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843A -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843A
KR20190117843A KR1020180035097A KR20180035097A KR20190117843A KR 20190117843 A KR20190117843 A KR 20190117843A KR 1020180035097 A KR1020180035097 A KR 1020180035097A KR 20180035097 A KR20180035097 A KR 20180035097A KR 20190117843 A KR20190117843 A KR 2019011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signal strength
mobile terminal
iot devic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473B1 (ko
Inventor
김영준
장우혁
Original Assignee
데이터얼라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터얼라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데이터얼라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8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위치에 설치된 제1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휴대 단말, 그리고 측정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된 제1 디바이스의 제1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신규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신규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를 추정하고,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측위된 신규 디바이스의 위치가 존재 가능 범위에 있으면 서버에 신규 디바이스 위치를 등록하고, 존재 가능 범위에 없으면 다시 휴대 단말을 이용 신규 디바이스 위치를 측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측위 기준이 되는 단말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위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IoT Device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1998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Auto-ID 랩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후 2005년 ITU-T에서 'The Internet of Things'라는 연차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사물 인터넷은 미래정보기술(IT) 산업 혁명의 모든 구조를 담는 가장 기본틀이 될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보고서는 사물 인터넷을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했다. 즉, 사물 인터넷은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시작된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업체는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로 떠오를 사물 인터넷 지원용 단말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IoT 기술의 확대와 함께 단일 베터리로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저전력 기능과 반경 10Km 이상의 유효 통신 거리를 제공하는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비면허 ISM(Industrial Scientic and Medical) 밴드를 사용하는 LoRa, Sigfox 등 LPWA 기술들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동통신사들도 위와 같은 ISM 밴드를 이용하는 기술들을 이용한 인프라 확보 및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IoT 서비스를 위해서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미리 알려진 위치에 IoT 디바이스가 설치되면, 해당 위치 정보를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위치에 있는 측위 대상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261,416호와 같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측위 대상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IoT 서비스는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측위 기준이 되는 단말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은, (a) 제1 위치에 설치된 제1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을 통신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이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측위된 제1 위치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e)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제2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g)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을 통신 연결하는 단계, (h) 상기 휴대 단말이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j) 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면, 상기 측위된 제2 위치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그리고 (k)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한 상기 제2 디바이스 위치 측정을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은, 제1 위치에 설치된 제1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휴대 단말, 그리고 상기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제2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면 상기 측위된 제2 위치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 등록하며, 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한 상기 제2 디바이스 위치 측정을 다시 수행시킬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수신되는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측위 기준이 되는 단말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측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이용 IoT 디바이스 측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이용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 이용 신규 IoT 디바이스 존재 가능 범위 추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 이용 신규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100_4, …, 100_n-1, 100_n), 휴대 단말(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100_4, …, 100_n-1, 100_n)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및/또는 LoRa, Sigfox 등의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100_4, …, 100_n-1, 100_n)는 각종 센서, 정보 제공장치, 편의 시설, 게임기, 보안 장치, 가전 기기 등 모든 디바이스가 대상이 되며, 그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는 통신이 가능한 냉장고, 오븐, 세탁기, 청소기, 프린터, 팩스, 복합기, 웹캠, 텔레비전, 비디오, 디브이디 플레이어, 오디오, 전축, 인터폰, 에어컨, 히터, 제습기 등 모든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열 센서, 가스 센서, 조도 센서, 초음파 센서, 원격 감지 센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레이더, 위치 센서, 모션 센서,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은 GNSS 수신부(210), 통신부(230) 및 서비스 어플(250)을 포함할 수 있다.
GNSS 수신부(210)는 복수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으로부터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NSS 수신부(210)는 수신된 GNSS 신호를 처리하여 휴대 단말(200)의 현재 위치(위도 및 경도)를 구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통신망(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서버(300)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및/또는 LoRa, Sigfox 등의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어플(250)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100_4, …, 100_n-1, 100_n)와 휴대 단말(200) 간의 신호 세기 측정 결과 및 해당 신호 세기가 측정될 때 휴대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어플(250)은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200) 간의 신호 세기 측정 결과 및 해당 신호 세기가 측정될 때 휴대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어플(250)은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와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신호 세기를 전달받아, 서버(300)에 전달하여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존재 가능 범위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어플(250)은 서버(300)로부터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와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직접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존재 가능 범위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와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신호 세기는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어플(250)에 전달될 수 있다. 물론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어플(250)로 해당 정보가 전달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00)는 휴대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100_4, …, 100_n-1, 100_n)와 휴대 단말(200) 간의 신호 세기 측정 결과 및 해당 신호 세기가 측정될 때 휴대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100_4, …, 100_n-1, 100_n)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휴대 단말(200)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측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와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간의 무선 신호 세기를 휴대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아,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 존재 가능 범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휴대 단말(200)을 이용하여 측위된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가 존재 가능 범위에 있으면 이를 해당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휴대 단말(200)을 이용하여 측위된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가 존재 가능 범위에 없으면, 휴대 단말(200)이 신규 측위 대상 IoT 디바이스의 위치 측정을 다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이용 IoT 디바이스 측위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이용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IoT 디바이스(100_1)가 위치(D1)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S310).
다음으로 휴대 단말(200)은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P1, P2, P3)에서 제1 IoT 디바이스(100_1)와 휴대 단말(200) 간의 무선 신호 세기(R11, R12, R13)를 측정할 수 있다(S320). 단계(S320)에서 휴대 단말(200)은 GNSS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P1, P2, P3)를 구할 수 있다.
이후 단계(S320)에서 측정된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P1, P2, P3)와 제1 IoT 디바이스(100_1)의 신호 세기 정보(R11, R12, R13)를 이용하여 제1 위치(D1)를 측위할 수 있다(S330). 단계(S330)는 휴대 단말(200)의 서비스 어플(250)에서 이루어지거나, 서버(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300)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P1, P2, P3)와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R11, R12, R13)를 휴대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IoT 디바이스(100_1)의 측위된 위치(D1)은 서버(200)에 등록될 수 있다(S340).
서버(300)에 위치가 등록된 IoT 디바이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예컨대 2개 이하)일 경우,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측위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바로 서버(3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한편 등록된 IoT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한 경우(예컨대 3개 이상 IoT 디바이스가 등록된 경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신규 IoT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위하여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 이용 신규 IoT 디바이스 존재 가능 범위 추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 이용 신규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위치(D1, D2, D3)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의 위치 정보가 이미 서버(300)에 기등록된 상태에서, 위치(Dn)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100_n)를 측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는 기등록 IoT 디바이스라 하고, IoT 디바이스(100_n)는 신규 IoT 디바이스라고 한다.
먼저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와 복수의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 간의 무선 신호 세기(R1n, R2n, R3n)를 측정할 수 있다(S610). 예컨대 신규 IoT 디바이스(100_n)는 복수의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존재 가능한 범위(Dn')를 추정할 수 있다(S620). 단계(S620)에서 범위(Dn')는 위치(D1, D2, D3)와 무선 신호 세기(R1n, R2n, R3n)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예시한 것과 같이 위치(D1, D2, D3)를 중심으로 무선 신호 세기(R1n, R2n, R3n)에 따라 구해지는 원(10, 20, 30)이 중복되는 범위(Dn')를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존재 가능한 범위로 추정할 수 있다.
신규 IoT 디바이스(100_n)는 무선 신호 세기(R1n, R2n, R3n)와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의 식별 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 또는 고유 IP 등)를 함께 휴대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620)는 휴대 단말(200)에서 수행되거나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620)가 휴대 단말(200)에서 수행될 경우, 휴대 단말(200)은 무선 신호 세기(R1n, R2n, R3n)와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의 식별 정보를 신규 IoT 디바이스(100_n)로부터 전달받고, 위치(D1, D2, D3) 정보는 서버(30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단계(S620)가 서버(300)에서 수행될 경우, 서버(300)는 무선 신호 세기(R1n, R2n, R3n)와 기등록된 IoT 디바이스(100_1, 100_2, 100_3)의 식별 정보를 휴대 단말(200)로부터 전달받고, 위치(D1, D2, D3) 정보는 서버(300)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200)을 이용하여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위치(Dn)를 측위할 수 있다(S630). 단계(S630)에서 휴대 단말(200)을 이용한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위치(Dn) 측위는 도 3의 단계(S310) 내지 단계(S330)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단계(S320)와 단계(S330)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후 휴대 단말(200)을 이용해서 측위된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위치(Dn)가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존재 가능 범위(Dn')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640). 단계(S640) 역시 휴대 단말(200)이나 서버(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위치(Dn)가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존재 가능 범위(Dn')에 있으면(S640-Y), 서버(300)에 위치(Dn)를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위치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S650).
한편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위치(Dn)가 신규 IoT 디바이스(100_n)의 존재 가능 범위(Dn')에 있지 않으면(S640-N), 단계(S630) 내지 단계(S640)를 다시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a) 제1 위치에 설치된 제1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을 통신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이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측위된 제1 위치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2. 제 1 항에서,
    (e)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제2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를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3. 제 2 항에서,
    (g)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을 통신 연결하는 단계,
    (h) 상기 휴대 단말이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j) 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면, 상기 측위된 제2 위치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 등록하는 단계, 그리고
    (k)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한 상기 제2 디바이스 위치 측정을 다시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수신되는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5. 제1 위치에 설치된 제1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휴대 단말, 그리고
    상기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
  6. 제 5 항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제2 위치에 설치된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기등록된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를 추정하는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7. 제 6 항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고, 서로 다른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측위하고, 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면 상기 측위된 제2 위치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 등록하며, 상기 측위된 제2 위치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존재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한 상기 제2 디바이스 위치 측정을 다시 수행시키는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수신되는 GNSS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IoT 디바이스 측위 시스템.
KR1020180035097A 2018-03-27 2018-03-27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207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97A KR102071473B1 (ko) 2018-03-27 2018-03-27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97A KR102071473B1 (ko) 2018-03-27 2018-03-27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843A true KR20190117843A (ko) 2019-10-17
KR102071473B1 KR102071473B1 (ko) 2020-01-30

Family

ID=6842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097A KR102071473B1 (ko) 2018-03-27 2018-03-27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22B1 (ko) * 2020-02-17 2020-12-04 이춘식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389A (ko) * 2013-11-27 2015-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60090231A (ko) * 2015-01-21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30269B1 (ko) * 2015-12-09 2017-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디바이스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KR20170124855A (ko) * 2016-05-03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389A (ko) * 2013-11-27 2015-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60090231A (ko) * 2015-01-21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30269B1 (ko) * 2015-12-09 2017-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디바이스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KR20170124855A (ko) * 2016-05-03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계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22B1 (ko) * 2020-02-17 2020-12-04 이춘식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473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85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wireless device location based on proximate sensor devices
JP4840395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649800B2 (en) Direction-enhanced navigation
KR101429954B1 (ko) 인빌딩 전파 환경 맵 생성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Dahlgren et al. Evaluation of indoor positioning based on Bluetooth Smart technology
CN105190344B (zh) 准确位置信息的装置间传送
KR101268575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80032829A1 (en) System for collecting event data, method for collecting event data, service server for collecting event data, and camera
US10123194B2 (en) Handling bluetooth low energy messages of radio tags for position determination
BRPI0717229B1 (pt) Redes de sensores baseadas em dispositivos sem fio
KR20130047386A (ko)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장치, 위치 측정 방법 및 핑거프린트 정보 수집 방법, 핑거프린트 서버 및 그의 위치 제공 방법
US106455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wireless coverage for multi-occupant structures
JP2018528403A (ja) 位置基盤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609470B2 (en) Data routing for positioning
KR102076647B1 (ko)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71473B1 (ko) IoT 디바이스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019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8004302A (ja) 位置検出装置
Kim et al. Positioning sensor nodes and smart devices fo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ensor and mobile P2P networks
US9942704B2 (en) System for insertion of location data into a source device's storage location
KR101355411B1 (ko) 인빌딩 전파 측정 방법 및 장치
Lu et al. IPhone independent real time localization system research and its healthcare application
JP201722744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制御装置および位置算出方法
KR20110066832A (ko) 무선랜 기반 측위 시스템에서 ap 등록 방법
Jeganathan Performance evaluation of minimum mean square error based secure localization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