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378A -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 Google Patents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378A
KR20190119378A KR1020180042742A KR20180042742A KR20190119378A KR 20190119378 A KR20190119378 A KR 20190119378A KR 1020180042742 A KR1020180042742 A KR 1020180042742A KR 20180042742 A KR20180042742 A KR 20180042742A KR 20190119378 A KR20190119378 A KR 2019011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wd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mai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937B1 (ko
Inventor
김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04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9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92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ata processing means, e.g. expert systems, 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 운영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보호계전기의 통신 인프라 하에, <주 제어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FWD를 실시간 저장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통신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시스템 서버 측으로부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FWD 전송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전송대상 FWD를 확인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통신망, 예를 들어, 모드버스-알티유(MODBUS-RTU) 기반의 통신망을 사용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상향 유통을 정상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종래의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채용에 따른 비용상승 문제점, 자체 프로토콜의 채용에 따른 FWD의 불완전 유통 문제점, 케이블의 로컬 설치에 따른 운영효율 저하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원격 확인을 통해, 전력계통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The unit which operates a fault wave data of a protective relay}
본 발명은 보호계전기의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운영해주는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계전기의 통신 인프라 하에, <주 제어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FWD를 실시간 저장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통신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시스템 서버 측으로부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FWD 전송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전송대상 FWD를 확인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통신망, 예를 들어, 모드버스-알티유(MODBUS-RTU) 기반의 통신망을 사용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상향 유통을 정상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종래의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채용에 따른 비용상승 문제점, 자체 프로토콜의 채용에 따른 FWD의 불완전 유통 문제점, 케이블의 로컬 설치에 따른 운영효율 저하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원격 확인을 통해, 전력계통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종류의 보호계전기 관련 장치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7607호(명칭: 디지털 보호계전기)(2011.08.02.자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4128호(명칭: 저장장치 제어기능부 정지형 절체 스위치/지능형 보호계전기)(2013.05.14.자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22503호(명칭: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2016.10.24.자 공개) 등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호계전기 관련 장치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계전기(10)는 전력계통(30)에 대한 보호계전 알고리즘 진행, 전력계통(30)에 대한 제어 동작, 전력계통(3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저장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주 제어유닛(12)과, 상기 주 제어유닛(12)과 시스템 서버(20)와의 통신을 매개하면서, 시스템 서버(20)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각종 메시지를 주 제어유닛(12) 측으로 전달하거나, 주 제어유닛(12)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각종 데이터를 시스템 서버(20) 측으로 전달하는 통신유닛(11)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보호계전기(10)의 주 제어유닛(12) 측에서는 전력계통(3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그에 상응하는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FWD를 시스템 서버(20) 측으로 상향 보고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 예를 들어, 전력계통(30)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30)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통신유닛(11) 측에서는 통신망(T1)을 매개로 시스템 서버(20)와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12)에 의해 생성된 FWD를 시스템 서버(20)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주 제어유닛(12)에 의해 생성되는 FWD는 그 사이즈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그 전송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힘든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심각한 문제점 하에서,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몇 가지 불완전한 조치, 예를 들어, 고가의 비용이 들더라도, 통신망(T1)을 이더넷(Ethernet)으로 유지시키는 조치, 에이치디엘씨(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등과 같은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체 FWD 중 일부 FWD만을 유통시키는 조치, 로컬에 위치한 보호계전기(10)에 직접 케이블을 설치하여, FWD를 확인하는 조치 등을 임시 방편으로 취할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그에 상응하는 각종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7607호(명칭: 디지털 보호계전기)(2011.08.02.자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4128호(명칭: 저장장치 제어기능부 정지형 절체 스위치/지능형 보호계전기)(2013.05.14.자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22503호(명칭: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2016.10.24.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계전기의 통신 인프라 하에, <주 제어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실시간 저장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통신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시스템 서버 측으로부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FWD 전송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전송대상 FWD를 확인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통신망, 예를 들어, 모드버스-알티유(MODBUS-RTU) 기반의 통신망을 사용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상향 유통을 정상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종래의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채용에 따른 비용상승 문제점, 자체 프로토콜의 채용에 따른 FWD의 불완전 유통 문제점, 케이블의 로컬 설치에 따른 운영효율 저하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원격 확인을 통해, 전력계통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유닛 및 전력계통을 관리하는 주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보호계전기에 설치되며, 상기 주 제어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주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저장하는 FWD 저장 처리모듈과; 상기 통신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시스템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FWD 전송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전송대상 FWD를 확인한 후,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과 통신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상기 통신유닛을 통해 상기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FWD 전송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계전기의 통신 인프라 하에, <주 제어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실시간 저장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통신유닛과 통신을 취하면서, 시스템 서버 측으로부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FWD 전송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전송대상 FWD를 확인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통신망, 예를 들어, 모드버스-알티유(MODBUS-RTU) 기반의 통신망을 사용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상향 유통을 정상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종래의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채용에 따른 비용상승 문제점, 자체 프로토콜의 채용에 따른 FWD의 불완전 유통 문제점, 케이블의 로컬 설치에 따른 운영효율 저하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원격 확인을 통해, 전력계통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호계전기의 통신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채용한 보호계전기의 통신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보호계전기(40)는 전력계통(60)에 대한 보호계전 알고리즘 진행, 전력계통(60)에 대한 제어 동작, 전력계통(6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저장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주 제어유닛(42)과, 상기 주 제어유닛(42)과 시스템 서버(50)와의 통신을 매개하면서, 시스템 서버(50)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각종 메시지를 주 제어유닛(42) 측으로 전달하거나, 주 제어유닛(42)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각종 데이터를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전달하는 통신유닛(41)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주 제어유닛(42) 측에서는 전력계통(6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그에 상응하는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FWD를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상향 보고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 예를 들어, 전력계통(60)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60)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또한, 통신유닛(41) 측에서는 통신망(T2)을 매개로 시스템 서버(50)와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42)에 의해 생성된 FWD를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주 제어유닛(42)에 의해 생성되는 FWD는 그 사이즈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그 전송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힘든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몇 가지 불완전한 조치, 예를 들어, 고가의 비용이 들더라도, 통신망을 이더넷(Ethernet)으로 유지시키는 조치, 에이치디엘씨(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등과 같은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체 FWD 중 일부 FWD만을 유통시키는 조치, 로컬에 위치한 보호계전기에 직접 케이블을 설치하여, FWD를 확인하는 조치 등을 임시 방편으로 취하였지만, 이 경우,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채용에 따른 비용상승 문제점, 자체 프로토콜의 채용에 따른 FWD의 불완전 유통 문제점, 케이블의 로컬 설치에 따른 운영효율 저하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T2)을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통신망인, 모드버스-알티유(MODBUS-RTU) 기반의 통신망으로 설계/형성하는 조치를 강구함과 아울러, 보호계전기(40)의 통신 블록(또는, 프로그램 블록) 내에, 본 발명 고유의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100)>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100)>은 상황에 따라, 통신유닛(41)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어도 무방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매개로 하여, 통신유닛(41), 주 제어유닛(42), 시스템 서버(50) 등과 통신을 취하는 FWD 전송 처리모듈(102), 공유 메모리(103), FWD 저장 처리모듈(104), 데이터 건전성 체크모듈(105), 데이터 오류 체크모듈(106),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107)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FWD 저장 처리모듈(104)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매개로 하여, 주 제어유닛(42)과 통신을 취하면서, 주 제어유닛(42)에 의해 FWD가 생성 완료되면, 생성 완료된 FWD를 수신한 후, 일련의 정보저장루틴을 진행시켜, 수신 완료된 FWD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실시간으로 저장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러한 FWD 저장 처리모듈(104)의 기능수행 하에서, 주 제어유닛(42) 측에서는 FWD의 추가 저장에 따른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데이터 유실의 문제점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자신에게 주어진 계전 알고리즘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좀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유 메모리(1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매개로 하여, 통신유닛(41) 및 주 제어유닛(42)과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통신유닛(41) 및 주 제어유닛(42)의 공통 정보저장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러한 공유 메모리(103)의 기능수행 하에서, 통신유닛(41), 주 제어유닛(42)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 프로세스의 개입 없는 직접 메모리 제어방식(DMA 방식)을 통해, 각자가 생성/생산한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103)가 제공하는 공통 정보저장영역에 저장 처리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불필요한 통신지연 문제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FWD 전송 처리모듈(10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매개로 하여, 통신유닛(41)과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시스템 서버(50) 측으로부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예컨대, 사고파형 유무 전송요청 메시지, 시간/사고타입/주소 전송요청 메시지, 사고파형 데이터그룹/인덱스 전송요청 메시지 등)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때, 시스템 서버(50) 측으로부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예컨대, 사고파형 유무 전송요청 메시지, 시간/사고타입/주소 전송요청 메시지, 사고파형 데이터그룹/인덱스 전송요청 메시지 등)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면, FWD 전송 처리모듈(102) 측에서는 통신유닛(41)을 통해, 소정의 응답 메시지를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대응 전송시키면서,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FWD 전송요청 메시지(예컨대, 사고파형 유무 전송요청 메시지, 시간/사고타입/주소 전송요청 메시지, 사고파형 데이터그룹/인덱스 전송요청 메시지 등)를 판독하고, 이를 통해, 전송대상 FWD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전송대상 FWD가 확인 완료되면, FWD 전송 처리모듈(102) 측에서는 그 즉시,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104)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에서,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FWD 저장 처리모듈(104)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에서, 전송대상 FWD가 선택적으로 추출 완료되면, FWD 전송 처리모듈(102)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할루틴을 진행시켜, 추출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즉, 모드버스-알티유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최대한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분량 단위)로 분할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하여, 전송대상 FWD가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즉, 모드버스-알티유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최대한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분량 단위)로 분할 완료되면, FWD 전송 처리모듈(10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매개로, 통신유닛(41)과 통신을 취하면서,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통신유닛(41)을 통해 시스템 서버(50)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FWD 저장 처리모듈(104), 공유 메모리(103) 등의 기능수행에 의해 불필요한 통신지연 문제가 선결되어 있고, 이와 아울러, FWD 전송 처리모듈(102)의 기능수행에 의해 전송대상 FWD가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즉, 모드버스-알티유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최대한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분량 단위)로 분할되어 유통되는 경우,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통신망(T2), 예를 들어, 모드버스-알티유(MODBUS-RTU) 기반의 통신망을 사용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상향 유통을 정상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종래의 각종 문제점,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통신망의 채용에 따른 비용상승 문제점, 자체 프로토콜의 채용에 따른 FWD의 불완전 유통 문제점, 케이블의 로컬 설치에 따른 운영효율 저하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도, FWD의 원활한 원격 확인을 통해, 전력계통의 사고원인 분석, 전력계통의 문제상황 사전예측 등과 같은 후속 대책을 손쉽게 수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100)에 소속된 데이터 건전성 체크모듈(105) 측에서는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104)과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104)에 저장되어 있는 FWD를 대상으로, 순환 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를 진행시켜, 상기 FWD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러한 데이터 건전성 체크모듈(105)의 기능수행 하에서, 주 제어유닛(42) 측에서는 <자가 소프트웨어 처리루틴을 통해 FWD 건전성 체크절차를 더디게 진행하여야 하는 부담>을 감소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불필요한 통신지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100)에 소속된 데이터 오류 체크모듈(106) 측에서는 통신유닛(41), FWD 전송 처리모듈(10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오류 체크루틴을 진행시켜, FWD 전송요청 메시지 또는 전송대상 FWD의 오류를 체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이 상황 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 FWD 전송요청 메시지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 오류 체크모듈(106) 측에서는 그 즉시,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상기 FWD 전송요청 메시지의 재 전송을 유도하기 위한 재 전송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메시지 오류에 따른 FWD 유통 중단 문제, 메시지 오류에 따른 FWD 유통 지연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전송대상 FWD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 오류 체크모듈(106) 측에서는 그 즉시, FWD 전송 처리모듈(102) 측으로, 전송대상 FWD의 전송절차 중지를 유도하기 위한 전송중지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이 상황 하에서도,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오류 FWD의 유통 문제, 시스템 서버(50)와 다른 노드들 간의 통신 지연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100)에 소속된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주 제어유닛(42), FWD 전송 처리모듈(10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FWD 전송 처리모듈(102)에 의해 상기 전송대상 FWD가 상기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전송되고 있는 국면에서, 전력계통(60)에 고장이 발생하여, 주 제어유닛(42) 측으로부터 신규 FWD가 생성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때, <FWD 전송 처리모듈(102)에 의해 상기 전송대상 FWD가 상기 시스템 서버(50) 측으로 전송되고 있는 국면에서, 전력계통(60)에 고장이 발생하여, 주 제어유닛(42) 측으로부터 신규 FWD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FWD 전송 처리모듈(102)과 통신하여, 상기 신규 FWD가 기 정해진 시간동안 전송대기 상태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참고로,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시스템 서버(50) 측에서, 이전 제공 FWD와 신규 FWD를 구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별유도 메시지를 시스템 서버(50) 측에 전송하는 절차를 추가로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107)의 기능수행 하에서, 주 제어유닛(42) 측에서는 이전 FWD와 신규 FWD의 혼합 수신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벗어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력계통 운영주체 측에서는 전체적인 FWD 유통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력기기 생산정보의 효율적인 상향 유통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T1,T2: 통신망
10,40: 보호계전기
11,41: 통신유닛
12,42: 주 제어유닛
20,50: 시스템 서버
30,60: 전력계통
100: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
101: 인터페이스 모듈
102: FWD 전송 처리모듈
103: 공유 메모리
104: FWD 저장 처리모듈
105: 데이터 건전성 체크모듈
106: 데이터 오류 체크모듈
107: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

Claims (5)

  1. 시스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유닛 및 전력계통을 관리하는 주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보호계전기에 설치되며, 상기 주 제어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주 제어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사고 파형 데이터(FWD: Fault Wave Data)를 저장하는 FWD 저장 처리모듈과;
    상기 통신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시스템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FWD의 접수를 위한 FWD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FWD 전송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전송대상 FWD를 확인한 후,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과 통신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FWD 중, 전송대상 FWD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전송대상 FWD를 기 설정되어 있던 최대전송 가능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 완료된 전송대상 FWD를 상기 통신유닛을 통해 상기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FWD 전송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 및 주 제어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통신유닛 및 주 제어유닛의 공통 정보저장영역을 제공하는 공유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과 통신하면서, 상기 FWD 저장 처리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FWD를 대상으로, 순환 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를 진행시켜, 상기 FWD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데이터 건전성 체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유닛 또는 FWD 전송 처리모듈과 통신하면서, FWD 전송요청 메시지 또는 전송대상 FWD의 오류를 체크하고, 해당 오류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시스템 서버 측으로, 상기 FWD 전송요청 메시지의 재 전송을 유도하기 위한 재 전송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FWD 전송 처리모듈 측으로, 상기 전송대상 FWD의 전송절차 중지를 유도하기 위한 전송중지 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오류 체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유닛 또는 FWD 전송 처리모듈과 통신하면서, 상기 FWD 전송 처리모듈에 의해 상기 전송대상 FWD가 상기 시스템 서버 측으로 전송되고 있는 국면에서, 상기 전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주 제어유닛 측으로부터 신규 FWD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FWD 전송 처리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신규 FWD가 기 정해진 시간동안 전송대기 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FWD 대기전송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계전기 FWD 운영유닛.
KR1020180042742A 2018-04-12 2018-04-12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KR10257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42A KR102572937B1 (ko) 2018-04-12 2018-04-12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42A KR102572937B1 (ko) 2018-04-12 2018-04-12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78A true KR20190119378A (ko) 2019-10-22
KR102572937B1 KR102572937B1 (ko) 2023-08-31

Family

ID=6842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42A KR102572937B1 (ko) 2018-04-12 2018-04-12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36A (ko) 2021-09-30 2023-04-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의 디지털보호계전기 성능진단시스템 및 성능진단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521A (ko) * 2001-04-18 2002-10-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방향 패킷 송수신 방법
KR20110007607U (ko) 2010-01-25 2011-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계전기
KR20110123568A (ko) * 2010-05-07 2011-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원방 통신 방법
KR101264128B1 (ko) 2011-11-17 2013-05-14 한국전기연구원 저장장치 제어기능부 정지형 절체 스위치/지능형 보호계전기
KR20160122503A (ko) 2015-04-14 201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521A (ko) * 2001-04-18 2002-10-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방향 패킷 송수신 방법
KR20110007607U (ko) 2010-01-25 2011-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계전기
KR20110123568A (ko) * 2010-05-07 2011-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원방 통신 방법
KR101264128B1 (ko) 2011-11-17 2013-05-14 한국전기연구원 저장장치 제어기능부 정지형 절체 스위치/지능형 보호계전기
KR20160122503A (ko) 2015-04-14 201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36A (ko) 2021-09-30 2023-04-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의 디지털보호계전기 성능진단시스템 및 성능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937B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1783B1 (en)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substation based on industrial internet architecture
US10491463B2 (en) Software-defined realization method based on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intelligent substation
CN104753038B (zh) 一种智能变电站集中式继电保护系统及保护方法
CN109787356B (zh) 一种基于iec61850规约的变电站遥控防误操作方法及系统
CN102097859A (zh) 电网调度智能化及指令信息化工作平台
CN102668321A (zh) 扩展的能量自动化系统
US20130315362A1 (en) Nuclear digit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
CN112583796A (zh) 一种终端设备接入电力物联网的方法、系统及物联管理平台
CN103747472B (zh) 基于电路域七号信令网的无感串接系统
KR20190119378A (ko) 보호계전기 사고 파형 데이터 운영유닛
CN114448085A (zh) 用于工业控制系统的iot网关、相关联的设备、系统和方法
CN105743695A (zh) 一种基于iec104 规约的监听方法及系统
CN102760504A (zh) 核电站全厂机组的数字控制系统及非核级控制系统、方法
CN108551400B (zh) 一种便携式运维堡垒机系统
Kolosok et al. Cyber resilience of SCADA at the level of energy facilities
CN113780984B (zh) 一种基于区块链的配电网站所交互系统及交互方法
CN215897739U (zh) 一种远程子站调取录波文件的终端
KR102160539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디지털변전소
CN103728936A (zh) 发电厂电气热工一体化控制的装置、方法及控制系统
KR102160537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구비한 디지털변전소
CN111835661B (zh) 一种基于订阅发布模式的变电站业务安全传输系统及方法
CN105827458A (zh) 一种通信网络中故障调度的方法及装置
CN117240466A (zh) 一种配电网通信安全认证方法及系统
CN117640151A (zh) 基于通信运行方式的电力业务数据安全传输方法
KR100640329B1 (ko) 관리대상 시스템과의 의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티-엠-엔에이젼트 설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