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213A - 피가공물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피가공물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213A
KR20190113213A KR1020180035594A KR20180035594A KR20190113213A KR 20190113213 A KR20190113213 A KR 20190113213A KR 1020180035594 A KR1020180035594 A KR 1020180035594A KR 20180035594 A KR20180035594 A KR 20180035594A KR 20190113213 A KR20190113213 A KR 2019011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workpiece
time
information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익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213A/ko
Publication of KR2019011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5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same processor to execute programmable controller and numerical controller function [CNC] and PC controlled NC [PCN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099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Software control [SW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가공물을 설정된 기준 가공시간과 현재 가공시간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편차를 판별함으로써 가공작업시 기구부 또는 제어부의 문제 발생요인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 조치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있어서, (a)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기준 가공정보에서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c)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편차를 판별하는 단계와; (d) 편차여부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거나 또는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가공물 가공방법{Workpiec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가공물을 설정된 기준 가공시간과 현재 가공시간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편차를 판별함으로써 가공작업시 기구부 또는 제어부의 문제 발생요인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 조치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MOLD)과 같은 피가공물은 규격이 동일한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금속 소재(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성형용 '틀'로서, 고무, 금속, 유리 등의 소재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목적에 맞는 형상의 물품을 만드는 원본의 틀이다 이러한 금형은 자동차, 휴대폰, 전자 제품 등의 케이스, 각종 산업 기계, 생활 용품등을 만드는데 사용 된다.
이러한 피가공물을 다양한 형상이나 패턴이 포함된 제품으로 제작하기 위해 CNC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加工 : 새로운 물건을 만드는 일)하고 있다.
상기 CNC(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 소형 컴퓨터를 내장한 NC공작기계. 가공형상ㆍ가공조건ㆍ가공동작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자동 프로그래밍을 하여 NC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펄스 신호화 된 상태로 보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공작기계를 가동한다)공작기계는 우리 산업전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가공물인 금형은 대부분 고가이므로 금형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예상하기 위해서는 금형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알아야 금형 제작에 투입되는 예상 공수, 예상 원가 등이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가공물 가공방법은 금형 가공시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이 금형 제작자의 경험과 CNC 공작기계의 조작능력에 따라 대략적으로 산출되므로 정확성 및 신뢰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피가공물 가공방법은 CNC 공작기계의 가공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전체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저장 공간에(ex. Parameter) 일시적으로 저장하지만 기준이 되는 가공에 소요시간과 비교하는 기능은 없어 가공 프로그램이 얼마동안 동작하였는지 시간만 확인할 수 있고 소재마다 전체소요시간이 다르게 측정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발생시 어느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찾기가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9282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시제품을 CNC 공작기계로 가공하여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 입력하고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중인 피가공물의 가공시간을 실시간으로 비교함으로써, 문제발생 요인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 조치하여 보전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있어서, (a)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기준 가공정보에서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c)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편차를 판별하는 단계와; (d) 편차여부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거나 또는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기준 가공정보는 가공에 소요된 시간, 가공 수(요소), 시간 초과 여유(marg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는 시제품 별로 미리 가공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한 경우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가공완료 판정을 하여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 수(요소)와, 소요시간 및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는 피가공물의 소재와 종류에 따라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 가공정보와 비교하여 초과 여유(margin) 값을 초과하는 경우 메세지(Message)를 표시하고 각 가공 요소(수) 마다의 소요시간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이 되는 가공 소요시간과 현재 가공 소요시간의 비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피가공물 가공방법의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가 입력된 CNC(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공작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가공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기준 가공정보를 측정 및 입력하고 실제 가공시 기준 가공시간과 현재 가공시간의 편차를 비교하여 지연이 발생한 시간에서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 및 파악하여 빠른 해결을 함으로써 보전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0)와 (b) 상기 기준 가공정보에서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200)와 (c) 상기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편차를 판별하는 단계(S300) 및 (d) 상기 편차여부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단계 또는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하는 단계(30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a)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입력한다. 즉, 소재와 공정이 상이한 복수 개의 피가공물을 시제품으로 가공하고 가공에 소요된 시간, 프로그램 전체 블록(Block) 수, 시간 초과 여유(margin)와 같은 가공정보를 각각으로 측정하여 데이타(data)를 구축하도록 컴퓨터(computer)에 입력한다.(S10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피가공물의 가공방법에 사용되는 시스템(System)은 프로그램으로 시제품의 가공으로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기준 시간으로 데이타베이스로 입력한 후, 실제 피가공물의 가공시 소요된 시간과의 편차를 비교하여 편차 과대시 전체 블록(Block) 별로 소요 시간을 객관적인 데이타(Data)에 의해 확인, 분석함으로써 지연 과다가 발생한 블록(Block)에서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 및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별 사이클 타임(Cycle Time)의 기준 가공정보 추출(Sampling)을 위해 가공 프로그램(Program)의 선두 블록(Block)에 ‘G700 D1 P1’을 지령한다.
여기서, 상기‘G700’은 모니터링(Monitoring) 시작 G Code를 의미하고 ‘D’ 변수는 소재의 정보, ‘P’ 변수는 기준치로 하는 기준 시간의 선정이다.
또, CNC 공작기계의 설정화면에 상기 변수들을 목록화하면 사용자는 모니터링(Monitoring)의 기준 값을 다양한 피가공물과 가공조건,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각 블록(Block) 마다의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기준(Sample)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는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기인 CNC(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 소형 컴퓨터를 내장한 NC공작기계. 가공형상ㆍ가공조건ㆍ가공동작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자동 프로그래밍을 하여 NC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펄스 신호화 된 상태로 보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공작기계를 가동한다.)공작기계를 구성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System Software : 컴퓨터를 처음 켰을 때의 모든 작업들을 제어하게 되며,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의 작업 지시를 컴퓨터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 즉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라고 한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가장 핵심적인 소프트웨어로서, 시스템 운영(System operation), 시스템 지원(System support), 시스템 개발(Systemdevelopment) 프로그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인 금형소재를 가공하는 CNC 공작기계에서 가공 프로그램은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조공정의 생산성향상을 꾀하기 위해 생산공장에서 로봇을 움직이려면 제조하는 물건 가공(加工)순서를 기억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나 물건의 크기 등의 데이터가 필요하고, 이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인간이 알기쉬운 말로 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CAM의 구체적 이미지이다.)에서 생성하여 수만개의 미소블록(Block)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에 의해 CNC 공작기계가 가공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아래의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 개의 시제품을 가공하여 각각으로 얻어진 가공 소요시간(D변수), 프로그램 전체 블록(Block) 수(L변수), 가공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R변수)를 기준 가공정보로 목록화한다.
기준
NO
프로그램 전체 Block 수
(L변수, 수동입력)
소요시간(D변수, 자동입력) 전체 소요시간 초과 Margin설정(R변수, 수동입력)
1 50 50분 10초 10초
2 55 55분 20초 15초
3 60 1시간 05초 20초
4 65 1시간 5분 25초
5 70 1시간 10분 05초 30초
6 75 1시간 15분 10초 35초
7 80 1시간 20분 15초 40초
8 85 1시간 25분 20초 45초
9 90 1시간 30분 25초 50초
10 95 1시간 35분 30초 55초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전체 Block 수와, 소요시간 및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는 피가공물의 소재와 종류에 따라 가감되는 것이므로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기준 번호 1번의 경우 프로그램 전체 Block 수가 50Block인 경우, 가공 소요시간은 50분 10초 걸렸다.
이때, 상기 가공 소요시간인 50분 10초를 기준으로 초과 여유(margin)는 10초 이내이면 정상으로 설정하였으나, 피가공물의 소재와 종류에 따라 더 가(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시제품 가공으로 상기 3개 변수(L변수, D변수, R변수)에 대한 기본 가공정보를 목록화함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하는 상기 3개의 변수(L변수, D변수, R변수)를 선택하여 가공 모드(mode)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시제품의 가공정보는 프로그램 전체 Block 수에 N00001(미도시)와 같이 라벨(Label)이 붙여지므로 상기 라벨(Label) 값을 읽어서 피가공물 각각의 가공 요소들이 시작되고 종료되는지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 가공 요소의 실행 시간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또, 상기 피가공물은 금형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CNC(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공작기계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이나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기준 가공정보에서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한다.(S200)
즉, 현재 가공을 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가공조건)를 CNC 공작기계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목록에서 선정하여 기준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의 프로그램 전체 Block 수가 60Block 이라면 상기 표 1의 번호 3 기준 가공정보를 선택하여 가공모드(mode)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이 되는 가공 정보는 시제품 별로 미리 가공하여 획득된다.
이에 따라, 상기 CNC 공작기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번호 3의 기준 가공정보를 선택하여 가공모드를 설정하고 피가공물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 (c)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편차를 판별한다.(S300)
즉, 상기 (b) 단계에서 설정된 가공정보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고 가공이 완료되면 가공에 소요된 전체 시간이 측정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에 소요된 시간에 비교되는 기준은 미리 입력된 상기 가공정보의 D3 변수에서 설정한 평균 소요시간이다.
그리고 측정 완료된 시간과 기준 시간과의 편차는 전체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인 R3 변수에서 설정한 20초를 기준으로 전체 소요시간의 초과분을 검출하는 시스템이므로 편차 값은 (-)값이 아닌 (+)값만 비교하도록 한다.
즉, 상기 기준 가공정보의 D변수인 평균 소요시간과 비교하여 초과 여유(margin) 값을 초과하는 경우 메세지(Message)로 표시하고 각 프로그램 전체 Block 수 마다에 소요된 시간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후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편차 발생 메세지(Message)를 형성하여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토록 하고, 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가공완료 판정을 하여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다.
또, 수많은 종류의 소재와 가공 조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가공을 원하는 피가공물에 대한 정보와 가공조건을 목록에서 선정하여 레벨을 정하면 각각의 조건에 따라 기준 사이클타임과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사이클타임을 실시간으로 비교하므로 매우 정확한 비교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 중에 프로그램의 어느 블록(Block)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지연되었는지, 기구적 문제인지 또는 제어부분의 문제인지를 빠른 시간 내에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비가공시간을 줄여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d) 편차여부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거나 또는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한다.(S410),(S420)
예컨대,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후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CNC 공작기계의 조작패널(미도시)에 편차 발생 메세지(Message)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후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요소에서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상기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가공완료 판정을 하여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다.(S410)
그리고 사용자는 피가공물의 가공 중에 프로그램의 어느 블록(Block)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와 기구적 문제인지 또는 제어부분의 문제인지를 확인하고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한다.(S420)
또 본 발명은 상기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가 입력된 CNC(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공작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가 입력된 CNC 공작기계에 의해 제조된 피가공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피가공물 가공방법을 순서대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NC 공작기계의 CAM 프로그램에서 '가공하기' 모듈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a) 복수 개의 시제품을 가공하여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추출하고 컴퓨터에 입력한다.(S100)
이때, 상기 시제품의 소재와 종류에 따라 가공에 소요된 시간, 프로그램 전체 블록(Block) 수, 시간 초과 여유(margin)와 같은 가공정보를 각각으로 측정하여 데이타(data)를 추출한 후 컴퓨터(computer)에 입력한다.
다음, (b) 추출된 기준 가공정보에서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한다.(S200)
즉, 현재 가공을 위한 피가공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선택하여 기준으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c)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 소요시간을 기준 가공정보의 가공시간과 비교하고 편차를 판별한다.(S300)
이때, 측정 완료된 가공시간과 기준 가공시간과의 편차는 전체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인 R3 변수의 (-)값이 아닌 (+)값만 비교하도록 한다.
다음, (d) 상기 편차여부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거나 또는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한다.(S410),(S420)
예컨대,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요소에서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가공완료 판정을 하여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다.(S410)
그리고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CNC 공작기계의 조작패널(미도시)에 편차 발생 메세지(Message)를 형성한다.
이때, 기준 가공시간과 비교하여 편차(오차)가 과대하게 발생한 프로그램 블록(Block) 유무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기준 가공시간에 비교하여 편차(오차)가 과대하게 발생한 블록(Block)이 없을 경우 다시 프로그램 재개하여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준 가공시간에 비교하여 편차(오차)가 과대하게 발생한 블록(Block)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피가공물의 가공 중에 프로그램의 어느 블록(Block)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와 기구적 문제인지 또는 제어부분의 문제인지를 확인하고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한다.(S420)
따라서, 본 발명은 기준 가공시간과의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시간 편차를 비교하여 편차 과대시 전체 블록(Block) 별로 소요 시간을 객관적인 데이타(Data)에 의해 확인, 분석함으로써 지연 과다가 발생한 블록(Block)에서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 파악하고 신속히 해결토록 함으로써 보전시간 단축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피가공물 가공방법에 있어서,
    (a) 피가공물의 가공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기준 가공정보에서 현재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에 대응되는 기준 가공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c)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중인 피가공물의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편차를 판별하는 단계와;
    (d) 편차여부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공하거나 또는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기준 가공정보는 가공에 소요된 시간, 가공 수(요소), 시간 초과 여유(marg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는 시제품 별로 미리 가공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한 경우 문제발생 요인을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 가공정보와 현재 가공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가공완료 판정을 하여 다음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수(요소)와, 소요시간 및 소요시간 초과 여유(margin)는 피가공물의 소재와 종류에 따라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가공정보와 비교하여 초과 여유(margin) 값을 초과하는 경우 메세지(Message)를 표시하고 각 가공 요소(수) 마다의 소요시간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이 되는 가공 소요시간과 현재 가공 소요시간의 비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 가공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가공물 가공방법의 기준이 되는 가공정보가 입력된 CNC(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공작기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가공물.
KR1020180035594A 2018-03-28 2018-03-28 피가공물 가공방법 KR20190113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94A KR20190113213A (ko) 2018-03-28 2018-03-28 피가공물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94A KR20190113213A (ko) 2018-03-28 2018-03-28 피가공물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13A true KR20190113213A (ko) 2019-10-08

Family

ID=6820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594A KR20190113213A (ko) 2018-03-28 2018-03-28 피가공물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32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825A (ko) 2002-05-31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형 제작공정 산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825A (ko) 2002-05-31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형 제작공정 산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0557B2 (en) Quality assurance method when operating an industrial machine
US10775768B2 (en) Machine control program creating device
CN104889799A (zh) 控制进行工件的供给和排出的机器人的机器人控制装置
US20200089191A1 (en) Method for monitoring cutting-tool abrasion
CN109143979B (zh) 数控设备的加工控制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和设备
CN110214059B (zh) 用于增量成形金属工件的方法和装置
CN110164803B (zh) 一种释放机台程式的方法及系统
Pereverzev et al. Optimal internal grinding cycles in multidimensional control-parameter space
US202300554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 manufacturing process
KR101405039B1 (ko) 사용자 맞춤형 가공공정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US11561526B2 (en) Control system of industrial machine
CN110968043B (zh) 机床的控制系统
KR20190113213A (ko) 피가공물 가공방법
US20200103845A1 (en) Tool monitoring system and tool monitoring method
CN112748699A (zh) 模拟装置、数值控制装置以及模拟方法
EP0417311A1 (en) Process for producing mold
KR102207730B1 (ko) 금형제작용 공구 공작의 검증 및 관리 시스템
KR101959241B1 (ko) 지능형 cnc 공작기계 오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900247A (zh) 一种用于多个顶针同时加工的加工方法
CN113941900B (zh) 一种cnc 3d测头自动寻边方法
KR102315228B1 (ko) Plc 제어를 위한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US11366459B2 (en) Program simulation system for industrial machines and numerical control system
US11654522B2 (en) Method for analyzing overcutting defect of machining process
JP4501244B2 (ja) 放電加工用nc装置及び放電加工方法
KR101847417B1 (ko) Edm 와이어 가공의 자동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