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496A -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496A
KR20190115496A KR1020180029644A KR20180029644A KR20190115496A KR 20190115496 A KR20190115496 A KR 20190115496A KR 1020180029644 A KR1020180029644 A KR 1020180029644A KR 20180029644 A KR20180029644 A KR 20180029644A KR 20190115496 A KR20190115496 A KR 2019011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terminal
iot
content
central control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655B1 (ko
Inventor
김중근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근 filed Critical 김중근
Priority to KR102018002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과,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한 저장모듈과,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포함한 NB-IoT 단말기, 및 상기 NB-IoT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머문 시간 및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NB-IoT TERMINAL FOR ANALYZING CUSTOMER BEHAVIO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의 비콘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기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IoT란,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가리킨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로 분류하며, 여기에는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 또는 사람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3세대(3G) 이동통신 방식으로 대표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4세대(4G)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정의되면서, 특정 시나리오에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기술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를 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렇게 셀룰러(cellular)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에 대한 무선 접속(radio access)을 위해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Narrowband-IoT)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NB-IoT 통신모듈을 포함한 NB-IoT 단말기는 저전력/원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지 않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기가 실내에서 위치 측위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해, 복수의 스캐너(2~5)는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비콘(beacon)을 스캔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도면부호 2′~5′ 각각은 스캐너(2~5)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 범위를 가리킨다.
각 스캐너(2~5)는 위치 측위 대상인 이동 단말기(1)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위치 측위 주체인 스캐너(2~5)들과 위치 측위 대상인 이동 단말기(1) 간의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 등의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스캐너(3)는 중앙관제서버(6)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측위한 이동 단말기(1)의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6)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위치 측위 방법에 따르면, 각 스캐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크고 설치 비용 역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캐너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스캔 범위가 넓어짐은 물론 신호의 총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NB-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비콘 스캔 신호의 총량을 줄이고, 위치 정보 전송시 발생하는 전력소모량과 통신모듈 구비 갯수를 줄일 수 있는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동선 또는 유동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컨텐츠 배치가 가능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과,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한 저장모듈과,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포함한 NB-IoT 단말기, 및 상기 NB-IoT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및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중 어느 한 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선호도 높은 컨텐츠들을 정렬 산출하거나, 어느 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한 선호도 관련 사용자 분석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어느 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와 다른 적어도 한 컨텐츠의 선호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컨텐츠들 간의 상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상관도에 따른 컨텐츠 간 거리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간에 상기 컨텐츠들을 배치 마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컨텐츠들의 배치 변화에 따라 상관도를 재산출하고, 상기 기 저장된 공간에 상기 컨텐츠들을 재배치 마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시간정보 및 날씨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상관도를 재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컨텐츠 선호도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중 어느 한 요소의 제1 값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1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요소의 제2 값 -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값과 상이함 - 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2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의 조합을 이루는 사용자들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3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제3 컨텐츠 리스트 간의 변화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한 저장모듈 및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NB-IoT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관제서버에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전송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가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의해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머문 시간 및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행동분석용 NB-IoT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B-IoT 단말기는,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및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B-IoT 단말기가 위치 측위 주체이고 각 비콘이 측위 객체이기 때문에 각 NB-IoT 단말기에 의한 비콘 스캔 신호의 총량은 종래 기술 대비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중앙관제서버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체가 종래 스캐너에서 NB-IoT 단말기로 바뀌기 때문에 위치 정보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종래 스캐너마다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동선 또는 유동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컨텐츠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별로 선호도 높은 사용자 분석을 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컨텐츠들 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여 그룹핑하고, 이를 근거로 한 마케팅 맵을 작성함으로써, 공간 내 최적의 컨텐츠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이종 사용자들의 조합을 마켓팅 타겟으로 하는 경우에도, 그에 맞는 공간 내 최적의 컨텐츠 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기가 실내에서 위치 측위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위치측위방식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위방식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호도와 관련된 컨텐츠들간의 상관도를 정도에 따라 거리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들을 전시공간에 배치한 마켓팅 맵의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종 사용자들의 조합의 경우 선호 컨텐츠 리스트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를 포함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100)은 NB-IoT 단말기(110)와,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이용하여 고객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NB- IoT 단말기
본 발명의 NB-IoT 단말기(110)는 이동 가능한 단말기로서, 이동 단말기는 그 형태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일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목걸이형태나 팔찌형태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NB-IoT 단말기(110)는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1105)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1105)과,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한 저장모듈(1103)과,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NB-IoT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NB-IoT 통신모듈(1102)은 상기 NB-IoT 단말기(110)와 네트워크(N) 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각종 형태의 단말기나 서버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관제서버(120)나 의료기관서버(130) 등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NB-IoT 통신모듈(1102)은 NB-IoT 단말기(110)에 내장 또는 외장 가능한 것으로서,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통신을 가능케 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NB-IoT 통신모듈(1102)을 통해,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클라이언트,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측위모듈(1105)은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모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위모듈(1105)은 비콘(beacon)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1105)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모듈(1105)은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B-IoT 단말기(110)는 상기 블루투스모듈(1105)을 이용하여 지하나 실내와 같이 위치확인위성들로부터 항법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GPS 음영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콘(beacon) 등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모듈(1105) 또는 제어부(1101)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근거로 Proximity 방법이나 AOA(Angle of Arrial) 방법을 이용하여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위치 측위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위모듈(110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비콘(11~14)을 스캔할 수 있고, 상기 NB-IoT 단말기(110)와 상기 복수의 비콘(11~14) 간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 등의 방식으로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상기 NB-IoT 단말기(110),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측위모듈(1105)는 측위된 위치 정보를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위치측위방식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위방식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종래 위치측위방식에 따르면 스캐너 신호(2′~7′)는 다수의 스캐너(2~7)에 의하여 총량이 많아지만(도 3(a)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NB-IoT 단말기(110)가 위치 측위 주체이고 각 비콘(11~16)이 측위 객체이기 때문에 각 NB-IoT 단말기(110)에 의한 비콘 스캔 신호(10a~10c)의 총량은 상대적으로 적다(도 3(b) 참조).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스캐너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블루투스 신호에 대한 효율성 측면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따르면, 스캔 신호는 종래 위치측위방식에 따르면 6개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개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8, 17)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체가 종래 스캐너(2~7)에서 NB-IoT 단말기(110)로 바뀌기 때문에 위치 정보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종래 스캐너(2~7)마다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치측위모듈(1105)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110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GPS모듈(1104)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복수의 위치확인위성들로부터 수신한 항법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것으로서, GPS모듈(1004) 또는 제어부(1101)에서는 각 위치확인위성에서 전송된 항법데이터를 이용하여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101)는 NB-IoT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연산을 수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1)는 저장모듈(110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일 예로 위치측위를 위한 프로그램,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등)을 제어 또는 구동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장모듈(1103)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1)는 상기 위치측위모듈(1104, 1105)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측위모듈(1104, 1105)에 의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장모듈(1103)은 제어부(1101)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일 예로 위치측위를 위한 프로그램,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1103)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저장모듈(1103)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모듈(1103)은, 각종 프로그램과, 상기 제어부(1101)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발생하거나 산출된 각종 임시데이터나 결과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NB-IoT 단말기(110)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식별부호는, 사용자 또는 NB-IoT 단말기(110)를 구분 또는 식별하기 위한 유일한 부호로서,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유식별부호는 이를 근거로 중앙관제서버(120) 등이 사용자 또는 NB-IoT 단말기(110)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부호의 종류나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하는다.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또는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출력부(미도시)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 출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NB-IoT 단말기(110)의 적어도 일 면에 위치하여, 상기 NB-IoT 단말기(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중앙관제서버(120)와 연동하여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위에서 설명하진 않았으나 NB-IoT 단말기(110)에 내장 또는 외장된 생체인식센서 따위로부터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위치측위모듈에 의해 측위된 사용자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선호도 높은 컨텐츠의 존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관심도 또는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관도 높은 컨텐츠의 위치 등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기 저장되거나 중앙관제서버(120)로부터 수신한 광고를 화면에 표시하는 등 각종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각종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거나 저장모듈(1103)에 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NB-IoT 단말기(110)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은 제어부(1101)의 제어에 의해 내부 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NB-IoT 단말기(110)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은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진동모듈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편심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개인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 또는 이와 상관도 높은 컨텐츠의 주변에 접근하거나, 기 설정된 전시공간을 벗어나 이탈하여 주변에 인식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 등에는, 상기 진동모듈(1103)이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NB-IoT 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중앙관제서버(120)와, 이를 포함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NB-IoT 통신모듈(1102)을 통해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및 고유식별부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110)의 머문 위치 및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N)에 연결된 NB-IoT 단말기(110)나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컨텐츠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주로 전시장, 백화점이나 마트 등과 같은 매장 등에서 각종 제품이나 문자·부호·음성·음향·이미지·영상 등으로 나타내어지는 작품 따위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분야별(예로, 미술, 역사, 음악 등), 그리고 세부항목별(예로, 미술은 동양화, 서양화, 조각 등, 역사는 중국, 일본 등, 음악은 바로크 등)로 분류될 수 있으며, 중앙관제서버(120)는 후술하는 고객행동분석시 컨텐츠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시장 내 전시공간(R)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201~206)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콘(201~206)이 컨텐츠가 있는 위치(일 예로 상기 컨텐츠가 위치한 부스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100)은,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비콘(201~206)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한 NB-IoT 단말기(110)가 위치 정보를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자신의 고유식별부호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IoT 단말기(110)는 사용자나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부호를 등록/저장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중앙관제서버(120)는 기 저장된 고유식별부호 또는 고유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B-IoT 단말기(11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120)가 상기 고유식별부호와,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NB-IoT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고유식별부호를 근거로 이에 일치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요청 또는 비요청에 의해 상기 NB-IoT 단말기(110)로부터 고유식별부호 및/또는 위치정보를 실시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달받아, NB-IoT 단말기(110)를 식별하거나 식별된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110)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머문 위치, 그리고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것처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입구(E1)를 통해 전시공간(R) 내에 들어와 전시공간(R) 내 A 컨텐츠 - B 컨텐츠 - D 컨텐츠 - E 컨텐츠 - F 컨텐츠 - C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경로(P)를 따라 이동한 이후 출구(E2)를 통해 밖으로 나가는 것을 추적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어느 위치 또는 어느 범위 내에서 얼마나 머물렀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머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전시공간(R) 내에 컨텐츠를 기준으로 구획된 범위를 적어도 하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복수의 NB-IoT 단말기(110)의 이동 경로를 각각 추적하여, 이동 경로의 중복이 많은 메인 이동 경로를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메인 이동 경로를 이탈하는 지점의 위치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이렇게 추출된 메인 이동 경로 이탈 지점을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사용자의 동선을 기획하거나 사용자의 유동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복수의 NB-IoT 단말기(110)에 대해 추적한 이동 경로들의 교차지점을 추출하고, 그 중 교차횟수가 많은 위치를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동선이 원활하지 않은 지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관제서버(120)는, 식별된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와 가까운 비콘(201~206)의 위치를 근거로, 또는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이동 방향을 함께 고려하여, 사용자가 머문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전시공간(R) 및 이에 설치된 비콘(201~206) 또는 컨텐츠의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NB-IoT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와 근접한 비콘(201~206) 또는 컨텐츠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머문 위치의 컨텐츠가 어떠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현재 위치를 측위할 때 RSSI 등을 이용하여 가장 근거리의 비콘(201~206)을 추출할 수 있고, 해당 최근거리의 비콘(201~206)이 대한 정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NB-IoT 단말기(110)가 머문 위치의 컨텐츠가 어떠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머문 시간은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 변화가 없는 시간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변하지 않는 시간을 머문 시간으로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머문 시간과 머문 위치를 근거로 컨텐츠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도는 사용자가 머문 시간의 길이에 따라 높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머문 시간이 A 컨텐츠 - B 컨텐츠 - C 컨텐츠 - D 컨텐츠 - E 컨텐츠 - F 컨텐츠의 순서대로 길다면,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의해 산출된 선호도가 높은 순서는 동일하게 A 컨텐츠 - B 컨텐츠 - C 컨텐츠 - D 컨텐츠 - E 컨텐츠 - F 컨텐츠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시공간(R) 내 존재하는 사용자의 총수에 따른 가중치를 상기 선호도에 적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전시공간(R) 내 사용자가 많은 경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는 의도하지 않게 어느 한 컨텐츠에 장시간 머무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시공간(R) 내 존재하는 사용자의 총수가 많은 경우보다 적은 경우에 높은 가중치를 상기 선호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컨텐츠에 방문한 횟수에 따른 가중치를 상기 선호도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가 어느 한 제1 컨텐츠에서 다른 제2 컨텐츠로 변한 이후에 다시 제1 컨텐츠로 돌아간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컨텐츠 방문 횟수 또는 재방문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가중치를 상기 선호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고유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각종 고정 또는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사용자 개인정보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저장 또는 등록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소지할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개별 사용자에 대한 행동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인종, 국적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하여 사용자별 산출한 컨텐츠 선호도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개인정보 중 어느 한 요소를 기준으로 선호도 높은 컨텐츠들을 정렬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정보에 따른 컨텐츠 선호도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어느 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선호도가 높은 사용자의 유형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선호도와 관련한 사용자 분석을 할 수 있다. 즉, 어느 한 컨텐츠에 대하여 어떠한 연령, 성별, 직업, 인종, 국적의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지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컨텐츠 선호도를 이용하여, 선호도 관련 어느 한 컨텐츠와 다른 적어도 한 컨텐츠 간의 상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와 같은 상관도 산출을 통해, 사용자별로 컨텐츠마다의 선호도를 근거로, 어느 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와 다른 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간, 즉 서로 다른 컨텐츠들 간의 밀접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느 한 컨텐츠의 선호도 변화가 다른 한 컨텐츠의 선호도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지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따른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컨텐츠들은 상관도의 정도에 따라 거리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시도는 도 7a와 같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상관도, 또는 일정 상관도 거리 내에 있는 컨텐츠들을 그룹화할 수 있고, 그룹화된 컨텐츠들을 기 저장된 전시공간(R) 내에 배치할 때 상관도에 따라 서로 가까운 거리 내에 모여 배치한 마케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관도에 따른 컨텐츠들 간의 거리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간(또는 전시공간)에 상기 컨텐츠들이 배치 마련된 마케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마켓팅 맵의 예시도이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서로 상관도가 높은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를 하나로 하는 제1 그룹과, 또 다르게 서로 상관도가 높은 D 컨텐츠, E 컨텐츠 및 F 컨텐츠를 하나로 하는 제2 그룹과, 또 다르게 서로 상관도가 높은 G 컨텐츠, H 컨텐츠 및 I 컨텐츠를 하나로 하는 제3 그룹으로 그룹별로 모여 배치된 마케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마케팅 맵에 따라 실제 전시 공간에 콘텐츠들을 배치한 다음,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컨텐츠들의 배치 변화에 따라 상관도를 재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재산출된 상관도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간에 컨텐츠들을 재배치 마련한 마케팅 맵을 반복하여 재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와 유동성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컨텐츠 공간 배치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시간정보 및 날씨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의 변화에 따라 선호도와 관련된 컨텐츠들 간 상관도를 재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적 환경요인, 일 예로 기온, 습도, 조도 등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상기 시간정보는 그 예로서 계절, 요일, 오전/오후 등과 같은 것을 가리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날씨정보는 기상과 관련된 정보로서, 그 예로 비, 구름, 바람, 기온 등과 같은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타이밍서버(미도시) 및/또는 기상서버(미도시)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수신된 시간정보 및/또는 날씨정보를 근거로, 상기 시간정보 및/또는 날씨정보의 변화에 따라 컨텐츠들의 선호도 및 상관도를 재산출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간에 컨텐츠들을 재배치 마련한 마케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컨텐츠 선호도와 관련하여, 사용자 개인정보 중 어느 한 요소(일 예로 연령, 성별, 직업, 인종, 국적 등)의 제1 값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1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요소의 제2 값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2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의 조합을 이루는 사용자들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3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제3 컨텐츠 리스트 간의 변화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대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는 선호도에 따라 순차대로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일 수 있고, 40대 사용자의 선호 컨텐츠는 선호도에 따라 순차대로 D 컨텐츠, E 컨텐츠 및 F 컨텐츠일 수 있으나, 10대 사용자와 40대 부모 사용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선호도가 제1 및 제2 컨텐츠 리스트와 순서가 다른 경우가 많고, 또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리스트를 단순 조합한 A 및 D 컨텐츠 - B 및 E 컨텐츠 - C 및 F 컨텐츠의 리스트와 우선 순위가 다른 경우가 많다. 실제 조사결과 이와는 반대로, 10대 자녀와 40대 부모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는 C 및 F 컨텐츠 - B 및 E 컨텐츠 - A 및 D 컨텐츠의 순으로 우선 순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제1 컨텐츠 리스트로부터 제3 컨텐츠 리스트로의 변화를 추출하거나, 제2 컨텐츠 리스트로부터 제3 컨텐츠 리스트로의 변화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이종의 사용자들을 조합한 마켓팅 타켓에 대하여 선호 컨텐츠 리스트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예측된 선호 컨텐츠 리스트를 근거로 마케팅 맵을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조합된 이종 사용자들에 대한 선호 컨텐츠들 간의 선호도 관련 상관도를 산출하고, 상관도가 높은 컨텐츠들을 그룹핑하여, 이를 근거로 마케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컨텐츠 종류 또는 컨텐츠 카테고리에 따라 예상되는 타켓 수요자층에 대하여 동선을 고려한 효율적인 컨텐츠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상관도가 높은 컨텐츠를 그룹핑하여 전시 효과를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130)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단말기일 수 있으며, 그 형태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단말기(13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마켓팅 맵을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관리자단말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단말기(13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20)가 마켓팅 맵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시공간(R)을 나타내는 도면을 입력받거나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전시공간(R) 내 사용자의 동선 또는 유동성을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중앙관제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마켓팅 맵을 참고하여 효율적인 컨텐츠 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별로 선호도 높은 사용자 분석 결과나 서로 다른 컨텐츠들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등을 확인하여, 전시공간 내 최적의 컨텐츠 배치를 할 수 있다.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NB-IoT 단말기(110)는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11~16)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S110),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S120), 상기 NB-IoT 단말기(110)는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1102)을 이용하여 상기 NB-IoT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중앙관제서버(120)에 전송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중앙관제서버(120)는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110)의 머문 위치 및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단계 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단계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단계들을 갖는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동단말기 2~7: 스캐너
2′~7′: 스캔범위 8: 중앙관제서버
10: NB-IoT 단말기 11~16: 비콘
17: 중앙관제서버 100: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110: NB-IoT 단말기 1101: 제어부
1102: NB-IoT 통신모듈 1103: 저장모듈
1104: GPS모듈 1105: 블루투스모듈
120: 중앙관제서버 130: 관리자단말기
R: 전시공간 E1: 입구
E2: 출구 201~206: 비콘

Claims (10)

  1.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과,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한 저장모듈과,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포함한 NB-IoT 단말기; 및
    상기 NB-IoT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및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중앙관제서버;
    를 포함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중 어느 한 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선호도 높은 컨텐츠들을 정렬 산출하거나, 어느 한 컨텐츠를 기준으로 한 선호도 관련 사용자 분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어느 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와 다른 적어도 한 컨텐츠의 선호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컨텐츠들 간의 상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상관도에 따른 컨텐츠 간 거리를 근거로 기 저장된 공간에 상기 컨텐츠들을 배치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컨텐츠들의 배치 변화에 따라 상관도를 재산출하고, 상기 기 저장된 공간에 상기 컨텐츠들을 재배치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시간정보 및 날씨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상관도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컨텐츠 선호도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중 어느 한 요소의 제1 값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1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요소의 제2 값 -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값과 상이함 - 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2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의 조합을 이루는 사용자들을 기준으로 정렬 산출된 제3 컨텐츠 리스트를 저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제3 컨텐츠 리스트 간의 변화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
  8.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위치측위모듈;
    고유식별부호를 저장한 저장모듈; 및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NB-IoT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관제서버에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전송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가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의해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머문 시간 및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행동분석용 NB-IoT 단말기.
  9. NB-IoT 단말기는,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비콘과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상기 NB-IoT 단말기는, 셀룰러 이통통신 기반의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NB-IoT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NB-IoT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식별된 NB-IoT 단말기의 머문 위치 및 머문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선호도가 높은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B-IoT 단말기를 이용한 고객행동분석용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29644A 2018-03-14 2018-03-14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091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44A KR102091655B1 (ko) 2018-03-14 2018-03-14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44A KR102091655B1 (ko) 2018-03-14 2018-03-14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496A true KR20190115496A (ko) 2019-10-14
KR102091655B1 KR102091655B1 (ko) 2020-04-23

Family

ID=6817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44A KR102091655B1 (ko) 2018-03-14 2018-03-14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764A (ko) * 2020-01-23 2021-08-03 (주)퓨처쉐이퍼스 딥 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3d 디스플레이 광고 영상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13242514A (zh) * 2021-03-19 2021-08-10 广州启盟信息科技有限公司 蓝牙定位方法及装置
KR20220165227A (ko) * 2020-03-03 2022-12-14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디지털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고객 대응 장치
CN116389569A (zh) * 2023-06-05 2023-07-04 天津鹏萱汇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向物联网设备推送信息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431A (ja) * 2008-08-28 2010-03-11 Toshiba Corp 表示処理装置および表示処理方法
KR20130103957A (ko) * 2012-03-12 2013-09-25 주식회사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관람객 행동패턴에 의해 발생된 관심도를 이용한 mice 개최 솔루션 시스템
KR101707979B1 (ko) * 2016-04-26 2017-02-17 이요훈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KR20170043209A (ko) * 2015-10-13 2017-04-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광고 제공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431A (ja) * 2008-08-28 2010-03-11 Toshiba Corp 表示処理装置および表示処理方法
KR20130103957A (ko) * 2012-03-12 2013-09-25 주식회사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관람객 행동패턴에 의해 발생된 관심도를 이용한 mice 개최 솔루션 시스템
KR20170043209A (ko) * 2015-10-13 2017-04-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광고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707979B1 (ko) * 2016-04-26 2017-02-17 이요훈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764A (ko) * 2020-01-23 2021-08-03 (주)퓨처쉐이퍼스 딥 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3d 디스플레이 광고 영상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5227A (ko) * 2020-03-03 2022-12-14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디지털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고객 대응 장치
CN113242514A (zh) * 2021-03-19 2021-08-10 广州启盟信息科技有限公司 蓝牙定位方法及装置
CN116389569A (zh) * 2023-06-05 2023-07-04 天津鹏萱汇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向物联网设备推送信息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655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2627B (zh) 根据多个位置数据报告分析语义地点和相关数据
KR102091655B1 (ko) 고객행동분석을 위한 NB-IoT 단말기,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US9448085B2 (en) Live branded dynamic mapping
US10445778B2 (en) Short distance user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same
US10448354B2 (en) Utilizing a trusted watcher device to report location status information
CN103795802A (zh) 基于位置的嵌入式wifi网络广告系统和方法
KR20160070817A (ko) 모바일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9275090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706556B1 (ko) 무선랜 핑거프린트에 대한 가맹점 라벨링 방법, 가맹점 라벨링 장치 및 가맹점 라벨링 시스템
KR101108262B1 (ko) 사용자 관심 유씨씨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297430B1 (ko) 단말과 서버,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0049441A (zh) 基于深度集成学习的WiFi室内定位方法
CN109598461B (zh) 配送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58905B1 (ko) 위치 추정 시스템 및 위치 추정 방법
Gilski et al. Survey of radio navigation systems
Marakkalage et al. Identifying indoor points of interest via mobile crowdsensing: An experimental study
Konstantinos et al. Bluetooth beacon based accurate indoor positioning using machine learning
JP2009232203A (ja) 位置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携帯電話端末およびルート情報配信サーバ
KR102109612B1 (ko) 위치 기반의 지리 관계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20160129575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37055A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Gala et al. Contextual flow of information in tourism using BLE proximity detection to enhance the tourism experience
KR101527774B1 (ko) 타게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98809B1 (ko) 사용자의 실제위치를 포함하는 상하관계형 영역에 기반한 사용자 영역 설정방법및 인접사용자 탐색방법
KR100729457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그리고 셀 방송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