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115A -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115A
KR20190117115A KR1020180040222A KR20180040222A KR20190117115A KR 20190117115 A KR20190117115 A KR 20190117115A KR 1020180040222 A KR1020180040222 A KR 1020180040222A KR 20180040222 A KR20180040222 A KR 20180040222A KR 20190117115 A KR20190117115 A KR 2019011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measurement space
amount
viny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5840B1 (en
Inventor
윤상웅
전우현
이진용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840B1/en
Publication of KR2019011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vice for measuring an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for measuring an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 comprises: a sensor device for measuring an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 of crops; and a triangul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nsor device, providing a measurement space for fixing the crops to be positioned in a cen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roduction increase, and adjusting a variable size of the measurement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ps.

Description

증산량 측정 장치{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Increased quantity measuring device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아래 실시예들은 증산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xamples below relate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ranspiration.

농작물의 증산량 측정은 투명한 비닐을 해당 농작물(그루, 포기 등 개체 단위) 전체에 덮고, 일정시간 경과 후 비닐에 맺힌 물방울의 무게를 재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증산량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 또는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Measuring the yield of crops is usually done by covering the transparent vinyl with the entire crop (individual units such as trees and abandonment) and weighing the water droplets on the viny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is no separate equipment or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increase.

위와 같은 방법은 비닐을 농작물에 덮고 아랫단을 탄성이 있는 줄로 묶는데 그친다. 이때, 맺힌 물방울이 비닐 밖으로 흐를 뿐만 아니라 농작물에서 비닐 제거시 물방울을 완벽히 채취하기 어렵다. 또한, 농작물 생장에 따른 비닐의 크기가 달라지며 바람 등에 의한 손·망실이 우려된다.This method only covers vinyl with crops and binds the lower ends with elastic strings. 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flows out of the vinyl as well a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collect the water droplets when removing the vinyl from the crop. In addition, the size of the vinyl changes depending on the growth of the crop, and wind damage or loss of concern.

실시예들은 농작물의 생장에 따른 가변 조절 방식의 증산량 측정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can provide a quantitative measuring device of the variab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crop.

또한,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증산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대기 온도, 일사량, 상대 습도 등을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may measure the amount of transpiration in real time, and may additionally provide a technique for measuring atmospheric temperature, insolation, relative humidity,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는 농작물의 증산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와, 상기 센서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증산량 측정을 위해 상기 농작물을 고정하여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는 측정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측정 공간의 크기가 가변 조절 가능한 삼각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quantita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sensor device for measuring the yield of crops, a measurement space for supporting the sensor device and fixing the crops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ranspir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p includes a triangular support adjustable in size of the measurement space.

상기 장치는 상기 센서 장치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농작물로부터 증산되는 물을 포집하는 비닐을 걸기 위한 고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device is located in the measurement space, and may further comprise a ring member for hanging the vinyl to collect the water that is evaporated from the crop.

상기 삼각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센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길이 조절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iangular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sensor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ers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er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상기 삼각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 간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iangular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crop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parts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easurement space to support the crop located in the measurement space.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 각각은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가이드 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may include a guide, a sliding member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guide, and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in the guide.

상기 농작물 지지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 각각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부재와, 상기 농작물이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수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op suppo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each of which connect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and a receiving member having a hollow through which the crops can pass.

상기 비닐은 길이 조절할 수 있는 자바라 형식을 취할 수 있다.The vinyl may take the form of a bellows with adjustable length.

상기 비닐의 소재는 상기 농작물로부터 증산되는 물이 맺혀 아래 방향으로 흘러 고일 수 있도록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vinyl may have a protrusion shape so that water, which is evaporated from the crop, forms and flows downward.

상기 비닐의 하단부는 증산 또는 고인 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고무줄을 통해 상기 농작물의 하단부를 감쌀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vinyl may wrap the lower end of the crop through a rubber band so that evaporation or stagnant water does not escape ou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의 구현 일 예이다.
도 3은 농작물 성장에 따라 증산량 측정 장치를 가변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quantity incre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a quantitativ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varying the amount of quantitativ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crop.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at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embodiment, the first component may be call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의 구현 일 예이고, 도 3은 농작물 성장에 따라 증산량 측정 장치를 가변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transpiration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a quantitativ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llustrates a method of varying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crop growth. It is a figure for following.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센서 장치(100), 고리 부재(200), 및 삼각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또한,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비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increa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10 includes a sensor device 100, a ring member 200, and a triangular support 300. In additi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vinyl (400).

센서 장치(100)는 농작물의 정확한 증산량을 실시간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하측에 연결되는 고리 부재(200)에 걸리는 비닐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농작물의 증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100)는 데이터 로거(data logger)를 이용하여 장기간 관측할 수 있으며, 대기 온도, 일사량, 상대 습도 등도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다.The sensor device 100 may measure and record an accurate increase amount of crops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sensor device 100 may measure an increase in amount of crops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vinyl on the ring member 20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sensor device 100 may observe for a long time by using a data logger, and may measure and record atmospheric temperature,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the like.

고리 부재(200)는 센서 장치(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삼각 지지대(300)가 제공하는 측정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고리 부재(200)는 측정 공간에 위치하는 농작물로부터 증산되는 물을 포집하기 위한 비닐(400)을 걸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ring memb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device 100 and positioned in the measurement space provided by the triangular support 300. The ring member 200 may be for hanging the vinyl 400 for capturing water that is evaporated from the crop located in the measurement space.

비닐(400)은 긴 돔 모양으로, 농작물 생장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바라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비닐(400)의 소재는 농작물로부터 증산되는 물이 맺혀 아래 방향으로 흘러 고일 수 있도록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Vinyl 400 has a long dome shape, it may take the form of bellows that can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crop growth. The material of the vinyl 400 may have a protrusion shape so that water, which is evaporated from the crops, forms and flows downward.

또한, 비닐(400)의 하단부에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줄이 농작물의 하단부를 감싸 증산 또는 고인 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vinyl 400 may have a elastic rubber band wrapp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rop may play a role of preventing the evaporation or stagnant water out.

삼각 지지대(300)는 센서 장치(100)를 지지하고, 증산량 측정을 위해 농작물을 고정하여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는 측정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삼각 지지대(300)는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측정 공간의 크기가 가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즉, 삼각 지지대(300)는 농작물의 생장에 따라 측정 공간이 가변 조절되어 농작물의 증산량을 측정할 수 있다.Triangular support 300 may support the sensor device 100, may provide a measurement space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center by fixing the crop for measuring the amount of increase. In addition, the triangular support 300 may be variable in size of the measurement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p. That is, the triangular support 300 is variable in the measurement spac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crop can be measur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rop production.

삼각 지지대(300)는 복수의 지지 부재(310), 복수의 길이 조절부(330) 및 복수의 체결부(350)를 포함한다. 또한, 삼각 지지대(300)는 농작물 지지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iangular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10,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parts 33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50. In addition, the triangular support 300 may further include a crop support 370.

복수의 지지 부재(310)는 수직 방향으로 센서 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지지 부재(310)는 복수의 길이 조절부(33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삼각 지지대(300)가 제공하는 측정 공간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10 are for supporting the sensor devic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10 may be adjust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330. Through this, the height of the measurement space provided by the triangular support 300 may be variable.

복수의 길이 조절부(330)는 수평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삼각 지지대(300)가 제공하는 측정 공간의 넓이는 가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330 may be adjus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is, the width of the measurement space provided by the triangular support 300 may vary.

각 길이 조절부(330)는 가이드(331), 슬라이딩 부재(333), 및 고정 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33)는 가이드(331) 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어 부재(335)는 가이드(331) 내 슬라이딩 부재(33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부재(335)는 노브(Knob)로 구현될 수 있다.Each length adjusting part 330 may include a guide 331, a sliding member 333, and a fixing member 335. The sliding member 333 may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guide 331. The control member 335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333 in the guide 331. For example, the control member 335 may be implemented by a knob Knob.

복수의 체결부(350)는 복수의 지지 부재(310)와 복수의 길이 조절부(33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복수의 지지 부재(3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3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10 and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parts 330 and to fix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10.

각 체결부(350)는 몸체 부재(351) 및 체결 부재(353)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부재(351)에는 해당 지지 부재(310) 및 해당 길이 조절부(330, 예를 들어 슬라이딩 부재(333))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353)는 해당 지지 부재(31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해당 지지 부재(310)를 고정(또는 체결)할 수 있다.Each fastening part 350 may include a body member 351 and a fastening member 353. The support member 310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330 (eg, the sliding member 33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member 351. The fastening member 353 may fix (or fasten) the support member 310 such that the support member 310 does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증산량 측정 장치(10) 설치시 농작물의 길이에 맞게 비닐(400)을 덮고 고리 부재(200)에 연결한 후 삼각 지지대(3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와 같이 농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삼각 지지대(300)를 조절할 수 있다.When installing the transpiration amount measuring device 10 may cover the vinyl 400 to fit the length of the crop and connected to the ring member 200 and then fix the triangular support 300. As the crops grow as shown in FIG. 3, the triangular support 300 may be adjusted.

농작물 지지부(370)는 복수의 길이 조절부(330) 간에 연결되고, 삼각 지지대(300)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농작물 지지부(370)는 측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crop support 37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ers 330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easurement space provided by the triangular support 300. The crop support 370 may be for supporting crops located in the measurement space.

농작물 지지부(370)는 수용 부재(371) 및 복수의 연결 부재(37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부재(371)는 농작물이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농작물을 감싸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농작물은 증산량 측정시 발생하는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373)는 수용 부재(371)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여 수용 부재(371)와 복수의 길이 조절부(3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e crop support 370 may include a receiving member 371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73. The accommodation member 371 is formed with a hollow through which the crops can pass, and can surround and support the crops. As a result, the crops may be protected from the risks that occur when measuring the yield increas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373 may be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member 371 to connect the accommodation member 371 and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ers 330 to each other.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삼각 지지대(300)를 이용한 삼각대 고정 방식 및 농작물 지지부(370)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지지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손·망실을 피할 수 있다.The increa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10 may avoid a loss or loss caused by wind or the like by supporting the crop using a tripod fixing method using the tripod support 300 and the crop support 370.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실시간으로 증산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증산량을 관측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비닐(400) 하단부의 증산된 물을 채취하여 추가적인 성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1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incre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not only measure the amount of increase in real time but also store it continuously. Therefore, the increa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10 is easy to observe the increase amount which changes according to a weather or a season. In addition, the evaporation measuring apparatus 10 may perform additional component analysis by collecting the evaporated water at the lower end of the vinyl 400.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야외 현장에서 제약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농작물의 생장에 따른 증산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The increase rate measu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ccurately measure th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growth of a crop in real time regardless of a limited place and time in an outdoor site.

실시예에 따른 증산량 측정 장치(10)는 보다 정확한 농작물의 증산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현장에서의 빠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기존 장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increa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easure the increase amount of more accurate crops,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nables fast work in the fiel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replace existing equipment.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9)

농작물의 증산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장치; 및
상기 센서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증산량 측정을 위해 상기 농작물을 고정하여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는 측정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측정 공간의 크기가 가변 조절 가능한 삼각 지지대
를 포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Sensor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hedding of crops; And
Triangul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nsor device, to provide a measurement space for fixing the crop to be positioned in the cen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ranspiration, the variable size of the measurement spac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p
An increase rat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농작물로부터 증산되는 물을 포집하는 비닐을 걸기 위한 고리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device and located in the measurement space, the ring member for hanging the vinyl to collect the water to be evaporated from the crop
An increase rat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지지대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센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부재;
수평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길이 조절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
를 포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iangular support i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sensor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parts to fix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n increase rat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지지대는,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 간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riangular support is,
A crop support unit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and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measurement space and supporting the crop located in the measurement space.
An increase rat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 각각은,
가이드;
상기 가이드 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
를 포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guide;
A sliding member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guide; And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in the guide
An increase rat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지지부는,
각각이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 각각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 부재; 및
상기 농작물이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수용 부재
를 포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op support uni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each for connecting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units; And
Receiving member with a hollow through which the crop can pass
An increase rat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은 길이 조절할 수 있는 자바라 형식을 취하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vinyl is a transpiration amount measuring device of the bellows type adjustable in leng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의 소재는 상기 농작물로부터 증산되는 물이 맺혀 아래 방향으로 흘러 고일 수 있도록 돌기 형태를 가지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terial of the vinyl has an amount of evaporation measuring device having a projection form so that the water that is evaporated from the crops can flow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의 하단부는 증산 또는 고인 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고무줄을 통해 상기 농작물의 하단부를 감싸는 증산량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inyl transpiration amount measuring apparatus for wrapping the lower end of the crop through a rubber band so that the water does not escape out.
KR1020180040222A 2018-04-06 2018-04-06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KR102065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22A KR102065840B1 (en) 2018-04-06 2018-04-06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22A KR102065840B1 (en) 2018-04-06 2018-04-06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15A true KR20190117115A (en) 2019-10-16
KR102065840B1 KR102065840B1 (en) 2020-01-13

Family

ID=6842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22A KR102065840B1 (en) 2018-04-06 2018-04-06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8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356A (en) * 2005-04-05 2006-10-26 Tetsuo Taira Method for production increase of polypodiaceae species
KR20160057251A (en) * 2014-11-13 2016-05-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asuring apparatus for crop load and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JP2017051125A (en) * 2015-09-08 2017-03-16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Growth diagnostic method, growth diagnostic apparatus, data measurement device, growth diagnostic program, growth assisting method, growth assisting device, and growth assisting program
KR101824652B1 (en) * 2016-08-10 2018-0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alculating weight and water content of pla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356A (en) * 2005-04-05 2006-10-26 Tetsuo Taira Method for production increase of polypodiaceae species
KR20160057251A (en) * 2014-11-13 2016-05-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asuring apparatus for crop load and mo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JP2017051125A (en) * 2015-09-08 2017-03-16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Growth diagnostic method, growth diagnostic apparatus, data measurement device, growth diagnostic program, growth assisting method, growth assisting device, and growth assisting program
KR101824652B1 (en) * 2016-08-10 2018-0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alculating weight and water content of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840B1 (en)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aizzi et al. Two-source energy balance model to calculate E, T, and ET: Comparison of Priestley-Taylor and Penman-Monteith formulations and two time scaling methods
Granier et al. Evidence for soil water control on carbon and water dynamics in European forests during the extremely dry year: 2003
Dragoni et al. Transpiration of apple trees in a humid climate using heat pulse sap flow gauges calibrated with whole-canopy gas exchange chambers
Vitasse et al. Responses of canopy duration to temperature changes in four temperate tree species: relative contributions of spring and autumn leaf phenology
Alberto et al.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dual crop coefficients for dry-seeded rice and hybrid maize grown with overhead sprinkler irrigation
Howell et al. Evapotranspiration, water productivity and crop coefficients for irrigated sunflower in the US Southern High Plains
Li et al. Studies of canopy structure and water use of apple trees on three rootstocks
Steduto et al. Maize canopies under two soil water regimes.: I. Diurnal patterns of energy balance, carbon dioxide flux, and canopy conductance
BR112021004212A2 (en) method for determining plant stress, system for determining plant stress, system for managing irrigation, system for scheduling irrigation, method for scheduling land irrigation,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tmospheric conditions related to plant stress
Goodwin et al. Effects of tree size on water use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Hodges et al. Soyphen: Soybean Growth Stages Modeled from Temperature, Daylength, and Water Availability 1
Liu et al. Sprinkler irrigation scheduling of winter wheat in the North China Plain using a 20 cm standard pan
Smith et 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trol of transpiration by trees in windbreaks
Rosa et al. Surface renewal and eddy covariance measurements of sensible and latent heat fluxes of cotton during two growing seasons
JP2017042133A (en) Plant growth rate calculation system and plant growth rate calculation method
KR102065840B1 (en) An apparatus for mesuring transpiration rate
Carrara et al. Radiation measurements at ICOS ecosystem stations
Isoda et al. Leaf temperature and transpiration of field grown cotton and soybean under arid and humid conditions
Müller et al. Through-flow chamber CO2/H2O canopy gas exchange system—Construction, microclimate, errors, and measurements in a barley (Hordeum vulgare L.) field
Irmak et al. On the magnitude and dynamics of eddy covariance system residual energy (energy balance closure error) in subsurface drip-irrigated maize field during growing and non-growing (dormant) seasons
Bortolotto et al. Soil carbon dioxide flux in a no-tillage winter system
Kokin et al. Strawberry leaf surface temperature dynamics measured by thermal camera in night frost conditions.
JP2022127228A (en)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Evett et al. Evapotranspiration of irrigated alfalfa in a semi-arid environment
Žalud et al.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the period of 1961–2010 in Žabčice loc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