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993A -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993A
KR20190115993A KR1020180039375A KR20180039375A KR20190115993A KR 20190115993 A KR20190115993 A KR 20190115993A KR 1020180039375 A KR1020180039375 A KR 1020180039375A KR 20180039375 A KR20180039375 A KR 20180039375A KR 20190115993 A KR20190115993 A KR 2019011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chemicals
dischar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18003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993A/ko
Publication of KR2019011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93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or caster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밸브상에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 니들이 전후진하면서 원료를 노즐로 배출시키되, 상기 노즐 부재 선단부에는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 분사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다수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는 그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치면서 노즐 중앙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구성되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Discharge nozzle apparatus for paints and chemicals having a whirlpool air jet function}
본 발명은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밸브상에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 니들이 전후진하면서 원료를 노즐로 배출시키되, 상기 노즐 부재 선단부에는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 분사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다수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는 그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치면서 노즐 중앙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구성되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토출 및 스프레이 장치는 액상수지를 정량(定量)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장치로 이용분야는 반도체 제품, 광학제품, 전자/기계부품, 일 반 가전제품, 정밀기기, 사무용품, 자동차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코팅, 몰딩, 접착, 실링 작업에 주로 응용되고 있다.
통상 사용되는 분말이 혼입된 액상은 교반되어진 액상을 노즐을 통해 바로 토출 되면 계속 사용되어질 땐 뷰유된 상태로 나갈 수 있으나 토출이 정지(휴지기가)되면 입자의 무게로 바닥에 침전되면서 호스나 노즐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장시간 사용되지 않은 경우, 혼합된 액이 존재하는 노즐이나 배관(호스)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분말이 혼입된 유동성이 떨어지는 혼합된 액을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도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 분말과 접착제가 혼합된 원료는 도포를 위한 대기 상태에서 금속 분말이 침전되어 액상의 접착제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분말과 접착제가 균일한 상태로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료를 효과적으로 부품에 도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분말이 혼입된 액상 토출 장치는 원하는 양을 정밀하게 토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공정 중에 휴지기가 있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액상을 순환시킴으로 항상 좋은 조건으로 공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건은 배출구의 개방 및 폐쇄를 니들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체가 배출구 주변에서 굳어서 막히는 현상은 어느정도 예방을 할 수 있으나, 점도가 높은 액체를 분사할 때는 분사과정에서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되었을 뿐만 아니라, 코팅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액체를 분사함에 있어 기체를 동시에 공급하여 기체와의 충돌을 통해 액체를 미립화하여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노즐의 입구가 빈번하게 막힌다는 단점이 있으며, 분사와 동시에 기체가 공급되기 때문에 미립화는 제공 받을 수 있으나 코팅액이 주변에 비산 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06892호(2018. 01. 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 또는 석분 분말이 침전되어 접착제와 분리되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점도의 분말 액체원료를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 밸브상에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 니들이 전후진하면서 원료를 노즐로 배출시키되, 상기 노즐 부재 선단부에는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 분사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다수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는 그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치면서 노즐 중앙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노즐부재 내부에는 초경재질 또는 수지재질의 시트부재를 수용시켜 마찰이 발생하는 피스톤 니들과 노즐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노즐부재는 본체 밸브 하측에 고정되도록 고정캡에 의해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되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여 세척작업이 간편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노즐부재는 금속, 석분 분말을 혼입한 원료 또는 페인트, 윤활제, 접착제를 용기에서 교반하여 액체와 분말을 부유시키는 액체용기와,
상기 액체용기 내부에 부유되는 액체와 분말을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기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순환하는 액체와 분말을 배출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본체 밸브와, 상기 본체 밸브 내부 유로에서 액체와 분말이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차단밸브가 노즐을 차단하면 밸브 유로의 액체와 분말은 보조밸브를 통하여 액체용기로 공급되며, 상기 액체용기와 밸브 사이에는 공급되는 액체와 정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량계와, 상기 액체와 분말에 함유된 기포를 확인하여 불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기포센서가 형성되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에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는 다수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가 그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 치면서 노즐 중앙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본체 밸브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어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지부재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노즐부재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요부인 노즐부재에 형성된 에어 분사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노즐부재의 에어 분사공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서 나선형 한줄 방식으로 배출되는 상태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1)는, 금속·석분 분말을 혼입한 원료 또는 페인트, 윤활제, 접착제를 용기에서 교반하여 액체와 분말을 부유시키는 액체용기(2)와, 상기 액체용기(2) 내부에 부유되는 액체와 분말을 순환시키는 펌프(3)와, 상기 펌프(3)의 작동에 의해 순환하는 액체와 분말을 배출하는 노즐부재(40)을 갖는 밸브(5)와, 상기 밸브(5) 내부 유로에서 액체와 분말이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차단밸브(7)와, 상기 차단밸브(7)가 노즐부재(40)을 차단하면 밸브 유로의 액체와 분말은 보조밸브(8)를 통하여 액체용기로 공급되며, 상기 액체용기(2)와 밸브(6) 사이에는 공급되는 액체와 정량을 확인할 수 있는 유량계(9)와, 상기 액체와 분말에 함유된 기포를 확인하여 불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기포센서(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1)는 분말이 혼입된 액상인 원료를 액체용기(2)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용기(2)는 밀폐된 진공형 또는 개방된 오픈형으로 할 수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말 액상을 공급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액체용기(2)에 저장된 원료는 교반된 후, 펌프(3)의 작용으로 공급유로(5)를 통해서 노즐부재(40)로 공급되어 배출되고 휴지기에는 노즐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액상 용기로 보내는 밸브를 열어서 액상을 계속 순환 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노즐부재(40)는 펌프(3)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으로 원료를 외부로 할 수 있는 구성이며, 상기 노즐부재(40)는 차단밸브(7)의 작용으로 개방 또는 차단되는 구성이다.
한편, 노즐부재(40)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에어가 공급되면서 노즐부재(40)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재(40) 내부에 남은 잔량의 원료는 유로(5)를 타고 액체용기(2)로 다시 공급 순환되므로 노즐이 막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40)에는 오링(51)이 수용된 후, 스냅링, 와셔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는 구성이다.
이때, 오링(51) 부분은 지지부재(40) 외부의 충격에 의한 나사 풀림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은 피스톤 니들(29)에 의해 더 발생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충격 또한 오링(51)이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되면서 나사 풀림 방지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노즐부재의 사시도.
여기서, 노즐부재(40)의 상부에는 다수의 에어 분사공(41,42,43,44,45)과 시트부재(46)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구(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재(40)는 본체 밸브(20) 하측 공간부에 수용되어 고정캡(35)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체 밸브(20)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는 노즐부재(40)의 에어 분사공(41,42,43,44,4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노즐부재에 형성된 에어 분사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노즐부재(40)의 에어 분사공(41,42,43,44,45)의 방향은 중심을 향하고 있으나, 노즐부재(40)의 배출공(48)을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에는 직접적으로 닿게 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노즐부재(40)를 갖는 밸브(6)는 보조밸브(8)와 연동되며, 이때 차단밸브(7)가 노즐부재(40)를 차단하면 밸브 유로의 액체와 분말은 보조밸브(8)의 작용을 통하여 액체용기(2)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밸브(8)의 작동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개방 또는 차단되면서 액체와 분말을 액체용기(2)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용기(2)와 밸브(6) 사이 유로에는 유량계(9)와 기포센서(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계(9)는 공급되는 액체와 정량을 확인할 수 있고, 기포센서(10)는 액체와 분말에 함유된 기포를 확인하여 불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본체 밸브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본체 밸브(20)에는 피스톤 니들(29)과 노즐부재(40)가 수용되는 공간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 밸브(20) 상하측에는 상부나사부(24)와 하부나사부(25)가 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나사부(24)에는 조절레버(32)의 나사부(33)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하부나사부(25)에는 고정캡(35)의 나사 부분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체 밸브(20)의 하측에는 노즐부재(40)가 수용되는 구성이며, 이때 상기 노즐부재(40)는 오링(34)과 고정캡(35)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노즐부재(40)의 중앙에는 피스톤 니들(29)의 끝 부분이 삽입 되거나 떨어지는 작용을 통하여 원료를 외부로 배출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니들(29)의 작용은 에어의 공급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 니들(29)의 승강되는 길이 조절은 조절레버(32)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조절레버(32)를 미세하게 회전시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 니들(29)의 작용 거리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니들(29)은 노즐부재(40)에 수용된 시트부재(46)의 구멍을 막거나 또는 개방시켜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재(40) 내부 고정구(47)에는 초경재질 또는 수지재질의 시트부재(46)를 수용시켜 마찰이 발생하는 피스톤 니들과 노즐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지부재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조절레버(32)의 내부에는 지지부재(40)가 수용되는 구성이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40)와 조절레버(32)는 체결나사(50)에 일체로 조립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 노즐부재의 에어 분사공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에어 분사공(41,42,43,44,45)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의 방향은 중심을 향하고 있으나, 노즐부재(40)의 배출공(48)을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에는 직접적으로 닿게 하지 않게 되면서 회오리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에어 분사공(41,42,43,44,45)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당연하다.
따라서, 노즐부재(40)의 배출공(48)을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의 한줄 방향으로 형성시켜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노즐부재에서 나선형 한줄 방식으로 배출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다수의 에어 분사공(41,42,43,44,45)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는 배출공(48)의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치면서 노즐 배출공(48) 중앙으로부터 배출 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 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는 다수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가 그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치면서 노즐 중앙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입자물질 혼합 및 자동 도포 장치
2. 액체용기
3. 펌프
4. 노즐
5. 유로
6. 밸브
7. 차단밸브
8. 보조밸브
9. 유량계
10. 기포센서
12. 에어유로
13. 교반기
14.. 구동자석
15. 구동모터
16. 회전체
20. 본체 밸브
21. 에어공급밸브
22. 고정구
23. 공간부
24. 상부나사부
25. 하부나사부
26. 오링
27. 테프론링
28. 고정캡
29. 피스톤 니들
30. 오링
31. 스프링
32. 조절레버
33. 나사부
34. 오링
35. 고정캡
40. 노즐부재
41,42,43,44,45. 에어 분사공
46. 시트부재
47. 고정구
48. 배출공
49. 지지부재
50. 체결부재
51. 오링

Claims (4)

  1. 본체 밸브(20)상에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 니들(29)이 전후진하면서 원료를 노즐부재(40)로 배출시키되,
    상기 노즐부재(40) 선단부에는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 분사공(41,42,43,44,45)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에어 분사공(41,42,43,44,45)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는 배출공(48)의 중심을 피하고 서로 만나 회오리치면서 상기 배출공(48) 중앙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료 및 약품의 원료를 스프레이 방식 또는 나선형 한줄 배출 방식으로 형성 시켜 비산 현상이 전혀 없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40) 내부 고정구(47)에는 초경재질 또는 수지재질의 시트부재(46)를 수용시켜 마찰이 발생하는 피스톤 니들과 노즐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하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40)는 본체 밸브(20) 하측에 고정되도록 오링(34)과 고정캡(35)에 의해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되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여 세척작업이 간편해지는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4. 조절레버(32)의 내부에는 지지부재(40)가 수용되되,
    상기 지지부재(40)와 조절레버(32)는 체결나사(50)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지지부재(40)에는 오링(51)이 수용된 후, 스냅링, 와셔에 의해 일체로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오링(51) 부분은 지지부재(40) 외부의 충격에 의한 나사 풀림 방지 기능과, 피스톤 니들(29)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KR1020180039375A 2018-04-03 2018-04-03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KR20190115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75A KR20190115993A (ko) 2018-04-03 2018-04-03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75A KR20190115993A (ko) 2018-04-03 2018-04-03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93A true KR20190115993A (ko) 2019-10-14

Family

ID=6817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375A KR20190115993A (ko) 2018-04-03 2018-04-03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9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892A (ko) 2015-03-31 2018-01-19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회전 가능한 관찰 윈도우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892A (ko) 2015-03-31 2018-01-19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회전 가능한 관찰 윈도우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113B1 (en) Fluid spraying system
US8905325B2 (en) Spraying member, spraying device comprising such a member, spray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cleaning such a member
US4433812A (en) Paint spray attachment
US20170225181A1 (en) Vortex mixing and ratio adjustment system
JP6397119B2 (ja) カートリッジホルダ、マルチチャンバ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を有する計量及び混合装置
KR20140138315A (ko) 분리불가능 노즐을 갖는 스프레이 건 배럴
KR20120130325A (ko) 중력을 이용한 공급 분무 장치용 액체 공급 시스템
KR101751941B1 (ko) 공구없이 분해조립가능한 저토출량용 액체재료 분사밸브
US20160184847A1 (en) Vortex mixing and ratio adjustment system
TWI580476B (zh) 靜態噴灑混合器
US20090194611A1 (en) Swirl Spray Nozzle and Insert Thereof
JP6727518B2 (ja) スプレー装置および塗布液の沈殿防止方法
KR20190115993A (ko) 회오리 에어 분사 기능을 갖는 도료 및 약품의 배출 노즐장치
JP2004068773A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US9987643B2 (en) System and method having multi-component container for spray device
DK171731B1 (da) Formpressemaskine med væsketågeindsprøjtning via spraydåse
JP7064657B2 (ja) 塗装液混合装置及び塗装液の混合方法
KR101586017B1 (ko)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RU2743717C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поддающегося распылению вещества
JP2004237179A (ja) 微量粉末物質を液体に混合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90115994A (ko) 입자물질 혼합 및 자동 배출장치
JP2020531276A (ja) 計量および混合装置
WO2022034917A1 (ja) 噴射ノズル及びこの噴射ノズルを備えた噴射装置
KR100985871B1 (ko) 처리액 공급 시스템
CN204565918U (zh) 一种抛光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