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183A - Dual Mode Motor - Google Patents

Dual Mode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183A
KR20190117183A KR1020180040384A KR20180040384A KR20190117183A KR 20190117183 A KR20190117183 A KR 20190117183A KR 1020180040384 A KR1020180040384 A KR 1020180040384A KR 20180040384 A KR20180040384 A KR 20180040384A KR 20190117183 A KR20190117183 A KR 20190117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field
switch
mai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3854B1 (en
Inventor
권병일
후세인아시프
아유브
조성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54B1/en
Publication of KR2019011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02Synchronous motors
    • H02K19/10Synchronous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22Synchronous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mode motor comprises: a first core having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cluding a main winding provided at the plurality of teeth, a sub winding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winding, and a first switch provi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a second core provided in one side of the first core, having the plurality of teeth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cluding a harmonic winding and a field winding provided at the plurality of teeth; and a second switch controlling current carrying between the field winding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Description

듀얼 모드 전동기{Dual Mode Motor}Dual Mode Motor

본 발명은 듀얼 모드 전동기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속에서 높은 토크를 제공하고 고속에서 높은 파워를 제공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ual mode motors and more particularly to dual mode motors that provide high torque at low speeds and high power at high speeds.

전동기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는 대표적인 에너지 전환 장치로서 현대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동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Electric mo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odern society as a representative energy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the role of the electric motor is becoming more important.

통상적으로 전동기에는 영구자석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회전자 자계(flux)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영구자석을 이용하였다.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부하나 전압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전력원의 주파수에 동기하여 고정된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높은 효율과 높은 토크 밀도의 우수한 성능을 이유로 다양한 산업 및 가정용 응용 프로그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모터의 설계 사양에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메인 주파수에 동기하여 고정된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 Typically, permanent magnets have been used in electric motors. For exampl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use permanent magnets to generate rotor flux.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can provide a fixed speed in synchronism with the frequency of the power source despite load or voltage fluctuations, and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and home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high efficiency and high torque density. . In particula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can be useful in that they can provide a fixed spe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in frequency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design specification of the motor.

그러나 희토류 금속을 이용하는 영구자석은 희귀성으로 인하여 가격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영구자석 없이 구동하는 전동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자석 없는 타입의 전동기는 브러쉬나 슬립링을 항시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However, permanent magnets using rare earth metals are losing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their rarity. Accordingly, research on electric motors driven without permanent magnets continues. However, such a permanent magnet type motor has a limitation in maintenance because it always requires a brush or slip r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저속 회전 모드와 고속 회전 모드로 동작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mode electric motor operating in a low speed rotation mode and a high speed rotation mo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속 회전 모드에서 높은 토크를 제공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mode motor that provides a high torque in the low speed rotation mo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속 회전 모드에서 높은 파워를 제공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mode motor that provides a high power in a high speed rotation mo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구자석 없이 구동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mode electric motor for driving without a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는 복수의 치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치에 마련된 메인 권선(main winding), 상기 메인 권선과 직렬로(in-series) 연결된 서브 권선(sub winding) 및 상기 서브 권선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스위치을 포함하는 제1 코어(core), 상기 제1 코어의 일 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치가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치에 마련된 하모닉 권선 및 필드 권선을 포함하는 제2 코어 및 상기 필드 권선과 외부 전원 사이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main winding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eeth, and a sub winding connected in-series with the main winding. a first core including a winding and a first switch provi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re, and a plurality of teeth are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core including a harmonic winding and a field winding provided in the tooth, and a second switch for controlling energization between the field winding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모닉 권선과 상기 필드 권선 사이에는 마련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와 상기 필드 권선 사이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tifier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provided between the harmonic winding and the field winding, and a third switch for controlling energization between the rectifier and the field windin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제1 코어에 대하여 저속 모드 또는 고속 모드로 회전하며, 상기 저속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열린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닫힌 상태이며, 상기 고속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열린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r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re in a low speed mode or a high speed mode, in the low speed mode,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is in an open state, the second switch is In a closed state, in the high speed mode,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may be in a closed state,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in an open st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속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코어에서 상기 메인 권선의 턴 수와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에 대응되는 메인 필드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어가 회전하고, 상기 고속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코어에서 상기 메인 권선의 턴 수에 대응되는 메인 필드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어가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low speed mode, the second core is rotated by the main fiel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n the first core, in the high speed mode, The second core may rotate by a main fiel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in the first co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속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가 닫힘에 따라 상기 서브 권선은 상기 메인 필드와 주파수가 상이한 하모닉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닫힘에 따라 상기 하모닉 필드에 의하여 상기 필드 권선에서 회전 필드가 생성되고, 상기 회전 필드와 상기 메인 필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어가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high speed mode, as the first switch is closed, the sub winding generates a harmonic field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field, and as the third switch is closed, the harmonic field is generated by the harmonic field. A rotating field is generated in the field winding, and the second core may rotate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rotating field and the main fiel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치에는 상기 메인 권선이 적층된 영역, 상기 서브 권선이 적층된 영역 및 상기 메인 권선과 상기 서브 권선이 적층된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urality of teeth may be provided with an area in which the main winding is stacked, an area in which the sub winding is stacked, and an area in which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are stack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권선과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일 단은 상기 서브 권서의 턴 수의 절반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may be the same, and one end of the first switch may be connected to half of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은, 메인 권선 및 상기 메인 권선과 직렬로 연결된 서브 권선에서 제1 메인 필드가 생성되는, 저속 회전 단계 및 상기 저속 회전 단계 이후, 상기 메인 권선과 상기 서브 권선 중 상기 메인 권선에서 제2 메인 필드가 생성되는, 고속 회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the low speed rotation step and the low speed rotation step, a first main field is generated in a main winding and a sub winding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winding, the main winding And a high speed rotation step of generating a second main field in the main winding of the sub winding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속 회전 단계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제1 회전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인 필드와 상기 제1 회전 필드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w speed rotation may include generating a first rotation fiel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generating rotation force by the first main field and the first rotation fiel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속 회전 단계는, 상기 서브 권선의 일부가 하모닉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모닉 필드를 통하여 제2 회전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인 필드와 상기 제2 회전 필드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igh speed rotation may include generating a harmonic field by a portion of the sub winding, generating a second rotation field through the harmonic field, and generating the second main field and the second rotation field.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권선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는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시키는 제1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저속 회전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열림 상태이고, 상기 고속 회전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는 닫힘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rst switch for vary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s provi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the first switch is open in the low speed rotation step,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The first switch may be in a clos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는 복수의 치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치에 마련된 메인 권선(main winding), 상기 메인 권선과 직렬로(in-series) 연결된 서브 권선(sub winding) 및 상기 서브 권선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스위치을 포함하는 제1 코어(core); 상기 제1 코어의 일 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치가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치에 마련된 하모닉 권선 및 필드 권선을 포함하는 제2 코어; 및 상기 필드 권선과 외부 전원 사이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main winding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eeth, and a sub winding connected in-series with the main winding. a first core including a winding and a first switch provi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A second co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r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cluding a harmonic winding and a field winding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teeth; And a second switch for controlling energization between the field winding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이 때 상기 제1 스위치는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저속 회전 모드에서는 제1 스위치가 열림으로써, 메인 권선과 서브 권선에서 메인 필드가 생성되므로 고 토크의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속 회전 모드에서는 제2 스위치가 닫힘으로써, 메인 권선에서 메인 필드가 생성되고, 서브 권선에서는 하모닉 필드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하모닉 필드는 회전 필드를 유도할 수 있고, 회전 필드와 메인 필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파워가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witch may vary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n the low speed rotation mode, the first switch is opened, so that the main field is generated in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so that a high torque rotational forc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n the high speed rotation mode, the second switch is closed, thereby generating a main field in the main winding and a harmonic field in the sub winding. The generated harmonic field may induce a rotating field, and a rotating force may b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rotating field and the main field. Accordingly, high power can be provided.

즉 본 발명에서는 간이한 방법으로 저속 및 고속에서 요구되는 회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저속에서 높은 토크가 요구되는 전기 자동차용 전동기로 활용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otation characteristics required at a low speed and a high speed by a simple method. In particular, it can be utilized as an electric vehicle electric motor that requires high torque at low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 S11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성능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ual-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ual-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describing step S100 of FIG. 3.
FIG. 5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describing step S110 of FIG. 3.
6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deliver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to be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hape and size are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us,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rm 'and / or' is used herein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ncompasses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configuration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 term "connection" is used herein to mean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ual mode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it of a dual mode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100)는 제1 코어(110) 및 제2 코어(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어(110)는 고정자(stator)이고 상기 제2 코어(160)는 회전자(rotor)일 수 있다.1 and 2, a dual mode electric mo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re 110 and a second core 16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core 110 may be a stator and the second core 160 may be a rotor.

상기 제1 코어(110)는 내측에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코어(160)는 상기 제1 코어(110)의 내측의 중공에 인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first core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hollow inside, and the second core 160 may rotate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low inside the first core 110. Can be.

상기 제1 코어(110)는 상기 제1 코어(110)의 원통형 내측에 배열되는 복수의 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들에는 권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어(110)의 치(112)에는 메인 권선(120) 및 서브 권선(124)이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cor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eth 112 arranged inside the cylinder of the first core 110. The teeth may be formed with a winding. For example, the main winding 120 and the sub winding 124 may be provided at the teeth 112 of the first core 110.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권선(120)은 제1 상(phase)을 인가받는 메인 권선(120a), 제2 상을 인가받는 메인 권선(120b) 및 제3 상을 인가받는 메인 권선(12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winding 120 may include a main winding 120a receiving a first phase, a main winding 120b receiving a second phase, and a main winding 120c receiving a third phase. have.

또한 서브 권선(130)은 상기 메인 권선(120a)와 직렬로 연결된 서브 권선(130a), 상기 메인 권선(120b)와 직렬로 연결된 서브 권선(130b), 상기 메인 권선(120c)와 직렬로 연결된 서브 권선(13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 winding 130 may include a sub winding 130a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winding 120a, a sub winding 130b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winding 120b, and a sub winding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winding 120c. It may be made of a winding 130c.

이 때, 상기 메인 권선(120)과 상기 서브 권선(130)은 복수의 치(112)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되, 복수의 치(112)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치에는 메인 권선이 이중으로 적층될 수 있고, 서브 권선이 이중으로 적층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메인 권선과 서브 권선이 이중으로 적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winding 120 and the sub winding 130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plurality of teeth 112, and may be stacked on the plurality of teeth 112. For example, a single tooth may be double stacked on a main winding, sub windings may be double stacked, or the main winding and sub windings may be double stacked.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권선의 턴 수와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는 동일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may be the same.

상기 메인 권선(130)에는 도 2에 도시된 인버터(102)로부터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02)는 상기 메인 권선(130a, 130b, 130c)에 예를 들어 3 상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메인 권선으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는 한 개로 구성될 수 있다.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main winding 130 from the inverter 102 shown in FIG. 2. The inverter 102 may apply, for example, three-phase current to the main windings 130a, 130b, and 130c. In another asp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inverter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main winding may be configured.

상기 제1 코어(110)에는 상기 서브 권선(13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 권선(130)의 턴 수를 가변시키는 제1 스위치(1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140a)는 상기 서브 권선(130a)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스위치(140b)는 상기 서브 권선(130b)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스위치(140c)는 상기 서브 권선(130c)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ore 110 may be dispos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130, and a first switch 140 configured to vary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130.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witch 140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 winding 130a, and the first switch 140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 winding 130b. The first switch 140c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b winding 130c.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위치(140)는 상기 서브 권선(130)의 턴 수 중간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switch 140 may be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130.

상기 제1 스위치(140)는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치(140)가 열린 상태에서, 서브 권선의 턴 수가 N번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140)가 닫힌 상태는 서브 권선의 턴 수가 N/2로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140)에 의하여 서브 권선의 턴 수가 가변됨으로써, 저속 회전 모드 및 고속 회전 모드 간의 전환이 가능한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switch 140 may perform a function of vary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s N times while the first switch 140 is op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may be reduced to N / 2 when the first switch 140 is closed. Since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s is changed by the first switch 140, switching between the low speed rotation mode and the high speed rotation mode is possib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 코어(160)는 상기 제1 코어(110)에 의하여 생성된 자계에 대응하여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second core 160 may rotate in an ax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re 110.

상기 제2 코어(160)에는 원주 배열으로 배열된 복수의 치(162)가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core 16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eth 162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arrangement.

상기 복수의 치(162)에는 하모닉 권선(170) 및 필드 권선(18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모닉 권선(170)과 상기 필드 권선 사이에는 정류기(17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드 권선(180)의 일 측에는 외부 전원(190) 예를 들어, DC 전원이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eth 162 may be provided with a harmonic winding 170 and a field winding 180. A rectifier 17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armonic winding 170 and the field winding. In addition, an external power source 190, for example, a DC power source,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eld winding 180.

상기 하모닉 권선(170)의 폴 수는 상기 메인 권선(120, 130)의 폴 수 및 상기 필드 권선(180)의 폴 수의 절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권선(120, 130)의 폴 수 및 상기 필드 권선(180)의 폴 수가 8개인 경우, 상기 하모닉 권선(170)의 폴 수는 4개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메인 권선(120, 130)의 폴 수 및 상기 필드 권선(180)의 폴 수는 동일할 수 있다.The number of poles of the harmonic winding 170 may be half of the number of poles of the main windings 120 and 130 and the number of poles of the field winding 18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oles of the main windings 120 and 130 and the number of poles of the field winding 180 are eight, the number of poles of the harmonic winding 170 may be four. In another aspect, the number of poles of the main windings 120 and 130 and the number of poles of the field winding 180 may be the same.

상기 필드 권선(180)과 상기 외부 전원(190) 사이에는 상기 필드 권선(180)과 상기 외부 전원(190)을 통전시키는 제2 스위치(192)가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switch 19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eld winding 180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190 to energize the field winding 180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190.

또한 상기 정류기(175)와 상기 필드 권선(180) 사이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175)와 상기 필드 권선(180)을 통전시키는 제3 스위치(194)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switch 19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ctifier 175 and the field winding 180 to energize the rectifier 175 and the field winding 180.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단계 S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단계 S11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ual-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step S100 of FIG. 3, Figure 5 is a step S110 of FIG.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concretely.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치(140, 192, 194)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저속 회전 모드와 고속 회전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dual mode electric mo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ow speed rotation mode and a high speed rotation mod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to third switches 140, 192, and 194.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100)의 동작 방법은 저속 회전 단계(S100)와 고속 회전 단계(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low speed rotation step S100 and a high speed rotation step S110. Each step will be described below.

저속 회전 단계(S100)Low speed rotation stage (S100)

단계 S100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S100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저속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140) 및 상기 제3 스위치(194)는 열린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192)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In the low speed rotation step, the first switch 140 and the third switch 194 may be in an open state, and the second switch 192 may be in a closed state.

상기 제1 스위치(140)가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권선(120)과 상기 서브 권선(130)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권선(120)의 턴 수와 상기 서브 권선(130)의 턴 수의 합에 대응하는 제1 메인 필드가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 140 is in the open state, since the main winding 120 and the sub winding 130 are connected in series,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120 and the sub winding 130 are increased. A first main field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number of turns of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제2 스위치(192)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필드 권선(180)은 외부 전원(190)으로부터 직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드 권선(180)은 제1 회전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witch 192 is closed, the field winding 180 may receive a direct curren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190. Accordingly, the field winding 180 may generate a first rotating field.

따라서, 상기 제1 코어(110)에서의 제1 메인 필드와 상기 제2 코어(160)에서의 제1 회전 필드가 상호 작용하여 회전력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main field in the first core 110 and the first rotation field in the second core 160 may interact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상기 저속 회전 단계가 지속되는 중, 미리 정해진 회전 속도 또는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고속 회전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회전 속도는 900rpm일 수 있다.While the low speed rotation step continues,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may be performed when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or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may be 900 rpm.

고속 회전 단계(S110)High speed rotation step (S110)

단계 S110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S110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고속 회전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140) 및 상기 제3 스위치(194)는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192)는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190)의 개입은 정지되는 것이다.In the high-speed rotation step, the first switch 140 and the third switch 194 may be in a closed state, and the second switch 192 may be in an open state. That is, the intervention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190 is stopped.

상기 제1 스위치(140)가 닫힌 상태의 경우, 서브 권선(130)의 턴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속 회전 단계에서, 메인 권선(120)과 서브 권선(130) 중 메인 권선(120)에서 제2 메인 필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권선(120)과 서브 권선(130) 중 서브 권선(130)에서 하모닉 필드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메인 필드와 하모닉 필드의 주파수는 다를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 140 is closed,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130 may be reduced. In this case, in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a second main field may be generated in the main winding 120 of the main winding 120 and the sub winding 130. In addition, a harmonic field may be generated in the sub winding 130 among the main winding 120 and the sub winding 130. In this case, the frequencies of the second main field and the harmonic field may be different.

상기 하모닉 필드는 상기 하모닉 권선(170)을 여기시킬 수 있다. 또한 하모닉 권선(170)에서 여기된 후 상기 정류자(175)에 의하여 정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치(194)가 닫힌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필드 권선(180)은 상기 정류자(175)에 의해 정류된 전류로부터 제2 회전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harmonic field may excite the harmonic winding 170. It may also be excited by the harmonic winding 170 and then rectified by the commutator 175. In addition, since the third switch 194 is closed, the field winding 180 may generate a second rotating field from the current rectified by the commutator 175.

이에 따라 상기 제1 코어(110)에서의 제2 메인 필드와 상기 제2 코어(160)에서의 제2 회전 필드가 상호 작용하여 회전력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econd main field in the first core 110 and the second rotation field in the second core 160 may interact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성능 특성이 설명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dual mode mo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성능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의 성능 특성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 극을 가지는 메인, 서브 권선, 필드 권선을 준비하고, 4 극을 가지는 하모닉 권선을 준비하였다.In order to simul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main, sub winding, and field winding having 8 poles were prepared, and a harmonic winding having 4 poles was prepared. .

도 6을 참조하면, 저속 회전 단계에서, DC 외부 전원으로 9.8A을 공급한 경우에 안정적으로 EMF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low-speed rotation step, when the 9.8A is supplied to the DC external power source, the EMF may be stably released.

도 7을 참조하면, 저속 회전 단계에서, 메인 권선 및 서브 권선에서 자속 밀도가 균일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in the low speed rotation stage,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uniformly emitted from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도 8을 참조하면, 저속 회전 단계에서, DC 외부 전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초기부터 일정한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기 전동기의 경우 저속 회전 단계에서 낮은 토크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저속 회전 단계는 초기부터 높고 안정적인 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와 같이 저속에서 높은 토크를 필요로 하는 환경에 적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low-speed rotation step, since a DC external power source is used, a constant torque may be generated from an initial stage. In the case of the synchronous motor, a problem occurs due to low torque in the low speed rotation stage, but the low speed rotation st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high and stable torque from the beginning. Accordingly, it may be suitable for an environment requiring high torque at a low speed such as an electric vehicle.

도 9를 참조하면, 고속 회전 단계에서 메인 권선과 서브 권선에서 서로 다른 세기의 자속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메인 권선에서 서브 권선보다 큰 자속이 발생하였다. 이는 메인 권선의 턴 수가 서브 권선의 턴 수보다 2배 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즉, 제1 스위치의 스위칭으로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시키는 경우, 자속의 세기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메인 권선과 서브 권선의 자속의 세기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브 권선에서의 하모닉 필드에 의하여 원활히 제2 회전 필드가 생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9, it can be seen that magnetic fluxes of different intensities are generated in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in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In other words, a larger magnetic flux was generated in the main winding than in the sub winding. This is interpreted as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is twice as large as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s. That is,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s changed by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lux may be induced. In addition, sinc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lux of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is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they have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ly,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econd rotation field can be generated smoothly by the harmonic field in the sub winding.

도 10을 참조하면, 고속 회전 단계에서, 제1 스위치의 닫힘으로 인하여 회전 필드가 생성됨에 따라 제2 코어(160)의 하모닉 권선(170)에서 하모닉 전류가 발생하고, 하모닉 전류가 정류기(175)에 의하여 정류된 후 필드 전류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a harmonic current is generated in the harmonic winding 170 of the second core 160 as the rotation field is generated due to the clos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harmonic current is rectified by the rectifier 175. It can be seen that after rectified by the field current is generated.

도 11을 참조하면, 저속 회전 단계(900rpm 이하)에서, 제1 스위치와 제3 스위치의 열림 및 제2 스위치의 닫힘으로 인하여, 높고 일정한 토크가 발생(붉은 참조)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저속 회전 단계에서 우수한 토크 특성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속 회전 단계(900rpm 초과)에서, 제1 스위치와 제3 스위치의 닫힘 및 제2 스위치의 열림으로 인하여 높고 일정한 파워가 발생(보라색 참조)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속 회전 단계에서 우수한 파워 특성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a high and constant torque is generated (see red) due to the open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nd the closing of the second switch in the low speed rotation step (900 rpm or less).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provides excellent torque characteristics in the low-speed rotation step.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n the high-speed rotation step (more than 900 rpm), high and constant power is generated (see purple) due to the closing of the first and third switches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switch.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it provides excellent power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전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적으로 스위칭함으로 인하여 저속 회전 모드 및 고속 회전 모드 각각에서 요구되는 회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ual mode moto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can provide the rotation characteristics required in each of the low speed rotation mode and the high speed rotation mode.

특히 저속 회전 모드에서 기존의 동기 전동기에서 달성할 수 없었던 높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토크가 제공되므로, 저속 고 토크가 요구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low speed rotation mode, high and substantially constant torque is provided which could not be achieved in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mo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nvironment where low speed and high torque are required.

또한 고속 회전 모드에서는 외부 전원을 활용하지 않으므로, 외부 전원 활용 시 요구되는 DC 제어 이슈, 동기화 이슈를 해소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고 안정적인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igh speed rotation mode does not utilize an external power source, DC control issues and synchronization issues required when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eliminat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control. It can also provide high and stable power.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복수의 치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메인 권선(main winding), 상기 메인 권선과 직렬로(in-series) 연결된 서브 권선(sub winding) 및 상기 서브 권선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시키는 제1 스위치가 마련된 제1 코어(core);
상기 제1 코어의 일 측에, 하모닉 권선(harmonic winding) 및 필드 권선(field winding)이 마련된 제2 코어; 및
상기 필드 권선과 외부 전원 사이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
A plurality of teeth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vided between a main winding, a sub winding connected in-series with the main winding, an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A first core provided with a first switch for vary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first core;
A second core on one side of the first core provided with a harmonic winding and a field winding; And
And a second switch for controlling energization between the field winding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닉 권선과 상기 필드 권선 사이에는 마련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와 상기 필드 권선 사이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
According to claim 1,
A rectifier provided between the harmonic winding and the field winding; And
And a third switch for controlling energization between the rectifier and the field wind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는 상기 제1 코어에 대하여 저속 모드 또는 고속 모드로 회전하며,
상기 저속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열린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닫힌 상태이며,
상기 고속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는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열린 상태인 듀얼 모드 전동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r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re in a low speed mode or a high speed mode,
In the low speed mode,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re in an open state, the second switch is in a closed state,
In the high speed mode, the first switch and the third switch are in a closed state, and the second switch is in an open stat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코어에서 상기 메인 권선의 턴 수와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에 대응되는 메인 필드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어가 회전하고,
상기 고속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코어에서 상기 메인 권선의 턴 수에 대응되는 메인 필드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어가 회전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low speed mode, the second core is rotated by a main fiel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n the first core,
The dual mode electric motor in the high speed mode, the second core is rotated by the main fiel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in the first cor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가 닫힘에 따라 상기 서브 권선은 상기 메인 필드와 주파수가 상이한 하모닉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스위치가 닫힘에 따라 상기 하모닉 필드에 의하여 상기 필드 권선에서 회전 필드가 생성되고,
상기 회전 필드와 상기 메인 필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2 코어가 회전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high speed mode,
As the first switch is closed, the sub winding generates a harmonic field different in frequency from the main field,
As the third switch is closed, a rotating field is created in the field winding by the harmonic field,
And the second core rotates by the interaction of the rotating field and the main fiel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에는 상기 메인 권선이 적층된 영역, 상기 서브 권선이 적층된 영역 및 상기 메인 권선과 상기 서브 권선이 적층된 영역이 마련되는, 듀얼 모드 전동기.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teeth are provided with an area in which the main winding is stacked, an area in which the sub winding is stacked, and an area in which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are stack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권선과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일 단은 상기 서브 권서의 턴 수의 절반 지점에 연결되는, 듀얼 모드 전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urns of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 is equal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half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메인 권선 및 상기 메인 권선과 직렬로 연결된 서브 권선에서 제1 메인 필드가 생성되는, 저속 회전 단계; 및
상기 저속 회전 단계 이후, 상기 메인 권선과 상기 서브 권선 중 상기 메인 권선에서 제2 메인 필드가 생성되는, 고속 회전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
A low speed rotation step of generating a first main field in a main winding and in a sub winding connected in series with said main winding; And
And a high speed rotation step of generating a second main field in the main winding of the main winding and the sub windings after the low speed rotation step.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회전 단계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제1 회전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인 필드와 상기 제1 회전 필드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low speed rotation step,
Generating a first rotating fiel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d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the first main field and the first rotational fiel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회전 단계는,
상기 서브 권선의 일부가 하모닉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모닉 필드를 통하여 제2 회전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인 필드와 상기 제2 회전 필드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A portion of the sub winding creates a harmonic field;
Generating a second rotating field through the harmonic field; And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the second main field and the second rotation fiel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권선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는 상기 서브 권선의 턴 수를 가변시키는 제1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저속 회전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열림 상태이고,
상기 고속 회전 단계에서 상기 제1 스위치는 닫힘 상태인, 듀얼 모드 전동기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b winding is provided a first switch for vary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sub winding,
In the low speed rotation step, the first switch is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switch is in a closed state in the high speed rotation step.
KR1020180040384A 2018-04-06 2018-04-06 Dual Mode Motor KR102033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384A KR102033854B1 (en) 2018-04-06 2018-04-06 Dual Mode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384A KR102033854B1 (en) 2018-04-06 2018-04-06 Dual Mode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83A true KR20190117183A (en) 2019-10-16
KR102033854B1 KR102033854B1 (en) 2019-11-29

Family

ID=6842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384A KR102033854B1 (en) 2018-04-06 2018-04-06 Dual Mode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8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129A (en) * 2022-05-18 2023-11-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Dual Mode 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185A (en) * 2008-06-13 2010-01-28 Suri-Ai:Kk Synchronous machine
KR20130090331A (en) * 2012-02-03 2013-08-1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Rotary electric machine system
KR20160111680A (en) * 2015-03-17 2016-09-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Brushless Synchronous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67002B1 (en) 2016-04-28 2017-08-1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185A (en) * 2008-06-13 2010-01-28 Suri-Ai:Kk Synchronous machine
KR20130090331A (en) * 2012-02-03 2013-08-13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Rotary electric machine system
KR20160111680A (en) * 2015-03-17 2016-09-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Brushless Synchronous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67002B1 (en) 2016-04-28 2017-08-1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129A (en) * 2022-05-18 2023-11-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Dual Mode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854B1 (en)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161B2 (en) Double-stator/double-rotor type motor and direct drive apparatus for washer using same
US20120119690A1 (en) Synchronous electric motor drive system
CN105471173A (en) Synchronous Machine With Common Motor/Generator Exciter Stage
US20130257188A1 (en) Flux-switching electric machine
KR101685283B1 (en) Brushless Synchronous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057534A1 (en) Reverse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motor
KR101767002B1 (en)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33854B1 (en) Dual Mode Motor
WO2018037470A1 (en) Brushless synchronous power generation device
JP6083307B2 (en) Rotating machine
JP2005295686A (en) Generator
CN210405045U (en) Axial parallel composite motor
CN110391706B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5301905B2 (en) Multi-phas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drive device, multi-phase generator converter, multi-phas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drive system
KR101945118B1 (en) Electric Mo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0028957A (en) Inductor and inductor pole-number switching system
EP2288006A2 (en) A homopolar machine
JP2001169517A (en) Capacitor motor
JP2001103717A (en) Plural rotor motor
KR102351855B1 (en) 6-Phase Motor Having Connector Foaming Multi Electric Conductor
WO2019022100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KR102224902B1 (en) Motor
CN210608875U (en) Radial magnetic field composite magnetic flux switching motor
KR20030050734A (en) Motor having two rotor
KR102652170B1 (en) Dual Mode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