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223A - 곤충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223A
KR20190113223A KR1020180035615A KR20180035615A KR20190113223A KR 20190113223 A KR20190113223 A KR 20190113223A KR 1020180035615 A KR1020180035615 A KR 1020180035615A KR 20180035615 A KR20180035615 A KR 20180035615A KR 20190113223 A KR20190113223 A KR 2019011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rvae
sorting plate
insects
insect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석 filed Critical 이우석
Priority to KR102018003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223A/ko
Publication of KR2019011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곤충의 산란 및 활동 터인 톱밥이나 흙 또는 그 혼합물을 담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도어로 구비된 곤충 사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사육되는 곤충의 애벌레 중 성충 전까지 성장된 애벌레들을 선별해서 수거하고 어린 애벌레는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된 애벌레 선별 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곤충 사육장치{breeding apparatus for a insect}
본 발명은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량으로 사용하는 성충으로 되기 전인 3령 애벌레의 선별 및 수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식량부족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세계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을 해치는 유전자 변형 농작물이 식탁을 점령하고, 많은 수확량을 위해 환경을 해치는 화학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건강에도 많은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각종 요인에 의한 기후 변화와 관련된 온실가스의 문제 등으로 인해 세계의 생산곡물이 감소하고 있으며, 감소한 세계 생산곡물은 그 1/3이 가축의 먹이로 소비되고 있다.
아울러, 많은 가축은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다량 발생시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증가시키고 있어 심각한 환경 및 자원 위기에 직면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축산물 소비를 최소화하고, 환경을 살리며, 양질의 대체식량자원을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는바, 곤충은 육류에 비해 단백질 함유량이 평균 2배 이상 높고, 무기질, 필수 및 비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지방의 대부분이 수용성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어 영양성분이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축산물에서 얻어지는 단백질의 대체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메뚜기, 번데기, 누에가 식약청 승인을 받아 일반식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4년 현재 한국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서는 제조방법, 안정성(독성)을 검토한 결과 갈색 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를 식품원료로 사용 섭취하는 것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식용 곤충을 먹는 나라로는 중국, 태국,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잠비아 등 전 세계 20억 명에 달하는 인구가 대략 1,900종의 식용 곤충을 음식으로 먹는다고 한다.
2003년 이후 유엔농업식량기구(FAO)는 전세계 국가와 긴밀하게 협의하며 식용 곤충 식품의 확대와 개발 필요성에 대해 끊임없이 홍보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영국, 미국, 일본 등 많은 나라들이 식용 곤충식 활성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CNN, TIME지 등의 보도매체를 통해 그간 식용 곤충에 부정적이었던 서구권에서도 식용 곤충의 식용화에 눈을 돌리고 있다.
상기와 같이, 미래에는 고단백, 친환경 제품으로 곤충 대체식품이 주목받을 것이라 예견되며 그 중 대한민국에서도 곤충 대체식품의 재료로 갈색거저리 애벌레(2014.07.15 식품의약품 안전청)와 흰 점박이 꽃무지 애벌레(2014.09.30 식품의약품안정청)가 한시적 식품원료로 인정되어 현재 많은 농가에서 이들 곤충을 사육하고 있다.
이러한 애벌레들은 식품의 재료나 원료 또는 성분의 명칭을 포함했을 경우 혐오스러울뿐만 아니라 기피할 수 있으므로 농촌진흥청에서는 갈색거저리 애벌레(또는 유충)를 '고소애'라 명칭을 칭하고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를 '꽃벵이'라 명칭을 칭하며 이들 애벌레를 가공 및 건조한 상태를 직접 튀겨서 튀김으로 제조하거나 분말을 만들어 빵가루, 밀가루를 섞어 스낵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갈색거저리 애벌레와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를 건조한 상태에서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58%, 지방 18%~31%, 탄수화물 9%~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심혈관 질환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 지방산이 총 지방산 중 75% 정도로 많았으며 불포화 지방산 중 하나인 올레산은 100g 당 8g~17g 이 함유되어 있고 무기질 중에서는 인과 철 그리고 칼륨이 풍부하고, 구성 아미노산 중에서는 글루탐산과 프롤린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 중에서는 B3, B5, B9가 많이 포함되어있으므로 미래 식량문제를 해결해 줄 대안이자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갈색거저리 애벌레와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를 가공하여 식품 재료로 제조하는데 결실을 보았지만 이와 같은 곤충들을 사육하는 장치는 원시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곤충 사육방법은 각종 곤충들을 종류별로 분리한 상태에서 톱밥(또는 흙과 왕겨)을 담은 박스에 넣고 일정한 주기로 먹이를 공급하는 형식으로 사육하고 있다.
곤충들은 사육 박스의 톱밥 속으로 들어가서 잠을 자고 먹이 활동을 할 때만 밖으로 나온다.
또 곤충들은 짝짓기 후 톱밥 속에 알을 낳게 되면 그 알들은 톱밥 속에서 1령, 2령, 3령 그리고 성충으로 자라게 된다.
그러나 곤충 식량은 3령, 즉, 성충이 되기 전 상태의 애벌레를 선별하여 배변, 세척, 건조, 냉동건조 그리고 분말로 가공하여 식량으로 제조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 사육장치의 박스에서 식량으로 사용하기 위한 3령의 애벌레를 선별 및 수거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즉, 사육 박스의 내부에는 1령, 2령, 3령의 애벌레들뿐만 아니라 성충까지 함께 성장하고 있는 관계로 3령의 애벌레를 선별 및 수거하기 위하여 그들의 서식지인 톱밥을 뒤집는 과정 중에 1,2 령의 애벌레와 성충이 다치거나 죽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곤충 식량으로 사용되는 3령의 선별작업이 쉽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99059 B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 사육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량으로 사용하는 성충 전의 3령 애벌레의 선별 및 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곤충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곤충 사육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량으로 사용하는 3령 애벌레의 선별 및 수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곤충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곤충의 산란 및 활동 터인 톱밥이나 흙 또는 그 혼합물을 담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도어로 구비된 곤충 사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사육되는 곤충의 애벌레 중 성충 전까지 성장된 애벌레들을 선별해서 수거하고 어린 애벌레는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된 애벌레 선별 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도어는 상기 애벌레 선별 판을 인출 후 수거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측을 축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개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애벌레 선별 판은 그물코의 크기가 크고 작은 것이 복수 개 설치된 것이 더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폴이 장착되고; 상기 애벌레 선별 판의 양측 또는 후방에는 상기 폴에 끼워지는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된 것이 더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본체는 그 내, 외부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체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외 측에 마이크로컴퓨터를 갖춘 제어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냄새를 배기하는 배기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습도 제어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온도 제어장치의 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기 관체를 통하여 자동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곤충 사육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곤충 식량으로 사용하는 3령, 즉, 성충으로 변태되기 전의 애벌레만을 용이하게 선별한 후 수거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곤충 사육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량으로 사용하는 3령 애벌레의 선별 및 수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곤충 사육 농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곤충의 산란 및 활동 터인 톱밥이나 흙 또는 그 혼합물을 담고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사육되는 곤충의 애벌레 중 성충 전까지 성장된 애벌레들을 선별해서 수거하고 어린 애벌레는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된 애벌레 선별 판(3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애벌레 선별 판(30)은 그물코의 크기가 크고 작은 것이 복수 개 설치된 것이 더 효과적이다.
또 상기 도어(20)는 상기 애벌레 선별 판(30)을 인출 후 수거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측을 축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폴(40)이 장착되고 상기 애벌레 선별 판(30)의 양측 또는 후방에는 상기 폴(40)에 끼워지는 한 개이상의 홀(31)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폴(40)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천장 면과 이격 설치되어야 상기 애벌레 선별 판(30)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더욱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상기 폴(40)은 직선 형상의 봉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굴곡이 있는 파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후술하는 애벌레 선별 판(30)을 분리할 때 애벌레 선별 판(30)에 형성된 홀(31)이 파형 구조의 봉 외주 면과 접촉되며 통과할 때 애벌레 선별 판(30)에 흔들림이 발생하며 그 상측에 있는 흙과 톱밥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애벌레 선별 판(30)의 그물코를 통하여 하측으로 떨어지고 성충 전 단계의 애벌레만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그 외 측에 마이크로컴퓨터를 갖춘 제어부(50)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10)는 그 내, 외부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체(60)가 구비된 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장치(71), 상기 본체(10) 내부의 냄새를 배기 및 환기하는 배기장치(72), 상기 본체(10) 내부로 습기를 공급하여 본체(10) 내부의 습도를 설정된 습도로 유지하는 습도 제어장치(73), 상기 본체(10) 내부로 온풍을 불어 넣어 본체(10)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 제어장치(74)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이들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관체(60), 즉, 본체(10)의 내,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관체(60)는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지만 각 기능에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한 개 이상의 애벌레 선별판(30)이 설치되고 그 상측에는 톱밥 또는 흙과 왕겨가 혼합된 혼합물이 적층되며 그 혼합물들 속에는 곤충의 성충 그리고 1, 2, 3 령의 변태되기 전의 애벌레들이 서식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상기한 상태는 제어부(50)에 셋팅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시간이 되면 먹이 공급장치(71)에 의해 먹이가 공급되고 습도 제어장치(73)와 온도 제어장치(74)에 의해 본체(10)의 내부 환경은 곤충이 서식하기 좋은 최적의 환경 조건을 갖춘 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72)에 의해 본체(10)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는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면 성충인 곤충은 짝짓기를 하고 또 알을 낳고 그 알은 부화되며 애벌레로 성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상태에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어 곤충 식량으로 사용할 애벌레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를 열고 애벌레 선별 판(3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린다.
상기와 같이 애벌레 선별 판(30)을 들어올리게 되면 애벌레 선별 판(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홀(31)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폴(4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애벌레 선별 판(30)을 들어올릴 때 자연스럽게 진동이 발생한다.
좀 더 애벌레 선별 판(30)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폴(40)은 파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애벌레 선별 판(30)에 형성된 홀(31)이 상기 폴(40)에 파형으로 굴곡진 외주면을 통과할 때 애벌레 선별 판(30)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진동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애벌레 선별 판(30)에 형성된 그물코를 통하여 혼합물들은 하측으로 떨어지고 애벌레 선별 판(30)에 형성된 그물코의 크기보다 작은 애벌레들도 그물코를 통하여 하측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애벌레 선별 판(30)에 형성된 그물코에 걸려서 떨어지지 않는 성충 전의 애벌레들만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곤충 식량으로 사용되는 성충 전의 애벌레만 선별하여 수거하기가 용이하고 또 작업자 혼자서도 충분히 성충 전의 애벌레를 수거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도어
30 ; 애벌레 선별 판 31 ; 홀
40 ; 폴 50 ; 제어부
60 ; 관체 71 ; 먹이 공급장치
72 ; 배기장치 73 ; 습도 제어장치
74 ; 온도 제어장치

Claims (5)

  1. 내부에 곤충의 산란 및 활동 터인 톱밥이나 흙 또는 그 혼합물을 담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도어로 구비된 곤충 사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사육되는 곤충의 애벌레 중 성충 전까지 성장된 애벌레들을 선별해서 수거하고 어린 애벌레는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된 애벌레 선별 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애벌레 선별 판을 인출 후 수거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측을 축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곤충 사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벌레 선별 판은 그물코의 크기가 크고 작은 것이 복수 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곤충 사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폴이 장착되고;
    상기 애벌레 선별 판의 양측 또는 후방에는 상기 폴에 끼워지는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곤충 사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 외부로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체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외 측에 마이크로컴퓨터를 갖춘 제어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냄새를 배기하는 배기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습도 제어장치,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온도 제어장치의 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상기 관체를 통하여 자동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곤충 사육장치.
KR1020180035615A 2018-03-28 2018-03-28 곤충 사육장치 KR20190113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15A KR20190113223A (ko) 2018-03-28 2018-03-28 곤충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15A KR20190113223A (ko) 2018-03-28 2018-03-28 곤충 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23A true KR20190113223A (ko) 2019-10-08

Family

ID=6820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615A KR20190113223A (ko) 2018-03-28 2018-03-28 곤충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32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59B1 (ko) 2014-06-17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이를 이용한 곤충사육방법 및 곤충 대량 사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59B1 (ko) 2014-06-17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이를 이용한 곤충사육방법 및 곤충 대량 사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223B2 (e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KR101838201B1 (ko)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CN101978823B (zh) 一种黑水虻的人工饲养方法
JP5714878B2 (ja) 有機肥料製造システム
CN110074067A (zh) 一种基于养殖系统黑水虻幼虫的养殖方法
CN105165734B (zh) 一种褐带卷蛾茧蜂规模化繁殖的方法
JP2012116665A (ja) 有機肥料製造方法
CN103125450A (zh) 利用豆渣进行的蝇蛆养殖方法
CN108967750B (zh) 含有香菇菌糠的黄粉虫饲料繁育黄粉虫的方法
CN108041283A (zh) 有机废弃物制备的黑水虻饲料及该饲料繁育黑水虻的方法
US20210219570A1 (en) Circular integrated ecological breeding and planting system
CN105532587B (zh) 地中海粉螟饲养方法及应用
US6130084A (en) Nutrition from pollution
CN105875519A (zh) 以米蛾蛹作为寄主高效繁殖广大腿小蜂的方法
CN109496992B (zh) 一种超级富硒黄粉虫的生产方法
CN109122594A (zh) 一种黑水虻幼虫高密度养殖及有机废弃物高效转化方法
KR101829139B1 (ko) 동애등에 사육방법
KR20190113223A (ko) 곤충 사육장치
CN109744103A (zh) 稻蛙养殖系统及稻田养蛙方法
KR20160137275A (ko) 곤충 유충 사육 장치 및 방법
RU2719727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личинок мух рода lucilia
JP7162249B2 (ja) おから処理システム
JPH09117233A (ja) 鳥類の飼育方法
KR100664977B1 (ko) 파리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CN104026080B (zh) 一种野生黑水虻种源的诱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