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459A -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459A
KR20190112459A KR1020180034478A KR20180034478A KR20190112459A KR 20190112459 A KR20190112459 A KR 20190112459A KR 1020180034478 A KR1020180034478 A KR 1020180034478A KR 20180034478 A KR20180034478 A KR 20180034478A KR 20190112459 A KR20190112459 A KR 20190112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image
light source
measuring
incid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491B1 (ko
Inventor
한준구
임성진
안성균
김무건
허대락
최근섭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4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86Improving or monitoring the quality of the record, e.g. by compensating distortions, aberr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12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는 홀로그램 필름에 서로 다른 출력거리로 입사광파를 출력하는 광원 어레이 및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상기 입사광파에 대한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의해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복수의 홀로그램 영상을 고정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EVICE FOR MEASURING HOLOGRAM RECONSTRUCTION IMAGE BY VARYING VERGENCE OF INCIDENT WAVE, METHOD FOR MEASURING HOLOGRAM RECONSTRUCTION IMAGE USING THE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로그램 필름에 대한 다시점 영상을 측정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래피 기술은 빛의 간섭을 이용한 영상 기록법으로, 영상을 감상하는 시점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연속적인 이미지를 제공하거나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홀로그램 필름은 이러한 홀로그래피(holography)기법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간섭 무늬가 기록된 감광물질이며, 홀로그램 필름에 피사체가 정확하게 기록되었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카메라의 시점을 이동시켜 각각의 시점에 따른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은, 단일 광원을 홀로그램 필름에 입사시켜 광원이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재생광파를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하여 영상을 측정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기술은 입사광파의 출력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홀로그램 영상이 실상으로 결상되는 복수의 초점거리 또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홀로그램 영상의 초점거리 별로 카메라에 구비된 초점조절렌즈를 조절하거나 카메라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영상을 측정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11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6983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을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될 수 있도록 하여 홀로그램 필름에 의해 재현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의 품질을 측정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는, 관측거리에 따라 상이한 홀로그램 영상이 재현되는 홀로그램 필름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서로 다른 출력 거리를 갖는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렌즈의 중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광원 어레이 및 상기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상기 입사광파에 대한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의해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되,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재생광파의 초점거리별 홀로그램 영상을 고정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원은 상기 렌즈의 중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면서, 광원 간의 간격은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은,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는 상기 재생광파의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기 광축 상의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초점거리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재생광파의 초점거리별 홀로그램 영상 중 상기 기준위치에서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도록 상기 기준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광원이 선택적으로 점등됨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거리를 갖는 입사광파에 의해 상기 기준위치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영상을 고정된 위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를 평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은, 홀로그램 필름에 서로 다른 출력거리로 입사광파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상기 입사광파에 대한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의해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단계 및 광축을 따라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광축 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순차적으로 측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는 상기 재생광파의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는 상기 재생광파의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홀로그램 필름으로부터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재생광파의 모든 초점거리 중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1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제1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고, 상기 홀로그램 필름으로부터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재생광파의 모든 초점거리 중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제2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광원보다 상기 렌즈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제2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광원마다 상기 기준위치에 선택적으로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영상을 상기 기준위치에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킨 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홀로그램 영상이 적어도 하나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동작된 광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 중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다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홀로그램 영상이 재생성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초점거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 중 선택적으로 점등될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미리 추출하여, 미리 추출된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카메라의 움직임 없이 정해진 위치에서 홀로그램 재생 광파에서 서로 다른 초점거리의 영상을 측정할 수 있어 측정기구를 간소화하고 측정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재생영상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일 예가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영상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1)는 피사체의 간섭 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재현되는 홀로그램 영상의 초점거리별 영상을 고정된 시점에서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1)는 홀로그램 필름(50)에 서로 다른 출력 거리를 갖는 복수의 입사광파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에서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의 특정 초점에 대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1, 이하 측정장치)는 광원 어레이(100), 렌즈(200) 및 카메라(300)를 포함한다.
광원 어레이(100)는 측정 장치(1)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어레이(100)는 측정 장치(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측정 장치(1)의 중단부에 거치된 홀로그램 필름(50)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 어레이(100)는 복수의 광원(100_1, 100_2, 100_3)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광원(100_1, 100_2, 100_3)은 홀로그램 필름(50)에 서로 다른 출력 거리를 갖는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각각의 배치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원(100_1, 100_2, 100_3)은 후술하는 렌즈(200)의 광축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원(100_1, 100_2, 100_3)은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광원(100_1)은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광축을 따라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원(100_2)은 렌즈의(200)의 중점으로부터 광축을 따라 제2 거리(d2)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광원(100_3)은 렌즈의(200)의 중점으로부터 광축을 따라 제3 거리(d3)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작고, 제2 거리는 제3 거리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원(100_1, 100_2, 100_3)은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광축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100_1, 100_2, 100_3)의 광원 간의 간격은 광축을 따라 동일한 간격(d)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광원 간의 배치 거리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렌즈(200)로부터 멀어질수록 광원 간의 이격거리가 길어지도록 배치되거나 렌즈(200)로부터 멀어질수록 광원 간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배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광원의 개수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의 개수는 두 개 이상이기만 하면 그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렌즈(200)는 광원 어레이(100)와 홀로그램 필름(50)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계로, 어느 하나의 광원(100_1, 100_2, 100_3)로부터 출력되는 구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를 평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로 변경시켜, 입사광파가 홀로그램 필름(50)으로 일정 각도로 입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홀로그램 필름(50)을 통과한 입사광파를 촬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카메라(300)는 입사광파에 대한 홀로그램 필름(50)의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카메라(300)는 측정 장치(1)의 상단부에서 홀로그램 필름(50)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고정 배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300)에서 홀로그램 재생영상의 서로 다른 초점거리에 대한 영상이 측정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입사광파의 출력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1)는 제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미도시)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미도시)은 어느 하나의 광원(100_1, 100_2, 100_3)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특정 출력거리를 갖는 입사광파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미도시)은 카메라(미도시)를 제어하여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재생광파를 촬영함으로써,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재현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미도시)은 측정 장치(1)의 내부에 마련되어 측정 장치(1)의 구성 요소로 동작되거나, 측정 장치(1)의 외부에 마련되어 측정 장치(1)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측정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 모듈(미도시)는 측정 장치(1)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장치(1)의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의 일련의 과정들이 측정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측정 장치(1)는 홀로그램 필름으로 입사되는 입사광파의 출력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카메라(300)에서 재생광파의 서로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광원의 출력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에 따른 재생광파의 초점거리가 결정되는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광원이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광축을 따라 d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입사광파가 출력되면, 구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는 d1거리만큼 전파되어 렌즈(200)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렌즈(200)에 입사되기 직전의 면(U1)에 대한 구면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A1은 입사광파의 진폭을 나타내는 변수이고, d1은 렌즈의 광축을 z축이라고 할때, 광축 상에 위치한 구면 입사광파의 중심이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렌즈(200)의 투과율(transmittance, t1)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는 렌즈(200)의 초점거리이며, 미리 정해진 상수값이다.
입사광파가 렌즈(200)를 통과한 직후의 면(U2)에 대한 광파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후, 렌즈(200)를 통과한 입사광파가 d2 거리만큼 전파되어 홀로그램 필름(50)에 입사되기 직전의 면(U3)에 대한 광파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수학식 5의 Cin은 U3의 위치, 다시 말해 홀로그램 필름(50)에 입사되기 직전의 입사광파의 곡률(curvature)로, 광원의 위치에 따른 입사광파의 곡률에 따라 홀로그램 필름(50)을 통과한 광파인 재생광파의 초점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홀로그램 필름(50)의 투과율(tH)은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광파는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세 개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으며, 초점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홀로그램 영상(A, B, C)가 맺히게 된다. 즉, 관측자는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dA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홀로그램 필름(50)을 바라보면 제1 홀로그램 영상(A)을 감상할 수 있고,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dB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는 제2 홀로그램 영상(B)을 감상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dC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홀로그램 필름(50)을 바라보면 제3 홀로그램 영상(B)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홀로그램 필름(30)을 통과한 입사광파인 재생광파는 홀로그램 필름(50)을 통과하기 직전의 입사광파와 홀로그램 필름(50)의 투과율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이와 같이, 재생광파의 초점거리는 광원의 출력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구체적으로는 광원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여 재생광파의 초점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입사광파의 출력거리가 가까울수록 재생광파의 전체적인 초점거리는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광축 상의 기준위치에서는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대적으로 가까운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이 해당 기준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입사광파의 출력거리가 멀어질수록 재생광파의 전체적인 초점거리는 홀로그램 필름(50)쪽과 가까운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기준위치에서는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대적으로 먼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이 해당 기준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300)가 기준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경우, 입사광파의 출력위치 및 입사광파의 곡률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갖는 복수의 홀로그램 영상(A, B, C)를 고정된 위치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측정 장치(1)가 고정된 위치에서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을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일 예가 도시된 개념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장치(1)는 제1 광원 소자(200_1)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광원(100_1)에서 광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100_1)은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광원으로, 입사광파의 출력거리 또한 d1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입사광파의 출력거리(d1)가 렌즈의 초점거리(f)보다 짧고(d1<f), 입사광파의 곡률이 0보다 큰 경우(cin>0), 기준 위치에서는 제1 초점거리를 갖는 제1 홀로그램 영상(A)이 관측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도 3 및 수학식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파의 곡률은 렌즈(200)의 초점거리(f), 홀로그램 필름(50)과 렌즈(200) 사이의 이격거리(d2) 및 광원과 렌즈(200) 사이의 거리(d1)에 의해 결정되며, 이들 중 f와 d2의 값은 항상 고정된 값이므로, 결과적으로 입사광파의 출력거리(d1)에 의해 기준위치에서 형성되는 재생광파의 초점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렌즈(20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제1 광원(100_1)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면, 재생광파의 전체적인 초점거리가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재현되는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A, B, C) 중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1 홀로그램 영상(A)이 기준위치에서 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위치에 고정 배치된 카메라(300)는 제1 광원(100_1)이 점등되는 경우 제1 홀로그램 영상(A)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광원(100_1)으로부터 출력된 입사광파에 대한 촬영영상이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100_2)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입사광파의 출력거리(d2)에 의해 결정되는 입사광파의 곡률이 0인 경우(cin=0), 기준 위치에서는 제2 초점거리를 갖는 제2 홀로그램 영상(B)이 관측될 수 있다.
즉, 렌즈(200)로부터 제1 이격거리(d1)를 갖도록 배치된 제1 광원(100_1)보다는 상대적인 출력거리가 길고, 렌즈(200)로부터 제3 이격거리(d3)를 갖도록 배치된 제3 광원(100_3)보다는 상대적인 출력거리가 짧은 제2 광원(100_2)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면, 재생광파의 전체적인 초점거리는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평균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재현되는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A, B, C) 중 제2 홀로그램 영상(B)이 기준위치에서 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위치에 고정 배치된 카메라(300)는 제1 광원(200_1)이 점등되는 경우 제1 홀로그램 영상(B)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 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광원(100_3)을 점등시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300)가 제3 홀로그램 영상(C)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2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제3 광원(100_3)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면, 입사광파의 출력거리(d3)가 렌즈의 초점거리(f)보다 길고(d3>f), 입사광파의 곡률이 0보다 작게 되어(cin<0), 재생광파의 전체적인 초점거리가 홀로그램 필름(50)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재현되는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A, B, C) 중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제3 홀로그램 영상(C)이 기준위치에서 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위치에 고정 배치된 카메라(300)는 제3 광원(100_1)이 점등되는 경우 제3 홀로그램 영상(C)을 촬영할 수 있다.
요약하면,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제1 광원(100_1)에서 입사광파가 출력되는 경우, 카메라(300)는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생성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가까이에서 관측한 시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렌즈(200)의 중점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제3 광원(100_3)에서 입사광파가 출력되는 경우, 카메라(300)는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생성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멀리서 관측한 시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는 입사광파의 수렴도에 따른 재생광파의 전체적인 초점거리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100_1, 100_2, 100_3)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입사광파의 출력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재생영상 측정 방법과는 상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는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광원(100_1, 100_2, 100_3)에 의해 광축 상의 기준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별 홀로그램 영상을 고정된 시점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장치(1)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100_1, 100_2, 100_3)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측정 장치(1)는 제1 광원(100_1), 제2 광원(100_2), 제3 광원(100_3)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킨 후, 다시 제1 광원(100_1), 제2 광원(100_2), 제3 광원(100_3)을 동일한 순서대로 점등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 장치(1)는 제1 광원(100_1), 제2 광원(100_2), 제3 광원(100_3)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킨 후, 제3 광원(100_3), 제2 광원(100_2), 제1 광원(100_1) 순으로 광원을 점등시킬 수도 있다.
또는, 측정 장치(1)는 미리 정해진 순서가 아닌 임의로 선택된 광원을 하나씩 점등시킬 수도 있다.
또는, 측정 장치(1)는 광원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100_1, 100_2, 100_3) 중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영상의 특징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광원을 미리 선택하고, 선택된 광원만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장치(1)는 외부 장치로부터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영상의 초점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측정 장치(1)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홀로그램 필름(50)이 제1 깊이를 갖는 제1 객체와 제2 깊이를 갖는 제2 객체에 대한 두 개의 홀로그램 영상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깊이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광원(100_1)과 제2 깊이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할 수 있는 제2 광원(100_2)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측정 장치(1)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과정에서 측정 장치(1)에 구비된 모든 광원이 아닌, 선택된 제1 광원(100_1) 및 제2 광원(100_2)만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1)는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이 정상적으로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간섭무늬의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장치(1)는 미리 저장된 기준 영상과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특정 초점거리에서 측정된 홀로그램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장치(1)는 기준 영상과 촬영된 영상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경우 해당되는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이 다시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장치(1)는 홀로그램 영상의 제1, 2, 3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을 기준영상과 비교한 결과, 제1, 3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을 다시 생성해야 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정 장치(1)는 재생영상의 제2 초점거리에 대한 입사광파를 출력하는 제2 광원(100_2)을 제외한 나머지 광원들(100_1, 100_3)을 다시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홀로그램 영상의 제1, 3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을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측정 장치(1)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이 기준횟수 이상 반복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측정 장치(1)와 연동되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필름에 피사체에 대한 간섭 무늬가 정상적으로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필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및 기능을 가진 측정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측정 장치(1)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광원 어레이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광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710).
측정 장치(1)는 출력된 입사광파가 홀로그램 필름(50)을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재생광파 중 광축 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위치에서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홀로그램 필름(50)에 의해 생성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특정 깊이에 바라본 영상을 측정할 수 있다(720). 이때, 측정 장치(1)는 서로 다른 출력 거리를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재생광파의 초점거리를 순차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광축 상의 고정된 위치(기준위치)에 배치된 카메라(300)에서 홀로그램 영상의 서로 다른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영상을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과정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정 장치(1)는 모든 광원에 대한 촬영영상이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730의 YES) 촬영 과정을 종료하되, 모든 광원에 대한 촬영영상이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730의 NO) 미리 설정된 순서를 참조하여 다음 순서로 설정된 광원을 검색하고(740), 상술한 710 단계로 돌아가 검색된 광원에서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장치(1)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촬영과정이 종료된 이후, 카메라(300)에 의해 생성된 촬영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홀로그램 필름(50)에 기록된 피사체의 간섭무늬의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측정 장치
50: 홀로그램 필름
100: 광원 어레이
200: 렌즈
300: 카메라

Claims (15)

  1. 관측거리에 따라 상이한 홀로그램 영상이 재현되는 홀로그램 필름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렌즈의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렌즈를 통해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서로 다른 출력 거리를 갖는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렌즈의 중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는 광원 어레이; 및
    상기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상기 입사광파에 대한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의해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되,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재생광파의 초점거리별 홀로그램 영상을 고정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원은 상기 렌즈의 중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면서, 광원 간의 간격은 동일하도록 배치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은,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는 상기 재생광파의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기 광축 상의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초점거리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재생광파의 초점거리별 홀로그램 영상 중 상기 기준위치에서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도록 상기 기준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광원이 선택적으로 점등됨에 따라 서로 다른 출력거리를 갖는 입사광파에 의해 상기 기준위치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영상을 고정된 위치에서 획득하는, 광원의 순차 점등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어느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를 평면파 형태의 입사광파로 변경시키는,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7. 홀로그램 필름에 서로 다른 출력거리로 입사광파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입사광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필름을 통과한 상기 입사광파에 대한 재생광파를 촬영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의해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단계; 및
    광축을 따라 서로 다른 초점거리를 갖는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광축 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위치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순차적으로 측정되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는 상기 재생광파의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파의 출력거리에 반비례하는 상기 재생광파의 복수의 초점거리 중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측정하는 것은,
    상기 홀로그램 필름으로부터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재생광파의 모든 초점거리 중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1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제1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고,
    상기 홀로그램 필름으로부터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재생광파의 모든 초점거리 중 초점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제2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기준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광원보다 상기 렌즈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제2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광원마다 상기 기준위치에 선택적으로 재현되는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모든 초점거리에 대한 영상을 상기 기준위치에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킨 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특정 초점거리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홀로그램 영상이 적어도 하나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동작된 광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 중 상기 유사도 산출 과정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다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홀로그램 영상이 재생성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홀로그램 영상의 초점거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광원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광원 중 선택적으로 점등될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미리 추출하여, 미리 추출된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34478A 2018-03-26 2018-03-26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7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78A KR102072491B1 (ko) 2018-03-26 2018-03-26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78A KR102072491B1 (ko) 2018-03-26 2018-03-26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59A true KR20190112459A (ko) 2019-10-07
KR102072491B1 KR102072491B1 (ko) 2020-02-03

Family

ID=6842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78A KR102072491B1 (ko) 2018-03-26 2018-03-26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316B1 (ko) * 2021-11-04 2022-06-30 주식회사 정완컴퍼니 홀로그램 시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93B1 (ko) * 1997-07-10 2005-01-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 개의 벨트로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허리 탄성벨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204A (ko) * 2012-11-09 2014-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표시장치
KR20160019308A (ko) * 2014-08-11 2016-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래픽 영상에 대한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69830B1 (ko) 2015-10-01 2016-10-27 주식회사 미래기술연구소 홀로그램의 기록 및 기록된 홀로그램의 회절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KR20170011180A (ko) 2015-07-21 2017-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영상의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204A (ko) * 2012-11-09 2014-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표시장치
KR20160019308A (ko) * 2014-08-11 2016-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래픽 영상에 대한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11180A (ko) 2015-07-21 2017-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홀로그램 영상의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69830B1 (ko) 2015-10-01 2016-10-27 주식회사 미래기술연구소 홀로그램의 기록 및 기록된 홀로그램의 회절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316B1 (ko) * 2021-11-04 2022-06-30 주식회사 정완컴퍼니 홀로그램 시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491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4692B (zh) 车辆定损图像获取方法及装置
KR102083875B1 (ko) 홀로그래픽 영상에 대한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US9530213B2 (en) Single-sensor system for extracting depth information from image blur
RU26684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зображения в трехмерном масштабе,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3D-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писи изображения в трехмерном масштабе
JP6202910B2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BR102012020775B1 (pt) aparelho de captura de imagem,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imagem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de imagem para geração de informação auxiliar para a imagem capturada
CN104052919A (zh) 摄像装置、摄像系统及信号处理装置
JP2014153890A5 (ko)
KR20150081010A (ko) 홀로그램 재현 영상의 시야각 측정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072491B1 (ko) 입사광파의 수렴도 가변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N104581137A (zh) 检测设备、摄像设备、摄像系统和检测设备的控制方法
KR20100080704A (ko) 영상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장치
KR101875515B1 (ko)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소자를 활용한 구조 입사 3차원 굴절률 토모그래피 장치 및 방법
JP612054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処理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WO201602131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R2996925A1 (fr) Procede de conception d&#39;un imageur monovoie passif capable d&#39;estimer la profondeur
KR101404183B1 (ko) 홀로그램 생성 장치 및 방법
JP608771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2072485B1 (ko) 광원의 순차 점등 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장치,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재생영상 측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00358186A (ja) 自動的に焦点の合った画像を選択する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方法
JP6882266B2 (ja) ピクセルビームを表すデータ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US9232132B1 (en) Light field image processing
JP2015001791A (ja) 画像解析装置
JP6391086B2 (ja) ディジタルホログラフィによる音場3次元画像計測方法および音再生方法
KR20170079441A (ko) 진동 환경에서 큰 단차를 갖는 샘플의 높낮이 측정을 위한 디지털 홀로그램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