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517A -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 Google Patents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517A
KR20190114517A KR1020180037347A KR20180037347A KR20190114517A KR 20190114517 A KR20190114517 A KR 20190114517A KR 1020180037347 A KR1020180037347 A KR 1020180037347A KR 20180037347 A KR20180037347 A KR 20180037347A KR 20190114517 A KR20190114517 A KR 20190114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user
based service
battery consumption
ga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5594B1 (en
Inventor
이효영
Original Assignee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94B1/en
Publication of KR2019011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ocation confirmation method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detecting a user′s gait to confirm a user′s location comprises: a step (a) of activating an acceleration sensor unit mounted in a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n acceleration signal; a step (b) of filtering a generated acceleration signal value through a low-pass filter to detect the user′s gait; a step (c) of cumulatively counting the number of gaits when the gait is detected in the step (b); a step (d) of comparing the cumulatively counted number of gaits with the reference location confirmation number of gaits for confirming current user location; a step (e) of confirming the current user location through wireless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umulatively counted number of gait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location confirmation number of gait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step (d); and a step (f) of informing the user of location-based content when the confirmed current user location approaches a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n a location-based service area. Accordingly, the method passes processes of detecting the real gait of the user, comparing the cumulatively counted number of gaits with the reference location confirmation number of gaits for confirming the location, and receiving wireless information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to confirm the user location, thereby maximally reducing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in a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 정보 수신을 통한 사용자의 위치확인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of a terminal when a user uses a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through wireless information reception using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check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일반적으로 특정 지점(등록 지점)에 근접하였을 때, 그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컨텐츠, 쿠폰, 이벤트 등)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특정 지점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하는 위치확인 과정이 필요하다. In general, in order to use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contents, coupons, events, etc.)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n it is close to a specific point (registration point), a location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that the specific point is close to need.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변 무선 정보를 스캔(수집)하고 위치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단말기(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소모하게 된다. 배터리 소모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거부감이 발생한다. 따라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In order to confirm the location, the neighboring wireless information is scanned (collected) and the location is calculated. In this process, the battery of the terminal (smartphone) is consumed. Because of battery drainage, users are more likely to reject location-based ser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ducing terminal objection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현재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위치확인 주기(위치확인 시간 간격)를 대부분 고정된 시간으로 설정하여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자리에 있을 때에도 필요없이 위치 확인을 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가 발생한다.Currently, the user location checking interval (location time interval) for location-based services is provided by setting a fixed time. As a result, even when the user is in place, the location is checked without the need for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가속도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단말기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움직임이 감지되었을때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To compensate for th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when the acceleration value is above a certain level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is applied.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제자리에 정지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기울이거나 움직여서 동작할 때에도 그 움직임을 판단하므로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위치 확인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unnecessary to check the position even when the user tilts or moves the terminal while the user stops it.

본 출원인은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일정 이상 걸어갔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무선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by detecting the user's step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walked more than a certain amoun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o receive and confirm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inform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4684호(2018.03.0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4684 (published Mar. 8, 201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위치기반서비스의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특정 지점에 근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최대한 감소할 수 있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as much as possible in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close to a specific point in order to obtain various event informat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check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hich can reduce battery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a) 단말기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부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가속도 값을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걸음이 검출되면 걸음수를 누적 카운팅하는 단계; (d) 누적 카운팅 걸음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와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의 비교 결과, 누적 카운팅 걸음수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 이상인 경우 무선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f) 확인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로 판단되면 위치기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etecting a user's position by detecting a user's step, comprising: (a) detecting an accelera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unit mounted in a terminal; (b) filtering the detected acceleration value through a low pass filter to detect a user's step; (c) accumulating the number of steps when the step is detected in step (b); (d) comparing the cumulative counting steps with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s for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e)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d); And (f)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dentified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with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a location-base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is provided.

상기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may be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Nr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Where Nr is the location criterion

R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기준,Rr is based on the distance traveled by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Sr은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기준,Sr is based on the stride length of many users,

E(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평균,E (R) is the average distance traveled by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σ(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표준편차,σ (R)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moving distance of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E(S)는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평균,E (S) is the stride average for many users,

σ(S)는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표준편차,σ (S) is the stride standard deviation of many users,

n, m은 보정 계수.n and m are correction coefficients.

여기서, 상기 n, m은, 위치기반 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 -2 내지 2의 수치 범위 중에서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Here, n and m may be variably selected from a numerical range of -2 to 2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location-based services.

상기 (e)단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확인 완료되면 상기 누적 카운팅 걸음수를 0으로 리셋할 수 있다.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is confirmed in the step (e),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may be reset to zer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어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 신호 생성부; 가속도 신호를 필터링하여 사용자 걸음을 검출하는 걸음 검출부; 사용자 걸음을 누적하여 카운팅하는 걸음 카운팅부; 상기 걸음 카운팅부를 통해 산출된 누적 카운팅 걸음수와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비교하는 비교 연산부; 및 상기 비교 연산부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컨텐츠를 알리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acceleration signal generating unit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an acceleration signal; A step detector detecting a user step by filtering the acceleration signal; A step counting unit that accumulates and counts user steps; A comparison operation unit which compares the accumulated counting step count calculated by the step counting unit with a positioning reference step numbe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location-based content by receiving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질적인 걸음을 검출하고 누적 카운팅된 걸음수를 위치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무선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ctual step of the user is detected and the cumulative counted number of steps compared with the location reference step for positioning And, by receiving the wireless inform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user can reduce the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much as possible.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카운팅 누적 걸음수와 비교하여 위치확인을 함으로써, 특히 이벤트 존(영역) 내에서 사용자 위치확인 횟수를 한층 최소화한 상태로 사용자가 이벤트 존의 이벤트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소모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By positioning based on the number of steps of positioning, the position is checked by comparing with the counting cumulative number of steps. Can be easily checked, furthe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또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설정할 때 적절한 보정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 배터리 소모, 사용자의 위치 검지 확률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n appropriate correction coefficient when setting the location reference step, it is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battery consumption and the user's location detection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가속도계 출력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에서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 이동 경로와 서비스 등록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o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checking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signal obtained by filtering an accelerometer output signal through a low pass filter.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moving path and a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n a location-based service area in a location determining method for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reduced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이하, '위치확인 방법')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기반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등록 지점(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지정한 위치)에 근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대한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배터리 소모 감소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일정 이상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cation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reduces battery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user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may use various contents of a location-based ser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much as possible in determining whether the registration point (location specified by the service provider) is close to obtai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solve the user's rejection for a certain time.

여기서, 위치기반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지도 서비스, 쿠폰 제공 서비스, 각종 컨텐츠 제공 서비스, 증강현실을 적용한 건물, 상점, 제품 구매/확인,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상의 이벤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by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a map service, a coupon providing service, a variety of content providing services, buildings, stores, products applied to augmented realit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urchase / confi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on SNS such as Facebook or Instagram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먼저, 도 1에는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First,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nfirming a location of a user by detecting a user's ste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어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 신호 생성부(100), 가속도 신호를 필터링하여 사용자 걸음을 검출하는 걸음 검출부(200), 사용자 걸음을 누적하여 카운팅하는 걸음 카운팅부(300), 걸음 카운팅부(300)를 통해 산출된 누적 카운팅 걸음수와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비교하는 비교 연산부(400), 비교 연산부(400)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등록 위치에 근접한 경우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컨텐츠를 알리는 컨트롤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의 기능 및 상호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방법 설명을 통해 대신한다.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ion signal generating unit 100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n acceleration signal, the step detection unit 200 for filtering the acceleration signal to detect the user's steps, accumulate the user's steps Step counting unit 300 to count the number of steps, the comparison counting step calculated by the step counting unit 300 and the comparison calculation unit 400 for comparing the location reference step number for the user's location check,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400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user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informs the user of the location-based content when the user is near the registered location. Details of the functions and interactions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replaced by the following method description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은,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가속도신호 생성단계(S100), 사용자 걸음 검출단계(S300), 걸음수 누적 카운팅 단계(S400), 걸음수 비교 단계(S500), 현재 위치 확인 단계(S600), 컨텐츠 알림 단계(S8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tecting a user's step and confirming a user's location, including an acceleration signal generation step S100 and a user step detection step S300. The step counting counting step S400, the step comparing step S500, the current location checking step S600, and the content notification step S800 are included.

먼저, 위치기반 서비스의 시작을 위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부(100)를 활성화시켜, 가속도 센서부(100)가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S100). 즉 S100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메뉴를 터치하여 가속도 센서부(100)를 활성화시키면 가속도 센서부(100)는 3차원 공간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기울임이나 움직임에 따라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First, in order to start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user activates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100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100 generates the acceleration signal (S100). ).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menu of the mobile terminal to activate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100 in step S100,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100 generates an accel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ilt or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in a three-dimensional space.

다음, 걸음 검출부(200)는 S100단계에서 활성화된 가속도 센서부(100)에 의해 측정된 x,y,z 3축 가속도 값을 입력받게 된다(S200).Next, the step detection unit 200 receives the x, y, z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100 activated in step S100 (S200).

이어서, 상기 걸음 검출부(200)는 S200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가속도 신호값을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통해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게 된다(S300). Subsequently, the step detector 200 filters the acceleration signal value received through the step S200 through a low pass filter to detect the user's step (S300).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자리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채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가속도 신호로 인해 사용자의 위치확인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즉,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움직이면서 일정 걸음 이상 걸어간 후에만 위치확인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한층 최소화하여 위치확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the user's location process due to the accel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used while the user is in place.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user's rejection of the location service 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by applying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ing process is performed only after the user walks a predetermined step while actually moving. can do.

이하, 로우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정지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움직이는 상태인지 실제 이동하는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tect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moves or actually moves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current stop state by using the low pass filter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시 단말기의 가속도 출력 신호는 노이즈 성분이 많아서 걸음을 검지하기 어렵게 된다. 로우패스 필터를 이용하면 노이즈 성분이 제거되어 완곡한 곡선 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 신호가 기준점(zero값) 값을 통과하는 순간은 걸음 정지 상태로 판단하고 나머지 구간은 걸음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보통 chip-type의 가속도계는 매우 정밀하여 걸음 이외의 미세한 변화까지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걸음걸이는 보통 초당 2 ~ 3회 정도 이므로 이 데이터들을 수 Hz 정도의 낮은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켜(Low Pass Filter) 걸음 걸이에 관련된 데이터만 추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cceleration output signal of the terminal during walking has a lot of noise components,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a step. When the low pass filter is used, the noise component is removed to obtain a curved curve signal. The moment when the signal passes the reference point (zero value) is determined as the stop state, and the remaining section is determined as the step state. . Usually, chip-type accelerometers are very precise and can detect even minute changes in addition to steps. Therefore, since the user's gait is usually about 2 to 3 times per second, only the data related to the gait can be extracted by passing the data only through a low frequency band of several Hz.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는 sin함수와 유사한 그래프 형태를 갖고 있으며, 방향 성분을 제외한 크기 값(스칼라,

Figure pat00004
) 에 대해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할 경우 하나의 걸음으로 판단하게 된다.The extracted data has a graph form similar to the sin function and has a size value (scalar,
Figure pat00004
) Is determined as one step i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t.

(1) 일정한 구간 내에 하이 피크- 로우 피크 - 하이 피크 형태의 피크 지점들이 존재하고, (2) 1번 항목의 각 피크 간 간격에 지정된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3) 각 피크 값들은 지정된 값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4) 위의 조건들을 만족할 경우, 첫번째 피크 지점에서 걸음걸이가 발생하며, (5) 두번째 하이 피크 값은 다음 걸음걸이의 첫번째 하이 피크도 다시 사용되며, (6) 마지막 걸음의 경우 두번째 하이 피크가 없을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첫번째 하이 피크와 로우 피크 값만을 이용해 걸음을 인지한다.(1) Peak points in the form of high peak-low peak-high peak exist within a certain interval, (2) be within the range specified for the interval between each peak of item 1, and (3) each peak value is within the designated value range. If (4) the above conditions are met, the gait occurs at the first peak point, (5) the second high peak value is used again for the first high peak of the next step, and (6) In this case, there may not be a second high peak, so in this case, only the first high and low peak values are used to recognize the walk.

다음, S300단계를 통해 걸음이 검출되면 걸음 카운팅부(300)는 걸음수를 누적하여 카운팅한다(S400). S400단계에서는 단말기 내의 연산 컨트롤러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이 피크- 로우 피크- 하이 피크 등의 피크 변화 횟수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걸음 상태가 이루어지는 동안 연속적으로 걸음수를 누적하여 카운팅한다.Next, when a step is detected through step S300, the step counting unit 300 accumulates the number of steps (S400). In operation S400, the operation controller in the terminal calculates the number of peak changes such as high peak, low peak, and high peak as described above, and continuously accumulates the number of steps while the user's walking state is performed.

다음, 비교 연산부(400)는 S400단계를 통해 누적된 누적 카운팅 걸음수(N)를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와 비교하여 누적 카운팅 걸음수(N)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00).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는 후술하는 단계에서 GPS 수신 정보, 주변 환경을 이용한 가상비콘(virtual beacon) 정보 등과 같은 무선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때, 최소한의 위치 확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기반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대한 감소할 수 있다.Next,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400 compares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N accumulated through the step S400 with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Nr, and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N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500). The location reference number of steps is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y receiving wireless information such as GPS reception information, virtual beacon information u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tc. It is possible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by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s close.

S500 단계에서, 누적 카운팅 걸음수(N)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S200 단계를 재실시하도록 피드백된다.In step S5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N is less than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Nr, it is fed back to perform step S200 again.

다음, S500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까지 누적된 누적 카운팅 걸음수(N)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컨트롤부(500)는 GPS 수신 정보, 가상비콘 정보 등과 같은 무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S600).Next, when the comparison result of step S500,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N) accumulated to date is determined to be more than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Nr), the control unit 500, such as GPS reception information, virtual beacon information, wireless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S600).

이러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도출되며, 본 출원인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확인 횟수를 최소로 하면서도 사용자가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했는지 여부를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도록 아래의 식을 통해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설정하였다.The location criterion number Nr is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and the applicant can reliably detect whether the user is close to th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user's location check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he following steps are used to set the positioning standard steps.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여기서, Nr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 R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기준, Sr은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기준, E(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평균, σ(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표준편차, E(S)는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평균, σ(S)는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표준편차, n, m은 보정 계수이다.Where Nr is a location reference step, Rr is a distance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Sr is a distance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and E (R) is an average of moving distances of the number of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where σ (R)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moving distance of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E (S) is the stride mean of multiple users, σ (S)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multiple users, and n and m are correction coefficients. .

즉,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이동자들의 이동거리 평균과 직진보행/선회보행 등의 요소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기인하는 표준편차, 다수 이동자들의 보폭 평균과 신체 조건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표준편차를 적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의 진입 포인트로부터 이탈 포인트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최적화하여 선정하였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rd deviation resulting from various factors such as average distance of multiple movers and factors such as straight walking / turning walk with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and standard resulting from difference of average stride length and physical condition of multiple movers. By applying the deviation, the location-based criterion for locating from the entry point to the exit point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was optimized.

본 발명에서, n, m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기준과 보폭 기준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도록 적용되는 보정 계수로서, -2 내지 2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n, m 값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위치기반 서비스 관련 앱 구동프로그램에 저장되며 앱 구동 컨트롤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n, m 값을 조절하여 적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n and m are correction coefficients applied to elastically adjust the moving distance criterion and the stride length criterion of a plurality of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and preferably have a value between -2 and 2. The n, m values are stored in the location-based service-related app driving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pp driving controller can be applied by adjusting the n, m values as appropriate.

여기서, n 값이 증가할수록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가 증가하여 단말기 배터리 소모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어느 진입 포인트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한 후 이탈 포인트를 통해 영역 밖으로 나가는 동안 사용자의 위치확인 과정(S600단계)이 이루어지지 않고 패싱될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위치 검지 확률 하락)In this case, as n increases, the number of location reference steps increases, thereby reducing terminal battery consumption. However, the user's location while the user enters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hrough an entry point and then exits the area through an exit poi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heck process (step S600) is not performed and passed. (Position detection probability decreases)

반대로, m 값이 증가할수록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가 감소하여 단말기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어느 진입 포인트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한 후 이탈 포인트를 통해 영역 밖으로 나가는 동안 사용자의 위치확인 과정(S600단계)이 이루어지지 않고 패싱될 확률이 감소할 수 있다.(위치 검지 확률 증가)Conversely, as the m value increases, the number of location reference steps de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terminal battery consumption.However, the user's location while the user enters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through an entry point and then exits the area through an exit point The probability of passing without a confirmation process (step S600) may be reduced (increased position detection probability).

본 발명에서, 보정 계수 n, m은 위치기반 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 -2 내지 2의 수치 범위 중에서 가변적으로 선택 가능하며,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업체는 제공 서비스의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한 경우 상대적으로 m 값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위치 검지 확률을 증가시키게 되며, 반대로 제공 서비스의 중요도가 낮다고 판단한 경우 상대적으로 n 값을 증가시켜 위치 검지 확률은 일정 부분 하락할지라도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더욱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ion coefficients n and m can be variably selected from a numerical range of -2 to 2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nd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r determines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ovided service is high, Increasing the location detection probability of the user is increased, and convers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ovided service is low, the value of n may be relatively increased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even though the location detection probability decreases to some extent.

이하, n, m값 변동에 따른 위치검지 확률과 배터리 소모 정도 변화에 대한 시험 데이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est data on position detection probability and battery consumption change according to n and m value variations will be described.

아래 표 1은 상기 변동값을 보여주기 위한 기준값을 나타내며 단위는 m(미터)이다. 표 1의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은 n, m이 반영되지 않은 값이다.Table 1 below shows a reference value for showing the variation value and the unit is m (meter). The positioning criterion number Nr of Table 1 is a value in which n and m are not reflected.

서비스 영역의 반경Radius of service area 1010 평균 이동거리 E(R)Average travel distance E (R) 1515 이동거리 표준편차 σ(R)Travel distance standard deviation σ (R) 33 평균 보폭 E(S)Average stride length E (S) 0.570.57 보폭 표준편차 σ(S)Stride standard deviation σ (S) 0.09960.0996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 NrLocation standard step Nr 26.31626.316

아래 표 2는 n, m 값 변동에 따른 위치 검지 확률 시험 데이터값이고, 단위는 %이다.Table 2 below shows position detection probability test data values according to n and m value variations, and the unit is%.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아래 표 3은 n, m 값 변동에 따른 배터리 소모량 변화 시험 데이터이고, 단위는 배터리 100% 충전상태를 기준으로 소모되는 배터리 용량 비율 %이다.Table 3 below shows test data of battery consumption change according to n and m value changes, and the unit is the percentage of battery capacity consumed based on 100% battery charge.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표 2, 표 3의 데이터를 통해 보정계수 n, m을 가변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위치검지확률과 배터리 소모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rom the data in Table 2 and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detection probability and battery consumption change as the correction factors n and m are variably applied.

구체적으로, m값이 2를 초과하거나 n값이 -2 미만인 경우 위치검지확률이 100%를 초과하는 의미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m값이 -2 미만으로 감소하거나 n값이 2를 초과하는 경우 서비스 이벤트의 중요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검지확률이 10% 이하로 너무 낮아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if the value of m exceeds 2 or the value of n is less than -2, a meaningless situation may occur where the probability of position detection exceeds 100%, and the value of m decreases below -2 or the value of n exceeds 2 In this case, even if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event is low,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detection probability may be too low, below 10%.

또한, n값이 -2 미만이거나 m값이 2를 초과하는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배터리 소모량이 2%를 초과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배터리 소모 급감에 따른 이용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n value is less than -2 or the m value is greater than 2, a serious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battery consumption exceeds 2% in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Inconvenience may occur due to a sharp drop in consumption.

서비스 제공자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중요도, 위치검지 확률, 배터리 소모량을 다각적으로 적용하여 제공 서비스의 환경(중요도)에 따라 적절한 n, m값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n, m값이 -2 이상 2 미만인 경우 최적화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provider selects and applies appropriate n and m valu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mportance) of the service by applying importance of location-based services, location detection probability, and battery consumption in various ways, and n and m values are -2. If less than 2, an optimized result can be obtained.

한편, S600단계에서는 누적 카운팅 걸음수(N)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 이상인 경우, 무선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GPS 수신 정보, wifi 정보, wifi 정보와 지자계 센서 정보, 가상비콘(virtual beacon) 정보 등과 같은 무선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600, if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N) is more than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Nr), the operation to che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o receive the wireless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GPS reception information, Wireles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wifi information, wifi information, geomagnetic field sensor information, virtual beacon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received.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측정에 관한 특허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 특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74184호(2016년 11월 2일 등록, 명칭: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tent right for position measurement using a virtual beacon, the patent is register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74184 (November 2, 2016 registered, name: posi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a virtual beacon And the method).

본 발명의 S600단계에서는 무선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공지의 위치 확인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ep S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wireless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a known location confirmation method.

한편, 컨트롤부(5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600단계의 누적 카운팅 걸음수(N)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Nr) 이상으로 판단되어 사용자의 현재위치 확인 작업이 완료되면 현재까지 누적된 누적 카운팅 걸음수를 0(zero)으로 리셋한다(S610). 이후, 걸음수 누적 카운팅을 위해 S400단계를 재실시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N in step S6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Nr, and the current location confirmation operation of the user is completed. The cumulative counting steps accumulated up to 0 are reset to zero (S610). Thereafter, the step S400 is repeated to accumulate the number of steps.

S610단계의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 서비스 등록위치가 하나가 아닌 2개 이상의 복수로 마련된 경우, 누적 카운팅 걸음수를 0으로 리셋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서비스 등록위치에서의 위치 확인을 마친 후 다른 서비스 등록위치로의 이동(접근)에 따른 위치 확인 작업이 추가적으로 이어질 경우 그 위치 확인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step S610, if th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s provided in two or more than one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by resetting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to zero after completing the location check in any on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after registering another service If additional positioning is followed by movement (access) to the position, the reliability of the positioning can be improved.

다음, 컨트롤부(500)는 S600 단계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의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700). S700단계에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기반 컨텐츠 정보를 앱 상 PUSH 알림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800). 여기서 특정 위치에 근접했는지의 여부 판단은 통상의 위치 확인 방법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S700 단계에서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200 단계를 재실시하도록 피드백된다.Next,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dentified in step S600 is close to th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S70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00 that the proximity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method of location-based content information, such as PUSH notification on the app (S800).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proximity to the specific position can be determined using a conventional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00 not close to th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s fed back to perform the step S200.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that follow. Accordingl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가속도 센서부 200: 걸음 검출부
300: 걸음 카운팅부 400: 비교 연산부
500: 컨트롤부
100: acceleration sensor unit 200: step detection unit
300: step counting unit 400: comparison operation unit
500: control unit

Claims (5)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a)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부를 활성화하여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가속도 신호값을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걸음이 검출되면 걸음수를 누적 카운팅하는 단계;
(d) 누적 카운팅 걸음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와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의 비교 결과, 누적 카운팅 걸음수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 이상인 경우 무선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f) 확인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의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기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As a method of detecting a user's step and confirming the user's location,
(a) activating an acceleration sensor unit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n acceleration signal;
(b) detecting a user's step by filtering the generated acceleration signal through a low pass filter;
(c) accumulating the number of steps when the step is detected in step (b);
(d) comparing the cumulative counting steps with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s for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e)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ositioning reference step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d); And
and (f) informing the user of the location-based cont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dentified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close to the service registration location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여기서, Nr은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
R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기준,
Sr은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기준,
E(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평균,
σ(R)은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거리 표준편차,
E(S)는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평균,
σ(S)는 다수 사용자들의 보폭 표준편차,
n, m은 보정 계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reference step number is a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characterized in that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Equation 1]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Where Nr is the location criterion
Rr is based on the distance traveled by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Sr is based on the stride length of many users,
E (R) is the average distance traveled by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σ (R)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moving distance of multiple users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area,
E (S) is the stride average for many users,
σ (S) is the stride standard deviation of many users,
n and m are correction coefficie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 m은,
위치기반 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 -2 내지 2의 수치 범위 중에서 가변적으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N and m are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ariably selectable from the numerical range of -2 to 2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location-based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확인 완료되면 상기 누적 카운팅 걸음수를 0으로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setting the cumulative counting step to zero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is confirmed in the step (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for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위치확인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어 가속도 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 센서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 의해 생성된 가속도 신호를 필터링하여 사용자 걸음을 검출하는 걸음 검출부;
상기 걸음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걸음을 누적하여 카운팅하는 걸음 카운팅부;
상기 걸음 카운팅부를 통해 산출된 누적 카운팅 걸음수와 사용자의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기준 걸음수를 비교하는 비교 연산부; 및
상기 비교 연산부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컨텐츠를 알리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킨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확인 시스템.
A system for identifying a user's location by detecting a user's step by using the positioning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An accelera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n acceleration signal;
A step detector detecting a user step by filtering the accel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A step counting unit accumulating and counting user steps detected by the step detector;
A comparison operation unit which compares the accumulated counting step count calculated by the step counting unit with a positioning reference step numbe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Receiving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check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when the proximity to the location lo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reduced battery consumption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e user location-based content.
KR1020180037347A 2018-03-30 2018-03-30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KR102035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47A KR102035594B1 (en) 2018-03-30 2018-03-30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47A KR102035594B1 (en) 2018-03-30 2018-03-30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17A true KR20190114517A (en) 2019-10-10
KR102035594B1 KR102035594B1 (en) 2019-10-24

Family

ID=6820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347A KR102035594B1 (en) 2018-03-30 2018-03-30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9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34B1 (en) * 2008-04-17 2014-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60047666A (en) * 2014-10-22 2016-05-03 (주)플라잉마운틴 A Business Model Implementation Method Using Walking Exercise Assistant System
JP2017038631A (en) * 2015-08-17 2017-02-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Number-of-steps measurement device, number-of-steps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KR20180024684A (en) 2016-08-31 2018-03-08 (주)로이테크원 An appratus for providing safty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determiing location, a method and recoding medium for operat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34B1 (en) * 2008-04-17 2014-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60047666A (en) * 2014-10-22 2016-05-03 (주)플라잉마운틴 A Business Model Implementation Method Using Walking Exercise Assistant System
JP2017038631A (en) * 2015-08-17 2017-02-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Number-of-steps measurement device, number-of-steps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KR20180024684A (en) 2016-08-31 2018-03-08 (주)로이테크원 An appratus for providing safty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determiing location, a method and recoding medium for operat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594B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7615B1 (en) A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device and an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US9628958B1 (en) User-controlled, smart device-based location and transit data gathering and sharing
US20170243487A1 (en) Predicting that a parking space is about to be vacated
JP6676147B2 (en) A method for accelerometer-assisted navigation
US9959733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falls
US8788193B2 (en) Tracking activity, velocity, and heading using sensors in mobile devices or other systems
JP6674791B2 (en) Congestion degree estimation method, number of persons estimation method, congestion degree estimation program, number of persons estimation program, and number of persons estimation system
US9763219B2 (en) Method of estimating position of user device
US10375517B2 (en) Crowd sourced pathway maps
KR20110066231A (en)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and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method
US10530498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EP1853082A2 (en) System and method to perform network node localization training using a mobile node
GB2520751A (en) Location find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70048920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footpath based on user movement detection
EP3466123B1 (en) Geo-fencing based on multiple signals and configuration
KR102035594B1 (en) Locat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 reduced battery consumption
KR1020060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on azimuth
CN104778852B (en) Message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40033858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estimating location based on change of state of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hereof
JP20112151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on of position
CN114076597A (en) Walking estimation system, walking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805664B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KR2022002809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pressure sensor of a mobile devic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determined context
KR1018445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using indoor positioning
CN110300256A (en) Filming apparatus and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