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00A -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00A
KR20110002400A KR1020090068669A KR20090068669A KR20110002400A KR 20110002400 A KR20110002400 A KR 20110002400A KR 1020090068669 A KR1020090068669 A KR 1020090068669A KR 20090068669 A KR20090068669 A KR 20090068669A KR 20110002400 A KR20110002400 A KR 2011000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ghting
panel
transparent plate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명관 이
Original Assignee
(주)엔텍엔지니어링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텍엔지니어링, 김동섭 filed Critical (주)엔텍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1000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조사가 아닌 간접 조사 방식으로 카메라에 촬영 중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며 빛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루기 쉽고,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방송 촬영을 위한 조명장치로써, 투명판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LED램프가 일렬로 구비되고, 이 투명판의 후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백보드가 갖추어진 조명 판넬; 상기 조명판넬의 양측 및 상 하부 각각에 끼워져 상기 투명판과 백보드를 고정하고, 상하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절개부와 이 절개부에 대응하는 결착핀을 교호로 구비하여 다른 조명판넬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판넬이 세워지도록 하되, 삼각대의 상부에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에 끼워지는 축봉으로 이루어진 거치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이 있으며, 여기에 조명판넬이 상하로 회동하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하되, 좌우조절은 축봉이 지주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하는 물론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발명이다.
방송 조명, 조명 판넬, 보강대, 거치대

Description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LED illuminating systems for Broadcasting}
본 발명은 방송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 조사가 아닌 간접 조사 방식으로 카메라 촬영 중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며 빛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루기 쉽고,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촬영 현장의 환경에 따라 빛을 조사하는 조명 판넬을 상하 혹은 좌우로 연결하여 광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컨 및 콘솔을 이용하여 색온도 및 컬러, 조도 조절이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용 카메라의 조명은 크게 카메라에 직접 장착하는 장착형과, 분리 휴대형 및 스탠드 고정형으로 구분된다.
통상 이러한 조명 장치는 할로겐 램프, 광학용 메탈 할라이드 램프(HMI, Hydrargyrum medium-arc iodide 또는 Halogen Metal Iodide)나 LED(Luminescent Diode)를 사용한다.
이중 할로겐 램프는 광원 확보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낮은 광도 높은 발열 그리고, 발열에 의한 배터리 지속 시간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실제 방송 촬영 현장에서는 150W 규격의 할로겐 램프에 대용량 벨트 배터리를 사용하는 분리 휴대형 조명(Sun-Gun)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할로겐 램프의 에너지 효율이 낮기 때문에, 실제 30~40분 가량 밖에 운영할 수 없고, 벨트 배터리의 자체 무게로 인해 별도의 조명 기사를 함께 배치하여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할로겐 램프는 색온도가 약 3400K로 이는 주광(晝 光)(Day Light)의 색온도 5500K와 많은 차이가 있어, 실제보다 적색으로 편향된 영상을 얻게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광학용 메탈 할라이드 램프(이하 "HMI"라 칭합니다)를 이용한 조명은 연색성이 좋고 에너지 효율이 좋으며 발열량과 소비 전력이 적고, 색온도가 5600K으로서 주광에 비슷한 빛을 방출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HMI는 별도의 점등 장치가 필요하고 점등 시간이 다소 필요하기 때문에, 순간 포착을 위한 촬영에는 적합하지 아니하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휴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 개발된 LED를 이용한 조명은 수명이 길고, 가벼워 다루기 쉬운 장점이 있어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 장치 역시 아직까지는 실내 조명기기 수준을 겨우 벗어나는 칼라 패턴과 광량을 가지고 있어 방송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이 있다.
더구나 LED 조사 방식이 집광 렌즈 등을 통한 직접 조사 방식으로 그림자 생성이 너무 강하고 빛이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방송용으로 쓰기에는 부적합점이 많이 있으며, LED에서 발생하는 그린이나 블루 색상이 카메라에 영향을 미쳐 영상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LED가 설치되어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 판넬을 선택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연결 조합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광량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 조명 판넬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 판넬을 지지하는 거치대의 상부에 자동 혹은 수동의 각도조절부를 구비하여 조명 판넬의 각도를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하며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조도, 조명 판넬의 각도 조절, 색온도 및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컨 및 콘솔을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조립 및 제작이 편리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이 편리한 방송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촬영을 위한 조명장치로써, 투명판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LED램프가 일렬로 구비되고, 이 투명판의 후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백보드가 갖추어진 조명 판넬; 상기 조명판넬의 양측 및 상 하부 각각에 끼워져 상기 투명판과 백보드를 고정하고, 상하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절개부와 이 절개부에 대응하는 결착핀을 교호로 구비하여 다른 조명판넬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판넬이 세워지도록 하되, 삼각대의 상부에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에 끼워지는 축봉으로 이루어진 거치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봉의 상부에 조명판넬이 상하로 회동하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하되, 좌우조절은 축봉이 지주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하는 물론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첫째,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 판넬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시킬 수 있어 광량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조명 판넬의 각도를 상하, 좌우로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주어진 환경에 관계없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셋째, 원격 조절이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넷째, 조명의 색상, 조도, 색온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어떠한 촬영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 조명 판넬의 제작 및 조립 그리고 연결이 용이하며 분해가 간편하여 운반이 용이한 발명이다.
여섯째, 간접 조명 방식으로 눈부심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명 판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명 판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a, b는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 첨부된 도 11, 12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방송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진 촬영, 무대 조명 및 일반 조명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는 LED 램프(20)가 설치된 조명 판넬(100)과, 이 조명 판넬(100)을 감싸 보호하며 다른 제 2의 조명 판넬이 연이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200)와, 상기 보강대(200)가 조립되어 판넬이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300)를 갖는 기본적인 구성에, 상기 거치대(300)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부(400) 및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리모컨 및 콘솔이 갖추어지는 구성이다.
LED 램프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 램프(20)는 백색, 그린, 적색 LED 램프(20)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도면과 같이 기판(22)에 일렬로 백색 램프를 배치하되, 중간 중간에 적색 혹은 그린 램프를 배치하여 촬영 중 필요에 따라 백색 이외에 적색 및 그린 혹은 이들이 혼합된 색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는 기본적으로 색온도 : 3200°K~ 5600°K이고, 밝기는 3m에서 200LUX이상(BAR 타입은 100LUX 이상)을 갖는다,
광효율 : 100lm/W 이상이며, 연색성 : 90Ra 이상이고, 사용시간 즉 수명30,000 시간 이상이 될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원격제어부의 리모컨 제어 거리 30m 이상, AMBER 색온도 및 BLUE 색온도는 9단계까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이들의 조절은 리모컨(600) 혹은 콘솔(500)이 이용된다.
조명 판넬(100)
상기 조명 판넬(100)은 LED 램프(20)가 설치되는 투명판(120)과 이 투명판(120)의 후면에 설치되는 망체(140)와 백보드(160)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판(120)은 투명 아크릴 혹은 일정 두께를 갖는 투명 필름 혹은 기타 투명한 재질이 사용되는데, 램프의 발열 온도를 감안하여 재질을 선택한다.
상기 투명판(120)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홀(122)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홀(122)은 상기 LED 램프(20)가 삽입되어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빛은 후술하는 백보드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조사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조명의 조명은 간접 조명을 원칙으로 한다. 즉 투명판(120)의 양측 혹은 상하부에서 조사된 빛이 백보드(160)에 굴절시켜 조사하는 방식으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 상기 LED 램프(20)의 설치 각도에 변화를 주어 백보드(160)에 직접 빛을 조사하고, 이 백보드에 반사된 빛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
상기 망체(140)는 투명판(120)과 백보드(160)의 중간 역할로 이들을 연결함과 아울러 빛을 분산시켜 전방에 고루 조사될 수 있도록 하며, 합성수지 혹은 철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보드(160)는 종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백색으로 이루어져 빛이 굴절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특수 촬영의 경우 백색 이외에 다른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대(200)
상기 보강대(200)는 첨부된 도 10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 판넬(100) 즉 투명판(120), 망체(140), 백보드(160)를 결속시키고, 다른 조명 판넬(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대(200)는 도면과 같이 대략 "∩"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 중앙에 격벽(202)이 구비되어 내, 외측으로 공간을 구획하며, 내측 공간(210)으로 상기 조명 판넬(100)이 끼워지도록 하고, 외측 공간(220)에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다른 제 3의 조명 판넬(100a)이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보강대(200)에는 도면과 같이 다른 조명 판넬(100a)이 상하 혹은 좌우로 자유로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절개부(230)와 결착핀(240)이 구비되는데, 어느 일측면에는 절개부(230)가 대향측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결착핀(240)이 구비되어 결착핀(240)을 절개부(230)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조명 판넬(1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절개부(230)와 결착핀(240)의 위치는 하나의 실 예이고 제작 과정에서 위치 및 개수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착핀(240)의 단부에는 요홈(2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 홈(242)은 격벽(202)에 형성된 끼움홈(204)에 끼워짐으로써 조명판넬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외측 공간(200)에 LED 램프(20)의 설치 및 조명 판넬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선(미도시)이 이를 통과하도록 하며 배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깨끗한 외관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거치대(300)
상기 거치대(300)는 보강대(200)에 구비되어 조명 판넬(100)이 세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대(320)와 설치 바닥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삼각대(3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대(320)는 지주(322)와 이 지주(322)에 끼워져 좌우로 회전하며 상기 조명 판넬(100)의 수평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축봉(324)으로 구성되며, 이 축봉(324) 상부에 상기 각도조절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축봉(324)은 보강대(200)와 직접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후술하는 각도조절부(400)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보강대(200)에 직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26은 고정부재로써 축봉을 회전시킨 다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재이다.
각도조절부(400)
본 발명의 조명장치(10)는 상기 조명 판넬(100)의 각도를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먼저, 조명판넬(100)을 좌우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은 상기한 축봉(3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대(320)의 지주(322) 내측으로 끼워진 축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조명판넬(20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축봉(324) 상부에 구비된 상기 각도 조절부(400)는 첨부된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수동 혹은 모터가 장착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 먼저 도 16의 수동식은 축봉(324)의 상부에 일체 혹은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된 구체(420)와 상기 보강대(200)와 연결된 회전체(440) 그리고 상기 회전체(440)에 구비된 회전축(44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440)는 구체(420)를 감싼 상태에서 일체 혹은 별도로 구비된 회전축(442)이 구체(420)에 끼워지도록 하고, 이 회전축(442)에 스프링 와셔(444)와 너트(446)를 끼워 구체와 회전체가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너트(446)를 조이며, 스프링 와셔(444)의 탄발력이 높아지면서 회전체(440)와 구체(420)를 밀착시키는 것이다. 물론 스프링 와셔 이외에 다른 탄발력을 가지는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17은 모터를 이용한 상기 각도 조절부(4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각도 조절모터(460)는 구체(4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축이 상기 회전체(440)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리모컨(600)의 제어에 따라 조명 판넬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축봉(324)에도 별도의 모터가 연결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원격제어부
상기 원격제어부는 콘솔(500)과 리모컨(600)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리모컨(600)에는 표시창(620)과 볼마우스 형태 즉 조이스틱(640)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창(620)에는 리모컨에 의한 원격 제어시 색온도, 컬러 조절 각도 등 리모컨에 의한 제어 상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조이스틱은 특히, 각도 조절 시 이를 이용하여 조명판넬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컨(600)과 콘솔(500)은 도 18의 예시 같이 마이컴(700)에 의해 각도 조절 모터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리모컨을 조작하면, 그 신호가 마이컴에 입력되고, 마이컴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각도 조절모터, 색온도, 색상, 컬러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 2의 다른 조명판넬(100a)과 축봉 사이에 와이어(30)를 연결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조명 판넬(100)을 다층 그리고 좌우로 연이어 설치한 경우 조명판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 양측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를 당겨 지지대(320)에 고정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14는 상기 조명 판넬의 다른 실시 예로, 망체와 백보드의 위치를 달리한 것으로, 빛의 굴절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첨부된 도 15의 다른 실시 예는 투명판(120) 전면에 반사판(40)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물론 반사판은 빛을 환산시킴과 아울러 눈부심을 방지하고, 또한 조명 판넬(100) 전체에서 고루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40)은 블록 렌즈 형태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촬영 장소의 환경에 따라, 혹은 촬영 조건에 따라 조명 판넬(100)의 개수와 조도, 색상, 컬러 등을 결정한다.
조명 판넬(100)은 보강대(200)에 구비된 절개부(230)에 다른 조명 판넬(100a)의 보강대에 구비된 결착핀(240)을 끼우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결착핀(240)의 단부에 구비된 요홈(242)은 격벽(202)에 구비된 끼움홈(204)에 끼워짐으로써 요홈(242)은 끼움홈에, 결착핀(240)의 몸통은 절개부(230)에 끼워짐으로써 단단히 고정된다.
촬영 중 각도 조절은 수동 혹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먼저 수동은 작업자가 축봉(324)을 회전시켜 조명판넬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회전축(442)을 중심으로 회전체(440)를 회전시켜 조명 판넬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각도 조절 후, 회전축(442)에 구비된 스프링 와셔(442)의 탄발력에 의해 혹은 고정부재(326)에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자동 즉 각도조절모터(460)가 장착된 경우, 작업자는 리모컨(600) 혹은 콘솔(500)을 이용하여 각도를 조절한다. 즉 작업자가 리모컨(600)에 장착된 조이스틱(640)을 조작하면, 그 각도가 표시창(620)에 표시되고 조절 신호는 마이컴(700)에 입력된다.
입력 신호에 따라 마이컴(700)은 각도 조절모터(460)를 회전시켜 이와 연결된 회전체(44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명 판넬의 상하 각도를 조절한다.
색상, 조도 그리고 색온도 역시 리모컨 혹은 콘솔에 의해 조작되며, 리모컨 혹은 콘솔에서 입력된 신호는 마이컴(700)을 통해 제어되어 조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명 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명 판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명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9a, b는 본 발명 조명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대의 사시도,
도 11, 12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치대의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다른 실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명장치 20 : LED램프
100 : 조명 판넬 200 : 보강대
300 : 거치대 400 : 각도 조절 수단

Claims (20)

  1. 방송 촬영을 위한 조명장치로써,
    투명판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LED 램프가 일렬로 구비되고, 이 투명판의 후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백보드가 갖추어진 조명 판넬;
    상기 조명판넬의 양측 및 상 하부 각각에 끼워져 상기 투명판과 백보드를 고정하고, 상하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절개부와 이 절개부에 대응하는 결착핀을 교호로 구비하여 다른 조명판넬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판넬이 세워지도록 하되, 삼각대의 상부에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에 끼워지는 축봉이 상기 조명 판넬과 연결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2. 방송 촬영을 위한 조명장치로써,
    투명판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LED 램프가 일렬로 구비되고, 이 투명판의 후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백보드가 갖추어진 조명 판넬;
    상기 조명판넬의 양측 및 상 하부 각각에 끼워져 상기 투명판과 백보드를 고정하고, 상하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절개부와 이 절개부에 대응하는 결착핀을 교호로 구비하여 다른 조명판넬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
    상기 조명판넬이 세워지도록 지지하되, 삼각대의 상부에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에 끼워지는 축봉으로 이루어진 거치대;
    상기 보강대와 연결된 반원형의 회전체가 축봉 상부에 구비된 구체를 감싸는 형태로 조립되고, 이 회전체의 내측으로 구비된 회전축이 구체를 관통하여, 각도 조절 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체가 구체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며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판넬은 투명판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 삽입홀을 구비하여 기판에 설치된 LED램프가 끼워진 상태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되, 이 빛은 투명판 후면에 설치되는 백보드에 반사되어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판넬은 LED 램프가 설치되는 투명판과 이 투명판의 후면에 맞대어지는 망체와, 이 망체 후방에 다시 맞대어지는 백색의 백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판넬은 LED 램프가 설치되는 투명판과 이 투명판의 후면에 맞대어지는 백색의 백보드와 이 백보드의 후면에 설치되는 망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 중앙에 격벽이 설치되어 내측 공간과 외측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조명 판넬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외측 공간에 LED 램프의 설치 및 연결에 필요한 전선이 배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의 외측면에 절개부를 구비하되, 이 절개부와 동일한 모양으로 격벽에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에 구비된 결착핀의 단부에 요홈부를 두어 이 요홈 부위가 상기 격벽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조명판넬의 보강대와 연결되는 축봉과 이 축봉이 끼워지는 지주 그리고 이 지주가 연결되며 설치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하는 삼각대로 이루어지며, 지주 내측에 끼워진 축봉을 회전시켜 조명 판넬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되, 지주를 관통하는 나사형태의 고정부재를 조여 축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조명판넬의 보강대와 연결되는 축봉과 이 축봉이 끼워지는 지주 그리고 이 지주가 연결되며 설치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이도 록 하는 삼각대로 이루어지며, 지주 내측에 끼워진 축봉을 회전시켜 조명 판넬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되, 지주를 관통하는 나사형태의 고정부재를 조여 축봉을 고정하며, 상기 축봉의 상부에 각도 조절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각도 조절부는 축봉의 상부에 구비된 구체와, 보강대와 연결된 반원형의 회전체로 구성되어 회전체가 구체를 감싸도록 조립하고, 이 회전체에 구비된 회전축이 구체를 관통하여 조명 판넬의 각도 조절 시 회전체가 구체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를 관통한 회전축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 나사산에 스프링 와셔와 너트를 끼워, 이 너트를 조여 스프링 와셔가 탄발력으로 구체를 회전체 쪽으로 밀어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3.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축봉의 상부에 구비된 구체와, 보강대와 연결된 반원형의 회전체로 구성되어 회전체가 구체를 감싸도록 조립하고, 상기 구체 내측에 모터를 설치하되, 이 모터의 축이 구체를 관통하여 회전체와 연결된 구성으로, 조명 판넬의 각도 조절 시 모터 축이 회전하면 회전체가 구체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거치대의 축봉에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조명 판넬의 좌우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거치대에 고정 설치된 조명 판넬의 좌우 혹은 상부에 제 2의 다른 조명판넬을 절개부와 결착핀을 이용하여 연결하되, 이들의 흔들림의 방지하기 위해 좌우 조명판넬에 와이어를 걸어 거치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명 판넬의 투명판 전면에 블록 렌즈 형태의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7. 방송 촬영을 위한 조명장치로써,
    투명판의 양측면 혹은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LED램프가 일렬로 구비되고, 이 투명판의 후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백보드가 갖추어진 조명 판넬;
    상기 조명판넬의 양측 및 상 하부 각각에 끼워져 상기 투명판과 백보드를 고정하고, 상하면 및 좌우측면 각각에 절개부와 이 절개부에 대응하는 결착핀을 교호 로 구비하여 다른 조명판넬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대;
    상기 보강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판넬이 세워지도록 하되, 삼각대의 상부에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에 끼워지는 축봉으로 이루어진 거치대;
    상기 보강대와 연결된 반원형의 회전체가 축봉 상부에 구비된 구체를 감싸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구체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며, 이 모터의 축이 회전체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가 구체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 조절부의 모터와 LED 램프의 색온도, 컬러, 조도를 조절하는 원격제어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리모컨 혹은 콘솔과 이들의 신호에 따라 LED 램프와 모터를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과 조이스틱 기능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20.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축봉에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에 의해 조명 판넬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되, 이 모터는 리모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LED 조명장치.
KR1020090068669A 2009-07-01 2009-07-28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10002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9976 2009-07-01
KR1020090059976 2009-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00A true KR20110002400A (ko) 2011-01-07

Family

ID=4361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669A KR20110002400A (ko) 2009-07-01 2009-07-28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34B1 (ko) * 2011-04-23 2013-01-29 김의선 엘이디 방송 조명 장치
KR20150003053U (ko) 2014-02-03 2015-08-1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117285A (ko) * 2018-04-06 2019-10-16 정춘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34B1 (ko) * 2011-04-23 2013-01-29 김의선 엘이디 방송 조명 장치
KR20150003053U (ko) 2014-02-03 2015-08-1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카메라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117285A (ko) * 2018-04-06 2019-10-16 정춘화 사진촬영용 반사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378B2 (en) Light-unit(s) of LED or-and laser light-string's has more one sections has different light performance(s)
RU2527055C2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с фоновыми световыми эффектами
CN101506574B (zh) 包含可调节光模块的照明设备
RU2537700C2 (ru) Светильник с фоновым отображением, использующим рассеивающие пикселы между нерассеивающих источников света
CN105805701B (zh) 在照亮目标区域中用于独立瞄准和遮断步骤的装置、方法和系统
KR20170117361A (ko) 직접 조명 방식 및 소프트 라이트 방식의 전환 가능한 촬영용 led 조명등
US20060092638A1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CN101943358B (zh) 大范围角度连续可调led聚光灯
JP6867032B2 (ja) 三次元演出方法、三次元演出システムおよび昇降装置
US20120294014A1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US9964286B1 (en) Color changing focus light
JP4728895B2 (ja) 室内照明用照明器具
CN109416167A (zh) 用于增强光束控制的多部分遮护和光学系统的设备、方法及系统
KR20110002400A (ko) 방송용 엘이디 조명장치
CN105717948A (zh) 一种模拟天空亮度分布的装置
JP2008524877A (ja) 高輝度表示画面をベースにした電子窓
JP5344739B2 (ja) 照明器具
WO2023155715A1 (zh) 模拟太阳光照射的照明模块、照明灯具及照明方法
KR20100080649A (ko) 엘이디 무대조명
KR200479099Y1 (ko) 카메라용 엘이디 조명장치
CN206176158U (zh) 一种可变焦的led投光灯
JP7273864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方法
JP2008204855A (ja) 可変色縦型照明器具および可変色縦型照明システム
JP2966538B2 (ja) 人工天空の照射装置
JP2012129065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