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065A -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065A
KR20190113065A KR1020180035236A KR20180035236A KR20190113065A KR 20190113065 A KR20190113065 A KR 20190113065A KR 1020180035236 A KR1020180035236 A KR 1020180035236A KR 20180035236 A KR20180035236 A KR 20180035236A KR 20190113065 A KR20190113065 A KR 2019011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ir conditioner
control mode
pow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494B1 (ko
Inventor
김정석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클라우드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우드앤 filed Critical (주)클라우드앤
Priority to KR102018003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uzzy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조화 장치는, 건물의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로 작동가능한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일반제어모드 및 상기 절전제어모드로 제어되어 상기 공간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냉난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EVALUATING ENERGY SAVINGS}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 에너지 소비 중 건물이 차지하는 부분은 상당하다. IEA의 보고에 따르면,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운송 부분이 27.3%를 차지하는 동안, 주거 및 상업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은 36.0%에 이르고 있다.
한국 역시 이와 유사하여, 전체 국가 에너지의 33%를 건물 에너지가 차지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물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고자 다양한 기술 및 정책이 도입되고 있다.
한편,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중에서도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상당하다. 특히, 최근에는 소득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건물의 전력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물 전력 소비량 증가 추세는, 일반적인 전력 소비가 급증하는 하절기에는 최대를 이루어, 국가 입장에서는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여 다양한 사회 문제가 되기도 하며, 건물주 입장에서는 증가하는 전력 소비량으로 인한 건물의 유지 관리비 증가가 큰 문제가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341595호(2013.12.16.)
본 발명의 목적은 재실인원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조화 장치는, 건물의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로 작동가능한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일반제어모드 및 상기 절전제어모드로 제어되어 상기 공간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냉난방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가능하며,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반제어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일반최저온도보다 높거나 기설정된 일반최고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냉난방기를 제어하고, 상기 절전제어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절전최저온도보다 높거나 기설정된 절전최고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냉난방기를 제어하며, 상기 일반최저온도는 상기 절전최저온도보다 높고 상기 일반최고온도는 상기 절전최고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가능하며,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반제어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일반최저온도보다 높거나 기설정된 일반최고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냉난방기를 제어하고, 상기 절전제어모드에서 상기 냉난방기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건물의 실시간 전력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기; 그리고 상기 계측기 및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일반제어모드일 때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제1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절전제어모드일 때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상기 제1 베이스라인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절감된 제1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공기의 컨디션을 감지가능하며, 상기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실외컨디션센서; 과거 기상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상DB; 그리고 상기 건물에 대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량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실외컨디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외공기의 컨디션과 일치하는 일자에 대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제2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고,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상기 제2 베이스라인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절감된 제2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실외공기의 컨디션 및 상기 실외공기의 컨디션에 따른 상기 제2 베이스라인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일반제어모드일 때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상기 제2 베이스라인의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기설정된 일반최저온도를 낮게 조절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일반최고온도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기상DB로부터 상기 과거 기상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별 난방도일 또는 기간별 냉방도일을 연산하며,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간별 전력사용 데이터와 상기 기간별 난방도일 또는 상기 기간별 냉방도일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그래프를 연산하며, 상기 실외컨디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외공기의 온도로부터 연산된 난방도일 또는 냉방도일을 기준으로, 상기 건물에서 소비된 전력과 상기 그래프 사이의 차이로부터 절감된 제3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는 상기 난방도일 또는 냉방도일을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전력사용데이터를 세로축으로 하는 회귀방정식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회귀방정식은 1차 방정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재실인원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량을 통해 에너지 절감을 유도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과거 기상데이터로부터 난방도일을 연산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과거 기상데이터로부터 냉방도일을 연산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난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냉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와 전력사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관리서버는 특정 건물에 대한 냉난방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원격 검침용 전력량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전력량계를 통해 해당 건물에 대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나타낸다. 계측기는 해당 건물의 현재 전력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 및 전력량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전력사용량은 전력량계에 저장관리된다.
제어모듈은 관리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냉난방기에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냉난방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해당 건물 내의 개별 공간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설치된 냉난방기와 1대1로 매칭되어 냉난방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 서버(도시안함)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해당 건물의 공간에 대한 쾌적조건이 클라이언트 서버를 통해 관리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쾌적조건은 온도조건 및 습도조건일 수 있으며, 일반제어모드에서 최저습도 40%, 최고습도 55%, 최저온도 22.0도, 최고온도 25.5도일 수 있다. 쾌적조건은 절전제어모드에서 최저습도 37.7%, 최고습도 57.5%, 최저온도 21.5도, 최고온도 26.0도일 수 있으며, 허용가능한 온습도범위를 일반제어모드보다 넓게 함으로써 냉난방기의 가동시간을 단축하고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입력된 쾌적조건을 제어모듈로 전송하며, 제어모듈은 쾌적조건을 냉난방기로 전송하여 냉난방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내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습도는 직접 또는 제어모듈을 통해 냉난방기로 전송되며, 냉난방기는 해당 공간 내에 설치된 실내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습도와 쾌적조건을 비교하여 실내의 온도/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실외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습도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온도/습도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온도/습도는 실외센서 및 실내센서로부터 관리서버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관리서버는 과거 기상 데이터 및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에너지 절감정책을 시행하고 검증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기상DB로부터 실외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과거 기상 데이터를 날짜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력량계로부터 날짜별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하루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과거 기상 데이터로부터 일정 기간에 대하여 일 평균기온에 대응하는 일별 난방도일(HDD:Heating Degree Days)을 산출하고, 위 기간과 다른 일정 기간에 대하여 일 평균기온에 대응하는 일병 냉방도일(CDD:Cooling Degree Days)을 산출한다. 일별 난방도일은 11-2월을 포함하는 겨울철에 대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일별 냉방도일은 5-10월을 포함하는 여름철에 대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난방도일은 실내의 표준온도(18.3도)와 1일 평균 외기 온도와의 차를 냉난방 기간 동안 합산한 것으로, 기온이 18.3도 보다 높을 경우 온도에서 18.3도를 뺀 값을 CDD라고 하고, 이하의 경우 18.3도에서 기온을 뺀 값을 HDD로 한다. 위 표준온도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과거 기상데이터로부터 난방도일을 연산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3은 과거 기상데이터로부터 냉방도일을 연산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관리서버는 월별 난방도일과 월별 전력사용량을 집계하고, 난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로부터 회귀 방정식을 연산할 수 있다. 도 4는 가로축을 월별 난방도일로 하고 세로축을 월별 전력사용량으로 하여 난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4a는 전력 절감 전의 상태를 의미하고 도 4b는 전력 절감 후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관리서버는 월별 냉방도일과 월별 전력사용량을 집계하고, 냉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로부터 회귀 방정식을 연산할 수 있다. 도 5는 가로축을 월별 냉방도일로 하고 세로축을 월별 전력사용량으로 하여 냉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a는 전력 절감 전의 상태를 의미하고 도 5b는 전력 절감 후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관리서버는 냉난방기를 작동하면서 난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로부터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실외센서를 통해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일 평균온도 및 난방도일을 연산하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도일에 따른 전력사용량과 그래프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해당 기간에 대한 전력절감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하는 에너지 절감방식을 평가할 수 있다.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전력사용량인 베이스라인이 설정되어야 하며, 도 4b에 도시한 그래프가 베이스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서버는 냉난방기를 작동하면서 냉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로부터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실외센서를 통해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일 평균온도 및 냉방도일을 연산하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방도일에 따른 전력사용량과 그래프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해당 기간에 대한 전력절감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하는 에너지 절감방식을 평가할 수 있다.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전력사용량인 베이스라인이 설정되어야 하며, 도 5b에 도시한 그래프가 베이스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월별 난방도일/냉방도일과 전력사용량의 관계로부터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일별 난방도일/냉방도일과 일별 전력사용량의 관계로부터 회귀 방정식을 연산하고 이로부터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와 전력사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CO2) 센서는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물 내의 공간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산화탄소 센서는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가능하며,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제어모듈을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되거나 관리서버에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사람은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므로, 이산화탄소 농도는 해당 공간 내에 존재하는 입실인원에 비례하며, 입실인원이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충분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그 반대인 경우 냉난방 기준을 낮추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이하인 경우 냉난방기를 절전제어모드로 작동하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초과인 경우 냉난방기를 일반제어모드로 작동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기준은 클라이언트 서버를 통해 관리서버에 입력되며, 관리서버는 해당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이하인 경우 해당 공간의 냉난방기를 절전제어모드로 작동하고, 해당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초과인 경우 해당 공간의 냉난방기를 일반제어모드로 작동한다. 이와 달리, 관리서버가 이산화탄소 농도 기준을 제어모듈에 전송하고, 제어모듈은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이산화탄소 농도기준을 비교하여 냉난방기를 절전제어모드 또는 일반제어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 농도 기준은 농도 자체가 아닌 농도의 변화율일 수 있으며, 입실인원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경우 농도의 변화율 자체가 변화하는 점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제어모드에서 쾌적조건은 최저습도 40%, 최고습도 55%, 최저온도 22.0도, 최고온도 25.5도일 수 있으며, 절전제어모드에서 쾌적조건은 최저습도 37.7%, 최고습도 57.5%, 최저온도 21.5도, 최고온도 26.0도일 수 있다. 즉, 최저습도 및 최고습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온도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후순위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절전제어모드에서 허용가능한 온습도범위를 일반제어모드보다 넓게 함으로써 냉난방기의 가동시간을 단축하고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6은 시간에 따른 실외온도 변화(노란선),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보라선), 그리고 전력사용량 변화(파란선)를 나타낸다. 즉,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교적 낮은 'A', 'C' 구간에 비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교적 높은 'B' 구간에서 전력사용량은 비교적 높게 나타나며, 'A','C' 구간에서는 비교적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한 전력사용량 변화는 해당 건물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 변화를 나타내므로, 냉난방기의 작동 여부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에 대한 쾌적조건은 클라이언트 서버를 통해 변경될 수 있으며, 절전제어모드에서 냉난방기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쾌적조건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전제어모드에서 냉난방은 완전히 중단될 수 있다.
한편, 위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를 통해 절감된 전력량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일반제어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의 평균값을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고, 절전제어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베이스라인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절감된 전력량으로 연산할 수 있다. 전력절감량은 개념상 상대값이고, 절전제어모드는 일반제어모드에 비해 전력이 절감되는 것이 이론상 당연하므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전력절감량을 해당 기간에 대하여 연산할 수 있다.
도 7은 시간에 따른 실외온도 변화(노란선),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보라선), 그리고 전력사용량 변화(파란선)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방법과 달리, 절감된 전력량은 과거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통해 연산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실외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외의 온도/습도 조건과 일치하는 과거 기상 데이터에 대하여 일자를 특정하고 해당 일자에 대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전력량계로부터 입력받아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된 일자가 여러개인 경우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평균하여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베이스라인(빨간선)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된 시간에 따른 전력사용 데이터에 해당한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절전제어모드 및 일반제어모드로 작동하는 냉난방기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베이스라인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절감된 전력량으로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실외의 온도/습도 조건에 따른 베이스라인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날짜에 대한 실외의 온도/습도 조건 변화가 특정된 과거 일자의 온도/습도 조건 변화와 완벽하게 일치될 수 없으며, 오늘 오전 6시에 대한 온도/습도 조건이 과거 1개월 전과 일치하더라도 오후 12시에 대한 온도/습도 조건은 과거 1개월 전과 다르고 과거 1주일 전과 일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베이스라인을 과거 1주일 전의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베이스라인을 3시간 또는 6시간을 기준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리서버는 현재 소비되는 전력이 베이스라인의 기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10% 범위)를 초과할 경우, 쾌적조건을 임의로 변경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쾌적조건이 최저온도 22.0도, 최고온도 25.5도일 경우, 최저온도 21.0도, 최고온도 26.5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소비전력 절감에 대한 필요는 절전제어모드보다 일반제어모드에서 더 크므로, 일반제어모드로 한정하여 쾌적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건물의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로 작동가능한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일반제어모드 및 상기 절전제어모드로 제어되어 상기 공간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냉난방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가능하며,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반제어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일반최저온도보다 높거나 기설정된 일반최고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냉난방기를 제어하고, 상기 절전제어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절전최저온도보다 높거나 기설정된 절전최고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냉난방기를 제어하며,
    상기 일반최저온도는 상기 절전최저온도보다 높고 상기 일반최고온도는 상기 절전최고온도보다 낮은,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가능하며,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일반제어모드에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온도가 기설정된 일반최저온도보다 높거나 기설정된 일반최고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냉난방기를 제어하고, 상기 절전제어모드에서 상기 냉난방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건물의 실시간 전력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기; 및
    상기 계측기 및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일반제어모드일 때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제1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절전제어모드일 때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상기 제1 베이스라인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절감된 제1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공기의 컨디션을 감지가능하며, 상기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실외컨디션센서;
    과거 기상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상DB; 및
    상기 건물에 대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관리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량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실외컨디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외공기의 컨디션과 일치하는 일자에 대한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제2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고,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상기 제2 베이스라인 사이의 차이를 누적하여 절감된 제2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실외공기의 컨디션 및 상기 실외공기의 컨디션에 따른 상기 제2 베이스라인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갱신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일반제어모드일 때 상기 건물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상기 제2 베이스라인의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기설정된 일반최저온도를 낮게 조절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일반최고온도를 높게 조절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기상DB로부터 상기 과거 기상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간별 난방도일 또는 기간별 냉방도일을 연산하며,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과거 전력사용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간별 전력사용 데이터와 상기 기간별 난방도일 또는 상기 기간별 냉방도일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그래프를 연산하며,
    상기 실외컨디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외공기의 온도로부터 연산된 난방도일 또는 냉방도일을 기준으로, 상기 건물에서 소비된 전력과 상기 그래프 사이의 차이로부터 절감된 제3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180035236A 2018-03-27 2018-03-27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5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36A KR102051494B1 (ko) 2018-03-27 2018-03-27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36A KR102051494B1 (ko) 2018-03-27 2018-03-27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65A true KR20190113065A (ko) 2019-10-08
KR102051494B1 KR102051494B1 (ko) 2019-12-03

Family

ID=6820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36A KR102051494B1 (ko) 2018-03-27 2018-03-27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39B1 (ko) * 2019-12-18 2020-03-20 (주)탐진씨앤에스 빌딩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4300000A1 (en) * 2022-06-29 2024-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23B1 (ko) * 2020-11-26 2023-11-01 버추얼에너지주식회사 난방도일과 냉방도일을 적용한 시계열 분석을 사용한 ami 고객기준부하 산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947A (ja) * 2001-04-27 2002-11-15 Hitachi Ltd 省エネルギ支援サービス及び冷凍空調装置の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341595B1 (ko) 2012-08-17 2013-12-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조현장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50050730A (ko) * 2013-10-31 2015-05-11 현대건설주식회사 실내 co2 농도 조절 및 절전 운전을 위한 건물의 공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947A (ja) * 2001-04-27 2002-11-15 Hitachi Ltd 省エネルギ支援サービス及び冷凍空調装置の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341595B1 (ko) 2012-08-17 2013-12-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조현장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50050730A (ko) * 2013-10-31 2015-05-11 현대건설주식회사 실내 co2 농도 조절 및 절전 운전을 위한 건물의 공조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39B1 (ko) * 2019-12-18 2020-03-20 (주)탐진씨앤에스 빌딩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4300000A1 (en) * 2022-06-29 2024-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94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0205B2 (en) Thermostat control based on activity within property
US20240045459A1 (en) Controlling the setback and setback recovery of a power-consuming device
US8063775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US111694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fort temperature of air conditioning device or air conditioning system
US11397010B2 (en) Heating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RU21410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ровня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помещении
CN107250928B (zh) 对建筑物的能耗进行优化和控制
US20170206615A1 (en) Optimizing and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KR102051494B1 (ko)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US20150192911A1 (en) Optimizing and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US20150345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componentized thermostatic controllable loads
US20150276508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ly Evaluating Thermostat Adjustment Patterns Of An Indoor Climate Control System In A Building
US20120130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energy use
KR20130130513A (ko) 지능형 건물 에너지 소비 관리 시스템
KR20130118661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수 공급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14160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dicting energy usage
KR101994695B1 (ko)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66574A (ko) 목표금액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0865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동기 대수 제어 장치 및 방법
JP5113568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
KR20130120866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동기 운전 스케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09755B1 (ko)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153B1 (ko) 보일러 난방 열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22430A (ko) 건물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의 냉온수 공급 온도 제어 방법
KR102260482B1 (ko) Ems가 적용되는 바닥 공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