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375A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375A
KR20190118375A KR1020180041607A KR20180041607A KR20190118375A KR 20190118375 A KR20190118375 A KR 20190118375A KR 1020180041607 A KR1020180041607 A KR 1020180041607A KR 20180041607 A KR20180041607 A KR 20180041607A KR 20190118375 A KR20190118375 A KR 2019011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t circuit
frequency
wireless power
curren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616B1 (ko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616B1/ko
Priority to US16/980,209 priority patent/US11502549B2/en
Priority to PCT/KR2019/004207 priority patent/WO2019199020A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Transmitter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1 전류가 인가되어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1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공진 회로,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하는(vary) 임피던스 가변부,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기 제1 공진 회로에서 생성된 상기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상기 임피던스 가변부를 제어할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관련된다.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은 케이블(cable)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가전 기기나 전기 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이다. 전원이 필요한 장치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자기 유도(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IPTS) 방식, 전기차 고속철 등에 사용되는 자기 공진(coupled magnetic resonance system)(CMRS) 방식, 우주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사용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나 인테리어적으로 이를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TV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송신 기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의 특성상 전력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하거나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EMI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코일에서 생성된 누설 자기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EMI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거를 위한 코일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이 올라가고 설치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추가 없이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제거할 수 있지만, 주파수의 불일치로 전력의 전송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은,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을 이용하여 EMI 신호를 감소시키면서도,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은,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1 전류가 인가되어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1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공진 회로,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하는(vary) 임피던스 가변부,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기 제1 공진 회로에서 생성된 상기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상기 임피던스 가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1 전류가 인가되어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기 제1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공진 회로,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하는(vary) 임피던스 가변부,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지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기 제1 공진 회로에서 생성된 상기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상기 임피던스 가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고,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전력 신호의 변환된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가변시킴으로써, 누설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EMI 신호를 감소시키면서도 지정된 이득 이상의 전력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공진 이득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EMI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지정된 주기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 및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120-1)를 포함하고,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부(120-2)가 무선 전력 수신기(120´)에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20´)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10)은, 예를 들어, 벽전원(또는, 상용 전원)으로서 지정된 범위(예: 85 ~ 256 V) 내의 교류 전압을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 신호(20)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신호(20)는, 예를 들어, 입력된 전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제1 코일(110´)을 통해 자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전력 신호(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력 신호(20)를 통해 디스플레이(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로부터 전력 신호(20)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 의해 발생된 자기 장에 의해 제2 코일(120´)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됨으로써, 전력 신호(20)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수신된 전력을 내부에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컨텐트(content)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컨텐트에 포함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는,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예: 셋톱 박스(set-top box), DVD 플레이어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내부에 포함된 스피커(미도시), 또는, 외부 스피커 장치(미도시)를 통해 컨텐트에 포함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전력 전송의 특성상 전력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하거나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EMI 신호는, 예를 들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코일에서 생성된 누설 자기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EMI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거를 위한 코일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이 올라가고 설치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추가 없이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제거할 수 있지만, 주파수의 불일치로 전력의 전송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은,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을 이용하여 EMI 신호를 감소시키면서도,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10), 및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부 구성은, 예를 들어,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2 공진 회로(121), 임피던스 가변부(122), 및 임피던스 가변부(12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역률 조정기(111), 인버터(112), 전류 발생부(113), 제1 공진 회로(114), 및 제1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교류 전압(또는, 전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률 조정기(110)는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의 역률(power factor)을 조정하여 지정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률 조정기(111)는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률 조정기(111)는 정류된 교류 전압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일치시켜 역률을 1에 근접하게 변경시키고,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를 통해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112)는 역률 조정기(111)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invert)할 수 있다. 인버터(112)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PWM)를 위한 PWM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112)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또는, 스위칭 주파수)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112)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 발생부(113)는 역률 조정기(111)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지정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122)는 전류 발생부(113)를 통해 제1 공진 회로(114)에 공급되는 전류(또는, 제1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 발생부(113)는 인버터(112)로부터 상이한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입력 받더라도, 지정된 크기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공진 회로(114)는 전류 발생부(113)로부터 입력된 지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지정된 주파수(또는, 동작 주파수)의 전력 신호(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주파수는, 예를 들어, 인버터(112)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또는, 스위칭 주파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진 회로(114)는 전력 신호(20)를 디스플레이(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인버터(112)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frequency of output voltage)(또는,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55)는 인버터(112)에 포함된 스위치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duty-ratio) 를 변경하여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또는,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제어부(115)는 PWM 회로의 온오프(on-off) 주기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전류 발생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지정된 크기의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15)는 인버터(112)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전류 발생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지정된 크기의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제1 공진 회로(114)를 통해 송신되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15)는 인버터(112)를 제어하여 전류 발생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지정된 크기의 전류의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제1 공진 회로(114)를 통해 송신되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제1 공진 회로(114)를 통해 송신되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15)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를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제1 제어부(115)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지정된 주파수(또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주파수는, 예를 들어, 제1 공진 회로(114)의 동작 주파수일 수 잇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15)는 전력 신호(20)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를 지정된 주기로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주기는,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15)는 제1 공진 회로(114)의 동작 주파수, 및 스펙트럼 분석기의 분해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전력 신호(20)를 전송할 때, 제1 공진 회로(114) 및 전력 신호(20)를 수신하는 공진 회로(예: 제2 공진 회로(121))에서 발생될 수 있는 EMI 신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제2 공진 회로(121), 임피던스 가변부(122), 컨버터(123), 부하부(124), 및 제2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에 포함된 무선 전력 수신기는, 예를 들어, 제2 공진 회로(121), 임피던스 가변부(122), 및 임피던스 가변부(122)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공진 회로(121)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 로부터 전력 신호(20)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진 회로(121)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에 공진함으로써 전력 신호(20)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 값에 따라 전력 신호(20)의 주파수에서의 공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따르면, 제2 공진 회로(121)는 전력 신호(20)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디스플레이(120) 내부의 구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제2 공진 회로(121)에 연결된 소자(예: 커패시터)의 유효 임피던스 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정류 회로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하여 제2 공진 회로(121)에 연결된 소자의 유효 임피던스 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정류 회로를 통해 제2 공진 회로(121)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또는, 전류)를 직류 전압(또는,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가변부(122)의 출력단에 직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커패시터(예: 평활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버터(123)는 임피던스 가변부(122)의 정류 회로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압을 부하부(124)의 용량에 맞게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123)는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고, 레벨이 조정된 직류 전압을 부하부(124)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버터(123)는 지정된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하부(또는, 이미지 출력부)(124)는 제2 공진 회로(121)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소비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부(124)는 컨버터(123)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디스플레이(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임피던스 가변부(122)를 제어하여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임피던스 가변부(122)의 정류 회로에 설치된 스위치의 온오프 주기를 조절하여 제2 공진 회로(121)의 출력단에 연결된 소자의 유효 임피던스를 가변시킴으로써,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서 송신된 전력 신호(20)에 공진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의 제1 공진 회로(114)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공진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제어부(125)는 제2 공진 회로(121)의 공진 주파수가 전력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서 송신되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위상 감지기(phase detector)를 통해 수신된 전력 신호(20)의 위상을 감지하고, 제로 크로싱 감지기(zero crossing detector)를 통해 위상이 0(또는, 제로(zero))이 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수신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 신호(20)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획득된 정보에 따라 전력 신호(20)의 주파수 공진하도록 임피던스 가변부(122)를 통해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 주파수가 가변되는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EMI 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력 신호의 주파수 신호를 가변시켜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더라도(또는, 전력 신호에 대해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가변된 주파수에 공진하여 전력 신호(20)를 수신함으로써 지정된 이득 이상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디스플레이(12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의 인버터(112)에 지정된 직류 전압(Vs)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전압(Vs)은, 예를 들어, 역률 조정기(예: 도 2의 역률 조정기(111))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11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ive transistor)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112)는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 사이 지점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제1 제어부(115)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의 온오프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지정된 주파수(또는, 스위칭 주파수)(ws)의 전압(또는,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 발생부(113)는 제3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진 회로는, 예를 들어, 직렬 공진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3 공진 회로의 제3 인덕터(La)는 제1 공진 회로(114)와 직렬로 연결되고, 제3 커패시터(Ca)는 제1 공진 회로(114)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인덕터(La)는 제1 공진 회로(114)의 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제3 커패시터(Ca)는 제1 공진 회로(114)의 입력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 발생부(113)의 제3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동작 주파수(또는, 스위칭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동작 주파수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3 인덕터(La), 및 제3 커패시터(Ca)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발생부(113)는 제1 공진 회로(114)로 지정된 크기의 전류(is)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공진 회로(114)는 제1 커패시터(C1) 및 제1 인덕터(L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와 제1 인덕터(L1)는, 예를 들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공진 회로(114)에는 전류 발생부(113)로부터 입력된 지정된 전류(is)에 의해 제1 제1 전류(i1)가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공진 회로(114)에는 제1 전류(i1)가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제1 공진 회로(114)는 제1 전류(i1)가 흐르는 제1 인덕터(L1)를 통해 전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진 회로(114)는 제1 전류(i1)가 흐르는 제1 인덕터(L1)를 통해 지정된 주파수(또는, 동작 주파수)에서 공진점을 형성하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15)는 제1 공진 회로(114)를 통해 송신되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15)는 인버터(112)의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의 온오프 주기를 제어하여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제1 제어부(115)는, 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진 회로(114) 및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공진 회로(예: 제2 공진 회로(121))의 누설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EMI 신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의 제2 공진 회로(121)는 제2 커패시터(C2) 및 제2 인덕터(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 및 제2 인덕터(L2)는, 예를 들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공진 회로(121)는 제2 인덕터(L2)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110)로부터 수신된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진 회로(121)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의 제1 공진 회로(114)에 의해 생성된 자지장에 의해 유도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기전력은, 예를 들어, 제2 공진 회로(121)가 제1 공진 회로(114)에 의해 생성된 자지장에 공진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인덕터(L2)에 발생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제2 공진 회로(121)에 제2 전류(i2)가 흐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제4 커패시터(Cp) 및 제4 커패시터(Cp)에 연결된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커패시터(Cp)는, 예를 들어, 제2 공진 회로(114)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커패시터(Cp)는 제2 공진 회로(114)의 출력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류 회로는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를 포함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에는 제2 공진 회로(114)의 임피던스(예: 커패시턴스)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가 off인 경우, 전류는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는, 예를 들어, FET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의 온오프 주기를 변경하여 제4 커패시터(Cp)의 유효 커패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를 변경하여 제4 커패시터(Cp)의 유효 커패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유효 커패시턴스는, 예를 들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v는 유효 커패시턴스이고, Cp는 4 커패시터(Cp)의 커패시턴스이고, D는 듀티비일 수 있다. Cp가 1 nF 이고, D가 0 ~ 20 % 가변시킴에 따라 Cv는 1 ~ 3.36 nF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125)는 임피던스 가변부(122)의 하나의 커패시터만을 이용하여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서 송신된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임피던스 가변부(112)의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서 송신된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제어부(125)는 제2 공진 회로(121)의 공진 주파수가 전력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서 송신되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공진 회로(121)의 출력 양단에 설치된 제1 위상 감지기(PD1), 및 제2 위상 감지기(PD2)를 통해 수신된 전력 신호의 위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상 감지기(PD1), 및 제2 위상 감지기(PD2)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의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수신된 전력 신호의 위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부(125)는 제1 제로 크로싱 감지기(125a) 및 제2 제로 크로싱 감지기(125b)를 통해 1 위상 감지기(PD1), 및 제2 위상 감지기(PD2) 각각에서 감지된 위상이 0인 지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수신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제2 제어부(125)는 획득된 정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10)에서 송신된 전력 신호에 공진 하도록 임피던스 가변부(122)를 통해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25)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 주파수가 가변되는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제2 공진 회로(121)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의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가변된 주파수에 공진하여 스펙트럼이 확산된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제2 공진 회로(121)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부하부(124)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 가변부(122)는 평활 커패시터(C_L)를 통해 지정된 전압을 부하부(124)로 출력할 수 있다. 부하부(124)는, 예를 들어, 출력되는 이미지에 따라 저항 값(R_L)이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의 공진 이득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110)의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제2 공진 회로(121)의 공진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인버터(112)를 통해 제1 공진 회로(114)에 흐르는 제1 전류(i1)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f1), 및 제2 주파수(f2) 및 제3 주파수(f3)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제2 주파수(f2)는, 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진 회로(114)에 흐르는 제1 전류(i1)의 이득(410)이 변경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110)의 스위칭 주파수 변환에 따라 제2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임피던스 가변부를 통해 제2 공진 회로(121)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f1), 및 제2 주파수(f2) 및 제3 주파수(f3)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공진 회로(114)에 전력 신호의 가변된 주파수 각각을 중심으로 높은 이득(421, 423, 425)을 갖는 제2 전류(i2)가 제2 공진 회로(121)에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10)가 송신되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더라도, 송신된 전력 신호에 공진하여 지정된 이득 이상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EMI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력 신호를 송신할 때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EMI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중심 주파수에서 큰 크기를 갖는 제1 EMI 신호(510)가 발생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1 % 변환 범위 내로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1 % ~ 1 % 내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제2 EMI 신호(520)는 변환된 각각의 주파수에서 제1 EMI 신호(510)에 비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에서 2 % 변환 범위 내로 가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2 % ~ 2 % 내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제3 EMI 신호(530)는 변환된 각각의 주파수에서 제1 EMI 신호(510) 및 제2 EMI 신호(520)에 비해 크기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능을 수행하여 EMI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도, 도 4에서와 같이 지정된 지정된 이득 이상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기가 지정된 주기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 제1 주기(P1)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중심 주파수(fo)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중심 주파수(fo)를 기준으로 지정된 크기(Md)이하에서 지정된 크기(Md)까지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기(110)는 지정된 주기(P1)로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주기(P1)의 1/4가 되는 제2 주기(P2)는 스펙트럼 분석기의 분해능과 일치하였을 때 EMI 신호의 감소 효과가 최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5 kHz의 중심 주파수(또는, 동작 주파수)를 기준으로 2 % 변환 범위 내로 가변시키고, 스펙트럼 분석기의 분해능이 200 Hz일 때 EMI 신호의 크기가 12.3(dB) 감소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송신 주파수를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고,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전력 신호의 변환된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가변시킴으로써, 누설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EMI 신호를 감소시키면서도 지정된 이득 이상의 전력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1 전류가 인가되어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제1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공진 회로,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하는(vary) 임피던스 가변부,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기 제1 공진 회로에서 생성된 상기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상기 임피던스 가변부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변환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는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출력부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된 정류 회로, 및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커패시턴스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정류 회로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키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위상 감지기 및 제로 크로싱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위상 감지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 신호의 위상을 감지하고,
    상기 제로 크로싱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위상이 0이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지정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발생부는 제3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진 회로는 제2 커패시터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인덕터는 상기 공진 회로와 직렬로 연결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의 주기를 변경하여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장시키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범위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2 % ~ 2 % 내인,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1 전류가 인가되어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제1 공진 회로, 및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기 제1 전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공진 회로,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하는(vary) 임피던스 가변부,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지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산시키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기 제1 공진 회로에서 생성된 상기 전력 신호에 공진하도록 상기 임피던스 가변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정부는 상기 제2 공진 회로에 출력부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된 정류 회로, 및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커패시턴스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정류 회로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공진 회로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위상 감지기 및 제로 크로싱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위상 감지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 신호의 위상을 감지하고,
    상기 제로 크로싱 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위상이 0이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지정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발생부는 제3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진 회로는 제2 커패시터 및 제1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1 공진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인덕터는 상기 공진 회로와 직렬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의 주기를 변경하여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류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하여 상기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확장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범위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2 % ~ 2 % 내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41607A 2018-04-10 2018-04-10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4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07A KR102544616B1 (ko) 2018-04-10 2018-04-10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6/980,209 US11502549B2 (en) 2018-04-10 2019-04-09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power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system
PCT/KR2019/004207 WO2019199020A1 (ko) 2018-04-10 2019-04-09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07A KR102544616B1 (ko) 2018-04-10 2018-04-10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75A true KR20190118375A (ko) 2019-10-18
KR102544616B1 KR102544616B1 (ko) 2023-06-19

Family

ID=6816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607A KR102544616B1 (ko) 2018-04-10 2018-04-10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2549B2 (ko)
KR (1) KR102544616B1 (ko)
WO (1) WO2019199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296A (ko) * 2019-12-10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부양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571A (ko) * 2011-07-06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진 주파수의 조절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40121200A (ko) * 2013-04-05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KR20150023897A (ko) * 2012-06-29 2015-03-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무선 유도 전력 전송
KR20150032529A (ko) * 2012-07-06 2015-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0444B2 (en) * 2009-11-30 2017-03-07 Broadcom Corporation Device with integrated wireless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make a charging determination based on a level of battery life and charging efficiency
KR101360744B1 (ko) * 2012-02-17 2014-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US20130257167A1 (en) * 2012-03-29 2013-10-03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transfer adjustment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KR101543059B1 (ko) * 2012-11-09 2015-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US9857821B2 (en) * 2013-08-14 2018-01-02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frequency adjustment
WO2015173847A1 (ja) * 2014-05-14 2015-11-19 ネオテス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WO2016093478A1 (ko) * 2014-12-10 2016-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TWI626827B (zh) * 2015-02-26 2018-06-1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諧振式無線電源接收電路及其控制方法
KR102475095B1 (ko) * 2015-10-26 2022-12-08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70076170A (ko) * 2015-12-24 2017-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JP6956728B2 (ja) * 2016-02-02 2021-11-02 ワイ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Witricity Corporation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の制御
KR102518430B1 (ko) 2016-07-1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전자장치
US10742072B2 (en) * 2017-06-21 2020-08-11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er circuit an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017134A (ja) * 2017-07-03 2019-01-31 株式会社東芝 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
CN111279577B (zh) * 2017-11-07 2023-10-17 内盖夫本古里安大学技术与应用有限公司 借助于自适应匹配网络的电容性无线电力传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571A (ko) * 2011-07-06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진 주파수의 조절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50023897A (ko) * 2012-06-29 2015-03-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무선 유도 전력 전송
KR20150032529A (ko) * 2012-07-06 2015-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21200A (ko) * 2013-04-05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02549B2 (en) 2022-11-15
WO2019199020A1 (ko) 2019-10-17
KR102544616B1 (ko) 2023-06-19
US20210013744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59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818773B1 (ko) 공진 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 전력 변환 장치
US20130334893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N102457193A (zh) 具有单级转换器的电源供应器
KR101438887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95182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류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1438880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2014060895A (ja) 電源装置
US10355530B2 (en)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program, method for controlling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60121347A (ko) 공진 주파수 가변을 이용한 전압 이득 조절형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9899874B2 (en) Electric power supplying device, of a wireless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KR20170007756A (ko)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40129918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KR20150028133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정보 처리 방법
CN110611511B (zh) 一种发射机、接收机以及无线充电系统
KR102544616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9527B1 (ko)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부하 전류에 따른 정류 전압 가변 방법
KR20170102454A (ko)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718312B1 (ko) 공진 전력 발생 장치 및 공진 전력 수신 장치
KR100430793B1 (ko) 스위칭 전원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123399A1 (en) Inductive power transfer
KR102628673B1 (ko) 전력전송 효율이 증대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N111464060B (zh) 一种线性交流电源变换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05806B1 (ko)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전력 공급 방법
KR102504335B1 (ko) Dc-dc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