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285A -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285A
KR20190117285A KR1020180040583A KR20180040583A KR20190117285A KR 20190117285 A KR20190117285 A KR 20190117285A KR 1020180040583 A KR1020180040583 A KR 1020180040583A KR 20180040583 A KR20180040583 A KR 20180040583A KR 20190117285 A KR20190117285 A KR 2019011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edge
photographing
tilt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32B1 (ko
Inventor
정춘화
Original Assignee
정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춘화 filed Critical 정춘화
Priority to KR102018004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판(1)을 지면으로부터 기립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사진촬영용 반사판(1) 고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반사판(1)에서 반사면(2-1)을 갖는 본체(2)와, 본체(2)의 가장자리에 반사면(2-1)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결합 구성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테두리부재(3)와, 본체(2)의 가장자리 일측에 테두리부재(3)가 결합되게 구성된 연결부재(4)와, 연결부재(4)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되어 지면에 박아서 사용하는 서포터(51) 또는 지면에 안치시켜서 사용하는 카메라 삼각대(52)로 된 지지부재(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반사판(1) 본체(2)의 가장자리에 내입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원형의 테두리부재(3)를 비틀어 겹치도록 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나 이송 및 휴대가 극히 용이하며, 지지부재(5)에 탈착 가능토록 해서 지면 상부의 낮은 위치에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반사판(1)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피사체(20)를 보다 밝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Reflector fixing device for photographing}
본 발명은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카메라로 사진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서 빛을 반사시켜서 피사체를 보다 밝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반사판을 지면으로부터 기립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반사판은 빛을 반사해 밝기를 조절하는 장비로서, 피사체를 촬영할 시 역광 등에 의해서 피사체의 빛이 비추지 않는 반대 방향이 어둡게 표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빛의 조사 각도 등을 반사판의 반사면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어두운 부분으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판은 사진촬영용 플래시와 달리 상황이나 대상에 따라 반사판의 크기나 색상 등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사진촬영이나 영화촬영 등에도 두루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 반사판으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8192038호(2012년 6월 5일)에 게재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확대되면서 방사상으로 살이 있는 우산형태의 반사판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우산형태의 반사판은 실내의 스튜디오 등에서 조명 등과 같이 주로 사용되는바, 절첩구조로 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으로 제작되어 별도의 스탠드를 구비해야 하는 등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휴대가 곤란하였으며, 제조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달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46895호(2001년 10월 17일자 공고)에서는 반사판을 우산형태가 아닌 원형 반사막을 카메라의 삼각대에 연결토록 어댑터가 착설된 삼각형의 지지판의 각 모서리에 힌지편을 각각 입설하여 제1연장간과 제1연장간에서 슬로트에 의해서 길이 조절이 되면서 선단에 원형 반사막의 테두리를 잡아주는 후크가 형성된 제2연장간이 연결 설치된 사진촬영용 리플렉터 조립체가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무게가 무거워져서 휴대 시 상당한 수고로움을 제공하여 카메라나 각종 촬영 장비를 같이 구비하여 운반 시 사용자가 간단하게 옮기기가 곤란하다는 단점과 함께 역시 제조원가가 높아지며, 제1연장간과 제2연장간의 길이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2926호(1999년 12월 15일자 공고)에서는 원단지 외주면에 후렉시블 와이어가 형성되어 반사판을 소부피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본 발명자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이는 단지 후렉시블한 와이어에 의해서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양면에 은색과 금색의 반사면을 갖도록 한 것이었을 뿐, 이와 같은 반사판은 손을 들고 사용을 해야 하므로 별도로 고정할 수가 없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반사판의 각도 등의 조정은 손으로 하여 그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각도 조절 후 고정 등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상기 휴대용 반사판의 개발 후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8년 제73482호(1998년 11월 5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틀부재에 장착되고 반사면에 탄성부재를 부착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변형부재를 설치하여 반사면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 역시 각도조절이나 각도조절 후 고정하는 수단이 없었으며, 그로 인하여 사진촬영 시 반사판을 들고 있어야 하므로 혼자서 사진촬영이 불가능 하였으며, 특히 피사체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있을 시 반사판을 피사체에 제대로 조준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사진을 찍을 수 없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US 8192038 B2 2012. 6. 5. KR 20-0246895 Y1 2001. 10. 17. KR 20-0162926 Y1 1999. 12. 15. KR 10-1998-073482 A 1998. 11. 5.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테두리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테두리부재가 내입되어 부피를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어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카메라 삼각대나 서포터에 의해서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도록 해서 반사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시키도록 함을 해결과제로 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를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는 반사면을 갖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반사면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테두리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테두리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지면에 박아서 사용하는 서포터 또는 지면에 안치시켜서 사용하는 카메라 삼각대로 된 지지부재가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본체는 일면이 빛의 반사가 일어나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며, 반대편 일면이 빛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배경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체로 직조된 원심지지부(圓心支持部)와, 원심지지부의 가장자리 전후로 전후 양단이 재봉 결합되어 내측으로 테두리부재가 삽입되어 원심지지부가 팽팽해지도록 구성된 원외삽입부(圓外揷入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본체 가장자리의 일측 전후에 마주보며 고정 결합 구성된 한 쌍의 연결몸체와,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몸체 사이로 본체와 테두리부재가 내입 관통되게 결합는 관통결합홈와, 연결몸체 사이에서 관통결함홈의 반대편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서포터 또는 삼각대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한 쌍의 연결몸체 중 일측 연결몸체의 내측으로 연결대를 향해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틸팅고정돌기와, 연결대의 상단 일측에 틸팅고정돌기와 대응되도록 치차 결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틸팅회전돌기와, 연결대 상단의 틸팅회전돌기가 형성된 반대편 일측과 틸팅고정돌기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마주보며 결합된 연결몸체 내측에 각각 양단이 탄력 지지되어 수개의 틸팅고정돌기에 수개의 틸팅회전돌기가 가압되게 구성된 가압코일스프링이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는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내입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원형의 테두리부재를 비틀어 겹치도록 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보관이나 이송 및 휴대가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서 반사판의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시킨 연결부재를 지면에 박아서 사용하는 서포터나 통상의 카메라의 삼각대에 탈착 가능토록 해서 지면 상부의 낮은 위치에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높이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연결부재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토록 해서 반사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월등히 배가시키는 효과와 함께 피사체를 보다 밝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사진의 품질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반사판의 일면은 반사면을 가지면서 반대편은 배경면을 가지도록 일체로 직조하여 이루어지도록 해서 반사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면서 배경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도를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처도 실내외 모두 다양하게 연출하여 사진촬영을 하도록 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인 입체도로서, 서포터가 결합된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인 입체도로서, 삼각대가 결합된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지를 발췌한 저면에서 보는 입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연결부재의 일례를 분리시킨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을 반사판으로 이용한 사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배경판으로 이용한 사용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은 카메라로 사진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서 빛을 반사시켜서 피사체를 보다 밝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반사판을 지면으로부터 기립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반사판과 함께 배경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반사판(1) 고정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반사면(2-1)이 구비되며, 외측으로 테두리부재(3)가 내입된 본체(2)의 가장자리 일측에 연결부재(4)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를 구현하되, 이러한 연결부재(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51) 또는 카메라 삼각대(52) 등으로 된 지지부재(5)가 결합되어 본체(2)의 반사면(2-1)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2)는 도 1a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내측의 원심지지부(21)(圓心支持部)와 외측의 원외삽입부(22)(圓外揷入部)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심지지부(21)는 도 3에서와 같이 일면이 빛의 반사가 일어나는 반사면(2-1)으로 이루어지면서, 반대편 일면이 빛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배경면(2-2)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반사면(2-1)은 빛을 반사하는 은색이나 금색 등의 반사실(反射絲)을 이용하고, 배경면(2-2)은 빛의 반사가 없는 무채색 등의 일반적인 비반사실(非反射絲)을 이용하여 서로 직조해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원외삽입부(22)는 원심지지부(21)의 가장자리 전후로 전후 양단이 재봉 결합되어 내측으로 테두리부재(3)가 삽입되며, 이때 테두리부재(3)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원외삽입부(22) 내에서 외측으로 팽창되어 원심지지부(21)의 반사면(2-1) 또는 배경면(2-2)이 외측으로 당겨져서 팽팽해지도록 펼쳐지게 구성되며, 플렉시블한 테두리부재(3)를 8자로 비틀어서 양측을 겹치게 되면 반사판(1)의 넓이를 25% 정도로 축소되어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4)는 도 1a 내지 도 3에 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가장자리의 일측 전후에 마주보도록 한 쌍의 연결몸체(41)가 고정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몸체(41) 사이로 본체(2)의 원외삽입부(22)와 원외삽입부(22)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테두리부재(3)가 내입 관통되게 결합된 관통결합홈(42)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몸체(41) 사이에서 관통결함홈의 반대편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서포터(51) 또는 삼각대(5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대(43)가 구비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51)의 경우 폴대(511)의 하부에 지면에 쉽게 박을 수 있도록 뾰족한 첨단부(512)가 형성되면서 폴대(511)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이루어지며, 삼각대(52)는 통상적인 공지된 카메라 삼각대(52)를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더불어서 본 발명의 연결부재(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몸체(41)에서 연결대(43)가 각도 조절되도록 각도조절수단(6)이 더 구비되는바, 상기 각도조절수단(6)은 연결몸체(41)와 연결대(43)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를 회전 후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틸팅고정돌기(61)와 틸팅고정돌기(61)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몸체(41) 중 일측 연결몸체(41)의 내측으로 연결대(43)를 향해서 수개의 틸팅고정돌기(61)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43)의 상단 일측에 틸팅고정돌기(61)와 대응되도록 치차 결합되는 수개의 틸팅회전돌기(62)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대(43) 상단의 틸팅회전돌기(62)가 형성된 반대편 일측과 틸팅고정돌기(61)가 형성된 연결몸체(41)와 마주보며 결합된 연결몸체(41) 내측에 가압코일스프링(63)의 양단이 탄력 지지토록 구성하여 수개의 틸팅고정돌기(61)에 수개의 틸팅회전돌기(62)가 가압되도록 해서 회전이 용이하면서도 회전 후 고정이 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압코일스프링(63)을 연결대(43) 상단과 연결몸체(41) 사이에 개재시킬 때 연결대(43) 상단 또는 연결몸체(41) 내측으로 가압코일스프링(63)의 단부가 내입되는 스프링내입홈(64)을 형성하여 가압코일스프링(63)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모서리가 굴곡지는 다각형이나 원형에서 변형된 타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반사판(1) 고정장치는 도 1a와 같이 본체(2)에 고정된 연결부재(4)에 서포터(51)를 결합하여 카메라(10)로 피사체(20)의 사진촬영을 하는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20)의 후방에 태양이나 조명 등이 위치할 시 역광에 의해서 피사체(20)의 전방이 그림자로 인하여 어두워지므로 이때 서포터(51)를 지면에 꽂아서 본체(2)의 일측 반사면(2-1)이 태양광이나 조명 불빛을 반사시켜서 피사체(20)의 어두운 전방부분을 밝혀서 피사체(20)를 보다 밝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서포터(51)를 연결부재(4)에 결합한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반사면(2-1)의 반대편인 배경면(2-2)이 피사체(20)를 향하도록 하여 카메라(10)로 피사체(20)의 사진촬영 시 피사체(20) 후방으로 배경면(2-2)이 위치하도록 하되,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부재(4)의 연결대(43)를 각도조절수단(6)에 의해서 서포터(51)와 본체(2)의 각도를 조절하여 피사체(20)가 본체(2)의 배경면(2-2) 가운데에 위치토록 하여 피사체(20)를 배경 없이 촬영할 수 있으며, 피사체(20)를 더 뚜렷하고 도드라지도록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촬영을 한 후 서포터(51) 등의 지지부재(5)를 연결부재(4)에서 분리하고, 본체(2)를 테두리부재(3)를 잡아서 8자로 비틀어서 양측을 겹치도록 하여 부피를 대폭 축소시켜서 별도의 파우치(별도로 도시치는 아니함) 등에 수납하여 보관과 운반 및 휴대가 극히 유요한 효과를 갖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서 연결부재(4)의 각도조절수단(6)에 의해서 본체(2)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제고 및 서포터(51) 또는 삼각대(52) 등의 지지부재(5)가 높이조절 및 자체 각도조절 및 회전조절에 의한 사진촬영의 태양광 및 조명불빛의 세밀한 조절까지 가능하여 야외 휴대용은 물론이고, 스튜디오 등의 실내에서 정밀한 사진촬영도 가능한 사용용도의 확대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반사판
2:본체 2-1:반사면 2-2:배경면 21:원심지지부 22:원외삽입부
3:테두리부재
4:연결부재 41:연결몸체 42:관통결합홈 43:연결대
5:지지부재 51:서포터 511:폴대 512:첨단부 52:삼각대
6:각도조절수단 61:틸팅고정돌기 62:틸팅회전돌기 63:가압코일스프링 64:스프링내입홈
10:카메라 20:피사체

Claims (4)

  1. 반사면(2-1)을 갖는 본체(2);
    본체(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반사면(2-1)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테두리부재(3);
    본체(2)의 가장자리 일측에 테두리부재(3)가 결합되게 구성된 연결부재(4);
    연결부재(4)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 구성되어 지면에서부터 소정 높이로 고정되도록 지면에 박아서 사용하는 서포터(51) 또는 지면에 안치시켜서 사용하는 카메라 삼각대(52)로 된 지지부재(5);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2)는,
    일면이 빛의 반사가 일어나는 반사면(2-1)으로 이루어지며, 반대편 일면이 빛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배경면(2-2)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체로 직조된 원심지지부(21);
    원심지지부(21)의 가장자리 전후로 전후 양단이 재봉 결합되어 내측으로 테두리부재(3)가 삽입되어 원심지지부(21)가 팽팽해지도록 구성된 원외삽입부(22);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재(4)는,
    본체(2) 가장자리의 일측 전후에 마주보며 고정 결합 구성된 한 쌍의 연결몸체(41);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몸체(41) 사이로 본체(2)와 테두리부재(3)가 내입 관통되게 결합된 관통결합홈(42);
    연결몸체(41) 사이에서 관통결함홈의 반대편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서포터(51) 또는 삼각대(5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대(43);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한 쌍의 연결몸체(41) 중 일측 연결몸체(41)의 내측으로 연결대(43)를 향해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틸팅고정돌기(61);
    연결대(43)의 상단 일측에 틸팅고정돌기(61)와 대응되도록 치차 결합되게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수개의 틸팅회전돌기(62);
    연결대(43) 상단의 틸팅회전돌기(62)가 형성된 반대편 일측과 틸팅고정돌기(61)가 형성된 연결몸체(41)와 마주보며 결합된 연결몸체(41) 내측에 각각 양단이 탄력 지지되어 수개의 틸팅고정돌기(61)에 수개의 틸팅회전돌기(62)가 가압되게 구성된 가압코일스프링(63);
    이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6)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KR1020180040583A 2018-04-06 2018-04-06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KR10220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83A KR102203832B1 (ko) 2018-04-06 2018-04-06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83A KR102203832B1 (ko) 2018-04-06 2018-04-06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85A true KR20190117285A (ko) 2019-10-16
KR102203832B1 KR102203832B1 (ko) 2021-01-15

Family

ID=6842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83A KR102203832B1 (ko) 2018-04-06 2018-04-06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003U (ko) * 1996-09-16 1996-12-18 정춘화 촬영용 양면 반사판
JP2000356802A (ja) * 1999-06-16 2000-12-26 Junnosuke Akita 撮影用反射板の支持機構
KR200246895Y1 (ko) 2001-06-26 2001-10-17 유진표 사진촬영용 리플렉터조립체
KR20110002400A (ko) * 2009-07-01 2011-01-07 (주)엔텍엔지니어링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US8192038B2 (en) 2010-07-27 2012-06-05 LINCO Inc. Photographic reflector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003U (ko) * 1996-09-16 1996-12-18 정춘화 촬영용 양면 반사판
KR200162926Y1 (ko) 1996-09-16 1999-12-15 정춘화 촬영용 양면 반사판
JP2000356802A (ja) * 1999-06-16 2000-12-26 Junnosuke Akita 撮影用反射板の支持機構
KR200246895Y1 (ko) 2001-06-26 2001-10-17 유진표 사진촬영용 리플렉터조립체
KR20110002400A (ko) * 2009-07-01 2011-01-07 (주)엔텍엔지니어링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US8192038B2 (en) 2010-07-27 2012-06-05 LINCO Inc. Photographic reflector
KR101304026B1 (ko) * 2012-08-06 2013-09-04 기 연 김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32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0990C (en) Collapsible led fixture
US8678601B2 (en) Collapsible light modifier for portable flash
US9995442B2 (en) Multi-function portable lighting apparatus
KR200489040Y1 (ko)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KR101215717B1 (ko) 휴대와 설치가 용이한 접이형 소프트 박스
WO2022021913A1 (zh) 一种美颜补光装置
US20040159347A1 (en) Photography shooting tent
US9470959B2 (en) Photo booth with indirect lighting system
KR20190117285A (ko)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US8376560B2 (en) Collapsed parabola light reflecting umbrella apparatus
US5924669A (en) Collapsible frame for light modifying flag
US20200073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headshot
CN102246065A (zh) 可收缩的摄影光漫射器
CA3034692A1 (en) Softbox and cover adapter for lighting devices
CN208804536U (zh) 可折叠便携旗板框和补光灯具
US10969658B1 (en) Flexible illumination and reflector method and apparatus
CN217689726U (zh) 一种适于单反无反相机微距摄影的微距柔光罩及摄影相机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CN214504091U (zh) 一种摄影自拍装置
US20230161230A1 (en) Camera mount and reflector system
CN2177252Y (zh) 照相机视力矫正眼罩
US20160077407A1 (en) Adapter for joining flash unit and light diffuser, and assembly of light disffuser, flash unit, and adapter
CN218208483U (zh) 一种拍摄支架
TWM527512U (zh) 多功能行動照明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