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424A - 고전압 정션블록 - Google Patents

고전압 정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424A
KR20190117424A KR1020190119989A KR20190119989A KR20190117424A KR 20190117424 A KR20190117424 A KR 20190117424A KR 1020190119989 A KR1020190119989 A KR 1020190119989A KR 20190119989 A KR20190119989 A KR 20190119989A KR 20190117424 A KR20190117424 A KR 20190117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p cover
junction block
contac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328B1 (ko
Inventor
전태현
이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1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3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전장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탑커버와; 상기 메인바디와 탑커버 사이에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메인바디의 접촉면 전체 및 상기 탑커버의 접촉면 전체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에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정션블록{HIGH VOLTAGE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품의 원가와 중량을 절감하고 수밀과 차폐 및 접지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전압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전기의 공급으로 작동되는 각종 부품 및 구동장치 등(이하 '전장품'이라 함)이 장착되어 있으며, 배터리 또는 연료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분배하여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하기 위해 정션블록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고전압 정션블록의 메인바디와 탑커버의 접촉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션블록은 메인바디(10)와, 메인바디(10)의 상측에 안착되어 메인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보호하는 탑커버(20)와, 메인바디(10)와 탑커버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가스켓(30)으로 이루어진다.
메인바디(10)의 상부 둘레면에는 탑커버(20)와의 체결을 위하여 복수의 돌출턱(11)이 메인바디(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탑커버(20)의 둘레면에는 메인바디(10)에 구비된 돌출턱(11)과 맞물리며 가스켓(30)이 수용되는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케이스를 사용하여 전자파에 대한 차폐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스켓(30)은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의 결합을 위한 접촉면에 구비되어 메인바디(1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스켓(30)은 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외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며 메인바디(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수용홈(21)에 수용되며 실리콘과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전자파 차폐 성능은 갖지 못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고전압 정션블록에 있어서,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가 모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가와 중량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스켓(30)이 들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의 접촉 영역의 측면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상기 접촉 영역의 측면을 통하여 수분과 전자파가 유입되어 메인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이 손상되거나 오작동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켓(30)이 단순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 사이에 설치되므로 메인바디(10)와 탑커버(20) 사이의 통전이 전혀 불가능하게 되므로 차폐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션블록의 탑커버를 차폐성능이 있는 차폐플라스틱 재질로 대체하여 제품의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고, 탑커버의 둘레에 처마구조를 적용하여 수밀 성능과 차폐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전압 정션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전장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탑커버와; 상기 메인바디와 탑커버 사이에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메인바디의 접촉면 전체 및 상기 탑커버의 접촉면 전체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에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탑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와 접촉되는 상기 탑커버의 둘레면에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처마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과 접촉되는 상기 탑커버의 접촉면에는 상기 탑커버를 상기 메인바디에 체결시에 상기 가스켓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 입구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가스켓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가스켓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탑커버를 상기 메인바디에 체결시에 사용되는 체결공에는 인서트 부싱이 상기 체결공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의 내면과 상기 인서트 부싱의 외면과의 상호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 부싱의 외면에는 상기 인서트 부싱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는 차폐 성능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정션블록의 탑커버를 차폐성능이 있는 차폐플라스틱 재질로 대체하여 제품의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고, 탑커버의 둘레에 처마구조를 적용하여 수밀 성능과 차폐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탑커버를 메인바디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공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인서트 부싱을 적용하여 탑커버와 인서트 부싱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접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고전압 정션블록의 메인바디와 탑커버의 접촉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메인바디와 탑커버의 접촉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의 배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메인바디와 탑커버의 체결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고전압 정션블록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메인바디와 탑커버의 접촉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의 배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메인바디와 탑커버의 체결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전장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메인바디(10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탑커버(200)와; 상기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 사이에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메인바디(100)의 접촉면 전체 및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 전체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가스켓(300)과;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200)에 구비되는 확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션블록은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전장품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메인바디(100)와,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체결되는 탑커버(200)로 구비되어 있다.
메인바디(100)의 상부 둘레면에는 탑커버(200)와의 체결을 위하여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턱(110)이 구비되며, 돌출턱(110)의 상면에는 가스켓(300)이 안착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바디(100)의 꼭지점 영역에는 탑커버(20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탑커버(200)의 꼭지점 영역에 형성된 체결공(220)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커버(200)는 종래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의 탑커버(200)는 차폐 성능을 갖는 차폐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원가와 중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탑커버(200)는 메인바디(100)의 상부에 체결되어 메인바디(100)의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여 상기 전장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바디(100)와 접촉되는 탑커버(200)의 둘레면 하측에는 돌출턱(110)과 맞물리며 내부에 가스켓(300)이 수용되는 수용홈(21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홈(210) 입구의 양측 내면에는 가스켓(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211)가 상기 가스켓(3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됨으로써 가스켓(300)이 수용홈(210)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탑커버(200)를 메인바디(100)에 체결시에 사용되는 체결공(220)에는 인서트 부싱(230)이 체결공(22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차례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탑커버(200)는 종래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탑커버(20)에 비하여 전도성이 높지 않으므로 메인바디(100)와의 접지 성능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에 따라 접지 성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된 인서트 부싱(230)이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인서트 부싱(230)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중공을 통하여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를 상호 체결하는 볼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공(220)의 내면과 인서트 부싱(230)의 외면과의 상호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접지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서트 부싱(230)이 체결공(2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인서트 부싱(230)의 외면에는 인서트 부싱(2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231)는 인서트 부싱(230)의 외면에 인서트 부싱(2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인서트 부싱(2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이 상체 체결되는 접촉 영역에는 별도의 가스켓(300)이 구비되어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스켓(300)은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메인바디(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폐곡선 형상의 부재로서,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 사이에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켓(300)은 전기적인 차폐성능이 유지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 중에서 전도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확장부(400)는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메인바디(100)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탑커버(200)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확장부(400)는 탑커버(200)가 메인바디(100)와 접촉되는 탑커버(200)의 둘레면에 메인바디(100)의 상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처마부재(41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마부재(410)의 구성으로 인하여 가스켓(3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을 완전히 방지하고,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가 접촉되는 접촉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가스켓(300)과 접촉된 메인바디(100) 및 탑커버(200)의 측면을 통하여 수분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수밀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정션블록은 정션블록의 탑커버(200)를 차폐성능이 있는 차폐플라스틱 재질로 대체하여 제품의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고, 탑커버(200)의 둘레에 처마구조를 적용하여 수밀 성능과 차폐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있으며, 탑커버(200)를 메인바디(100)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공(220)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인서트 부싱(230)을 적용하여 탑커버(200)와 인서트 부싱(23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접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메인바디 110 : 돌출턱
200 : 탑커버 210 : 수용홈
211 : 이탈방지돌기 220 : 체결공
221 : 함몰부 230 : 인서트 부싱
300 : 가스켓 400 : 확장부
410 : 처마부재

Claims (8)

  1.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전장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메인바디(10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탑커버(200)와;
    상기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 사이에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메인바디(100)의 접촉면 전체 및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 전체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가스켓(300)과;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200)에 구비되는 확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4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바디(100)와의 접촉면이 계단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처마부재(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2.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전장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메인바디(10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탑커버(200)와;
    상기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 사이에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메인바디(100)의 접촉면 전체 및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 전체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가스켓(300)과;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로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커버(200)에 구비되는 확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4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처마부재(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부재(410)는 상기 탑커버(200)가 상기 메인바디(100)와 접촉되는 상기 탑커버(20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300)과 접촉되는 상기 탑커버(200)의 접촉면에는 상기 탑커버(200)를 상기 메인바디(100)에 체결시에 상기 가스켓(300)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10) 입구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가스켓(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211)가 상기 가스켓(3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200)를 상기 메인바디(100)에 체결시에 사용되는 체결공(220)에는 인서트 부싱(230)이 상기 체결공(22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220)의 내면과 상기 인서트 부싱(230)의 외면과의 상호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 부싱(230)의 외면에는 상기 인서트 부싱(2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30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200)는 차폐 성능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블록.
KR1020190119989A 2019-09-27 2019-09-27 고전압 정션블록 KR10208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89A KR102088328B1 (ko) 2019-09-27 2019-09-27 고전압 정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89A KR102088328B1 (ko) 2019-09-27 2019-09-27 고전압 정션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63A Division KR102029373B1 (ko) 2017-12-29 2017-12-29 고전압 정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424A true KR20190117424A (ko) 2019-10-16
KR102088328B1 KR102088328B1 (ko) 2020-03-12

Family

ID=6842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989A KR102088328B1 (ko) 2019-09-27 2019-09-27 고전압 정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96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547A (ja) * 2010-03-31 2011-10-27 Suzuki Motor Corp 電子機器構造
KR20170059712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의 씰링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6547A (ja) * 2010-03-31 2011-10-27 Suzuki Motor Corp 電子機器構造
KR20170059712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의 씰링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96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블록
KR20220136319A (ko) * 2020-09-23 2022-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328B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7396B2 (en) Device connector
US7709735B2 (en) Lift cover and gasket assembly
JP5915939B2 (ja) グロメット保護部材及び電線接続装置
JP5096075B2 (ja) 電池パック
US6945817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ic wire to shield case of apparatus
KR101804461B1 (ko) 정션박스의 씰링구조
US9379481B2 (en) Service cover
JP2009117307A (ja) 機器用コネクタ
JP2009032500A (ja) 機器用コネクタ
US8956172B2 (en) Device-connecting connector
KR102029373B1 (ko) 고전압 정션블록
US20200144741A1 (en) Terminal block
US20200251850A1 (en) Seal cover
US20140024239A1 (en) Connector
JP2017093220A (ja) 排水構造及び電力制御装置
KR20190117424A (ko) 고전압 정션블록
KR20210111929A (ko) 차량의 배터리용 퓨즈 박스
US20190097404A1 (en) Junction box
US10199779B2 (en) Shield connector
JP2023169205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5885078B2 (ja) グロメット保護部材及び電線接続装置
JP2017046396A (ja) 電気接続箱
JP2011204482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42680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밀봉장치
JP6904988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