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47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472A
KR20190113472A KR1020180049250A KR20180049250A KR20190113472A KR 20190113472 A KR20190113472 A KR 20190113472A KR 1020180049250 A KR1020180049250 A KR 1020180049250A KR 20180049250 A KR20180049250 A KR 20180049250A KR 20190113472 A KR20190113472 A KR 2019011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easurement
terminal
mac
stat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768B1 (ko
Inventor
김동건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9777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77302B1/en
Priority to PCT/KR2019/003672 priority patent/WO2019190245A1/en
Priority to CN201980022709.2A priority patent/CN111937428B/zh
Priority to US16/368,336 priority patent/US11039331B2/en
Publication of KR2019011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472A/ko
Priority to US17/340,799 priority patent/US119630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at least one transceiv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at least one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FNGIUR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measurement)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대역(예: mmWave)의 특성으로 인한 경로 손실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빔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 이득을 높이도록 운용되고 있다. 한편,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단말은 주파수 스캐닝(frequency scanning)을 선결적으로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 별 이득 제어가 수행됨에 따라,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주파수 스캐닝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빠르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빠르게 주파수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빠르게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secondary cell)들의 상태의 정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들의 상태 천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들의 상태에 기반하여 주파수 측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at least one transceiv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at least one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at least one transceiv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at least one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수행된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 방법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수행된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빠른 시점에 주파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주파수 집적 기술(carrier aggregation, CA) 또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Scell(secondary cell)들에 대한 상태를 정의하고 상태에 따른 측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측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Secondary Cell) 설정을 위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 설정을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도시한다.
도 1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2 실시 예에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5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6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7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옥텟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 있는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빠르게 기지국에 보고하여 기지국이 빠르게 CA(carrier aggragation) 기술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RRC 유휴 모드는, RRC 유휴 상태(RRC Inactive state)로, RRC 비활성화 모드는 RRC 비활성화 상태(RRC Inactive state)로도 각각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빠르게 CA나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DC) 기술을 설정해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들을 단말에게 설정해주기 위해서는 단말의 주파수 측정 결과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 뿐만 아니라, RRC 유휴 모드(RRC Idle mode)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RRC Inactive mode)에서도 주파수 측정을 미리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빨리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이 주파수 집적 기술(carrier aggregation)을 빠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미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이 RRC 연결 모드에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때 기지국이 RRC 메시지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intra/inter frequency measurement configuration)를 설정해주거나 각 셀의 시스템 정보에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방송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단말은 측정한 주파수 측정 결과들 중에 단말이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판단하고 기지국에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음을 지시하면, 기지국은 상기 주파수 측정 결과가 필요한 경우, 단말에게 요청하여 상기 주파수 측정 결과를 단말이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주파수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CA를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에게 적은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작은 전송 지연으로, 더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단말에게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가 상세히 설명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이 적용되는 시스템(예: EPS(evolved packet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LTE RAT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간략히 'LTE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는 eNB(Evolved Node B) 105, eNB 110, eNB 115, eNB 120과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25 및 S-GW(Serving-Gateway) 13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135는 eNB 105, eNB 110, eNB 115 또는 eNB 120과 S-GW 1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eNB 105, eNB 110, eNB 115, eNB 120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 105, eNB 110, eNB 115, 또는 eNB 120은 UE 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internet protocol))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역할을 eNB 105, eNB 110, eNB 115, eNB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 (megabits per second)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된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AMC) 방식이 적용된다. S-GW 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다. S-GW 130는 MME 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설명되는 프로토콜 구조는 LTE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LTE 시스템에서 UE(예: 도 1의 UE 135)의 무선 프로토콜은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RLC (radio link control) 210,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 PHY(physical) 220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eNB(예: 도 1의 eNB 105)의 무선 프로토콜은 PDCP 240, RLC 235, MAC 230, PHY 225를 포함할 수 있다.
PDCP 205, PDCP 240은 IP 헤더를 압축하거나 복원할 수 있다. PDCP 205, PDCP 240은 IP 헤더를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방식에 기반하여 압축하거나 복원할 수 있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고, PDCP 205 또는 PDCP 240은 하기에 예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packet data unit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acknowledge mode))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service data unit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RLC 210 또는 RLC 235는 PDCP PDU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LC 210 및 RLC 235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고, RLC 210 또는 RLC 235는 하기에 예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unackwowledge ment)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 215 또는 MAC 230은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MAC 215 또는 MAC 230은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할 수 있다. MAC 215 또는 MAC 230은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MAC 215 또는 MAC 230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고, MAC 215 또는 MAC 230은 하기에 예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hybrid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PHY 220 또는 PHY 225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symbol) (예: OFDM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심볼을 무선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PHY 220 또는 PHY 225는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심볼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1의 LTE와는 다른 RAT를 지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NR(new radio) RAT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NR RAT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간략히 'NR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NR RAT은 LTE RAT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고신뢰성 및/또는 저지연 데이터 통신을 달성할 수 있는 RAT을 지칭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NR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는 eNB(Evolved Node B) 105, eNB 110, eNB 115, eNB 120과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25 및 S-GW(Serving-Gateway) 13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135는 eNB 105, eNB 110, eNB 115 또는 eNB 120과 S-GW 1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NR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NR gNB (new radio next generation Node B) 310 (이하 gNB)과 NR CN(new radio core network) 305를 포함할 수 있다. NR gNB는 차세대 기지국, NR 기지국, 또는 gNB로 지칭될 수 있다. NR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하 NR UE 또는 단말) 315는 NR gNB 310 및 NR CN 3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에서 NR gNB 310은 기존 LTE 시스템의 eNB 에 대응된다. NR gNB는 NR UE 3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NR gNB 310은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NR gNB 310은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NR 시스템에서는,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이 지원될 수 있고, OFDM 방식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AMC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NR CN 3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quality of service)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 3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CN 305는 MME 3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 325는 기존 기지국인 eNB 3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는 NR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NR 시스템의 단말의 무선 프로토콜은 NR PDCP 405, NR RLC 410, NR MAC 415, NR PHY 420을 포함할 수 있다. NR 시스템의 NR gNB의 무선 프로토콜은 NR PDCP 445, NR RLC 435, NR MAC 430, NR PHY 425를 포함할 수 있다.
NR PDCP 405 및 NR PDCP 440은 하기에 예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상술된 예들에서 NR PDCP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순서 재정렬 기능은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R RLC 410 및 NR RLC 435는 하기에 예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상술된 예들에서 NR RLC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순차적 전달 기능은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는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즉 일련 번호, SN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세그먼트(segment)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세그먼트들을 수신함으로써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재구성된 RLC PDU를 처리하기 위해 PDCP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NR MAC 계층에서 수행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된 예들에서 NR RLC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비순차적 전달 기능은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 또는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 415 또는 NR MAC 4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NR MAC 415 또는 NR MAC 430은 하기에 예시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420 또는 NR PHY 425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함으로써, 심볼(예: OFDM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된 심볼을 무선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NR PHY 420 또는 NR PHY 425는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심볼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의 동작이 서술된다. 기지국은 기지국(base station)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G 노드비(next generation nodeB,g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해, 단말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단말에게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로서 기지국을 예로 서술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무선 신호의 전송은, 기지국이 TRP와 연결되어, TRP가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terminal) 외 'UE', 'NR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LTE 시스템 혹은 NR 시스템(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RRC 유휴 모드(RRC idle mode)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RRC Inactive mode)에서 캠프-온(camp-on)을 수행할 셀 혹은 서빙 셀을 찾기 위해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절차를 수행하면서 주파수 측정(frequency measurement)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은 별도로 여러 개의 주파수를 측정하거나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을 설정하고 RRC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로 천이한 후에 네트워크가 설정해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frequency measurement configuration)에 기반하여 주파수를 측정하고,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어떤 주파수들(예를 들면 주파수 리스트) 혹은 어떤 주파수 밴드들을 측정할 것인지, 각 주파수 별 우선순위를 설정해주어 어떤 순서로 측정을 할 것인지, 주파수를 측정할 때 주파수의 세기를 어떤 필터링 방법으로 측정할 것인지(예: L1 필터링, L2 필터링, L3 필터링 방법, 혹은 어떤 계수를 이용하여, 어떤 계산 방법으로 측정할 것인지 등), 주파수를 측정할 때 어떤 이벤트 혹은 조건에 따라서 측정을 시작할 것인지, 현재 서빙 셀(혹은 현재 캠프 온 하고 있는 주파수)와 비교했을 때 어떤 기준으로 측정을 할 것인지, 어떤 이벤트 혹은 조건에 따라서 측정한 주파수 결과를 보고할 것인지, 현재 서빙 셀(혹은 현재 캠프 온 하고 있는 주파수)와 비교했을 때 어떤 기준 혹은 조건을 만족해야 주파수를 보고할 것인지, 어떤 주기마다 주파수 측정 결과를 보고할 것인지 등을 설정해줄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설정에 따라 해당 주파수들을 측정하고, 해당 이벤트 혹은 조건에 따라 주파수 측정 결과들을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파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 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주파수 측정 설정을 시그널링(예: RRC 메시지 혹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을 통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측정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단말이 빠르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하여, 기지국이 CA 혹은 DC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주파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말에게 빠르게 CA 또는 DC을 설정하고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전에 주파수 측정을 시작하고, 측정된 결과를 RRC 연결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혹은 진입한 후에 빠르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된다. 상기 제안된 기술들은 매크로 셀(macro cell) 안에 스몰 셀(small cell)들이 배치되어(deployed) 있는 환경에서, 네트워크가 단말을 빠르게 CA 또는 DC를 설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NR 시스템에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의 단말이 일찍 주파수 측정(early measurement)을 수행하고 빠르게 주파수 측정 결과를 보고(fast measurement report)하는 동작들이 서술된다. 단말은 도 1의 단말 135 또는 도 3의 단말 315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측정해야 하는 채널 정보, 측정 주기, 측정 결과의 보고에 대한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이 주파수 측정 시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RRC 메시지는 단말을 RRC 연결 모드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RRC 메시지는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생성할 때,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유휴 모드에서 셀 재선택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의 전송은, 후술되는 도 7내지 도 8 및 이와 관련된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503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RRC 연결 모드뿐만 아니라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조기에 주파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주파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파수 측정은 랜덤 액세스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파수 측정은 RRC 연결을 재구성하기 전 수행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의 주파수 측정은 RRC 연결 모드에서의 주파수 측정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의 측정 대상인 신호, 해당 신호의 채널 품질 파라미터(예: RSSI)가 RRC 연결 모드에서의 측정 대상인 신호, 해당 신호의 채널 품질 파라미터(예: RSRP)와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주파수 측정이 개시되는 시점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501 단계의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은 501 단계의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지정된 구간 이후 주파수 측정을 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주파수 측정이 종료되는 시점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되면 주파수 측정이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측정 구간이 도래하면 주파수 측정이 종료될 수도 있다. 주파수 측정의 시기와 종기와 관련된 실시 예들은, 후술되는 도 7내지 도 8 및 이와 관련된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505 단계에서, 단말은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503 단계의 주파수 측정에 대한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의 측정 결과의 보고에 대한 시그널링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측정 결과의 존재를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단말에게 측정 결과를 요청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측정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요청에 대응하여,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기지국의 요청이 없더라도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주기적으로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측정 결과 전부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 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Scell(Secondary Cell)들 중에서 일정 조건이 충족된 Scell들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의 예는, 후술되는 도 7내지 도 8 및 이와 관련된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측정 결과를 보고하거나, RRC 연결을 위한 RRC 메시지들, RRC 재구성 메시지들을 통해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 결과의 전송 방식의 예는, 후술되는 도 7내지 도 8 및 이와 관련된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단말에 특정 통신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설정, 예를 들어 CA를 위한 설정 혹은 DC를 위한 설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단말과 CA 또는 DC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CA 또는 DC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CA를 위해 Scell을 설정(configure)하거나 추가(add)하는 설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보고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Scell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은 DC를 위해 SCG(secondary cell group)의 설정을 위한 설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 또는 RRC 유휴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이 완료한 경우,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505 단계와 같이,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때,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일정 조건 충족 시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기지국은 도 1의 eNB 110, 도 3의 gNB 310, 또는 eNB 315를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6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 시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통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하거나, 시스템 정보의 방송을 통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하거나, 아니면 기존에 사용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인 단말에게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를 위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기 전에,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에게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다시 연결을 수립하기 전 단말에게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601 단계의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다양한 시그널링 방식에 따라,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전송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지정된 이벤트 혹은 측정시마다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측정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지정된 조건 충족시(혹은 특정 이벤트 발생시) 측정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은 기지국에게 유효한 측정 결과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유효한 측정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측정 결과는 Scell들에 대한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Scell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Scell들에 대한 측정 결과는, Scell들 각각의 상태(예: 활성화(activated), 비활성화(deactivated), 휴면화(dormant))에 기반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6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CA 또는 DC를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파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CA 또는 DC 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603 단계에서 보고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CA 또는 DC가 적용될 수 있는 SCell 혹은 PScell(primary Scell) 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CA 또는 DC의 적용이 가능한 경우, CA 또는 DC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는 항상 CA 또는 DC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CA 또는 DC의 수행 여부를 판단 후, CA 또는 DC를 수행하지 않는 것도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써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결과 보고를,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수행한다. 단말은 도 1의 단말 135 또는 도 3의 단말 315를 예시한다. 기지국은 도 1의 eNB 110, 도 3의 gNB 310, 또는 eNB 315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또는 기지국이 수행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은 RRC 연결 모드인 상태이다(705).
71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을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혹은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으면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lease 혹은 RRC Connection Suspend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내어 단말을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RRC 연결 모드인 단말을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킬 때, RRC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에게 모드 전환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에 관한 우선 순위, 타이머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가 셀에서 시스템 정보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방송하는 것보다 단말에게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RRC 메시지로 설정해주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네트워크는 RRC 연결 모드인 단말의 능력(예: UE capability)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다 더 적합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설정해줄 수 있다.
RRC 메시지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측정할 대상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관한 정보 혹은 셀 별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 집적 기술(CA)은, 하나의 기지국에 속한 복수 개의 셀 혹은 주파수에 대해서 지원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기지국에 속한 셀 혹은 주파수들에 대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주파수 대역 정보 혹은 주파수 식별자(셀 식별자) 혹은 측정해야 하는 측정값(RSRP, RSRQ, RS-SINR) 혹은 측정 대상 식별자(measurement object) 혹은 측정 식별자(measurement ID) 혹은 보고 설정 식별자(report configur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영역의 정보(예를 들면 TA(tracking area) 혹은 셀들의 리스트 혹은 RNA(RAN(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혹은 영역 정보가 없을 때 사용되는 디폴트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혹은 기지국 식별자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영역 또는 주파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물리적인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혹은 기지국 식별자를 지시하여 단말이 주파수 측정 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서로 다른 셀 혹은 기지국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기 설정된 물리적인 셀 식별자 혹은 기지국 식별자에 해당하는 주파수 혹은 셀에 대해서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지 아니면 수행하지 않을 지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주파수 설정 정보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지 아니면 시스템 정보로 수신되는 주파수 설정 정보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 시,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들 중 어떤 파라미터를 어떻게 측정할 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품질은 BRSRP(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RS-SINR(reference signal signal to Interference &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EVM(error vector magnitude), BER(bit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예 외에도,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들 혹은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metric)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에서 채널 품질이 높음은, 신호 크기 관련의 채널 품질 값이 크거나 또는 오류율 관련 채널 품질 값이 작은 경우를 의미한다. 채널 품질이 높을수록, 원활한 무선 통신 환경이 보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RC 메시지는 RSRP 혹은 RSRQ 혹은 RS-SINR 중에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측정을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할 때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Carrier)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단말의 배터리를 절감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시간을 설정해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 값을 설정해주고, 타이머가 구동될 때에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타이머가 만료하면 주파수 측정을 중지하여 단말의 배터리를 절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RRC 메시지는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할 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제1 시간, 제2의 시간, 횟수, 임계값, 또는 주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파라미터들을 설정함으로써, RRC 메시지는 하기와 같은 주파수 측정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의 값들에 기반하여,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보고를 수행할 때 얼마나 오래 전에 혹은 최근에 측정했는 지를 지시하기 위한 시간 정보(time stamp)를 보고할 수도 있다.
A.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이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상기 임계치와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B.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이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상기 임계치와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C.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시간 내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상기 임계치와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D.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 (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제2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E.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혹은 RSRQ 혹은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을 주어진 횟수만큼 측정한 경우(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RRC 메시지에 포함된 주파수 측정에 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되는 720 단계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방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정보는 상술된 주파수 측정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는 측정할 대상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관한 정보 혹은 셀 별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는 주파수 측정 시 어떠한 채널 품질을 이용할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에 새로운 지시자가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새로운 지시자에 따라,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혹은 수행하지 않도록 할 것인지 혹은 시스템 정보에 따라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를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를 지시할 때, 재접속(resume)시 사용될 보안 키(예: NCC(next hop changing counter)를 미리 할당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추후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측정한 주파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안 키로 암호화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보안 키를 미리 할당함으로써 단말의 재접속시 보안성이 강화되고 보안 설정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보안 키를 이용하여 메시지 3(RRC 메시지,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할 때, 단말은 RRC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암호화하여 수신된 메시지 4(RRC 메시지,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sume)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여러 개의 Scell (secondary cell)들에 대한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예: 1회에 수행),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 또는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거나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와 각 Scell을 위한 설정 파리미터가 설정되는 경우, 각 Scell을 위한 설정이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보다 우선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가 정의되고 각 Scell 식별자와의 맵핑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그룹 식별자와 모든 Scell 식별자들 각각이 맵핑되고, 하나의 그룹 식별자가 모든 Scell들의 공통 설정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그룹 식별자들이 정의되고 각 그룹 식별자에 맵핑되는 Scell 식별자들이 정의됨으로써, 그룹 단위로 셀들의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Scell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Scell에서 사용하게 될 부분 대역폭을 지시하는 부분 대역폭 식별자(bandwidth part ID)와의 맵핑 정보 혹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정보 혹은 각 Scell에 해당하는 부분 대역폭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을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킬 때 상기 RRC 메시지에서 지시자가 정의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Scell들에 대한 설정 정보 혹은 Scell 상태(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유지할지 아니면 폐기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이동성이 크지 않을 경우, 단말은 상기 설정 정보를 바로 재사용할 수 있다.
715 단계에서, 단말은 RRC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한다.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은 이동을 하면서 셀 재선택 (cell re-sel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단말은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재선택에 기반하여 적합한 셀(suitable cell)을 찾는다. 단말은 캠프-온 할 셀이 검색되면, 상기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읽어 들인다.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셀에 캠프-온하고, 해당 셀의 시스템 정보(예: LTE시스템에서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5, NR 시스템에서는 SIB 1, SIB 2, SIB 3, SIB 4, 또는 SIB 5)로부터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에 관한 우선 순위, 타이머 정보 등을 읽어 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710 단계에서 서술된 RRC 메시지에서 포함되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는 720 단계의 시스템 정보로서 방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710 단계의 RRC 메시지와 720 단계의 시스템 정보 간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RRC 메시지에서 설정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RRC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에 우선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은 다음의 조건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건들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1.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타이머 값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2.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유효한 셀의 리스트 혹은 영역을 단말이 벗어나지 않은 경우,
3. RRC 연결 모드에서 서비스 받던 셀을 단말이 벗어나지 않은 경우
하지만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에서 설정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를 우선하여 주파수 측정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건은 다음의 조건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1.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타이머 값이 만료된 경우,
2.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유효한 셀의 리스트 혹은 영역을 단말이 벗어난 경우,
3. RRC 연결 모드에서 서비스 받던 셀을 단말이 벗어난 경우
시스템 정보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될 주파수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은 이동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재선택에 따라 새로운 셀에 접속하게 되면 새로운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셀의 시스템 정보에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가 포함되어 방송된다면, 단말은 상기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새로운 셀의 시스템 정보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배터리 절감을 위해서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지역 갱신 절차를 통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재선택을 수행하면서 이동한다. 이동하는 단말이 RRC 유휴 모드인 경우, TAU(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혹은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RNAU(RAN Notification Area Update)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RRC 메시지를 통해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를 새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TAU 혹은 RNAU 갱신 절차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단말에게 상기 주파수 측정 정보를 설정해주면 단말 별로 더 적합한 주파수 측정 정보의 설정이 가능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도 감소한다.
725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의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정보 혹은 시스템 정보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정보에 따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예를 들면 측정을 지시 받은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을 측정하는 동작 또는 신호의 채널 품질이 일정 범위를 만족(예; 임계값의 초과)하는 시간 등을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측정은 '빠른 주파수 측정'으로 지칭될 수 있다.
730 단계에서,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RAP))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735 단계예서,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다양한 시점들에서, 주파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후술되는 시점들 중 하나에서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는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혹은 미리 약속된) n 개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time slot) 혹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후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720 단계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는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720)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서 지시한(혹은 미리 약속된) n 개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 혹은 TTI)이후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주파수 측정이 계속 수행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액세스 응답(RAR)을 수신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수신하고 RRC 메시지(메시지 3,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ques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수신하고 RRC 메시지(메시지 3,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ques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하고 메시지 4(RRC 메시지,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Setup 혹은 RRC Connection Resume)를 수신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보고하면,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는 때,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이 RRC 메시지(예를 들면 메시지2(즉, 랜덤 액세스 응답) 혹은 메시지4 (즉, 경쟁 해소 메시지), 혹은 기지국의 주파수 측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혹은 단말이 기지국에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는 것을 보고하면 상기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RRC 연결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과 다를 수 있다. 즉, RRC 연결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에서, 단말은 현재 서빙 셀의 품질 혹은 세기가 일정 기준(예를 들면 RSRP 혹은 RSRQ 혹은 서빙 셀의 수신 레벨(예: Srxlev) 혹은 셀 선택 품질 값(예: Squal))보다 떨어지게 되면 다른 주파수의 측정을 개시한다. 즉, RRC 연결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의 목적은 현재 서빙 셀의 신호가 좋지 않으면 더 좋은 셀로 이동하여 더 좋은 서비스를 받기 위함이다. 하지만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의 목적은 현재 서빙 셀의 채널 품질과 상관없이 다른 셀을 측정하고 보고하여 캐리어 집적 기술의 설정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RRC 연결 모드의 단말은 서빙 셀의 시간 참조값 기준으로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주파수 측정이 가능한 반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은 서빙 셀이 없기 때문에 CRS(channel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를 측정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모드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 간 주파수 측정 대상인 기준 신호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서빙 셀의 주파수에서의 측정 결과가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되는 SnonIntraSearchP와 SnonIntraSearchQ보다 높더라도(예: Srxlev > SnonIntraSearchP 또는 Squal > SnonIntraSearchQ) 단말은 서빙 셀이 아닌 영역의 주파수(이하, 비-서빙 주파수(non-serving frequency)에 대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후에 현재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기지국과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730 단계 및 735 단계와 같이,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과 역방향 전송 동기를 수립할 수 있다.
740 단계에서, 단말은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단말의 식별자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74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RRC 연결 구성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은 SRB (signaling radio bearer)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메시지인 RRC 메시지 송수신에 사용된다. 750 단계에서,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는 단말이 소정의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 설정을 MME에게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예: SERVICE REQUEST)가 포함된다. 기지국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MME로 전송할 수 있다. MME는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면, MME는 기지국에게 설정 요청 메시지(예: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를 전송한다. 상기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DRB (data radio bearer) 설정 시 적용할 QoS (quality of service) 정보, 그리고 DRB에 적용할 보안 관련 정보 (예를 들어 security key, security algorithm)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75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보안을 설정하기 위해서 보안 설정 메시지(예: SecurityModeCommand)를 전송하고, 76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보완 설정을 알리는 보안 설정 완료 메시지(예: SecurityModeComplete)를 전송함으로써, 보안 설정 절차는 완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즉,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은 Scell 에 대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할 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메시지 3(예: RRC 메시지, RRC Connection Reques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메시지 5 (예: RRC 메시지,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를 통해,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RRC 메시지에 새로운 지시자 혹은 IE(information element)가 정의됨에 따라, 상기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MAC 계층에서 사용하는 로지컬 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fier, LCID)를 할당함으로써, MAC 제어 정보(MAC Control Element)가 상기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측정한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 보고는 다양한 방법으로 요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메시지 2(RAR) 혹은 메시지4에서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안 설정이 완료된 후에 기지국은 별도의 측정 보고 요청을 위한 RRC 메시지(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RC 메시지 혹은 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 command)로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요청을 위한 새로운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새로운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정의된다. 기지국은 상기 MAC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 보고의 요청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측정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와 설정된 보안 설정 정보로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결과의 보고가 암호화되지 않는다면 주파수 측정 정보가 해킹당하거나 누설될 수 있고, 상기 주파수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단말의 위치를 추적당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하여 주파수 측정 보고를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단말은 RRC 메시지(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RC 메시지 혹은 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를 통해 상기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정 보고를 위한 새로운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새로운 로지컬 채널 식별자가 정의되어, 단말은 MAC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 주파수 측정 결과의 요청 및 보고를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메시지 1의 프리앰블들이 그룹핑될 수 있다. 그룹핑된 프리앰블들 중 특정 프리앰블들이 측정 보고 결과가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그룹에 대응하는 프리앰블(들)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AR(메시지 2)을 수신함으로써, 측정 결과의 요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RAR에 의해 측정 결과의 보고가 요청되면(예: 지시자의 존재), 단말은 메시지 3을 통해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Scell을 설정하는 RRC 설정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가 있다면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가 있다면 기지국이 요청하지 않더라도 주파수 측정 결과의 보고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RRC 메시지(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RC 메시지 혹은 메시지 3 혹은 메시지 5 혹은 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를 통해,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측정 보고를 위한 새로운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새로운 로지컬 채널 식별자가 정의됨에 따라, MAC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전체 주파수 측정 결과 중 필요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은 CA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캐리어들(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Scell에 대해서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CA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Scell 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Scell이다.
단말은 측정에 기반하여,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주기가 주어진 경우, 단말은 해당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조건은 하기와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이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가 주어진 시간만큼 유지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상기 임계치와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2.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3.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시간내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4.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제2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5.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을 주어진 횟수만큼 측정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6.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 주파수가 단말이 접속한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한 셀 혹은 주파수인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주파수 집적 기술(CA)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서비스하는 복수 개의 셀들에 대해서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에서 서비스하는 셀의 신호가 아무리 좋아도 주파수 집적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이 측정한 주파수 측정 결과는 단말이 접속한 셀 혹은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에 대한 측정 결과여야만 주파수 집적 기술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된 셀 리스트에 속한 주파수 혹은 셀(white cell list)인 경우, 해당 주파수 또는 셀은 조건이 충족된다.
기지국은 현재 연결이 설정된 단말에 대한 단말 능력을 모른다면 혹은 단말 능력을 확인할 것이 요구되면 단말의 능력을 물어보는 메시지(예: UE capability enquiry)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자신의 능력을 보고하는 메시지(예: UE capability)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통해,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여부 혹은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들 혹은 주파수 영역 혹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측정 개수 등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770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755 단계 및 760 단계에 따라 보안 설정이 완료되면,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데이터가 처리될 DRB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DRB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765 단계와 같이,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송신하기 전 기지국은 측정 보고 요청(measurement report command)를 송신하고, 단말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할 수 있다.
77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770 단계에서 수신된 DRB의 설정 정보를 적용해서 DRB를 설정하고 기지국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770 단계의 RRC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통해 여러 개의 Scell 들에 대한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예: 1회에 수행)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 또는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거나,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와 각 Scell을 위한 설정 파리미터가 설정되는 경우, 각 Scell을 위한 설정이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보다 우선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가 정의되고 각 Scell 식별자와의 맵핑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그룹 식별자와 모든 Scell 식별자들 각각이 맵핑되고, 하나의 그룹 식별자가 모든 Scell들의 공통 설정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그룹 식별자들이 정의되고 각 그룹 식별자들에 맵핑되는 Scell 식별자들이 정의됨으로써, 그룹 단위로 셀들의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Scell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Scell에서 사용하게 될 부분 대역폭을 지시하는 부분 대역폭 식별자(Bandwidth part ID)와의 맵핑 정보 혹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정보 혹은 각 Scell에 해당하는 부분대역폭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780 단계와 같이, RRC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송신한 후, 기지국은 측정 보고 요청(measurement report command)를 송신하고, 단말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에서 Scell들을 설정할 때, Scell의 초기 상태는 활성화 상태(Activated state) 혹은 휴면 상태(Dormant state) 혹은 비활성화 상태(Deactivated state)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Scell들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보낼 때,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Scell들을 설정하게 되면 단말이 상기 Scell들에 대해서는 바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빠르게 주파수 집적 기술(CA)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Scell의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는 RRC 연결 모드인 단말에게 MAC 제어 정보로 상태 천이가 지시될 수 있다. RRC 연결 모드인 단말은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일 경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측정 보고는 RRC 메시지 혹은 MAC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보고될 수 있다. 단말이 RRC 메시지로 각 Scell 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언제부터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할지, 언제부터 주파수(채널 혹은 셀)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시작할지를 지시하는 정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시된 정수값 만큼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 혹은 TTI) 이후에 단말은 PDCCH 모니터링 또는 측정 결과의 보고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말과 DRB 설정을 완료한 기지국은 MME에게 INITIAL CONTEXT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S-GW와 S1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서 S1 BEARER SETUP 메시지와 S1 BEARER SETUP RESPONSE 메시지를 교환한다. S1 베어러는 S-GW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용 연결이며 DRB와 1대 1로 대응된다. 상기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과 S-GW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단말에게 설정을 새로 해주거나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셀(cell)과 캐리어(carrier)는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Scell은 Secondary cell을 의미한다. CA가 사용될 때 기지국-단말 간 제어 시그널링을 주고 받는 Pcell(primary Cell) 외에 추가적인 캐리어 혹은 셀들을 통하여 데이터가 더 많이 송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추가적인 캐리어 혹은 셀들을 Scell이라고 칭하여 부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서빙셀(Serving Cell)은 S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본 개시에서 제안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의 절차, 주파수 설정 정보 등은 RRC 연결 모드에서 단말에서도 확장하여 적용되고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본 개시에서 제안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의 절차, 주파수 설정 정보는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할 때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 절차와는 독립적으로 적용되고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단말의 능력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의 최대 개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의 능력을고려하여 상기 제안한 주파수 측정 방법의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주파수 측정 및 측정 보고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수행한다. 단말은 도 1의 단말 135 또는 도 3의 단말 315를 예시한다. 기지국은 도 1의 eNB 110, 도 3의 gNB 310, 또는 eNB 315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또는 기지국이 수행하는 제2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고하면, 단말은 RRC 연결 모드인 상태이다(805)
810 단계에서,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을 RRC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혹은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으면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lease 혹은 RRC Connection Suspend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내어 단말을 RRC 비활성화 모드(815)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을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킬 때 RRC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에게 모드 전환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에 관한 우선 순위, 타이머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가 셀에서 시스템 정보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방송하는 것보다 단말에게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RRC 메시지로 설정해주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네트워크는 RRC 연결 모드인 단말의 능력(예: UE capability)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다 더 적합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설정해줄 수 있다.
RRC 메시지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측정할 대상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관한 정보 혹은 셀 별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 집적 기술(CA)은, 하나의 기지국에 속한 복수 개의 셀 혹은 주파수에 대해서만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기지국에 속한 셀 혹은 주파수들에 대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주파수 대역 정보 혹은 주파수 식별자(셀 식별자) 혹은 측정해야 하는 측정값(RSRP, RSRQ, RS-SINR) 혹은 측정 대상 식별자(measurement object) 혹은 측정 식별자(measurement ID) 혹은 보고 설정 식별자(report configur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영역의 정보(예를 들면 TA 혹은 셀들의 리스트 혹은 RNA 혹은 영역 정보가 없을 때 사용되는 디폴트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혹은 기지국 식별자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영역 또는 주파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물리적인 셀 식별자 혹은 기지국 식별자를 지시하여 단말이 주파수 측정 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서로 다른 셀 혹은 기지국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기 설정된 물리적인 셀 식별자 혹은 기지국 식별자에 해당하는 주파수 혹은 셀에 대해서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지 아니면 수행하지 않을 지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주파수 설정 정보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지 아니면 시스템 정보로 수신되는 주파수 설정 정보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할 때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로서 어떤 파라미터를 어떻게 측정할 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RC 메시지는 RSRP 혹은 RSRQ 혹은 RS-SINR 중에 하나 혹은 복수 개를 측정하라는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할 때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Carrier)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단말의 배터리를 절감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시간을 설정해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 값을 설정해주고, 타이머가 구동될 때에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타이머가 만료하면 주파수 측정을 중지하여 단말의 배터리를 절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RRC 메시지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할 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메시지는, 제1 시간, 제2 시간, 횟수, 임계값 혹은 주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을 설정함으로써, RRC 메시지는 하기와 같은 주파수 측정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 값들에 기반하여,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보고를 수행할 때 얼마나 오래 전에 혹은 최근에 측정했는 지를 지시하기 위한 시간 정보(time stamp)를 보고할 수도 있다.
A.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이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상기 임계치와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B.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이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상기 임계치와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단말은 해당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C.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시간내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상기 임계치와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단말은 해당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D.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 (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제2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E.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 (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을 주어진 횟수만큼 측정한 경우(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주기가 주어진 경우, 해당 주기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에 새로운 지시자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지시자에 따라, 기지국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혹은 수행하지 않도록 할 것인지 혹은 시스템 정보에 따라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를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을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를 지시할 때, 재접속(Resume)시 사용할 보안 키(예: NCC)를 미리 할당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추후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측정한 주파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보안 키로 암호화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보안 키를 미리 할당함으로써 단말의 재접속시 보안성이 강화되고 보안 설정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보안 키를 이용하여 메시지 3(RRC 메시지,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할 때 단말은 RRC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암호화하여 수신된 메시지 4(RRC 메시지,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sume)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여러 개의 Scell 들에 대한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예: 1회에 수행)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 또는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거나,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와 각 Scell을 위한 설정 파리미터가 설정되는 경우, 각 Scell을 위한 설정이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보다 우선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가 정의되고 각 Scell 식별자와의 맵핑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그룹 식별자와 모든 Scell 식별자들 각각이 맵핑되고 하나의 그룹 식별자가 모든 Scell들의 공통 설정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그룹 식별자들이 정의되고 각 그룹 식별자에 맵핑되는 Scell 식별자들이 정의됨으로써, 그룹 단위로 셀들의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Scell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Scell에서 사용하게 될 부분 대역폭을 지시하는 부분 대역폭 식별자(Bandwidth part ID)와의 맵핑정보 혹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정보 혹은 각 Scell에 해당하는 부분대역폭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을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킬 때 상기 RRC 메시지에서 지시자가 정의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Scell들에 대한 설정 정보 혹은 Scell 상태(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유지할지 아니면 폐기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이동성이 크지 않을 경우, 단말은 상기 설정 정보를 바로 재사용할 수 있다.
815 단계에서, 단말은 RRC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서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한다.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은 이동을 하면서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820 단계에서, 단말은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말은 셀 재선택에 기반하여, 적합한 셀을 찾는다. 단말은 캠프-온 할 셀이 검색되면 상기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읽어 들인다.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셀에 캠프-온하고, 해당 셀의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LTE시스템에서는 SIB 5, NR 시스템에서는 SIB 1 혹은 SIB 2, 혹은 SIB 3 혹은 SIB 4 혹은 SIB 5)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에 관한 우선 순위, 타이머 정보 등을 읽어 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810 단계에서 서술된 RRC 메시지에서 포함되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는 820 단계의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810 단계의 RRC 메시지와 820 단계의 시스템 정보간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RRC 메시지에서 설정된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는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RRC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820)에 우선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은 다음의 조건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건 들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1.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타이머 값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2.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유효한 셀의 리스트 혹은 영역을 단말이 벗어나지 않은 경우,
3. RRC 연결 모드에서 서비스 받던 셀을 단말이 벗어나지 않은 경우
하지만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에서 설정된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를 우선하여 주파수 측정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건은 다음의 조건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1.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타이머 값이 만료된 경우,
2. RRC 메시지로 설정해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유효한 셀의 리스트 혹은 영역을 단말이 벗어난 경우,
3. RRC 연결 모드에서 서비스 받던 셀을 단말이 벗어난 경우
시스템 정보로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될 주파수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은 이동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재선택에 따라 새로운 셀에 접속하게 되면 새로운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셀의 시스템 정보에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가 포함되어 방송된다면,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새로운 셀의 시스템 정보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배터리 절감을 위해서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지역 갱신 절차를 통해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재선택을 수행하면서 이동한다. 이동하는 단말이 RRC 유휴 모드인 경우, TAU(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RNAU(RAN Notification Area Update)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RRC 메시지를 통해서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할 주파수 측정 정보를 새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TAU 혹은 RNAU 갱신 절차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단말에게 상기 주파수 측정 정보를 설정해주면 단말 별로 더 적합한 주파수 측정 정보의 설정이 가능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도 감소한다.
825 단계에서,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의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정보 혹은 시스템 정보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정보에 따라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예를 들면 측정을 지시 받은 주파수에 대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을 측정하는 동작 또는 신호의 채널 품질이 일정 범위를 만족(예: 일정 임계값의 초과)하는 시간 등을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830 단계에서,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835 단계예서,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다양한 시점들에서 주파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후술되는 시점들 중 하나에서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810)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는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810)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서 지시한(혹은 미리 약속된) n 개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 혹은 TTI)이후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820)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는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서 지시한(혹은 미리 약속된) n 개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 혹은 TTI)이후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수신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수신하고 RRC 메시지(메시지 3,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ques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해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수신하고 RRC 메시지(메시지 3,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ques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하고 메시지 4(RRC 메시지,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Setup 혹은 RRC Connection Resume)를 수신한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이 필요 없을 때에도 계속하여 주파수를 측정하면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보고하면,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는 때,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이 RRC 메시지(예를 들면 메시지2 (즉, 랜덤 액세스 응답) 혹은 메시지4 (즉, 경쟁 해소 메시지), 혹은 기지국의 주파수 측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혹은 단말이 기지국에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는 것을 보고하면 상기 주파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RRC 연결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과 다를 수 있다. 즉, RRC 연결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에서, 단말은 현재 서빙 셀의 품질 혹은 세기가 일정 기준(예를 들면 RSRP 혹은 RSRQ 혹은 서빙 셀의 수신 레벨(예: Srxlev) 혹은 서빙 셀의 선택 품질 값(예: Squal))보다 떨어지게 되면 다른 주파수의 측정을 개시한다. 즉, RRC 연결 모드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측정의 목적은 현재 서빙 셀의 신호가 좋지 않으면 더 좋은 셀로 이동하여 더 좋은 서비스를 받기 위함이다. 하지만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의 목적은 현재 서빙 셀의 세기와 상관없이 다른 셀을 측정하고 보고하여 캐리어 집적 기술의 설정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RRC 연결 모드의 단말은 서빙 셀의 시간 참조값 기준으로 CSI-RS 기반으로 주파수 측정이 가능하지만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은 서빙 셀이 없기 때문에 CSI CRS(Channel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채널 품질(예: RSRP, RSRQ, RS-SINR)을 측정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모드와 RRC 비활성화 모드 간 주파수 측정의 대상인 기준 신호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서빙 셀의 주파수에서의 측정 결과가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되는 SnonIntraSearchP와 SnonIntraSearchQ보다 높더라도(예: Srxlev > SnonIntraSearchP 또는 Squal > SnonIntraSearchQ) 단말은 서빙 셀이 아닌 영역의 주파수, 즉 비-서빙 주파수 에 대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후에 현재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기지국과 RRC connection Resume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830 단계 및 835 단계와 같이,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과 역방향 전송 동기를 수립할 수 있다.
840 단계에서, 단말은 RRCConnectionResume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단말의 식별자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84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RRC 연결 구성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SRB로도 지칭되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메시지인 RRC 메시지 송수신에 사용된다. 850 단계에서,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RRCConnetionResume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즉,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은 Scell에 대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면,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할 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메시지 3(예: RRC 메시지, RRC Connection Reques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메시지 5 (예를 들면 RRC 메시지,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혹은 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를 통해,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서 RRC 메시지에 새로운 지시자 혹은 IE가 정의됨에 따라, 상기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MAC 계층에서 사용하는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할당함으로써, MAC 제어 정보가 상기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값이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측정한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 보고는 다양한 방법으로 요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메시지 2(RAR) 혹은 메시지4에서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안 설정이 완료된 후에 기지국이 별도의 측정 보고 요청을 위한 RRC 메시지(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RC 메시지 혹은 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 command)로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결과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 보고 요청을 위한 새로운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새로운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정의된다. 기지국은 상기 MAC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 보고의 요청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측정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와 설정된 보안 설정 정보로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결과의 보고가 암호화되지 않는다면 주파수 측정 정보가 해킹당하거나 누설될 수 있고, 상기 주파수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단말의 위치를 추적당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하여 주파수 측정 보고를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단말은 RRC 메시지(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RC 메시지 혹은 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를 통해, 상기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정 보고를 위한 새로운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새로운 로지컬 채널 식별자가 정의되어, 단말은 MAC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 주파수 측정 결과의 요청 및 보고를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메시지 1의 프리앰블들이 그룹핑될 수 있다. 그룹핑된 프리앰블들 중 특정 프리앰블들이 측정 보고 결과가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그룹에 대응하는 프리앰블(들)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게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메시지 2인 RAR에서 측정 결과를 보고하라는 지시자가 포함되면, 단말은 측정 결과의 요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RAR에 의해, 측정 결과의 보고가 요청되면, 단말은 메시지 3을 통해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Scell을 설정하는 RRC 설정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가 있다면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가 있다면 기지국이 요청하지 않더라도 주파수 측정 결과의 보고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RRC 메시지(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RRC 메시지 혹은 메시지 3 혹은 메시지 5 혹은 예를 들면 measurement report)를 통해,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상기 측정 보고를 위한 새로운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새로운 로지컬 채널 식별자가 정의됨에 따라, MAC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전체 주파수 측정 결과 중 필요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은 CA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캐리어들(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Scell에 대해서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CA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Scell 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Scell이다.
단말은 측정에 기반하여,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주기가 주어진 경우, 단말은 해당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조건은 하기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시간만큼 유지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2.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3.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시간내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4.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제2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5.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을 주어진 횟수만큼 측정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6.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 주파수가 단말이 접속한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한 셀 혹은 주파수인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주파수 집적 기술(CA)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서비스하는 복수 개의 셀들에 대해서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에서 서비스하는 셀의 신호가 아무리 좋아도 주파수 집적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이 측정한 주파수 측정 결과는 단말이 접속한 셀 혹은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에 대한 측정 결과여야만 주파수 집적 기술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된 셀 리스트에 속한 주파수 혹은 셀(white cell list)인 경우 해당 주파수 또는 셀은 조건이 충족된다.
기지국은 현재 연결이 설정된 단말에 대한 단말 능력을 모른다면 혹은 단말 능력을 확인할 것이 요구되면 단말의 능력을 물어보는 메시지(예: UE capability enquiry)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자신의 능력을 보고하는 메시지(예: UE capability)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통해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여부 혹은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들 혹은 주파수 영역 혹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측정 개수 등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845 단계의 RRC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를 통해 여러 개의 Scell 들에 대한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예: 1회에 수행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 또는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거나,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거나,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와 각 Scell을 위한 설정 파리미터가 설정되는 경우, 각 Scell을 위한 설정이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보다 우선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가 정의되고 각 Scell 식별자와의 맵핑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그룹 식별자와 모든 Scell 식별자들 각각이 맵핑되고, 하나의 그룹 식별자가 모든 Scell들의 공통 설정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그룹 식별자들이 정의되고 각 그룹 식별자들에 맵핑되는 Scell 식별자들이 정의됨으로써, 그룹 단위로 셀들의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Scell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Scell에서 사용하게 될 부분 대역폭을 지시하는 부분 대역폭 식별자(bandwidth part ID)와의 맵핑정보 혹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정보 혹은 각 Scell에 해당하는 부분대역폭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에서 Scell들을 설정할 때 Scell의 초기 상태는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Scell들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보낼 때,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Scell들을 설정하게 되면 단말이 상기 Scell들에 대해서는 바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빠르게 주파수 집적 기술(CA)을 적용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각 Scell의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는 RRC 연결 모드인 단말에게 MAC 제어 정보로 상태 천이가 지시될 수 있다. RRC 연결 모드에서 단말은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일 경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측정 보고는 RRC 메시지 혹은 MAC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보고될 수 있다. 단말이 RRC 메시지로 각 Scell 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언제부터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할지, 언제부터 주파수(채널 혹은 셀)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시작할지를 지시하는 정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시된 정수값만큼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 혹은 TTI) 이후에 단말은 PDCCH 모니터링 또는 측정 결과의 보고를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단말에게 설정을 새로 해주거나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상술된 RRC Connection Resume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 혹은 그 정보들의 일부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의 동작들이 구체화된다.
도 8의 810 단계의 RRC 메시지는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 측정을 위한 측정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 관련 파라미터는,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에서 설정될 수 있다.
- INACTIVE STATE 파라미터
■ I-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I-RNTI는 네트워크와 연결을 재설정을 수행할 때 단말의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resume ID 로 지칭될 수 있다. I-RNTI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때 페이징 유무를 구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 RAN notification area(RNA): RNA는 단말이 비활성화 모드로 이동을 수행할 때 비활성화 모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영역을 나타낸다. 단말이 RNA에 의해 지정된 영역을 벗어나면, 단말은 네트워크에게 자신의 위치를 보고하고 새로운 영역을 설정받는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 INACTIVE STATE 제1 측정 관련 파라미터
■ 측정할 주파수 및 측정 주기
● NR-EARFCN(evolved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리스트와 NR-EARFCN 별 측정 주기
● 측정 주기가 n이면 n * DRX cycle 마다 측정 수행
● 측정 주기가 설정되지 않으면 n = 1로 설정
■ L3 필터링 계수(filtering coefficient) (주파수를 측정할 때 사용할 측정 계수)
■ 유효 타이머(Validity timer) (설정된 타이머 값에 따라 타이머가 구동될 때만 주파수 측정을 수행)
■ 측정 결과 보고 조건
● 정수 m, RSRP/RSRQ 임계값, 기간 d
● 예: m 번의 측정 동안 측정 결과가 모두 RSRP 임계값 또는 RSRQ 임계값보다 좋은 경우 조건을 충족
● 예: 기간 d 동안 측정 결과가 모두 RSRP 임계값 또는 RSRQ 임계값보다 좋은 경우 조건을 충족
● 예: m번의 측정 동안 모두 RSRP 임계값과 RSRQ 임계값보다 좋은 상태가 기간 d 동안 지속되면 조건을 충족
■ 측정 area (시그널링되지 않으면 RNA와 동일)
도 8의 825 단계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비활성 상태인 동안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조건이 충족되면 제1 측정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조건은 유효 타이머(validity timer)에 따라 충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을 위한 유효 타이머가 구동된다. 제1 조건은 유효 타이머가 구동 중이면 충족된다. 유효 타이머는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 즉 INACTIVE STATE로 천이 시 구동이 개시된다. 단말은 INACTIVE STATE로 천이 시, 제1 측정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유효 타이머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멈추거나(stop) 리셋된다(reset). 예를 들어, 단말이 RNA 벗어나거나, 또는 측정 영역(area)를 벗어나거나, 주기적 RNA 갱신(periodic RNA update)이 실패하는 경우, 유효 타이머는 멈추거나 리셋된다.
제1 측정 동작의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단말은 서빙 셀/주파수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RSRP/RSRQ를 DRX (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비-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 시, NR-ARFCN에서 지시된 주파수의 SSB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은 DRX 마다, 비-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은 n * DRX 주기 마다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수 n은 RRC 메시지 혹은 시스템 정보로 지시될 수 있다. 서빙 주파수의 측정 결과가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되는 SnonIntraSearchP와 SnonIntraSearchQ보다 높더라도(예: Srxlev > SnonIntraSearchP 또는 Squal > SnonIntraSearchQ) 단말은 비-서빙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제2 측정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유효 타이머가 구동 중이지 않으면, 제2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측정 동작의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단말은 서빙 셀/주파수의 SSB의 RSRP/RSRQ를 DRX 주기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SIB 5의 비-서빙 주파수 중 서빙 주파수 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주파수에 대한 측정은 DRX 주기 마다 수행될 수 있다. SIB 5의 비-서빙 주파수 중 서빙 주파수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혹은 동일한) 주파수에 대한 측정은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DRX 주기 마다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조건은 서빙 주파수의 측정 결과가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되는 SnonIntraSearchP와 SnonIntraSearchQ보다 낮으면 충족될 수 있다.
RRC Connection RESUME 절차를 개시하면 단말은 후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메시지3(Msg 3)에 INACTIVE STATE 측정 결과가 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MAC 제어 정보의 LCID 혹은 RRC 메시지(예: RRCResumeRequest 메시지)에 소정의 IE를 포함시킴으로써, INACTIVE STATE 측정 결과가 있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도 있다. 단말은 메시지4(Msg 4/RRCResume) 메시지에서 INACTIVE STATE 측정 결과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INACTIVE STATE 측정 결과 생성해서 보고할 수 있다.
도 8의 855 단계의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 측정 보고 메시지(855)는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측정 결과는 서빙 셀 측정 결과(Serving cell measurement result)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 측정 결과는 L3 필터링된 RSRP, RSRQ (L3 filtered RSRP/RSRQ)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측정 결과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Inter-frequency measurement result)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주파수 별로, 유효한 측정 결과 중 RSRP 혹은 RSRQ가 가장 높은 하나의 셀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간 측정 결과는, NR-ARFCN, PCI(physcial cell identifier), L3 필터링된 RSRP/RSRQ, 측정 후 경과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말에게 설정된 Scell에 대한 단말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 비활성화 상태, 휴면 상태로 정의하고 각 상태의 단말의 동작을 정의하고, MAC 제어 정보를 통한 상태 천이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보다 빠르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빠르게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이 보다 빠르게 캐리어 집적 기술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예: NR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빠르게 주파수 응집 기술(CA)이나 이중 접속(DC) 기술을 설정해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들을 단말에게 설정해주기 위해서는 단말의 주파수 측정 결과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단말에게 설정된 Scell에 대한 단말의 상태를 정의하고, '빠른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에 대한 결과를 보고할 수 있도록 단말을 설정 또는 제어 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해준 각 Scell(Secondary Cell)에 대한 단말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activated state), 비활성화 상태(deactivated state), 휴면 상태(dormant state)로 정의하고 각 상태의 단말의 동작들이 서술된다.
또한, 본 개시는 새로운 MAC 제어 정보들을 이용하는, 상기 각 Scell에 대한 세 가지 상태 간의 천이 방법이 서술된다. 특히 휴면 상태에서 단말이 빠르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빠르게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은 빠르게 캐리어 집적 기술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MAC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단말에게 설정해준 각 Scell에 대한 단말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적으로(dynamically) Scell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적은 시그날링 오버헤드와 작은 전송 지연으로 더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CA 또는 DC를 통하여 단말에게 보다 빠르게 서비스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각 Scell에 대해서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라고 할지라도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결과를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휴면 상태(Dormant state)를 도입하고 상태들 간의 천이 방법들이 제안된다. 상기 제안된 방법들은 매크로 셀(Macro cell) 내 스몰 셀(small cell)들이 배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네트워크가 단말을 빠르게 CA 혹은 DC를 설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 설정을 위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말은 도 1의 단말 135 또는 도 3의 단말 315를 예시한다. 도 9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즉 NR 시스템에서 Scell들에 대한 주파수 측정 설정 및 상태 설정을 수신하고, MAC 제어 정보의 지시에 따라 상태 천이를 수행 및 설정된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들이 서술된다.
도 9를 참고하면, 901 단계에서, 단말은 Scell 설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 단말의 모드(예: RRC 비활성 모드, RRC 유휴 모드)를 전환하는 RRC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설정 시 수신되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정보는 Scell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Scell 설정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Scell 설정 정보는, 각 Scell의 초기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903 단계에서, 단말은 각 Scell에 설정된 초기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Scell 설정 정보는, 각 Scell의 초기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각 Scell의 초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각 Scell에 설정된 초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초기 상태는 활성화 상태, 비활성화 상태, 휴면화 상태 중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해당 Scell에 설정된 초기 상태에 기반하여 서빙 셀을 측정할 수 있다.
905 단계에서, 단말은 천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천이 정보는 단말의 Scell의 상태를 다른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천이 정보는 어떤 Scell를 특정 상태에서 다른 특정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천이 정보의 종류 또는 천이 정보의 값에 따라, Scell의 어떤 상태로부터 어떤 상태로 천이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이 정보는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천이 정보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천이 정보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휴면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천이 정보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천이 정보는 휴면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천이 정보는 휴면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천이 정보는 MAC CE일 수 있다. MAC CE에 대한 설명은, 도 12 내지 도 1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907 단계에서, 단말은 Scell의 상태를 천이시킬 수 있다. 단말은 905 단계에서 수신된 천이 정보, 예를 들어 MAC CE에 기반하여 Scell의 상태를 천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Scell을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Scell을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2 Scell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휴면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2 Scell을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3 Scell을 휴면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3 Scell을 휴면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909 단계에서, 단말은 천이된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Scell의 천이된 상태에 기반하여 해당 Scell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이 활성화 상태로 천이된 경우, 단말은 DRX 주기마다 상기 Scell 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cell이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된 경우, 단말은 DRX 주기 또는 별도로 설정된 Scell 측정 주기마다 상기 Scell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은 Scell이 휴면 상태로 천이된 경우, 단말은 Scell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 설정을 위한 기지국 및 단말 간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단말은 도 1의 단말 135 또는 도 3의 단말 315를 예시한다. 기지국은 도 1의 eNB 110, 도 3의 gNB 310, 또는 eNB 315를 예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은 RRC 연결 모드인 상태이다(1005). 1010 단계예서, 기지국은 RRC 연결 모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소정의 이유로 혹은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으면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Connection Release 혹은 RRC Connection Suspend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1010). 즉, 네트워크는 RRC 연결 모드에 있는 단말을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킬 때 RRC 메시지를 전송하여 모드 전환을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을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킬 때, 기지국은 상기 RRC 메시지에서 지시자를 정의함으로써, 단말이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Scell들에 대한 설정 정보 혹은 Scell 상태(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유지할지 아니면 폐기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이동성이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바로 재사용할 수 있다.
1015 단계에서, 단말은 RRC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서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한다.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은 이동을 하면서 셀 재선택 (cell re-sele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단말은 셀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재선택에 기반하여 적합한 셀(suitable cell)을 찾는다. 단말은 캠프-온 할 셀이 검색되면, 상기 셀의 시스템 정보(1020)를 수신 및 읽어 들인다.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셀에 캠프-온하고, 해당 셀의 시스템 정보(예: LTE시스템에서는 SIB 5, NR 시스템에서는 SIB 1, SIB 2, SIB 3, SIB 4, 혹은 SIB 5)로부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주파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에 관한 우선 순위, 타이머 정보 등을 읽어 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1010 단계에서 서술된 RRC 메시지에서 포함되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는 1020 단계의 시스템 정보로서 방송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의 단말은 상기 RRC 메시지(1010)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정보 혹은 시스템 정보로 설정된 주파수 측정 정보에 따라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P)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1035 단계예서,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R)을 수신할 수 있다.
추후에 현재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인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기지국과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1030 단계, 1040 단계와 같이,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과 역방향 전송 동기를 수립할 수 있다.
1040 단계에서, 단말은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04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상기 메시지에는 RRC 연결 구성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은 SRB 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메시지인 RRC 메시지 송수신에 사용된다. 1050 단계에서,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는 단말이 소정의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 설정을 MME에게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예: SERVICE REQUEST)가 포함된다. 기지국은 RRCConnetionSetup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MME로 전송할 수 있다. MME는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면, MME는 기지국에게 설정 요청 메시지(예: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를 전송한다. 상기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DRB (data radio bearer) 설정 시 적용할 QoS (quality of service) 정보, 그리고 DRB에 적용할 보안 관련 정보 (예를 들어 security key, security algorithm)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05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보안을 설정하기 위해서 보안 설정 메시지(예: SecurityModeCommand)를 전송하고, 106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보완 설정을 알리는 보안 설정 완료 메시지(예: SecurityModeComplete)를 전송함으로써, 보안 설정 절차는 완료될 수 있다.
1070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1055 단계 및 1060 단계에서 보안 설정이 완료되면, 단말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데이터가 처리될 DRB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07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1070 단계에서 수신된 DRB의 설정 정보를 적용해서 DRB를 설정하고 기지국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RRC 메시지(예: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1075)를 통해, 여러 개의 Scell 들에 대한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 또는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거나, Scell들 각각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와 각 Scell을 위한 설정 파리미터가 설정되는 경우, 각 Scell을 위한 설정이 상기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보다 우선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가 정의되고 각 Scell 식별자와의 맵핑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그룹 식별자와 모든 Scell 식별자들 각각이 맵핑되고, 하나의 그룹 식별자가 모든 Scell들의 공통 설정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그룹 식별자들이 정의되고 각 그룹 식별자들에 맵핑되는 Scell 식별자들이 정의됨으로써, 그룹 단위로 셀들의 설정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Scell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Scell에서 사용하게 될 부분 대역폭을 지시하는 부분 대역폭 식별자(Bandwidth part ID)와의 맵핑정보 혹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정보 혹은 각 Scell에 해당하는 부분대역폭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과 DRB 설정을 완료한 기지국은 MME에게 INITIAL CONTEXT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S-GW와 S1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서 S1 BEARER SETUP 메시지와 S1 BEARER SETUP RESPONSE 메시지를 교환한다. S1 베어러는 S-GW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용 연결이며 DRB와 1대 1로 대응된다. 상기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과 S-GW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기지국은 소정의 이유로 단말에게 설정을 새로 해주거나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해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각 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각 Scell에 대한 단말의 상태(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단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도 10의 1080 단계와 같이,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소정의 조건에 만족한 주파수 측정 결과들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에 보고할 때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으면 RRC 메시지 혹은 MAC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혹은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도 10의 1085 단계와 같이, 주파수 측정 정보를 요청할 때만 주파수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의 존재를 지시하는 지시자에 기반하여,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유효한 주파수 측정 결과가 있다는 지시자를 기지국에게 보낼 수 있다. 기지국은 필요한 경우, 단말에게 주파수 측정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주파수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Scell들을 설정할 때, 각 Scell은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Activated state) 혹은 휴면 상태(Dormant state) 혹은 비활성화 상태(Deactivated state)로 설정될 수 있다. Scell들에 대한 설정 정보에 따라,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Scell들이 설정되면, 단말이 상기 Scell들에 대해서는 바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빠르게 CA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Scell의 활성화 상태, 휴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는 RRC 연결 모드 간 상태 천이는, 단말에게 MAC 제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RRC 연결 모드의 단말은 상기 Scell이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일 경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상기 주파수 측정 보고는 RRC 메시지 혹은 MAC 제어 정보를 통해 보고될 수 있다. 단말이 RRC 메시지로 각 Scell 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설정된 경우, 언제부터 PDCCH 모니터링을 시작할지, 언제부터 주파수(채널 혹은 셀)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시작할지를 지시하는 정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시한 정수값 만큼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 슬롯 혹은 TTI) 이후에 단말은 측정 보고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Scell들의 초기 상태를 설정할 때, 기지국은 CA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RRC 메시지의 지시자를 정의하여 각 Scell의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빠른 CA(빠른 주파수 측정에 따라 설정되는 CA)가 불필요한 경우, 초기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상기 RRC 메시지에서 타이머 값을 설정하여 타이머 값이 만료하면 단말이 자동으로 상기 Scell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서 휴면상태로 혹은 휴면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혹은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배터리가 절감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상술된 Scell들의 설정은 초기 연결 설정 혹은 핸드오버 시에 혹은 RRC 연결 모드의 단말에게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송신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이 Scell에 대한 휴면 상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Scell에 대한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과 다를 수 있다. 즉,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측정은 현재 단말의 Pcell의 시간 참조값 기준으로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이 가능하지만 휴면 상태에서는 CSI-RS 기반으로 주파수 측정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CRS(Channel Reference Signal) 기반으로 RSRP, RSRQ, RS-SINR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를 측정하는 대상인 기준 신호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예: 휴면 상태) 간 다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다양한 시점들에서, 주파수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주파수 측정이 시작되는 시점은 다음의 시점들 중에 하나 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1010 단계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는 시점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1010 단계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서 지시한(혹은 미리 약속된) n 개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슬롯 혹은 TTI)이후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1010 단계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서 지시한(혹은 미리 약속된) 각 Scell 대한 단말의 상태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일 때 지시된 n 개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혹은 타임슬롯 혹은 TTI)이후부터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1010 단계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서 지시한(혹은 미리 약속된) 각 Scell 대한 단말의 상태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일 때 주파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은 전체 주파수 측정 결과 중 필요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은 CA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캐리어들(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Scell에 대해서만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CA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Scell 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Scell이다.
단말은 측정에 기반하여,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Scell에 대한 주파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주기가 주어진 경우, 단말은 해당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조건은 하기와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가 주어진 시간만큼 유지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2.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3.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시간내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으로 주어진 횟수 이상만큼 측정된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4.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상태를 주어진 제2 시간만큼 유지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제2 시간은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5. 주파수의 신호 세기(예: RSRP, RSRQ, RS-SINR)가 주어진 제1 시간 내(예를 들면 타이머 구동 시)에서 주어진 임계치 값보다 큰 값을 주어진 횟수만큼 측정하는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상기 임계치와 제1 시간과 횟수는 RRC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정보로 방송될 수 있다).
6.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 주파수가 단말이 접속한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한 셀 혹은 주파수인 경우, 조건이 충족된다 (주파수 집적 기술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서비스하는 복수 개의 셀들에 대해서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에서 서비스하는 셀의 신호가 아무리 좋아도 주파수 집적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이 측정한 주파수 측정 결과는 단말이 접속한 셀 혹은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에 대한 측정 결과여야만 주파수 집적 기술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에서 지시한 셀 리스트에 속한 주파수 혹은 셀(white cell list)인 경우, 해당 주파수 또는 셀은 조건이 충족된다.
기지국은 현재 연결이 설정된 단말에 대한 단말 능력을 모른다면 혹은 단말 능력을 확인할 것이 요구되면 단말의 능력을 물어보는 메시지(예: UE capability inquiry)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자신의 능력을 보고하는 메시지(예: UE capability)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통해, 단말은 RRC 유휴 모드 혹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여부 혹은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들 혹은 주파수 영역 혹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측정 개수 등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에게 설정된 Scell들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인 경우, 단말이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거나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Pcell이 변경된 경우, 불필요한 PDCCH 모니터링과 주파수 측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Scell들의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Scell들의 상태를 폴백(fallback)시킬 수 있다. 즉, 단말은 암묵적 상태 천이(Implicit state transition)를 수행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Scell에 대해, 단말은 기지국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고, RRC 설정에 따라서 CQI 혹은 RRM 측정을 수행하고, DRX 설정되어 있다면 DRX에 따라서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혹은 RRM(Radio Resource Monitoring)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는 RRC 메시지로 단말이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혹은 MAC 제어 정보를 정의하여 MAC 제어 정보로 보고할 수도 있다.
휴면 상태로 설정된 Scell에 대해서 단말은 Pcell의 DRX에 따라서 주파수 측정(CQI 혹은 RRM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즉, Pcell의 DRX에서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RF를 켜야 하는 on-duration 구간에서 단말은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부터 기지국에게 보고될 수 있다. 혹은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되고, 단말은 주파수 측정 결과를 MAC 제어 정보를 통해 보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도록 기지국의 지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PDCCH 모니터링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휴면 상태로 설정된 Scell(Secondary cell)에 대해서는 배터리를 절감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지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Scell의 활성화를 빠르게 지원하기 위해 주기적인 주파수 측정(채널 측정)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측정(채널 측정) 보고는 CRS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Scell에 대해서 단말은 기지국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즉,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주파수 측정(RRM(radio resource measurement) 측정)을 수행하고,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는 보고하지 않는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주파수 측정은 RRC 로 설정된 Scell 측정 보고 주기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도시한다. 단말은 Scell에 대한 특정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른 특정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Scell에 대한 상태는 활성화 상태, 휴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즉, 단말은 각 Scell에 대해서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아니면 MAC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태 천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활성화 상태(activated state)는 간단히 Ac로, 휴면 상태(dormatn state)를 간단히 Do로, 비활성화 상태(deactivated state)는 간단히 De로 표현되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가 서술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상태 천이'는 이전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1105, 1110, 1115)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후술되는 9가지 경우의 상태 천이가 가능할 수 있다.
1. 1105: Ac -> Ac (상태 유지)
2. 1110: Do -> Do (상태 유지)
3. 1115: De -> De (상태 유지)
4. 1120: Ac -> Do (단말의 배터리를 절약하고, 스케쥴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
5. 1125: Do -> AC (주파수 집적 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사용)
6. 1130: De -> Do (주파수 집적 기술을 활성화시키기 전 주파수 측정 보고를 받기 위해 사용)
7. 1135: Do -> De (단말의 배터리 절약을 위해, 주파수 측정 보고를 막고 비활성화 하기 위해 사용)
8. 1140 : De -> AC (주파수 집적 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사용)
9. 1145 : Ac -> De (단말의 배터리를 절약하고, 스케쥴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특정 상태 천이는 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천이 1130 (De -> Do)은 사용 예(Use case)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은 경우, 상태 천이 1130은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상태 천이의 사용 여부는 적응적으로 설정(configurable)될 수 있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8b을 통해, 도 11에서 서술된 본 개시의 상태 천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MAC 제어 정보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 서술된다. 도 12a 내지 도 18b를 통해, 각 MAC CE의 역할들이 서술된다. 각 MAC CE는 MAC PDU와 LC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1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2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1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를 지원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태 천이 1130(De -> Do)는 사용 예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정의되고, 제1 MAC CE 또는 제2 MAC CE에 따른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제1 MAC CE는 휴면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는 비활성화는 시킬 수 있지만 활성화는 시킬 수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상태 천이를 시킬 수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2b의 MAC CE 1211과 같다. MAC CE 1211은 1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2b의 MAC CE 1213과 같다. MAC CE 1213은 4 옥텟들(octets)으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activation) 상태 혹은 비활성화(deactivation) 상태 혹은 휴면(hibernation) 상태(status)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예: MAC entity)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C(i) 필드가 1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활성화 및 휴면화 MAC CE(Activation/Hibernation MAC CE)로 칭할 수 있다.
제2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하기 도 12b의 MAC 제어 정보 1221과 같다. 도 12b의 MAC CE 1221과 같다. MAC CE 122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2b의 MAC CE 1223과 같다. MAC CE 122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 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1)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휴면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제1 실시 예의 제1 MAC CE와 제2 MAC CE에서, 1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은 각각 서로 다른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가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1 MAC CE 및 제2 MAC CE는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length)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방법으로 로지컬 채널 식별자의 공간(space)을 절약하기 위해서 예약(R) 필드가 활용될 수 있다. 로지컬 채널 식별자 1은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R 필드 값이 0이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R 필드 값이 1이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로지컬 채널 식별자 2는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R 필드 값이 0이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R 필드 값이 1이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의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들 각 Scell에 대해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실시 예에서 제안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어떻게 각 Scell의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예가 서술된다. 하기의 표 3과 같이 각 Scell에 대해서 여러 개의 상태가 있을 때 하나의 상태만이 다른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올바르게 MAC 제어 정보가 설계되었음이 확인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제1 MAC CE와 제2 MAC CE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서 상태 천이를 지원한다.
Figure pat00003
도 1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2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3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2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도 지원한다. 즉, 상태 천이 1130 (De -> Do)에 기반하여 사용 예(use case)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더라도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을 휴면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단말 배터리를 절감하면서 미리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될 수 있다. 보고된 주파수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태 천이 1130은 유용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정의되고 제1 MAC CE 또는 제2 MAC CE에 따른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제1 MAC CE는 휴면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는 비활성화는 시킬 수 있지만 활성화는 시킬 수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1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휴면 상태로 상태 천이를 시킬 수 있고,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0으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계속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 제안되는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3b의 MAC CE 111과 같다. MAC 제어 정보 131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3b의 MAC CE 1313과 같다. MAC CE 131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 혹은 휴면 상태 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C(i) 필드가 1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 는 하기의 표 4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제2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활성화 및 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3b의 MAC 제어 정보 1321과 같다. 도 13b의 MAC CE 1321과 같다. MAC CE 132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3b의 MAC CE 1323과 같다. MAC CE 132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1)은 Scell 상태를 휴면 상태로 상태 천이하라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휴면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상기 본 개시의 제 2 실시 예에서, 또 다른 실시 예의 제 2의 MAC CE는 상기에서 설명한 설계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0 혹은 1 의 값을 갖는 각 비트의 비트값(0 혹은 1)이 지시하는 의미를 바꾸어 다음과 같이 또 다른 제 2의 MAC CE가 설계될 수도 있다.
제2의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3c의 MAC CE 1331과 같다.
또한 제 2의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3c의 MAC CE 1333과 같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 2의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 2의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 C(i) 필드 :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1)은 Scell 상태를 휴면 상태로 상태 천이하라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휴면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 R 필드 :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표 5-1]
Figure pat00006
제2 실시 예의 제1 MAC CE와 제2 MAC CE에서, 1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은 각각 서로 다른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가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1 MAC CE 및 제2 MAC CE는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방법으로 로지컬 채널 식별자의 공간(space)을 절약하기 위해서 예약(R) 필드가 활용될 수 있다. 즉, 로지컬 채널 식별자 1은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R 필드 값이 0이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R 필드 값이 1이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로지컬 채널 식별자 2는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R 필드 값이 0이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R 필드 값이 1이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의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각 Scell에게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제2 실시 예에서 제안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어떻게 각 Scell의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예가 서술된다.
하기의 표 6과 같이 각 Scell에 대해서 여러 개의 상태가 있을 때 하나의 상태만이 다른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올바르게 MAC 제어 정보가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제1 MAC CE와 제2 MAC CE는 하기의 표 6과과 같이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서 상태 천이를 지원한다.
Figure pat00007
도 1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4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3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4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3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도 지원한다. 즉, 상태 천이 1130 (De -> Do)에 기반하여 사용 예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더라도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을 휴면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단말 배터리를 절감하면서 미리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될 수 있다. 보고된 주파수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태 천이 1130은 유용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정의되고 제1 MAC CE 또는 제2 MAC CE에 따른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제1 MAC CE는 휴면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를 시킬 수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2비트를 사용하여 각 Scell에 대한 모든 상태를 각각 지시할 수 있으며 혹은 특정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 MAC CE를 사용하게 되면 기지국은 단말의 각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추적(tracking)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지국 구현의 복잡도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4b의 MAC CE 1411과 같다. MAC CE 141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4b의 MAC CE 1413과 같다. MAC CE 141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C(i) 필드를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는 하기의 표 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 제3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활성화 및 휴면화 및 비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MAC CE는 2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2비트 크기를 갖는 C 필드와 1개의 2비트의 크기를 갖는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4b의 MAC CE 1421과 같다. MAC CE 1421은 2 옥텟들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8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2비트의 크기를 갖는 C 필드와 1개의 2비트의 크기를 갖는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4b의 MAC CE 1423과 같다. MAC CE 1423은 8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2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1) C(i,0)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1) C(i,0)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하는 2비트 정보이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1) C(i,0) 필드가 2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0 혹은 01 혹은 10 혹은 11, 예를 들어 00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예약된 값일 수 있다. 상기 C(i,1) C(i,0) 필드가 2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0 혹은 01 혹은 10 혹은 11, 예를 들어 0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1) C(i,0) 필드가 2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0 혹은 01 혹은 10 혹은 11, 예를 들어 10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1) C(i,0) 필드가 2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0 혹은 01 혹은 10 혹은 11, 예를 들어 1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휴면화 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8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2-비트를 사용할 경우, 상태 천이 1130 (De -> Do)는 지원하지 않기 위해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9과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Figure pat00010
제3 실시 예의 제1 MAC CE와 제2 MAC CE에서, 1바이트 혹은 2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 혹은 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은 각각 서로 다른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가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1 MAC CE 및 제2 MAC CE는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방법으로 로지컬 채널 식별자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MAC 서브헤더의 L 필드가 활용될 수 있다. 즉, 로지컬 채널 식별자 1은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2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L 필드값이 1바이트를 지시하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L 필드값이 2바이트를 지시하면 2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로지컬 채널 식별자 2는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8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L 필드값이 4바이트를 지시하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L 필드값이 8바이트를 지시하면 8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필요하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각 Scell에게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서 제안된 제1 MAC CE와 제2 MAC CE는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4a에 대한 설명 및 표들로부터 제3 실시 예가 도 11의 각 Scell에 대한 모든 상태의 천이를 지원하는 지 여부가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5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4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5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4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도 지원한다. 즉, 상태 천이 1130 (De -> Do)에 기반하여 사용 예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더라도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을 휴면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단말 배터리를 절감하면서 미리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될 수 있다. 보고된 주파수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태 천이 1130은 유용할 수 있다.
도 15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정의되고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제1 MAC CE는 휴면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는 비활성화는 시킬 수 있지만 활성화는 시킬 수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1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휴면 상태로 상태 천이를 시킬 수 있고,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0으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계속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5b의 MAC CE 1511과 같다. MAC CE 151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5b의 MAC CE 1513과 같다. MAC CE 151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 혹은 휴면 상태 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C(i) 필드가 1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 는 하기의 표 1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상기 제4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활성화 및 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5b의 MAC 제어 정보 1521과 같다. 도 15b의 MAC CE 1521과 같다. MAC CE 152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5b의 MAC CE 1523과 같다. MAC CE 152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은 Scell 상태를 휴면 상태로 상태 천이하라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휴면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라면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1)인 값을 MAC 계층 장치는 무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1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제4 실시 예의 제1 MAC CE와 제2 MAC CE에서, 1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은 각각 서로 다른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가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1 MAC CE 및 제2 MAC CE는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방법으로 로지컬 채널 식별자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예약(R) 필드가 활용될 수 있다. 즉, 로지컬 채널 식별자 1은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R 필드값이 0이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R 필드값이 1이면 1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로지컬 채널 식별자 2는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 혹은 제2 MAC CE를 지시하며, 만약에 R 필드값이 0이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지시하고, 만약 R 필드값이 1이면 4바이트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지시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의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각 Scell에게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제4 실시 예에서 제안된 제1 MAC CE와 제2 MAC CE가 어떻게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예가 서술된다.
하기의 표 12와 같이 각 Scell에 대해서 여러 개의 상태가 있을 때 하나의 상태만이 다른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올바르게 MAC 제어 정보가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제1 MAC CE와 제2 MAC CE는 하기의 표 12와 같이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서 상태 천이를 지원한다.
Figure pat00013
도 1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5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6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5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6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5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도 지원한다. 즉, 상태 천이 1130 (De -> Do)에 기반하여 사용 예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더라도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을 휴면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단말 배터리를 절감하면서 미리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될 수 있다. 보고된 주파수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태 천이 1130은 유용할 수 있다.
도 16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가 정의되고 제1 MAC CE, 제2 MAC CE, 또는 제3 MAC CE에 따른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상기 제1 MAC CE는 Scell에 대한 휴면 상태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1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계속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0으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1로) 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계속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0으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6b의 MAC CE 1611과 같다. MAC 제어 정보 161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6b의 MAC 제어 정보 1613과 같다. MAC CE 161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 혹은 휴면 상태 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MAC 계층 장치는 C(i) 필드를 무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는 하기의 표 1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상기 제5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활성화 및 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6b의 MAC CE 1621과 같다. MAC CE 162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6b의 MAC CE 1623과 같다. MAC CE 162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였다면 휴면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Scell 상태에 대해 상태 천이를 수행하지 말라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하나의 값(예를 들면 0)은 예약된 값일 수 있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1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제1 MAC 제어 정보 및 제2 MAC 제어 정보뿐만 아니라, 제3 MAC 제어 정보가 정의된다. 제5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3 MAC 제어 정보, 즉 제3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3 MAC CE는 비활성화 및 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6b의 MAC CE 1631과 같다. MAC CE 163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6b의 MAC CE 1633과 같다. MAC CE 163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3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3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휴면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활성화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Scell 상태에 대해 상태 천이를 수행하지 말라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하나의 값(예를 들면 0)은 예약된 값일 수 있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3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1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6
제5 실시 예의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에서, 1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 각각은 로지컬 채널 식별자가 다름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는 각각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각 Scell에게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를 사용하면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지원할 수 있는 지 여부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6a에 대한 설명 및 표들로부터 제5 실시 예가 도 11의 각 Scell에 대한 모든 상태의 천이를 지원하는 지 여부가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1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6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7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6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7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6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도 지원한다. 즉, 상태 천이 1130 (De -> Do)에 기반하여 사용 예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더라도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을 휴면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단말 배터리를 절감하면서 미리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될 수 있다. 보고된 주파수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태 천이 1130은 유용할 수 있다.
도 17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가 정의되고 제1 MAC CE, 제2 MAC CE, 또는 제3 MAC CE에 따른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제1 MAC CE는 Scell에 대한 휴면 상태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1로)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계속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0으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1로) 활성화 상태에 있는 Scell에 대해서 계속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MAC CE는 1비트 중에 하나 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면 0으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7b의 MAC CE 1711과 같다. MAC CE 171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7b의 MAC CE 1713과 같다. MAC CE 171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 혹은 휴면 상태 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MAC 계층 장치는 C(i) 필드를 무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 는 하기의 표 1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7
제6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7b의 MAC CE 1721과 같다. MAC CE 172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7b의 MAC CE 1723과 같다. MAC CE 172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였다면 휴면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Scell 상태에 대해 상태 천이를 수행하지 말라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하나의 값(예를 들면 0)은 예약된 값일 수 있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1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8
제6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3 MAC 제어 정보, 즉 제3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3 MAC CE는 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7b의 MAC CE 1731과 같다. MAC CE 173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7b의 MAC CE 1733과 같다. MAC CE 173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3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3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휴면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활성화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0 혹은 1,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면 Scell 상태에 대해 상태 천이를 수행하지 말라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하나의 값(예를 들면 0)은 예약된 값일 수 있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3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18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9
제6 실시 예의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에서, 1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 각각은 로지컬 채널 식별자가 다름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는 각각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각 Scell에게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의 제6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를 사용하면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지원할 수 있는 지 여부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7a에 대한 설명 및 표들로부터 제6 실시 예가 도 11의 각 Scell에 대한 모든 상태의 천이를 지원하는지 여부가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1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에 대한 상태 천이를 지원하는 MAC 제어 정보의 제7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8a에 도시된 MAC 제어 정보의 제7 실시 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서술된다. 도 18a에 도시된 MAC 정보의 제7 실시 예는 도 11의 상태 천이 1130 (De -> Do)도 지원한다. 즉, 상태 천이 1130 (De -> Do)에 기반하여 사용 예의 빈도 혹은 활용도가 낮더라도 비활성화 상태의 Scell을 휴면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단말 배터리를 절감하면서 미리 주파수 측정의 결과가 보고될 수 있다. 보고된 주파수 측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상태 천이 1130은 유용할 수 있다.
도 18a를 참고하면, MAC 제어 정보로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가 정의되고 제1 MAC CE, 제2 MAC CE, 또는 제3 MAC CE에 따른 상태 천이가 지원된다. 또한 제1 MAC CE는 Scell에 대한 휴면 상태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MAC CE는 Scell에 대한 비활성화 상태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MAC CE는 Scell에 대한 활성화 상태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7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1 MAC 제어 정보, 즉 제1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1 MAC CE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8b의 MAC CE 1811과 같다. MAC CE 181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8b의 MAC CE 1813과 같다. MAC CE 181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1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 혹은 휴면 상태 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면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상기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의 상태가 휴면 상태라면 MAC 계층 장치는 C(i) 필드를 무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제1 MAC CE 는 하기의 표 19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0
제7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 MAC 제어 정보, 즉 제2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2 MAC CE는 활성화 및 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8b의 MAC CE 1821과 같다. MAC CE 182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8b의 MAC CE 1823과 같다. MAC CE 182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2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0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였다면 휴면화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휴면화 상태로,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제2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2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1
제7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3 MAC 제어 정보, 즉 제3 MAC CE는 다음과 같다. 제3 MAC CE는 비활성화/휴면화 MAC 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MAC CE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7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8b의 MAC CE 1831과 같다. MAC CE 1831은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3 MAC CE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로지컬 채널 식별자(LCID)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31개의 C 필드와 1개의 예약(R)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포맷은 도 18b의 MAC CE 1833과 같다. MAC CE 1833은 4 옥텟들로 구성된다.
만약 설정된 셀 식별자(Scell index)들이 7개를 초과되어 설정되지 않았다면 1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3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제3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 C(i) 필드: 셀 식별자 i로 설정된 Scell이 있다면 이 C(i) 필드는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 혹은 휴면 상태 혹은 비활성화 상태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MAC 계층 장치는 이 필드를 무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휴면 상태로,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휴면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C(i) 필드가 1비트 정보 중에 하나의 값으로(0 혹은 1, 예를 들어 0로) 설정되었고 셀 식별자 i에 해당하는 Scell에 대한 상태가 활성화 상태였다면 활성화 상태로, 휴면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비활성화 상태였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상태 천이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 R 필드: 예약 필드로 0으로 설정된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제3 MAC 제어 정보는 하기의 표 2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2
제7 실시 예의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에서, 1바이트 크기를 갖는 MAC CE들과 4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MAC CE들은 각각 서로 다른 로지컬 채널 식별자를 가짐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는 각각 고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L 필드는 따로 필요하지 않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제어 정보들은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각 Scell에게 지원해야 한다. 본 개시의 제7 실시 예에서 제안한 제1 MAC CE, 제2 MAC CE, 및 제3 MAC CE를 사용하면 도 11의 모든 상태 천이를 지원할 수 있는 지 여부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7a에 대한 설명 및 표들로부터 제6 실시 예가 도 11의 각 Scell에 대한 모든 상태의 천이를 지원하는지 여부가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게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은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본 개시에서 기지국은 도 10의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Connection Setup 또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로 RRC 연결 재설정(예를 들면 CA 설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설정,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설정)을 단말에게 설정해줄 수 있다. CSI, SRS, BWP(bandwidth part) 설정은, SpCell(special cell)/UL BW 별 P-CSI(periodic CSI), SP-CSI(semi-persistent CSI), AP-CSI(aperiodic CSI) 설정 또는 서빙 셀/UL BWP 별 P-SRS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pCell은 DC에서 각 셀 그룹의 Pcell, 즉 MCG(master cell group)의 Pcell 및 SCG(secondary cell group)의 PSCell을 의미할 수 있다. CA 설정은 SCell 별 DL BWP, UL BWP 설정, SCell 인덱스(SCellIndex) 설정, 또는 초기 상태 설정 (활성화(activated) 상태, 또는 비활성화(deactivated) 상태 혹은 휴면(dormant)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Scell의 초기 상태에 따른 단말의 동작들을 서술한다.
초기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들에서 단말은 제1-1 동작 후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초기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들에서 단말은 제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1 동작의 적용 시점은 n+x 서브프레임(subframe)일 수 있다. n은 초기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이고, x는 미리 정해진 정수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정수일 수 있다. 제1-1 동작은 PHR(power headroom) 트리거, SCellDeactivationTimer 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동작은 PDCCH 모니터링, CSI 보고, SRS 전송, SCellDeactivationTimer 구동, type 1 CG 전송, DRX 주기(DRX cycle)마다 서빙 셀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동작은 DRX 주기 및 sCellMeasCycle 중 큰 값마다, 즉 Max [DRX cycle, sCellMeasCycle]마다 서빙 셀 측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sCellMeasCycle은 Scell 측정 구간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빙 셀의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MAC CE 를 수신하고 활성화 상태로 지시된 서빙 셀(Scell)들에 대해서, 단말은 제1-1 동작 후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1 동작의 적용 시점은 m + y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m은 상기 MAC CE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이고 y는 미리 정해진 정수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정수일 수 있다. 만약 본 개시에서 제안된 MAC CE를 수신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지시된 서빙 셀(Scell)들에서, 단말은 m+z subframe에 제3-1 동작 수행 후 제3 동작 시작한다. z는 미리 정해진 정수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정수일 수 있다. 초기 상태가 휴면(dormant) 상태로 설정되었거나 상기 MAC CE를 수신하고 휴면 상태로 천이된 서빙 셀들에 대해서 단말은 제2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제3-1 동작은 Scell을 위한 타이머(SCellDeactivationTimer)를 멈추거나(stop) 리셋(reset)하는 동작, deactivate type 2 CG(configured grant), suspend type 2 C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작은 CSI 보고, SRS 전송, DRX 주기 마다 서빙 셀 측정하고 측정 결과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셀 상태 천이를 지시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MAC CE를 수신하고, 활성화 상태로 천이를 지시 받은 휴면 상태 서빙 셀들에서 단말은 제1-1 동작 후 제1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MAC CE를 수신하고, 휴면화 상태로 천이를 지시 받은 활성화 상태 서빙 셀들에서 단말은 제2-1 동작 수행 후 제2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1 동작과 제2-1 동작의 적용 시점은 k + y 심볼(symbol) (예: 단말이 상기 수신한 MAC CE에 대한 HARQ feedback전송을 완료한 symbol) 일 수 있다. 제2-1 동작은 Scell을 위한 타이머(SCellDeactivationTimer)를 멈추거나(stop) 리셋(reset)하는 동작, deactivate type 2 CG, suspend type 2 C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k는 상기 MAC CE를 수신한 심볼이고 y는 미리 정해진 정수 혹은 RRC 메시지로 설정된 정수일 수 있다.
도 19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예시된 구성은 도 1의 eNB 110, 도 3의 gNB 310, 또는 eNB 315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1910, 백홀통신부 1920, 저장부 1930, 제어부 19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19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19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19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19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19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19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19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19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19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1910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1910은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시스템 정보, 메시지,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19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 1910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제어부 1940의 설정에 따른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 신호에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 19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19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19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19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19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19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 1930은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저장부 1930은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9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1930은 제어부 19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19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1940은 무선통신부 19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19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1940은 저장부 19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19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예: 도 2 또는 도 4)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19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19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에 예시된 구성은 도 1의 단말 135 또는 도 3의 단말 315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2010, 저장부 2020, 제어부 2030을 포함한다.
통신부 20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0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20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20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20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0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2010은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20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20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20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2010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제어부 2030의 설정에 따른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 신호에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 2010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예: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DM(demodulation)-RS), 시스템 정보(예: MIB, SIB, RMSI(remaining system information), OSI(other system information)),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는 랜덤 액세스 관련 신호(예: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RAP)(또는 Msg1(message 1)), Msg3(message 3)) 또는 기준 신호(예: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DM-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2010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uper high frequency, SHF)(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38GHz, 60GHz 등)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예: LAA(licensed Assisted Access)를 위한 비면허 대역, CBRS(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예: 3.5 GHz)) 상에서 동일한 방식의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부 20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20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20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20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0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020은 제어부 20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0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제어부 20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at least one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 330은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030은 통신부 20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030은 저장부 20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0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예: 도 2 또는 도 4)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0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2010의 일부 및 제어부 2030은 CP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 2030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2030 내 각 기능 및 동작들은 저장부 202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 203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제어부 2030를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 또는 제어부 203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0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단말의 구성은, 단말의 일 예일 뿐, 도 20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상(혹은 초과) 또는 이하(혹은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초과(혹은 이상) 또는 미만(혹은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초과'로 기재된 조건은 '이상',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이하',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초과 및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이상 및 미만'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SCell(secondary cell)들 각각에 대한 품질을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는,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품질의 측정의 결과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품질을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Cell들 중 제1 Scell의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상태에 기반하여, SCell들 각각에 대한 품질을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상태는 활성화(activated) 상태, 비활성화(deactivated) 상태, 휴면화(dormant) 상태 중 하나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수행된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SCell들 중 제1 Scell의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상태는 활성화(activated) 상태, 비활성화(deactivated) 상태, 휴면화(dormant) 상태 중 하나인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에게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at least one transceiv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at least one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주파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SCell(secondary cell)들 각각에 대한 품질을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는,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품질의 측정의 결과를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품질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Cell들 중 제1 Scell의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에 기반하여, SCell들 각각에 대한 품질을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상태는 활성화(activated) 상태, 비활성화(deactivated) 상태, 휴면화(dormant) 상태 중 하나인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기지국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전송하는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는 장치.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at least one transceiv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at least one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RRC 유휴(idle)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수행된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CA(carrier aggregation) 또는 DC(dual connectivity)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SCell들 중 제1 Scell의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Scell들 각각에 대한 상태는 활성화(activated) 상태, 비활성화(deactivated) 상태, 휴면화(dormant) 상태 중 하나인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주파수 측정의 결과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측정 설정 정보는,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장치.
KR1020180049250A 2018-03-28 2018-04-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3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777572.9A EP3777302B1 (en) 2018-03-28 2019-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03672 WO2019190245A1 (en) 2018-03-28 2019-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22709.2A CN111937428B (zh) 2018-03-28 2019-03-28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测量的装置和方法
US16/368,336 US11039331B2 (en) 2018-03-28 2019-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340,799 US11963030B2 (en) 2018-03-28 2021-06-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5954 2018-03-28
KR1020180035954 2018-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472A true KR20190113472A (ko) 2019-10-08
KR102433768B1 KR102433768B1 (ko) 2022-08-19

Family

ID=6820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250A KR102433768B1 (ko) 2018-03-28 2018-04-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777302B1 (ko)
KR (1) KR102433768B1 (ko)
CN (1) CN1119374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9427A1 (en) * 2022-09-26 2024-04-04 Lenovo (Singapore) Pte. Ltd. Measuring for cell reselection based on a cell st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567B2 (en) * 2018-08-10 2022-09-13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RC state transition
CN114615713A (zh) * 2020-12-09 2022-06-1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早期测量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CN112737654B (zh) * 2020-12-29 2022-04-01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基于稀疏码多址接入的端信息扩展序列多用户并发通信方法
CN117941406A (zh) * 2021-10-21 2024-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测量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516A1 (zh) * 2014-01-24 2015-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方法、配置方法、相关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720B2 (en) * 2014-01-30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WO2016114641A1 (ko) * 2015-01-16 2016-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375634B2 (en) * 2016-09-10 2019-08-06 Ofinno, Llc Deactivation tim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516A1 (zh) * 2014-01-24 2015-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方法、配置方法、相关设备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10996* *
3GPP R2-1802755* *
3GPP TSG-RAN WG2 Meeting #100, R2-1713490, 2017.11.16. *
3GPP TSG-RAN WG2 Meeting #101, R2-1802755, 2018.02.16. *
3GPP TSG-RAN WG2 Meeting #101, R2-1802760, 2018.02.16. *
3GPP TSG-RAN WG2 Meeting #99bis, R2-1710996, 2017.09.2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9427A1 (en) * 2022-09-26 2024-04-04 Lenovo (Singapore) Pte. Ltd. Measuring for cell reselection based on a cell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7302A1 (en) 2021-02-17
KR102433768B1 (ko) 2022-08-19
EP3777302A4 (en) 2021-05-26
CN111937428A (zh) 2020-11-13
EP3777302B1 (en) 2022-12-14
CN111937428B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0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8244B2 (en) Method for offloading traffic by means of wireless LAN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56027B1 (ko) 제1 무선접속기술과 제2 무선접속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37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143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17735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이중 접속 기술에서 복수 개의 scg 설정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559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020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5006A (ko)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rrc제어 메시지 기반으로 rrc연결을 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68293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상태 선호에 대한 단말 지원 정보를 제공하고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506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활성화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95322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유닛이 분할된 상향링크 무선자원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70815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97630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지원 정보 제공 절차와 핸드 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58872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상태 선호에 대한 단말 지원 정보를 제공하고 rrc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936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8660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유닛이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8661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58863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상태 선호에 대한 단말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086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33471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지원 정보 제공 절차와 핸드 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62268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62264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62269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62266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