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166A -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166A
KR20190113166A KR1020180035482A KR20180035482A KR20190113166A KR 20190113166 A KR20190113166 A KR 20190113166A KR 1020180035482 A KR1020180035482 A KR 1020180035482A KR 20180035482 A KR20180035482 A KR 20180035482A KR 20190113166 A KR20190113166 A KR 2019011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local community
producer
terminal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393B1 (ko
Inventor
성형주
Original Assignee
성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형주 filed Critical 성형주
Priority to KR102018003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9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직거래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범위의 지역 내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 단말기에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되, 생산자 단말기 및 상기 회원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의 직거래를 중개하는 직거래 중개 웹사이트를 운영 및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 커뮤니티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처리하는 회원 가입 모듈; 상기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문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주문 모듈; 및 상기 주문 모듈을 통해 주문된 농산물들이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배송되도록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송관리 모듈은, 상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상기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상기 중개 집합지에서, 상기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상기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상기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 따르면, 지역 커뮤니티 회원들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해당 중개 집합지에서,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며, 해당 거점 장소에서 회원들이 주문한 농산물을 개별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회원별 주문 단위를 규모화 할 수 있으며, 회원들의 주문별로 각각 개별 배송할 시 발생하는 택배비 등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지역 커뮤니티가 개별적으로 농산물 직거래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전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주문을 함으로써, 회원이 농산물을 구독해 놓으면 별도로 주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기적으로 주문되어 회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자는 판매될 농산물을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수 있고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LOCAL COMMUNITY SYSTEM WHICH IS PROVIDING DIRECT TRANSACTION SERVICE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의 복잡한 유통 경로를 갖는 농산물 유통의 효율화를 위한 대안으로 온라인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가 주목받고 있으며, 농산물 직거래의 방법으로, 산지직송 직거래 방법 및 꾸러미 배송 방법 등의 농산물 직거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산지직송 직거래 방법은, 생산자가 중간 유통 단계 없이 소비자에게 농산물을 직접 판매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산지직송 직거래 방법은, 생산자가 중간 유통 단계 없이 소비자에게 농산물을 직접 판매한다는 점에서 직거래 방법의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방법이지만, 소량 판매보다는 대량 판매 위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소량의 농산물 구매를 원하는 개인 소비자들이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꾸러미 배송 방법은, 산지직송 직거래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으로, 온라인 농산물 유통 전문 업체가 소비자들이 주문한 농산물들을 산지에서 수집하여 물류센터로 모은 후 이를 꾸러미로 만들어 소비자에게 개별 배송해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꾸러미 배송 방법은, 각각의 소비자들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에 대해, 소비자별로 각각 개인 택배 배송이 이루어지면서, 주문 건수 별로 택배비 등이 발생하여, 물류비 측면에 있어서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다양한 동호인(자동차, 육아 등)들의 동호회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거나, 역경매를 이용한 공동구매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호회의 경우 대부분 개인들이 운영하면서 공동구매 경비를 개인이 받아 상품을 배송하고 있어 금전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와 같은 금전문제는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고, 금전문제 발생 시 실제로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파트별 모임이나 지역 직장인 모임 등 온오프라인에서 해당 지역의 정보를 공유하는 모임이 있으나, 이러한 모임들은 정보를 공유하는 데에는 효율적이지만, 물품의 구매 등과 관련하여서는 적절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고, 전술한 동호회 등과 같이 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666556호(발명의 명칭: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등록일자: 2016년 10월 10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지역 커뮤니티 회원들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해당 중개 집합지에서,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며, 해당 거점 장소에서 회원들이 주문한 농산물을 개별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회원별 주문 단위를 규모화 할 수 있으며, 회원들의 주문별로 각각 개별 배송할 시 발생하는 택배비 등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지역 커뮤니티가 개별적으로 농산물 직거래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전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주문을 함으로써, 회원이 농산물을 구독해 놓으면 별도로 주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기적으로 주문되어 회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자는 판매될 농산물을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수 있고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은,
농산물 직거래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으로서,
특정 범위의 지역 내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 단말기에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되, 생산자 단말기 및 상기 회원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의 직거래를 중개하는 직거래 중개 웹사이트를 운영 및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지역 커뮤니티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처리하는 회원 가입 모듈;
상기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주문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주문 모듈; 및
상기 주문 모듈을 통해 주문된 농산물들이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배송되도록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송관리 모듈은,
상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상기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상기 중개 집합지에서, 상기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상기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상기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농산물을 구입한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입한 농산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상기 농산물을 판매한 생산자의 평가를 관리하는 평가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 관리 모듈은,
상기 생산자가 판매한 농산물에 대해 불만 요청이 접수된 경우, 상기 생산자의 평가 점수를 하향 조정하며, 상기 생산자의 평가 점수가 미리 지정된 평가 점수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생산자에 대해 직거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가 관리 모듈은,
상기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회원 평가를 입력받아, 상기 농산물을 구매한 회원의 평가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구독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구독 주기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하는 구독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되, 상기 구독 주기에 따라 구독된 농산물의 종류 및 수량이 자동으로 주문되도록, 상기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문 모듈에 전달하는 구독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독 관리 모듈은,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독할 농산물의 생산자를 더 입력받아 구독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모듈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출하 예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상기 구독 관리 모듈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상기 구독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의 종료 이전에 새로운 구독 정보의 입력을 상기 회원 단말기에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원 단말기에 농산물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되, 회원이 주문한 농산물의 소비 현황을 입력받고, 해당 회원의 다음 주문 시에 상기 회원 단말기에 농산물의 종류 및 수량을 제안하는 상품 소비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 소비 관리 모듈은,
상기 회원 단말기에 상기 농산물의 주문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소비 현황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 따르면, 지역 커뮤니티 회원들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해당 중개 집합지에서,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며, 해당 거점 장소에서 회원들이 주문한 농산물을 개별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회원별 주문 단위를 규모화 할 수 있으며, 회원들의 주문별로 각각 개별 배송할 시 발생하는 택배비 등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지역 커뮤니티가 개별적으로 농산물 직거래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전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주문을 함으로써, 회원이 농산물을 구독해 놓으면 별도로 주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기적으로 주문되어 회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자는 판매될 농산물을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수 있고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말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농산물이 회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등록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회원이 농산물을 주문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주문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 장소가 복수 개인 경우, 상품을 수령할 거점 장소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소비 현황 입력이 요청된 회원 단말기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단말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자 단말기(200) 및 회원 단말기(3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 단말기(300)에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생산자와 회원 사이에 농산물 직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 농산물이 회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는, 회원들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해당 중개 집합지에서,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며, 해당 거점 장소에서 소비자(회원)들이 주문한 농산물을 개별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회원별 주문 단위를 규모화 할 수 있으며, 회원들의 주문별로 각각 개별 배송할 시 발생하는 택배비 등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 주문 및 배송을 관리하므로, 동호회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개인들이 공동구매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전문제 등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각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은,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 단말기(300)에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의 직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한 생산자 단말기(200) 및 회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하고, 농산물 직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개 웹사이트를 운영 및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생산자 및 회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생산자 단말기(200)는, 농산물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생산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생산자는 생산자 단말기(200)를 통해,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농산물 상품 정보를 중개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산자는 통화를 통해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회원 단말기(300)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해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지역 커뮤니티 회원의 단말기일 수 있다. 회원은 회원 단말기(300)를 이용해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구매 가능한 농산물을 확인하고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직거래되는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한편, 생산자 단말기(200) 또는 회원 단말기(30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 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 단말기(200) 또는 회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생산자 단말기(200) 또는 회원 단말기(3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의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고 농산물을 직거래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생산자 단말기(200) 또는 회원 단말기(3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은, 웹 서버(110), 회원 가입 모듈(120), 데이터베이스(130), 등록 모듈(140), 주문 모듈(150) 및 배송관리 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평가 관리 모듈(170), 구독 관리 모듈(180) 및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웹 서버(110)는, 특정 범위의 지역 내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 단말기(300)에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되, 생산자 단말기(200) 및 회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하고,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의 직거래를 중개하는 직거래 중개 웹사이트를 운영 및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텍스트, 이미지, 음향,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으로 된 게시물을 게시하고, 게시물을 추천하거나, 게시물에 댓글, 대댓글 등을 작성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일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되어 해당 지역 커뮤니티에 소속된 회원들이 각종 정보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 및 직거래 중개 웹사이트는, 생산자 단말기(200) 또는 회원 단말기(300)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PC용 웹사이트, 모바일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커뮤니티 및 직거래 중개 웹사이트는 상호 연동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역 커뮤니티는, 특정 범위의 지역 내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를 의미한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 지역 커뮤니티는, 동일 빌딩에서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동일 대학교에서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동일 건물에서 거주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또는 동일 아파트 단지에서 거주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등일 수 있다.
회원 가입 모듈(120)은,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지역 커뮤니티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처리할 수 있다. 회원 가입 모듈(120)은,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가입을 원하는 지역 커뮤니티의 선택 및 거주지나 근무지 등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수신하여, 거주지나 근무지 등의 정보를 이용해 선택된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 권한이 있는 회원인지 검증한 다음, 검증된 회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회원 가입 모듈(120)에서 가입 처리된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각 지역 커뮤니티 별로 회원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판매되는 농산물의 상품 정보나 회원의 주문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새로운 농산물이 등록되거나 회원의 농산물 구독 정보 등이 수정되면 각종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등록 모듈(140)은, 생산자 단말기(200)로부터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등록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농산물 등록 모듈(140)은,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 등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할 수 있다. 즉, 생산자는, 생산자 단말기(200)를 통해 판매할 농산물 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웹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중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기 힘든 생산자의 경우, 중개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관리자에게 전화를 하여, 구두로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 등을 포함한 상품 정보를 제공해서, 해당 농산물이 판매할 농산물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농산물 등록 모듈(14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지난주의 상품 정보를 생산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생산자는 동일한 농산물을 일정 기간 동안 계속 생산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의 상품 등록 과정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등록 모듈(140)은, 생산자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출하 예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할 수 있다. 즉, 생산자가 출하 예정인 농산물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으면, 추후 상세히 설명할 구독 관리 모듈(180)을 통해 회원이 생산자의 출하 예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주문할 농산물을 미리 구독하여 주문할 수 있다.
주문 모듈(15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주문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 회원이 농산물을 주문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 주문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 장소가 복수 개인 경우, 상품을 수령할 거점 장소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주문 모듈(150)은,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주문되는 농산물의 종류와 수량 및 회원이 소속된 지역 커뮤니티를 정보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이 소속된 지역 커뮤니티에서, 주문한 농산물을 수령할 수 있는 거점 장소가 복수 개인 경우,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주문한 농산물을 수령할 거점 장소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회원으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은, 해당 회원이 소속된 지역 커뮤니티 인근에 소재한 생산자들의 농산물이 우선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원발명에서는, 회원으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에 대해, 해당 회원이 소속된 지역 커뮤니티 인근에 소재한 생산자의 농산물이 우선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지역 농산물들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배송관리 모듈(160)은, 주문 모듈(150)을 통해 주문된 농산물들이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배송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송관리 모듈(160)은, 주문된 농산물들이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중개 집합지에서,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송관리 모듈(160)을 통해, 주문된 농산물들이 미리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면, 각각의 개별 회원들은, 해당 거점 장소에서 본인이 주문한 농산물을 개별 수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원들로부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해당 중개 집합지에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며, 해당 거점 장소에서 회원들이 주문한 농산물을 개별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회원별 주문 단위를 규모화 할 수 있으며, 회원들의 주문별로 각각 개별 배송할 시 발생하는 택배비 등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각 지역 커뮤니티가 개별적으로 농산물 직거래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금전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평가 관리 모듈(170)은, 농산물을 구입한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구입한 농산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농산물을 판매한 생산자의 평가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산자의 평가는 지역 커뮤니티별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해당 지역 커뮤니티에 소속된 회원들이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관리 모듈(170)은, 생산자가 판매한 농산물에 대해 불만 요청이 접수된 경우, 생산자의 평가 점수를 하향 조정하며, 생산자의 평가 점수가 미리 지정된 평가 점수 이하가 되는 경우, 생산자에 대해 직거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농산물을 구입한 회원들로부터 구입한 농산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해당 농산물을 판매한 생산자를 평가하고, 해당 생산자의 평가 점수가 미리 지정된 평가 점수 이하가 되는 경우, 해당 생산자에 대해 직거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함으로써, 생산자와 회원 간에 보다 좋은 품질의 농산물들이 거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평가 관리 모듈(170)은,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회원 평가를 입력받아, 농산물을 구매한 회원의 평가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농산물을 수령하는 회원을 직접 만나고 상대하는 거점 장소의 관리자가 회원을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부당하게 교환이나 반품을 요구하는 등 적절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회원을 평가하고 그 정보가 생산자 또는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평가 관리 모듈(170)은, 생산자와 회원이 모두 평가의 대상이 되므로, 건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구독 관리 모듈(180)은,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구독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구독 주기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하는 구독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되, 구독 주기에 따라 구독된 농산물의 종류 및 수량이 자동으로 주문되도록,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주문 모듈(15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농산물의 경우에는 회원이 일정한 주기로 농산물을 구매하게 되는데, 구독 관리 모듈(180)을 통해 회원은 양파 1망, 3주와 같이 농산물의 종류, 수량, 구독 주기 등을 미리 설정하고, 구독 관리 모듈(180)은 해당 회원이 양파를 주문한지 3주가 경과하면 양파 1망을 주문하는 주문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주문 모듈(1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독 관리 모듈(180)은,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구독할 농산물의 생산자를 더 입력받아 구독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즉, 회원은 특정 생산자의 농산물을 선호할 수 있으므로, 구독할 농산물의 생산자를 특정하여 농산물을 구독할 수 있다.
또한, 구독 관리 모듈(180)의 원활한 구독 관리를 위하여, 등록 모듈(140)은, 생산자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출하 예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하며, 구독 관리 모듈(180)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구독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고, 미리 정해진 기간의 종료 이전에 새로운 구독 정보의 입력을 회원 단말기(300)에 요청할 수 있다. 즉, 구독 관리 모듈(180)은, 생산자가 미리 등록한 상품 출하 예정 정보에 따라 농산물의 구독을 관리하며, 농산물의 예정된 출하 기간이 종료하기 전에 회원 단말기(300)에 알림을 제공하여, 다른 생산자의 농산물을 구독하는 등으로 구독 정보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독 관리 모듈(1800)이,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은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주문을 함으로써, 회원이 농산물을 구독해 놓으면 별도로 주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정기적으로 주문되어 회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자는 판매될 농산물을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수 있고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은, 회원 단말기(300)에 농산물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되, 회원이 주문한 농산물의 소비 현황을 입력받고, 해당 회원의 다음 주문 시에 회원 단말기(300)에 농산물의 종류 및 수량을 제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은, 회원 단말기(300)에 농산물의 주문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소비 현황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의 농산물 주문 또는 회원의 상품 수령 후 3일 등과 같이 상품 수령이 완료된 다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 소비 현황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주기로 소비 현황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에서, 소비 현황 입력이 요청된 회원 단말기(300)의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의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은,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회원이 구매한 농산물을 어느 정도 소비하였는지 각 농산물별로 입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은, 이와 같은 소비 현황을 이용하여 추후 해당 회원이 농산물을 주문할 때에, 빨리 소비된 농산물의 주문 수량을 늘리도록 추천하거나 유사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소비가 더디거나 거의 소비되지 않은 농산물은 주문 수량을 줄이도록 추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110: 웹 서버
120: 회원 가입 모듈
130: 데이터베이스
140: 등록 모듈
150: 주문 모듈
160: 배송관리 모듈
170: 평가 관리 모듈
180: 구독 관리 모듈
190: 상품 소비 관리 모듈
200: 생산자 단말기
300: 회원 단말기

Claims (8)

  1. 농산물 직거래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으로서,
    특정 범위의 지역 내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지역 커뮤니티에 가입된 회원 단말기(300)에 지역 커뮤니티 별로 구성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되, 생산자 단말기(200) 및 상기 회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의 직거래를 중개하는 직거래 중개 웹사이트를 운영 및 제공하는 웹 서버(110);
    상기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지역 커뮤니티의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을 처리하는 회원 가입 모듈(120);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로부터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하는 등록 모듈(140);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주문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주문 모듈(150); 및
    상기 주문 모듈(150)을 통해 주문된 농산물들이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배송되도록 관리하는 배송관리 모듈(160)을 포함하되,
    상기 배송관리 모듈(160)은,
    상기 주문된 농산물들이 상기 생산자를 통해 중개 집합지로 배송되도록 하고, 상기 중개 집합지에서, 상기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문된 농산물들이 회원별로 포장되고, 상기 회원별로 포장된 농산물들이, 매주 일회, 상기 지정된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로 묶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농산물을 구입한 상기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구입한 농산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상기 농산물을 판매한 생산자의 평가를 관리하는 평가 관리 모듈(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 관리 모듈(170)은,
    상기 생산자가 판매한 농산물에 대해 불만 요청이 접수된 경우, 상기 생산자의 평가 점수를 하향 조정하며, 상기 생산자의 평가 점수가 미리 지정된 평가 점수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생산자에 대해 직거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관리 모듈(170)은,
    상기 지역 커뮤니티 별 거점 장소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회원 평가를 입력받아, 상기 농산물을 구매한 회원의 평가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구독할 농산물의 종류, 수량, 구독 주기 및 가입된 지역 커뮤니티 정보를 포함하는 구독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되, 상기 구독 주기에 따라 구독된 농산물의 종류 및 수량이 자동으로 주문되도록, 상기 구독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문 모듈(150)에 전달하는 구독 관리 모듈(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관리 모듈(180)은,
    상기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구독할 농산물의 생산자를 더 입력받아 구독 정보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140)은, 상기 생산자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생산자가 매주 출하 가능한 농산물의 종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출하 예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하며,
    상기 구독 관리 모듈(180)은,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상기 구독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의 종료 이전에 새로운 구독 정보의 입력을 상기 회원 단말기(300)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300)에 농산물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되, 회원이 주문한 농산물의 소비 현황을 입력받고, 해당 회원의 다음 주문 시에 상기 회원 단말기(300)에 농산물의 종류 및 수량을 제안하는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소비 관리 모듈(190)은,
    상기 회원 단말기(300)에 상기 농산물의 주문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소비 현황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100).
KR1020180035482A 2018-03-27 2018-03-27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KR10215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82A KR102157393B1 (ko) 2018-03-27 2018-03-27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82A KR102157393B1 (ko) 2018-03-27 2018-03-27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166A true KR20190113166A (ko) 2019-10-08
KR102157393B1 KR102157393B1 (ko) 2020-09-18

Family

ID=6820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82A KR102157393B1 (ko) 2018-03-27 2018-03-27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8450A (zh) * 2020-12-29 2021-04-02 深圳市鸿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信誉农场标准的产销系统
KR102468347B1 (ko) * 2022-05-16 2022-11-17 최고봉 꽃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201A (ko) 2022-10-14 2024-04-23 강혜연 온라인 소량 구매 중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99A (ko) * 2000-03-03 2000-06-05 정호섭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공동구매 시스템
KR20060021002A (ko) * 2004-09-02 2006-03-07 장명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 시스템 및 그러한방법
KR20140113805A (ko) * 2013-03-14 2014-09-25 서원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실시간 소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6805A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농심 상품 발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발주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99A (ko) * 2000-03-03 2000-06-05 정호섭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공동구매 시스템
KR20060021002A (ko) * 2004-09-02 2006-03-07 장명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 시스템 및 그러한방법
KR20140113805A (ko) * 2013-03-14 2014-09-25 서원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실시간 소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6805A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농심 상품 발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품 발주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8450A (zh) * 2020-12-29 2021-04-02 深圳市鸿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信誉农场标准的产销系统
KR102468347B1 (ko) * 2022-05-16 2022-11-17 최고봉 꽃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93B1 (ko)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64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90476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90264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90928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90642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20110119128A1 (en) Advertising Exchange System to Share Online Audiences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06100A1 (en) Method of digital good placement in a dynamic, real time environment
KR20180081056A (ko) 통합 코드 발급에 기초한 정보 처리 네트워크, 그 방법 및 센싱 액세스 장치
US201400323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ve Auctioneer Led Sales
CN102209972A (zh) 支付应用架构
US20100293068A1 (en) Mall Bid
Talluri et al.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procurement decisions: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ulti-attribute e-reverse auctions
US20140019173A1 (en) Entertainment arrangement system
US118232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ession inventory trading
KR20190113166A (ko)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US20020111897A1 (en) Web-based method and implementation for procurement of goods and services
US201503323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US20140100903A1 (en) Automated group trials of products and services
Lau et al. M‐commerce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a responsive supply chain network
KR100473184B1 (ko) 인터넷상에서의 공개입찰/낙찰 처리 시스템
TWI656490B (zh) Method and data colle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or big data commodity customization and data provider separatio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150348180A1 (en) Non-monetary bidding based on bidder-specific data
CN109754276A (zh) 大数据搜集及分润的方法与系统、记录媒体及计算机程序产品
KR20210136268A (ko)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