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858A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5858A KR20190115858A KR1020180039076A KR20180039076A KR20190115858A KR 20190115858 A KR20190115858 A KR 20190115858A KR 1020180039076 A KR1020180039076 A KR 1020180039076A KR 20180039076 A KR20180039076 A KR 20180039076A KR 20190115858 A KR20190115858 A KR 20190115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 air
- unit
- housing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2차 냉각시켜 공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하우징; 제1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가 구비된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응축부; 제1유입부에 결합되며, 다공질(多孔質) 몸체를 갖는 제1쿨링패드; 제1쿨링패드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제1쿨링부; 제1하우징에 구비되어 응축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가 구비된 제2공간부에 위치되는 증발부; 제2공간부와 연결되며,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제3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제3배출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제2하우징; 제2하우징에 결합되며, 다공질체 몸체를 갖는 제2쿨링패드; 및 제2쿨링패드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제2쿨링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2차 냉각시켜 공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산업공장 분야에서 작업자들의 작업 능률 향상과 농축산 분야의 실내공간에서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실내공기를 순환시킴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산업공장 및 농축산 분야는 외기온도가 생산성 및 능률의 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며 국내의 여름철과 같은 고온 다습한 기후에는 사용 빈도수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공기조화기의 종류에 따라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가동 시 그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적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에어컨을 가동하기에는 높은 유지비용과 설치비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됨으로 경영진 또한 생산성의 저하를 알면서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현재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효율을 향상시키고 적정 외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질의 향상과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공기조화기의 필요성이 대두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공기조화기에는 물을 증발시켜 냉각 효과를 발휘해 공기를 조화시키는 것과 냉각기를 이용해 냉매를 순환시켜 공기를 조화시키는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물을 증발시켜 냉각 효과를 발휘하는 공기조화기는 물을 이용함으로 환경 친화적이며 가동 유지비가 저렴하고, 고온 건조한 기후의 지역에서는 효율이 높으나 고온 다습한 기후의 지역에서는 그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사용이 제한적이며 습도로 인해 적정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공기조화기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010-0094163호(20090218)를 통해 냉각기를 이용해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시키는 순환 과정을 통해 열교환으로 외기를 냉각시켜 실내로 조화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조화기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는 외기를 급속하게 냉각시켜 공기조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만 그칠 뿐, 광범위한 공간에서 냉각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지속적 사용은 막대한 유지비용이 발생됨으로 경영진의 입장에서 이 막대한 유지비용을 부담하고 냉각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운용하려는 경우가 드물어 경제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높은 유지비용을 감안하고 효율적인 부분만을 고려하여 냉각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습도가 높은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성능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화 냉각을 이용하는 쿨링패드 시스템과 냉각기에 사용되는 증발부를 결합시켜, 기후 조건에 따라 쿨링패드와 증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시키고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킨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쿨링패드를 적재적소에 위치시키고, 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과 속도를 조절하여 냉각효과를 향상시킨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가 구비된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응축부; 상기 제1유입부에 결합되며, 다공질(多孔質) 몸체를 갖는 제1쿨링패드; 상기 제1쿨링패드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제1쿨링부;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가 구비된 제2공간부에 위치되는 증발부; 상기 제2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제3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제3배출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되며, 다공질체 몸체를 갖는 제2쿨링패드; 및 상기 제2쿨링패드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제2쿨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쿨링패드 및 상기 제2쿨링패드는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공간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제2유입부로 유입시켜 제2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1시로코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제3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3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2시로코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배출부와 상기 제3유입부 사이는 덕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기후 조건에서는 쿨링패드만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를 수행하고, 고온 다습한 기후 조건에서는 쿨링패드 및 증발부를 함께 운용함으로써 기후 조건에 따른 에너지 및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제고시킴은 물론,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쿨링패드 및 제2쿨링패드의 탈착식 결합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제1공간부에 쿨링패드를 구성하여 쿨링패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를 배출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응축부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로코팬을 통해 대용량의 공기를 저압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산업시설이나 대규모 농·축산 시설 등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쿨링패드 통과시 저압 상태의 공기가 통과되므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를 덕트로 연결함으로써 근거리는 물론 원거리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비교적 설치면적과 설치공간에 제약받지않고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한 구성 및 내부의 공기의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공간부의 외측에 장착된 제1쿨링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공간부의 내부 구성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하우징 내부의 냉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하우징 내부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공간부의 외측에 장착된 제1쿨링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공간부의 내부 구성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하우징 내부의 냉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하우징 내부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의 일 실시례에 의한 구성 및 내부의 공기의 흐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은 외관상으로만 구분다면 크게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100)의 내부는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로 구획된다.
제1공간부(110)는 제1하우징(100) 내부의 어느 한 곳에 위치된다.
제1공간부(110)의 구획면(도면부호 미기재)을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제1유입부(111)가 형성된다. 제1유입부(11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1공간부(110)로 유입되며, 제1유입부(111)에는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필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유입부(111)를 통한 외부 공기는 배출팬(112-1)에 의해 제1공간부(110)로 유입된다. 배출팬(112-1)은 제1유입부(111)가 형성된 측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110)의 상면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배출팬(112-1)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배출팬(112-1)의 구동은 제1공간부(110) 내부의 공기를 상면에 형성된 제1배출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제1유입부(111)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제1공간부(110) 내부로 유입시킨다.
제1유입부(111)에는 후술할 제1쿨링패드(30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공간부(120)는 상기 구획면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100)의 다른 한 곳에 위치된다.
제2공간부(120)의 상부에는 제1시로코팬(124)이 위치된다.
시로코팬은 저압 상태의 대용량 송풍에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인 공기조화 시스템에 최적화된 팬이라 할 수 있다. 즉, 냉각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후술할 쿨링패드(300, 500)나 증발부(123) 등과 같은 냉각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공기의 속도가 빠를 경우 냉각부에 접촉되는 시간이 짧아져서 냉각 성능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저압 상태로 송풍하는 시로코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간부(120)의 상면에는 제2유입부(121)가 형성된다. 제2유입부(121)에도 제1유입부(111)에 구성된 필터가 장착된다. 이때, 제2유입부(121)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므로 제2유입부(121)에 사용되는 필터는 단순히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필터 이외에도 미세먼지와 중금속 등을 걸러내거나 항균 작용을 하는 필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된 필터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제2공간부(120)의 구획면을 제외한 적어도 어느 한 일측면에는 제2배출부(122)가 형성되며, 도면상에는 일측면에만 제2배출부(122)를 도시하였다.
제2하우징(200)에는 제3유입부(210)와 제3배출부(220)가 형성된다.
제3유입부(210)는 제2배출부(122)와 연결되며, 상호 간이 직접 연결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6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제2시로코팬(230)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제3배출부(220)에 설치된다.
제2시로코팬(230)은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 공기를 제3유입부(210)와 후술할 제2쿨링패드(500)를 통해 제2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유입된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해 제3배출부(220)를 통해 배출시킨다. 제3배출부(22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실내)으로 유입된다.
제3유입부(210)에는 제2쿨링패드(50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700)가 설치되며, 베이스(700)의 형상, 구조 및 높이 등은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의 형태, 중량 및 설치장소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공간부(110)의 외측에 장착된 제1쿨링패드(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제1쿨링패드(300)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상에는 개념적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제1쿨링패드(300)는 다공질(多孔質) 몸체를 갖는다. 제1쿨링패드(300)는 제1유입부(11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외기 유입시 외기와의 마찰면이 최대가 되도록 벌집 모양이 연속되는 형태를 가진 다공질 경식패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제1하우징(100)의 제1유입부(111)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가이드프레임(도면부호 미기재)이 구성되며, 제1쿨링패드(3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제1쿨링패드(300)를 제1공간부(110)의 내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탈착 용이성을 위해 제1공간부(110)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공간부(110)의 내부 구성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제1공간부(110)의 내부구조 및 제1쿨링패드(300)의 사용형태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는 제1유입부(111)가 상기 구획면을 제외한 세 측면에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며, 제1쿨링패드(300)가 제1공간부(11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제1쿨링패드(300)는 응축부(113)의 전단부, 즉, 응축부(113)를 기준으로 제1유입부(111)가 형성된 방향으로 응축부(11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쿨링패드(300)는 쿨링부(400)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쿨링부(400)는 냉수저장부(410), 워터펌프(420), 냉수공급관(430), 냉수분사기(440) 및 냉수보급관(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수저장부(410)는 제1공간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쿨링패드(300)를 장착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할 경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냉수저장부(410)에는 냉각수가 저장되며, 도면상엔 미도시 하였으나, 냉각수는 별도의 냉각부로부터 냉수보급관(450)을 통해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냉각시스템에서 냉매의 순환으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져 고인 물을 냉각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냉수보급관(450)을 통한 냉각수의 공급은 공지된 기술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냉수저장부(410)에 저장된 냉각수는 워터펌프(420)를 통해 펌핑되며, 펌핑된 냉각수는 워터펌프(420)와 연결된 냉수공급관(430)으로 이동되어 냉수분사기(440)를 통해 분사된다.
냉수분사기(440)는 제1쿨링패드(300)의 상부에 위치되며, 냉수분사기(440)를 통해 분사된 냉각수는 제1쿨링패드(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면서 제1쿨링패드(300) 전체를 냉각수로 적시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제1쿨링패드(300) 전체를 냉각수로 냉각시키게 되므로, 제1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배출팬(112-1)의 동작에 의해 제1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제1쿨링패드(300)를 통해 냉각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된 공기는 응축부(113)를 거쳐 제1배출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응축부(113)에서는 액화가 이루어지면서 냉매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냉각된 공기는 응축부(113)를 거치면서 응축부(113) 내부의 냉매와 더 많이 열교환 하여 응축부의 열기를 빼앗아 제1배출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냉수저장부(410)에는 수위조절감지기(46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수위조절감지기(460)를 통해 냉수저장부(410)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때, 일정 높이 이상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면 냉수보급관(450)을 통해 냉수저장부(4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을 중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하우징(100) 내부의 냉각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응축부(113) 및 증발부(123)와 연결된 냉각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축부(113)와 증발부(123)는 복수의 위치에 둘 수 있으며, 냉각시스템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하나의 응축부(113) 및 증발부(123)를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압축부(114), 응축부(113), 팽창부(115) 및 증발부(123)로 구성되며, 각 구성부의 상호 간은 냉각라인(도면부호 미기재)으로 연결된다.
냉각라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컴프레서와 같은 압축부(114)를 통해 고온, 고압으로 변하면서 온도가 상승한다.
이후 응축부(113)를 통해 고온의 냉매는 온도가 떨어지면서 액화가 이루어지며, 열교환을 통해 일정 온도가 내려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쿨링패드(300)를 거쳐 냉각된 공기는 응축부(113)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 하여 더욱 많은 열을 빼앗아 가므로, 제1쿨링패드(300)를 함께 이용시 냉각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응축부(113)를 거쳐 팽창부(115)를 지나면서 냉매는 저압으로 변해 온도가 더욱 내려간다.
이후 증발부(123)에서 냉매가 기화하면서 증발부(123) 주위의 열을 가져가므로 주변을 차갑게 조성하여 증발부(123)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며, 전술한 구조가 순환된다.
따라서, 제2유입부(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부(123)를 거쳐 냉각된 상태로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한편, 압축부(114)와 팽창부(115)의 위치를 도시된 바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증발부(123)의 냉각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증발부(123)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압축부(114)와 팽창부(115)를 제1공간부(1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하우징(200) 내부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제2하우징(200) 내부에서의 공기의 냉각 및 흐름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배출부(122)를 통해 배출된 냉각된 공기(냉기)는 제3유입부(210)로 바로 유입되거나, 덕트(600)를 거쳐 제3유입부(210)로 유입된다.
제3유입부(210)에는 제2쿨링패드(500)가 장착되며, 제2쿨링패드(500)도 탈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쿨링패드(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입부(210)의 내측에 설치하거나, 미도시 하였으나, 덕트(60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쿨링패드(500)는 덕트(600)없이 제2배출부(122)와 제3유입부(210)를 다이렉트로 연결시 제2배출부(122)와 제3유입부(210)의 연결부위나 제2배출부(122)의 내측에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쿨링패드(500)의 동작 상태 및 쿨링부(미도시)의 구성 등은 전술한 제1쿨링패드(300)의 동작 상태 및 쿨링부(4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쿨링패드(500)를 통해 한 번 더 냉각(2차 냉각)된 공기는 제2시로코팬(230)의 동작에 의해 제3배출부(220)로 배출된다.
제3배출부(220)로 배출된 공기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며, 특히, 고온다습한 기후에서 제1쿨링패드(300), 제2쿨링패드(500) 및 상기 냉각시스템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냉각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시스템만을 적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제1쿨링패드(300) 및 제2쿨링패드(500)를 동시에 적용한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을 인가받아 배출팬(112-1)과 상기 냉각시스템 및 쿨링부(400)가 동작한다.
쿨링부(400)가 동작하면서 제1쿨링패드(300) 및 제2쿨링패드(500)는 냉각수로 적셔지며, 상기 냉각시스템에 의해 증발부(123)가 냉각된다.
배출팬(112-1)의 동작으로 제1하우징(100) 외부의 공기는 제1유입부(111)를 통해 제1공간부(110)로 유입된다. 이때, 제1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제1쿨링패드(300)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냉각된 후, 1차 냉각된 공기는 다시 응축부(113)를 통과하면서 응축부(113)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 하여 응축부(113) 내부의 열을 더욱 많이 빼앗아 온도가 올라간 상태로 제1배출부(112)로 배출된다.
제1시로코팬(124)의 동작에 의해 제2유입부(121)로 유입된 외기는 증발부(123)를 거쳐 냉각되면서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냉각시스템만을 가동하였을 경우에 비해 제1쿨링패드(300)를 통해 응축부(113)와 더욱 많이 열교환 하여, 결과적으로 증발부(123) 내부의 냉매의 온도는 더욱 떨어지게 되므로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1시로코팬(124)에 의해 제1하우징(100) 외부 또는 실내의 공기가 제2공간부(120) 내부로 저압 상태로 이송되면서 증발부(123)에 접촉되는 시간이 길어져 냉각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제2배출부(122)를 통해 배출된 냉기는 덕트(600)를 경유하여 제3유입부(210)로 유입된다.
이때, 제2쿨링패드(500)를 지나면서 제2배출부(122)를 통해 배출된 냉기는 재차 냉각(2차 냉각)된다.
이와 같이 제2쿨링패드(500)를 통해 2차 냉각된 냉기는 제2시로코팬(230)의 동작으로 제3배출부(22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며, 이때,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시로코팬(230)에 의해 저압 상태로 이송되면서 제2쿨링패드(500)에 접촉되는 시간이 길어져 냉각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 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하우징
110 : 제1공간부
111 : 제1유입부 112 : 제1배출부
112-1 : 배출팬 113 : 응축부
114 : 압축부 115 : 팽창부
120 : 제2공간부 121 : 제2유입부
122 : 제2배출부 123 : 증발부
124 : 제1시로코팬
200 : 제2하우징 210 : 제3유입부
220 : 제3배출부 230 : 제2시로코팬
300 : 쿨링패드
400 : 쿨링부 410 : 냉수저장부
420 : 워터펌프 430 : 냉수공급관
440 : 냉수분사기 450 : 냉수보급관
460 : 수위조절감지기
500 : 제2쿨링패드
600 : 덕트
700 : 베이스
111 : 제1유입부 112 : 제1배출부
112-1 : 배출팬 113 : 응축부
114 : 압축부 115 : 팽창부
120 : 제2공간부 121 : 제2유입부
122 : 제2배출부 123 : 증발부
124 : 제1시로코팬
200 : 제2하우징 210 : 제3유입부
220 : 제3배출부 230 : 제2시로코팬
300 : 쿨링패드
400 : 쿨링부 410 : 냉수저장부
420 : 워터펌프 430 : 냉수공급관
440 : 냉수분사기 450 : 냉수보급관
460 : 수위조절감지기
500 : 제2쿨링패드
600 : 덕트
700 : 베이스
Claims (5)
-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가 구비된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응축부;
상기 제1유입부에 결합되며, 다공질(多孔質) 몸체를 갖는 제1쿨링패드;
상기 제1쿨링패드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제1쿨링부;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가 구비된 제2공간부에 위치되는 증발부;
상기 제2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제3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제3배출부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되며, 다공질체 몸체를 갖는 제2쿨링패드; 및
상기 제2쿨링패드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제2쿨링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쿨링패드 및 상기 제2쿨링패드는,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공간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제2유입부로 유입시켜 제2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1시로코팬이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제3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3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2시로코팬이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부와 상기 제3유입부 사이는 덕트로 연결된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076A KR102054306B1 (ko) | 2018-04-04 | 2018-04-04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076A KR102054306B1 (ko) | 2018-04-04 | 2018-04-04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5858A true KR20190115858A (ko) | 2019-10-14 |
KR102054306B1 KR102054306B1 (ko) | 2019-12-10 |
Family
ID=6817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9076A KR102054306B1 (ko) | 2018-04-04 | 2018-04-04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430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69810A (zh) * | 2021-08-04 | 2021-11-1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间接蒸发冷却设备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4465A (ko) * | 2003-12-23 | 2005-06-29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
KR20100094163A (ko) | 2009-02-18 | 2010-08-26 | 삼우시스템 (주) | 지하역사 공기조화시스템 |
JP2013224813A (ja) * | 2012-03-21 | 2013-10-31 | Kamakura Seisakusho:Kk | スポットエアコン |
KR20140139240A (ko) | 2013-05-27 | 2014-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 시스템 |
KR20170135283A (ko) * | 2016-05-31 | 2017-12-08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
2018
- 2018-04-04 KR KR1020180039076A patent/KR102054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4465A (ko) * | 2003-12-23 | 2005-06-29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
KR20100094163A (ko) | 2009-02-18 | 2010-08-26 | 삼우시스템 (주) | 지하역사 공기조화시스템 |
JP2013224813A (ja) * | 2012-03-21 | 2013-10-31 | Kamakura Seisakusho:Kk | スポットエアコン |
KR20140139240A (ko) | 2013-05-27 | 2014-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 시스템 |
KR20170135283A (ko) * | 2016-05-31 | 2017-12-08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69810A (zh) * | 2021-08-04 | 2021-11-1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间接蒸发冷却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4306B1 (ko) | 2019-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6380B1 (ko) |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
US9151507B2 (en) | Air conditioner | |
KR101770258B1 (ko) | 항온항습 공조시스템 | |
WO2011099629A1 (ja) | チリングユニット | |
US20110197617A1 (en) | Chiller | |
US11287166B2 (en) |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an HVAC system | |
JP2013224813A (ja) | スポットエアコン | |
CN108224574A (zh) | 一种带蒸发式冷凝的热管排热系统 | |
CN106347396B (zh) | 空调冷凝水再利用的节能系统 | |
CN101086362B (zh) | 空调器室外机的控制盒 | |
CN108278810A (zh) | 冰箱 | |
KR102061756B1 (ko) | 모듈형 하이브리드 냉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CN101464030A (zh) | 分体式空调器压缩机的降温结构 | |
KR101913720B1 (ko)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
KR102054306B1 (ko)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 |
JPH11311438A (ja) | 空気調和装置 | |
JP2006297964A (ja) | 鉄道車両用空調装置 | |
US6935132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1930760B1 (ko) | 건축물 구조를 이용한 외기 냉방 시스템 | |
KR101844581B1 (ko) |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 |
KR100606733B1 (ko) |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2000266399A (ja) | 空気調和機の室内熱交換器の構造 | |
CN208186534U (zh) | 一种带蒸发式冷凝的热管排热系统 | |
KR20160077835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CN212720054U (zh) | 空调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