17906,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s well as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let flows back toward the outside of the inlet side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a phenomenon occurs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ine dust is reduced.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7906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179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내외 또는 차량에 설치되어 대기 중에 부유 중이 미세먼지를 보다 용이하게 본체의 내부에 집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역류할 우려가 없어 미세먼지의 집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고속도로 출입구, 공공차량 대기소,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흡입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수거부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수거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모집하여 고용함으로서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거된 미세먼지를 재활용 공장에 집하하여 시멘트 제품의 원료인 슬래그로 사용해 고형물로 만들어 자연으로 순환시키고 일부는 콘크리트 파일 등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과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can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or in a vehicle to collect fine dust in the air more easily in the air, as well as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ere is no fear that the included external air flows back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fine dust can be greatly improved, and further, through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which can be installed in the highway entrance, public vehicle waiting station, public office, etc. Not only the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can be easily collected and collected, but also by recruiting and employing workers who want to collect fine dust using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it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job creation, and also, collecting The collected fine dust to a recycling plant and use it as slag Creating a natural water circulation and some are waiting to provide a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vehicl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with which it can produce a product such as concrete piles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에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측에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부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을 통과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전측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기공의 내경크기가 상기 통기공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역류방지패드의 통기공을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inle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on the front side, the exhaust port for exhausting the external air from which fine dust is removed at the rea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the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ncluding the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vent A backflow prevention pad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 hol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nt hole toward the rear side to prevent the included external air from flowing backwar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pad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Provides atmospheric dust coll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유입구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측 상부에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유입구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상부가이드판과;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유입구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guide portion for guiding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he guide portion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 upper guide plat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tat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guide plate formed in a state inclined upward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에 흡입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fan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측면 부위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d and the filter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상부가 축결합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마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open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round the suction opening.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insertion slits into which the backflow prevention pad and the filter part are inserted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또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r, the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non-return pad and the filter unit are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삽입슬릿 주변의 상기 본체의 측면에 상기 삽입슬릿과 연통되는 손가락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nger retract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lit is form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around the insertion slit.

또한, 상기 삽입슬릿 주변의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삽입슬릿과 연통되는 손가락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inger retract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lit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round the insertion slit.

나아가,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open at the top;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closing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또는, 상기 본체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 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closing plate that the front side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골판필터와; 상기 골판필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평판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filter unit and the corrugated plate filt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pad;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lat plate filt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corrugated plate filter.

더불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의 제거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미세먼지량과 기준먼지량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whether or not the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is remov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unit by comparing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with a reference dust amount.

또한,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의 제거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전송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M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moval of the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preferably.

아울러, 상기 본체의 흡입구를 상기 개폐부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ne dust collection unit for sucking the fine dust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는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삽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하우징과; 상기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ne dust collecting portion and the su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A housing for sucking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ipe; And a connection lin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housing to connect the suction pipe and the housing.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fine dust collect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배기시키는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와;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remov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It provides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on system comprising a; fine dust collecting unit for sucking the fine dust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외 또는 차량에 설치되어 대기 중에 부유 중인 미세먼지를 보다 용이하게 본체의 내부에 집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전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본체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역류하는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미세먼지의 집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고속도로 출입구, 공공차량 대기소,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흡입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수거부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수거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모집하여 고용함으로서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거된 미세먼지를 재활용 공장에 집하하여 시멘트 제품의 원료인 슬래그로 사용해 고형물로 만들어 자연으로 순환시키고 일부는 콘크리트 파일 등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indoor or outdoor or vehicle to collect the fine dust suspended in the air more easily inside the main body, as well as the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inlet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backflow of the outside air back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n be greatly improve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and further, fine dust that can be installed in highway exits, public vehicle waiting stations, public offices The collection unit can easily collect and collect fine dust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nd can als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job creation by recruiting and hiring workers who want to collect fine dust using the fine dust collection unit. In addition, the collected fine dust is collected in a recycling plant, Therefore try to create a solid and circular in nature, some are effective to produce a product such as concrete pil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의 내부에 패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체의 내부에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체의 전측에 흡입팬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체의 흡입구에 미세먼지 수거부의 흡입관이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 2실시예에서의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 3실시예인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4실시예인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차량에 구비된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포집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inside the main body;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fan is provided at a front side of a main body,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suction pipe of the fine dust collection unit to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7,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d portion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in a second embodiment,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which is a third embodime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4,
FIG. 16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5;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which is a fourth embodiment;
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ler;
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fin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FIG. 21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ne dust collecting unit configured to suck fine dust collected in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의 내부에 패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and FIG. 3 is a pad par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is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역류방지패드(20) 및 필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largely comprises a main body 10,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먼저, 상기 본체(10)는 실내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전측에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0 may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and the inlet 110 through which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flows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ix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ther side. It can be formed at intervals.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0)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측에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asily guide the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to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 the guide portion 1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부가이드판(131)과 하부가이드판(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130 may include an upper guide plate 131 and a lower guide plate 132.

상기 상부가이드판(131)은 상기 본체(10)의 전측 상부에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0)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guide plate 13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Can be.

상기 하부가이드판(132)은 상기 본체(10)의 전측 하부에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0)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guide plate 132 is formed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 toward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Can be.

상기 본체(10)의 후측에는 상기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부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구(120)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 exhaust port 120 for exhausting the external air from which the fine dust has been remove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ther side.

다음으로,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의 전측방향에 상기 유입구(110)가 위치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전측 내부에 상기 역류방지패드(2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Next,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may be vertically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inflow port 110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상기 역류방지패드(2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ther side.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체의 내부에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fine dust is collected inside the main body.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패드(20)에는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전측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210)이 매트릭스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된 계란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non-return pad 20 passes external air including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 Vent 2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eggs plat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orm of a matrix.

상기 통기공(21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통기공(211)과 후측통기공(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nt 210 may be made of a front vent 211 and the rear vent 212 as shown in FIG.

상기 전측통기공(211)은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의 전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vent hole 2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상기 전측통기공(211)의 내경크기는 상기 전측통기공(211)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front vent hole 211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vent hole 211 toward the rear side.

상기 후측통기공(212)은 상기 전측통기공(2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측통기공(212)의 내경크기는 상기 전측통기공(21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vent hole 2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vent hole 211, 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vent hole 212 is the front vent hole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 of (211).

상기 전측통기공(211)의 내경크기가 상기 전측통기공(211)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짐과 더불어 상기 전측통기공(211)의 내경크기보다 상기 후측통기공(212)의 내경크기가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상기 전측통기공(211)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속력에 비해 상기 후측통기공(212)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속력이 더 증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통기공(210)을 통과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다시 상기 통기공(210)과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대기 중에 부유 중인 미세먼지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보다 높은 효율로 집진할 수 있게 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front vent 211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vent 211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vent 212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ront vent 211. Since the small is formed according to Bernoulli's theorem, the speed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rear vent hole 212 can be increased more than the speed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front vent hole 211, thereby The external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210 flows back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vent hole 210 and the main body 10 agai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ine dust suspended in the air can be collected in a higher efficiency inside the main body 10.

다음으로, 상기 필터부(30)의 전측방향에 상기 역류방지패드(20)가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Next, the filter unit 30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so that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30. It can be vertically provided inside of.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along a length along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의 통기공(210)을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The filter unit 30 is to remove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210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상기 필터부(30)는 골판필터(310)와 평판필터(3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 may be composed of a corrugated plate filter 310 and the flat plate filter 320.

상기 골판필터(310)의 전측방향에 상기 역류방지패드(20)가 위치하도록 상기 골판필터(310)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의 통기공(210)을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corrugated plate filter 31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ckflow preventing pad 20 so that the backflow preventing pad 20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corrugated plate filter 310.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210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may be primarily removed.

상기 평판필터(320)의 전측방향에 상기 골판필터(310)가 위치하도록 상기 평판필터(320)는 상기 골판필터(3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골판필터(31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일부 미세먼지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flat plate filter 32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late filter 310 so that the plate filter 310 is located in the front side direction of the plate filter 320. Som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corrugated filter 310 may be secondarily removed.

상기 필터부(30)를 통해 외부공기로부터 제거된 미세먼지(7)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의 골판필터(301)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ne dust 7 removed from the outside air through the filter unit 30 is the main body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corrugated plate filter 301 of the filter unit 30 as shown in FIG. 10) can be stored inside.

도 6은 본체의 전측에 흡입팬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fan is provided at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미세먼지(7)가 포함된 외부공기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0)에는 미세먼지(7)가 포함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140)이 구비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more easily introduce the external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7)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e external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7) in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 Suction fan 140 may be provided to suck the.

도 7 및 도 8은 본체의 흡입구에 미세먼지 수거부의 흡입관이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suction pipe of the fine dust collection unit to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7, and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C line.

다음으로,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의 골판필터(310)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부위 또는 타측면 부위에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입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Next, one side portion or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corrugated plate filter 310 of the filter portion 30 as shown in Figure 7 to 10 ( 150 may be formed.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50)를 개폐하는 개폐부(40)가 구비될 수 있다.9 and 1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port 150.

상기 개폐부(4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150)를 개폐하는 개폐마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 may be configured as an opening and closing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1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개폐부(40)를 구성할 수 있는 개폐마개의 상부가 상기 흡입구(150)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일측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마개의 하부가 상기 흡입구(15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흡입구(150)를 개폐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of the suction opening 150 in the state that the upper and closing stopper which can constitut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round the suction opening 150. The suction port 15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탄성부재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개폐부(40)를 구성할 수 있는 개폐마개의 상부의 축에 구비되는 비틀림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lastic member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torsion spring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which may constitut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흡입구(150)를 상기 개폐부(40)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5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50 for sucking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 of the inlet 150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Can be.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50)는 흡입관(510), 하우징(도 21의 520) 및 연결라인(도 21의 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50 may include a suction pipe 510, a housing (520 of FIG. 21) and a connection line (530 of FIG. 21).

상기 흡입관(510)은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흡입구(150)에 일정깊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개폐부(40)를 구성할 수 있는 개폐마개의 하부가 상기 흡입구(15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흡입구(150)를 개방할 수 있다.9 and 10, the suction pipe 510 may be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150 of the main body 10 by a user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 may be formed.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hole 150 may be rotated in an upward direction to open the suction hole 150.

상기 하우징(520)에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관(510)과 상기 연결라인(530)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를 흡입하는 진공모터가 내장될 수 있다.The housing 520 may include a vacuum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and sucks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ipe 510 and the connection line 530.

상기 연결라인(530)은 상기 흡입관(510)과 상기 하우징(5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510)과 상기 하우징(520)을 연결하는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5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ipe 510 and the housing 52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hose connecting the suction pipe 510 and the housing 520.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에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를 보다 용이하게 구비 및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또는 상기 본체(10)의 타측면에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슬릿(160)이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을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Next,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are more easily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and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are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be more easily separated, as shown in FIGS. 1 and 2,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the backflow preventing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The insertion slit 160, into which each is inserted, may be vertic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rear side.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상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170)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guide protrusion 170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2개씩 한조를 이룰 수 있는 상기 가이드돌기(170)는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s 170, which can form a pair of two,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rear side.

상기 가이드돌기(170) 사이에는 각각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이 상부와 상기 필터부(30)의 상부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170,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part 30 may be accommodated, respectively.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각각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삽입슬릿(160)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부위 또는 타측면 부위에는 상기 삽입슬릿(16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삽입슬릿(160)의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되는 손가락인입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a user to separate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from the main body 10 more easily, one of the main body 10 around the insertion slit 160. The side surface portion or the other sid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inger retracting groove 18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insertion slit 16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slit 160.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 2실시예에서의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in a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본체(10), 상기 역류방지패드(20) 및 상기 필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상기 삽입슬릿(160)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기 본체(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Next, the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main body 10,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insertion slit 160 extending left and right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the other side has a front si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plurality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삽입슬릿(160)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슬릿(16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삽입슬릿(160)의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손가락인입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round the insertion slit 160, the finger retracting groove 180 disposed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insertion slit 160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slit 160. Can b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 3실시예인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body as a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본체(10), 상기 역류방지패드(20) 및 상기 필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에 상기 삽입슬릿(160)을 형성할 필요없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를 보다 용이하게 구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메인본체(101)와 마감판(1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air fin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main body 10,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order to more easily include the backflow preventing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in the main body 10 without having to form the insertion slit 160 in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main body 101 and the closing plate 102 largely, as shown in FIGS. 13 and 14.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1 may be open.

상기 메인본체(101)의 내측면 일측과 내측면 타측에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필터부(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05)이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형성된 상태로 상기 메인본체(10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1,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105, respectively. The main body 101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1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5는 도 14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단면도이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4,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5.

상기 마감판(102)은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된 상태로 볼트결합 또는 끼움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판(102)을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102)의 하부면에는 상기 메인본체(101)의 내부 상측에 끼움결합되는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끼움돌기(103)가 상기 마감판(102)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closing plate 102 may be coupl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bolted or fitted in the state detachably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1, the closing plate 102 to the main body 101 When detachably fitt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s shown in Figure 15 and 16, the low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102,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frame shape that is fitted to the inn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1 The fitting protrusion 103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losing plate 102.

상기 끼움돌기(103)의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03)를 따라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본체(101)의 내주면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되는 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밀착고정부재(104)가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protrusion 103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long the fitting protrusion 103,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rubber materials which are detachably fix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 close contact fixing member 104 may be provid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4실시예인 본체로부터 패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d par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which is a 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제 1, 2, 3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본체(10), 상기 역류방지패드(20) 및 상기 필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본체(10)는 상기 메인본체(101)와 상기 마감판(10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감판(102)의 분실방지를 위해, 도 17 및 도 18에서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 전측에 상기 마감판(102)의 전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Next,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es the main body 10, the backflow preventing pad 20 and the filter unit 30 a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main body 101 and the closing plate 102,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closing plate 102, the main in Figures 17 and 18 The front side of the closing plate 102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1.

이와 달리, 상기 마감판(102)의 일측이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 또는 상기 마감판(102)의 타측이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 타측에 축결합되거나 상기 마감판(102)의 후측이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 후측에 축결합될 수도 있겠으나, 상기 본체(10)가 차량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마감판(102)이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로 열려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 전측에 상기 마감판(102)의 전측이 축결합되는 것이 좋다.Alternatively, one side of the closing plate 102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main body 101 or the other side of the closing plate 102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1 or the closing plate The rear side of the 102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1, but the closing plate 102 is the main plate while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1 from being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ide of the closing plate 102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1.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마감판(102)의 후측은 상기 메인본체(101)의 상부 후측에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고정 및 잠금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ar side of the closing plate 102 may be locked and locked by the locking means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1 can be released.

도 1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ler.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의 제거여부를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부(60), 알림부(70) 및 제어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more easily inform the user whether or not to remove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ure 19, the detection unit 60, the notification unit 70 and The controller 8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감지부(60)는 상기 역류방지패드(20)와 상기 필터부(30)의 골판필터(301) 사이의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unit 6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d 20 and the corrugated plate filter 301 of the filter unit 30 to be stored inside the main body 10. It can be made of various kinds such as a dust sensor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상기 알림부(70)는 상기 감지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 제거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70 may notify the user whether to remove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60.

상기 알림부(70)는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구비 또는 상기 본체(10)가 차량의 상부에 고정될 경우,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 등의 사용자에게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 제거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7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when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notification unit 70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to the user such as a vehicle driver. The user can be notified whether the stored fine dust 7 is removed.

상기 알림부(70)는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스피커 모두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70 may be made of a light emitting member such as an LED emitting light or a speaker outputting an alarm sound, or may include both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speaker.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10)가 차량의 상부에 고정될 경우,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when 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미세먼지량과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먼지량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70 by comparing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 with a reference dust amount preset in the control unit 80.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미세먼지량 수치가 기준먼지량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70)의 발광부재와 스피커가 전원공급부(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 및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or 6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ust amount,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speaker of the notification unit 70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9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It can emit light and alarm sound.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미세먼지량 수치가 기준먼지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90)에서 상기 알림부(7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알림부(7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60 is less than the reference dust amount,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90 to the notification unit 70 is cut off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 70) may be stopped.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80)에는 상기 감지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 제거여부를 사용자의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3)로 전송하는 SMS전송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80 to the terminal 3, such as a smart phone of the user holding whether to remove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60 SMS transmission unit 100 for transmitting may be provided.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미세먼지량 수치가 기준먼지량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SMS전송부(100)가 사용자의 단말기(3)로 '본체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해주세요'와 같은 미세먼지제거요망 단문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or 6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ust amount, the SMS transmitter 100 controls the user terminal 3 to remove the fine dust from the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You can send a short message, such as fine dust removal request.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미세먼지량 수치가 기준먼지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SMS전송부(10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or 60 is less than the reference dust amount, the SMS transmitter 100 may be stopp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도 20은 본 발명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fin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vehicle.

다음으로, 본 발명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1)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5)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이드레일(51)의 상부에 연결부(20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00)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86254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Next,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1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rail 5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5 as shown in FIG. It may be detachably connected by the 200, the connection portion 200 is known through 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086254, s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1은 차량에 구비된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포집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 21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ne dust collecting unit configured to suck fine dust collected in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인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은 실내외 또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200)에 의해 차량(5)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구비되어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7)를 제거하여 배기시키는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1)와;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1)의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를 흡입하는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mospheric dust collec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5 by the connection part 200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An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1) for removing and exhausting the fine dust (7) contained therein; And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50 for sucking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1.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50)의 하우징(520)은 고속도로 출입구, 공공차량 대기소,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속도로 출입구, 공공차량 대기소,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50)를 통해 특히, 상기 차량(5)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구비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7)를 용이하게 흡입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5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7)를 수거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모집하여 고용함으로서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거된 미세먼지(7)를 재활용 공장에 집하하여 시멘트 제품의 원료인 슬래그로 사용해 고형물로 만들어 자연으로 순환시키고 일부는 콘크리트 파일 등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The housing 520 of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50 may be installed in a highway entrance, a public vehicle waiting station, a public office, and the like, and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50 may be installed in a highway entrance, a public vehicle waiting station, a public office, and the lik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collect and collect the fine dust (7)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5) as well as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50) By recruiting and employing workers who want to collect fine dust (7), it is possible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job creation.In addition, the collected fine dust (7) is collected in a recycling plant and slag which is a raw material of cement products. It can be used as a solid to circulate into nature, and some can be produced as products such as concrete piles.

10; 본체, 20; 역류방지패드,
30; 필터부.
10; Main body, 20; Backflow prevention pad,
30; Filter part.

Claims (18)

전측에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측에 미세먼지가 제거된 외부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을 통과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의 전측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기공의 내경크기가 상기 통기공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역류방지패드의 통기공을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A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at a front side thereof, and an exhaust hole for exhausting external air from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at a rear side there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the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ncluding the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vent A backflow prevention pad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vent hol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vent hole toward the rear side to prevent the included external air from flowing backwar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pad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backflow prevention pad. Atmospheric dust collec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측에 상기 본체의 유입구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측 상부에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유입구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상부가이드판과;
상기 본체의 전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유입구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guide part for guiding external air containing fine dust 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he guide portion has an upper guide plate formed in a state inclined downward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guide plate formed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유입구에 흡입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fan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기 본체의 측면 부위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uction port is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backflow prevention pad and the filter unit,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s provid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상부가 축결합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마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atmospheric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round the suction port is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backflow prevention pad and the filter unit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non-return pad and the filter unit is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릿 주변의 상기 본체의 측면에 상기 삽입슬릿과 연통되는 손가락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ger inlet groov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slit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round the insertion sl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릿 주변의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삽입슬릿과 연통되는 손가락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ger inlet groov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sli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round the insertion sl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open at the top;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losing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의 상부 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losing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main body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역류방지패드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골판필터와;
상기 골판필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평판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and the corrugated plate filt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backflow prevention pad;
And a flat plate filt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rugated plate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의 제거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미세먼지량과 기준먼지량을 비교하여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amount of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whether or not the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is remov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unit by comparing the amount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with a reference dust amou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의 제거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전송부;가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SM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of the user whether to remove the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흡입구를 상기 개폐부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a fine dust collecting unit for sucking the fine dust stor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ile the suction opening of the main body is opene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수거부는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삽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하우징과;
상기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ne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u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A housing for sucking fine dust store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ipe;
And a connection lin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housing to connect the suction pipe and the housing.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mospher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is provided.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배기시키는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와;
상기 대기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미세먼지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미세먼지 포집시스템.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for remov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And a fine dust collecting unit which sucks fine dust stor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KR1020180043078A 2018-04-13 2018-04-13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KR102041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78A KR102041095B1 (en) 2018-04-13 2018-04-13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78A KR102041095B1 (en) 2018-04-13 2018-04-13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40A true KR20190119740A (en) 2019-10-23
KR102041095B1 KR102041095B1 (en) 2019-11-06

Family

ID=6846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078A KR102041095B1 (en) 2018-04-13 2018-04-13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6515A1 (en) * 2020-12-22 2022-06-30 Camfil Aktiebolag Air filter with integrated sealed access 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00B1 (en) 2020-07-27 2020-12-30 엔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Dus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00U (en) * 2007-10-08 2009-04-13 박진규 Saddle Tee for a preventive flowing backward
KR20120007245U (en) * 2011-04-12 2012-10-22 김계철 Air purification unit
KR20140050871A (en) * 2012-10-22 2014-04-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moval devi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for electric rolling stocks
KR20140112671A (en) * 2013-03-14 2014-09-24 함형춘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for dust disposal of agricultural products
KR101517906B1 (en) 2013-06-20 2015-05-06 손동욱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20160124458A (en)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emote air condition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00U (en) * 2007-10-08 2009-04-13 박진규 Saddle Tee for a preventive flowing backward
KR20120007245U (en) * 2011-04-12 2012-10-22 김계철 Air purification unit
KR20140050871A (en) * 2012-10-22 2014-04-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moval devi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for electric rolling stocks
KR20140112671A (en) * 2013-03-14 2014-09-24 함형춘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for dust disposal of agricultural products
KR101517906B1 (en) 2013-06-20 2015-05-06 손동욱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20160124458A (en)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emote air condition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6515A1 (en) * 2020-12-22 2022-06-30 Camfil Aktiebolag Air filter with integrated sealed access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095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095B1 (e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CN102039222A (en) High-efficiency labyrinth type air treatment device
CN201543505U (en) Efficient labyrinth air treatment device
US20210395044A1 (en) Elevator having function of removing dust adhered to object aboard
EP4059748B1 (en) Air purifier
WO2014189181A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101883498B1 (en) Air Injection collecting dust removal equipment
CN206593224U (en) A kind of air purifier
KR101240456B1 (en)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and ventilating in underground structures ,and method for control of that
CN204769715U (en) Glass draws piece collection device that wire cut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was suitable for
JP2009034604A (en) Air cleaner
KR20120047175A (en) Air cleaner with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2350889B1 (en) Air cleaner apparatus
KR102089221B1 (en) Fine particulate removal appapratus
KR102106596B1 (en) Air cleaner
CN112789098B (en) Air purifying device
CN212842045U (en) Double-tube ventilation device for limited space operation
JP2008032248A (en)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in air trunk
JP2005241059A (en) System for dividing place into smoking and non-smoking section
KR100686897B1 (en) Vantilator for subway
KR20210112772A (en) Air cleaner using a water
CN217404075U (en) Dust detection device
KR100669026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JP2011027270A (en) Pollen removing system and unit building
CN106482276A (en) Dust-collection sterilization anion air curtain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