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815A -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815A
KR20190111815A KR1020190032480A KR20190032480A KR20190111815A KR 20190111815 A KR20190111815 A KR 20190111815A KR 1020190032480 A KR1020190032480 A KR 1020190032480A KR 20190032480 A KR20190032480 A KR 20190032480A KR 20190111815 A KR20190111815 A KR 2019011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a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4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2406B1 (en
Inventor
조귀형
Original Assignee
엠지엘 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지엘 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지엘 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339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82416A1/en
Publication of KR2019011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8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2Inhalators with activated or ionised fluids, e.g. electrohydrodynamic [EHD] or electrostatic devices; Ozone-inhalators with radioactive tagged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or which can be worn or carried on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mprising: a casing part having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surface thereof; a negative ion discharge part mounted to be exposed 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asing part to discharge negative ions to the outside; a battery part mounted within the casing part to supply current to the negative ion discharge part; and a resistance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negative ion discharge part and the battery part to increase resistivity of the current.

Description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worn or carried by the user.

근래 들어, 인체에 유해한 자동차 매연, 먼지, 알레르기 항원 등에 의해 대기가 오염되고 있다. 한편 공기 중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산소, 탄소가스, 질소, 수소 등의 미립자나 분자들이 떠돌아 다니는데, 이들 각각은 전자를 잃어 양(+)의 전기를 띤 양이온이나 전자를 얻어 음(-)의 전기를 띤 음이온으로 존재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air is polluted by automobile fumes, dust, allergens and the like, which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in the air, invisible particles and molecules such as oxygen, carbon gas, nitrogen, and hydrogen are floating around, each of which loses electrons and gets positive (+) positive cations or electrons to generate negative electricity. It can exist as a negative ion.

일반적으로 음이온은 각종 악취를 제거하고, 유기물질을 침전시켜 공기를 정화하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숲 속이나 폭포, 온천 등과 같이 자연에서 인체가 느끼는 상쾌함은 음(-)전하를 띈 공기 중에 음이온 때문이며, 음이온이 인체로 흡수되면 세포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활력을 증진시키며, 피를 맑게하고 신경 안정과 피로 회복, 식욕 증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general, negative ion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removing various odors, purifying air by precipitating organic substances, and removing electromagnetic waves harmful to the human body. In other words, the freshness felt by the human body in nature such as in forests, waterfalls, and hot springs is due to negative ions in the air that charge negative charges. When negative ions are absorbed by the human body, they promote metabolism, promote vitality, and clear blood. It is known to have effects of nerve stabilization, fatigue recovery and appetite enhancement.

최근에 음이온이 갖는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로 인해 이를 응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음이온 공기 청정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음이온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 중의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한편, 음이온을 발생시켜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함으로써 실내를 더욱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Recently, due to various useful effects of anions, various products using the same have been disclosed. Representatively, anionic air purifiers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The negative ion air purifier removes various contaminants in the indoor air, and generates an anion and discharges the air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thereby keeping the room more comfortable.

또한 공기 중에서 생성되는 음이온은 대부분이 산소 음이온이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실내, 또는 차량 내부와 같이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에 음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할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숲속에서와 같이 청정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negative ions generated in the air are oxygen negative ions, when a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room such as a home or office, or in a vehicle where air circulation is not smooth, a clean environment such as in a forest can be created at low cost. can do.

그러나, 종래의 음이온 발생 장치는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를 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음이온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because of its large volume, and when it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ere is a problem that a sufficient amount of negative ions cannot be generated.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9720호(공고일: 2014년 8월 14일)<Previous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4141920 (Notification Date: August 14, 201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분한 음이온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a us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and securing a sufficient amount of negative ions.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구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방출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음이온 방출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음이온 방출부와 상기 배터리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류의 저항률을 증가시키는 저항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asing portion formed with a connector; An anion discharging unit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unit and discharging anions to the outside; A battery part installed inside the casing part and supplying current to the negative ion emitting part; And a resistanc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anion dis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unit to increase the resistivity of the current.

상기 저항부재는 저항 플레이트이며, 상기 저항 플레이트는 중앙에 일정면적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철영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resistance member may be a resistance plate, and the resistance plate may have a hollow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enter thereof, and an uneven regio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based on the hollow portion.

상기 저항 플레이트의 평면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저항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plane of the resistance plate,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resistance plate.

상기 케이싱부의 일측면에는 커버판이 장착되고, 상기 커버판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저항부재는 저항 플레이트이며, 상기 저항 플레이트에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주위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A cover plat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ing part,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the resistance member is a resistance plate, and a hollow par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sistance plate. A fastening hol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상기 저항부재는 와이어 형태의 저항선이며, 상기 저항선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resistance member may be a resistance wire in the form of a wire, and the resistance wire may include at least one bent portion.

상기 저항부재는 금속 망으로 이루어진 저항띠이며, 상기 저항띠는 권취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The resistance member is a resistance band made of a metal mesh, and the resistance b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part in a wound state.

상기 케이싱부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부재, 및 상기 자성부재의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설치 대상면에 접착되도록 적어도 한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made of at least one magnetic member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portion, and a material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ember, and at least one surface is made of an adhesive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상기 연결구는,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장된 고정형의 연결구이며, 상기 고정형의 연결구는 중심에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양 단부에 체인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The connector is a fixed type connector that extends integ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portion, the fixed type connector is forme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he ends of the chain member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extension, respectively It may be connected in a stat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걸이 형태로 착용할 수 있어 외부 오염원으로 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에 전류의 저항을 증대하기 위한 저항부재가 장착되어 충분한 음이온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worn in the form of a necklace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user's respiratory organs from external polluta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resistance member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current inside the casing has the effect of ensuring a sufficient amount of negative ions gen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후방측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배터리부와 음이온 발생기와 PCB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저항 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저항 플레이트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저항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고정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의 일 구성인 고정형 연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from a different angle,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id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unit and the negative ion generator and the PCB of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plate of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sistance plate of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FIG. 9;
12 to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sistance member of th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x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connecto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the meaning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as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는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부(10)를 포함하고, 케이싱부(10)의 상단에는 연결구(13)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10)의 상단의 일부에는 경사면(12)이 형성된다. 이 경사면(12)에는 대기로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음이온 방출부(30)가 제공된다. 또한 음이온 방출부(30)의 둘레에는 오목한 형태의 방출홈(15)이 형성된다. 1 to 3, the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portion 10 constituting the body, the connector 13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ing portion 10, the casing portion 10 An inclined surface 12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top of the. The inclined surface 12 is provided with an anion discharging portion 30 for discharging anions into the atmosphere. In addition, a concave discharge groove 15 is formed around the anion discharge unit 30.

여기서 음이온 방출부(30)는 경사면(12)에 대응되게 케이싱부(10)의 상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방출부(30)는 연결구(13)에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목걸이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이온 방출각도가 사용자의 호흡기 주변이 되도록 음이온 방출부(30)의 설치각도를 고려하여 구성한다. Here, the negative ion discharging part 30 is installed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part 10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surface 12. Preferably, the anion discharging unit 30 can be worn by the user in the form of a necklace by connecting the chain to the connector (13). In this case, the anion release angle is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anion release unit 30 to be around the user's respirator.

또한 케이싱부(10)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전방과 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면(11)이 제공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파지면(11)의 측면에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부(20)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casing part 10 is provided with a gripping surface 11 in which portions of the front and side surfaces are concave so as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ide of the gripping surface 11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unit 20 for charging power.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부(10)의 후면에는 케이싱부(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판(80)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판(80)은 고정볼트(B)를 통해 케이싱부(80)에 고정된다. 또한 케이싱부(10)의 후면의 하단에는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부재(51)가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4, a cover plate 80 that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casing part 1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part 10. Preferably, the cover plate 80 is fixed to the casing portion 80 through the fixing bolt (B).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back of the cas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on-off member 51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는 케이싱부(10)의 상단에 연결구(13)를 형성하고, 이 연결구(13)에 체인을 연결하여 목걸이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부(10)의 경사면(12)에 형성된 음이온 방출부(30)는 사용자의 호흡기측으로 음이온을 발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기 측으로 미세먼지나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대기 오염원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nector 13 at the upper end of the casing part 10 and connects the chain to the connector 13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like a necklace. At this time, the negative ion emitting portion 30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2 of the casing portion 10 may emit negative ions toward the user's respiratory side.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inflow of fine dust or dust to the user's respiratory side can protect the user from air pollution.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는 케이싱부(10)의 내부에 음이온 발생기(60)를 수용하고, 이 음이온 발생기(60)의 상단에 음이온 방출 포스트(31)가 돌출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케이싱부(10)의 경사면(12)에 형성된 방출홈(15)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케이싱부(10)의 내부에는 커버판(80)의 장착을 위한 복수의 체결 보스(16)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부(10)의 하부에는 PCB(50)가 장착되고, 이 PCB(50)에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 부재(5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케이싱부(10)의 하부면에는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작동 LED(57)가 연결된다. 아울러 PCB(50)에는 단자(22)가 장착된 충전 허브(21; 통상의 마이크로 5핀 충전 단자가 적용)가 연결되어 충전 단자부(20)를 구성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5 to 7,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negative ion generator 60 inside the casing portion 10, and an anion release post () on the top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60. 31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and is exposed to the discharge groove 15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12 of the casing portion 10. Meanwhile,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6 for mounting the cover plate 80 are formed in the casing part 10. In addition, a PCB 50 is mounted below the casing part 10, and the on / off member 51 for supplying and blocking p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50.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D (57) for expressing the operation state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CB 5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hub 21 (a conventional micro 5-pin charging terminal is applied) equipped with a terminal 22 to configure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

또한 케이싱부(10)의 내부에는 배터리부(40)가 장착된다. 이때 배터리부(40)는 온오프 부재(51)에 의해 전원 공급에 대한 온/오프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배터리부(40)는 충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40)는 PCB(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허브(21)에 장착된 단자(22)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부(40)는 음이온 발생기(60)로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battery unit 40 is mounted inside the casing unit 10. At this time, the battery unit 40 is on / off control for the power supply by the on-off member 51. In addition, the battery unit 4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In addition, the battery unit 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22 mounted on the charging hub 21 to receive external power to charge the battery 40. The battery unit 40 serves to provide power to the negative ion generator (60).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판(80)에는 다수의 고정돌기(82)가 돌출 형성되고, 커버판(80)의 상단에는 연결구(13)가 연장형성되고 커버판(80)의 하단에는 고정후크(81)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13)의 양측에는 체결 보스(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판(80)은 도 10과 같이 케이싱부(10)의 내부에 고정후크(81)가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B)를 통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커버판(80)에는 저항 플레이트(70)가 장착된다. 저항 플레이트(70)는 다수의 체결공(h1; 도 13 및 도 14)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h1,h2)에 커버판(80)의 고정돌기(82)가 삽입됨으로써 저항 플레이트(70)가 설치된다. 8 to 11, the cover plate 80 ha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82 protrudingly formed, the upper end of the cover plate 8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 is formed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plate 80 The fixing hook 81 is formed. In addition, the fastening boss 16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13). The cover plate 8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astened and fixed through the fixing bolt B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hook 81 is mounted inside the casing 10. In this case, the resistance plate 70 is mounted on the cover plate 80. The resistance plate 7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h1 (FIGS. 13 and 14) formed therein, and the fixing protrusions 82 of the cover plate 80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h1 and h2 to thereby resist the plate 70. ) Is installed.

도 8을 참조하면, 저항 플레이트(70)는 배터리부(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PCB(50)에 일측 부분이 접지되고, 저항 플레이트(70)의 타측 부분에는 음이온 발생기(60)의 일측 전극(61 또는 62)이 접지된다. 이때 배터리부(40)는 전선(75)을 통해 PCB(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여기서 저항 플레이트(70)는 음이온 발생기(60)로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저항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8, one side of the resistance plate 70 is grounded to the PCB 50 to which the battery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one side electrode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6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sistance plate 70. 61 or 62) is grounded. In this case, the battery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50 through the wire 75.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plate 70 serves to increase the resistivity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negative ion generator (6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저항 플레이트(70b,70c)는 평판형 금속 플레이트로 제공된다. 또한 플레이트의 중앙은 중공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로서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3 and 14, the resistance plates 70b and 70c are provided as flat metal plates. In addition, a hollow par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llustrated as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center may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한편 저항 플레이트(70b)는 도 13과 같이 중공부를 기준으로 외주면(72a)에 전류의 저항률을 보다 증대하기 위해 요철영역(71a)이 형성된다. 또한 도 14와 같이 중공부를 기준으로 내측영역에만 요철영역(7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의 저항률을 보다 더 증대하기 위해 도 9 및 도 11과 같이 중공부를 기준으로 내외측면 모두에 요철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plate 70b is formed with an uneven region 71a to increase the resistivity of the curre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72a based on the hollow portion as shown in FIG. 13. Also, as shown in FIG. 14, the uneven region 73 may be formed only in the inner region based on the hollow portion. Preferably,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resistivity of the current,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concave-convex region may be formed on both the inner and outer sides based on the hollow part.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한 저항 플레이트(70,70b,70c)대신에 복수의 절곡부(75a,75b)가 형성된 선(wire)형태의 저항선(70a)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간단한 구조로 저항률을 증대하기 위한 방식으로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75a,75b)의 형상은 다양한 곡률이나 패턴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2, instead of the resistance plates 70, 70b and 70c, a wire resistance line 70a having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75a and 75b may be applied. This can be adopted as a way to increase the resistivity with a simple structur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ent portion (75a, 75b) can be provided to have a variety of curvature or pattern, of cours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는 종래의 목걸이 팬던트 형상으로 케이싱부(10)를 구성하고, 케이싱부(10)의 연결구(13)에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목걸이 형태로 착용할 경우, 음이온 방출부(30)가 사용자의 호흡기 측을 음이온을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분진이나 미세머지 등과 같은 오염물이 사용자의 호흡기 주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 casing portion 10 in the shape of a conventional necklace pendant, and connects a chain to the connector 13 of the casing portion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it around the neck. have. In addition, the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wearing in the form of a necklace, the negative ion emitter 30 is to release the negative ions on the user's respiratory side, such as external dust or fine contaminants such as dust around the user's respiratory tract Inflow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는 음이온 발생기(60)에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저항률을 높이도록 저항부재가 케이싱부(10)의 내부에 적용된 구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sistance member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portion 10 to increase the resistivity with respect to the current supplied to the negative ion generator 60.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다양한 저항부재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mbodiment of various resistance memb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hrough 16.

먼저 도 12와 같이 저항부재로서 금속 플레이트 또는 금속선(저항선; 70a)이 제공될 수 있어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 형태의 저항선(70a)의 일부를 구부려 다수의 절곡부(75a,75b)를 형성한 저항부재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한 구조로 전류의 저항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2, a metal plate or a metal wire (resistance wire; 70a) may be provided as the resistance member, thereby miniaturizing the portable anion generator.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stance member bent a portion of the resistance wire (70a) of the wire form to form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75a, 75b). Therefore, the simple structure can increase the resistivity of the current.

아울러 도 13과 같이 금속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저항 플레이트(70b)의 외주면에 요철영역(71a)을 형성하여 저항률을 증대할 수 있으며, 도 14와 같이 저항 플레이트(70c)의 내주면에 요철영역(73)을 형성하여 저항률을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외주면의 일부에만 요철영역(71a 및 73)을 형성한 형태의 저항 플레이트(70b 및 70c)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as shown in Figure 13, in this case, by forming an uneven region 71a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sistance plate 70b can increase the resistivity, as shown in Figure 14 The resistivity can be increased by forming the uneven region 7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is way, it may be provided as the resistance plates 70b and 70c having the uneven regions 71a and 73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또한 도 15와 같이 저항부재는 긴 띠형상의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저항띠(70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띠(70d)는 스테인레스 망을 폭 15mm, 길이 250mm 내외로 잘라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도 16과 같이 권취시켜 그 길이가 15mm 정도되도록 줄여서 케이싱부(10)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resistance member may be formed of a resistance band 70d formed of a long band-shaped metal mesh. For example, the resistance band 70d may be formed by cutting a stainless steel mesh into a width of 15 mm and a length of 250 mm, and winding it as shown in FIG. 16 to reduce the length thereof to about 15 mm so that the casing part 10 may be compactly installed. Can be.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음이온 발생 장치(100)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활동시 음이온 발생 장치(100)가 쉽게 유동하여 음이온 방출구(30)가 사용자의 호흡기 측에 대응하지 못한 지점에 위치되는 경우가 종종발생될 수 있다. 17 and 18, th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neck. Therefore, when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100 is easily flown during the activity, the negative ion outlet 30 may be often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user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spiratory side of the user.

즉,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경우 활동시 음이온 발생장치(100)가 쉽게 유동하여 사용자의 호흡기가 아닌 다른 각도로 음이온을 발생시켜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That is, when worn on the user's neck,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100 easily flows during the activity to generate negative ions at a different angle than the respirator of the user, thereby raising a concern that it may not exhibit good performa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이온 발생 장치(100)의 외측면에 자성부재(110)를 설치하고, 이 자성부재(110)의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철성분이나 자석성분을 갖는 고정판(3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고정판(300)의 일측면에는 접착부재(양면 접착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 피복의 천부재(200) 내외측 중 어디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이온 발생장치(100)의 자성부재(110)가 천부재(200)에 부착된 고정판(300)에 자기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활동 중에도 음이온 발생장치(100)가 쉽게 유동되어 음이온 방출부(30)의 음이온 방출각도가 호흡기 주변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magnetic member 11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100, to provide a fixed plate 300 having an iron component or a magnetic component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ember 110. Can be. At this time, by attaching an adhesive member (double-sided adhesive tape)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00,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ywhere inside and outside the cloth member 200 of the user coating. Accordingly, the magnetic member 110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100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the magnetic force on the fixing plate 300 attached to the cloth member 200.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100 can be easily flowed even during the activity to prevent the negative ion release angle of the negative ion emitter 30 from leaving the respiratory circumference.

도 19를 참조하면, 자성부재(110)는 케이싱부(10)의 뒷면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충전 단자부(20)의 외주면을 덮도록 금속의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magnetic member 110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part 1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tal housing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rging terminal part 20.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케이싱부(10)의 케이싱부(10)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장된 고정형의 연결구(80a)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20, it can be configured as a fixed connector 80a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portion 10 of the casing portion 10.

구체적으로 고정형의 연결구(80a)는, 중심에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81,82)를 형성하고, 연장부(81,82)의 양 단부에 체인부재(85)의 단부가 각각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리형의 연결구(도 2의 도면부호 13 참조)보다 연결구가 체인부재(85)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고리형 연결구는 활동시 쉽게 유동될 수 있어 음이온 방출구(30)의 방출각도가 호흡기에 대응되지 못하는 경우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과 같이 체인부재(85)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고정형의 연결구(80a)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ed connector 80a forms extension portions 81 and 82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and end portions of the chain members 85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s 81 and 82, respectively. Connection is establish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low of the connector from side to side in the chain member 85 than the annular connector (see reference numeral 13 in FIG. 2). That is, the annular connector can be easily flown during the activity may occur when the release angle of the negative ion outlet 30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spirator.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 problem can be improved by configuring a fixed type connector 80a connected in a fixed state as shown in FIG. 2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 케이싱부
11: 파지면
12: 경사면
13: 연결구
15: 방출홈
20: 충전 단자부
30: 음이온 방출부
40: 베터리부
50: PCB
51: 온오프 부재
60: 음이온 발생기
61: 음(-)전극
62: 양(+)전극
70: 저항 플레이트
70d: 저항띠
80: 커버판
80a: 고정형 연결구
85: 체인부재
81: 고정후크
82: 고정돌기
100: 음이온 발생 장치
110: 자성부재
200: 천부재
300: 고정판
10: casing part
11: grasping
12: slope
13: connector
15: release groove
20: charging terminal
30: negative ion emitting part
40: battery compartment
50: PCB
51: on-off member
60: negative ion generator
61: negative electrode
62: positive electrode
70: resistance plate
70d: Resistance Band
80: cover plate
80a: fixed connector
85: chain member
81: fixed hook
82: fixing protrusion
100: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110: magnetic member
200: cloth member
300: fixed plate

Claims (8)

연결구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방출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음이온 방출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음이온 방출부와 상기 배터리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류의 저항률을 증가시키는 저항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A casing portion in which a connector is formed;
An anion discharging unit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unit and discharging anions to the outside;
A battery part installed inside the casing part and supplying current to the negative ion emitting part; And
And a resistanc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anion discharging unit and the battery unit to increase the resistivity of the cur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저항 플레이트이며,
상기 저항 플레이트는, 중앙에 일정면적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철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stance member is a resistance plate,
The resistance plate is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enter, the uneven reg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llow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플레이트의 평면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저항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plane of the resistance plate,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casing portion, th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resistanc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의 일측면에는, 커버판이 장착되고, 상기 커버판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저항부재는, 저항 플레이트이며,
상기 저항 플레이트에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주위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ver plat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ing part, an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The resistance member is a resistance plate,
The resistance plate,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round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into which the fixing projection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와이어 형태의 저항선이며,
상기 저항선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stance member is a wire in the form of a resistance wire,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ance line, at least one bent portion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금속 망으로 이루어진 저항띠이며,
상기 저항띠는, 권취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stance member is a resistance band made of a metal mesh,
The resistance strip is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casing portion in a wound stat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부재, 및
상기 자성부재의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설치 대상면에 접착되도록 적어도 한면이 접착면으로 이루어진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t least one magnetic member installed outside the casing portion, and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late made of a material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membe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adhesiv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장된 고정형의 연결구이며,
상기 고정형의 연결구는, 중심에서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양 단부에 체인부재의 단부가 각각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a fixed type connector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portion,
The fixed connector is a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he ends of the chain member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 respectively.
KR1020190032480A 2018-03-23 2019-03-21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 KR102222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397 WO2019182416A1 (en) 2018-03-23 2019-03-22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71 2018-03-23
KR20180033971 2018-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15A true KR20190111815A (en) 2019-10-02
KR102222406B1 KR102222406B1 (en) 2021-03-04

Family

ID=6842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480A KR102222406B1 (en) 2018-03-23 2019-03-21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40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77B1 (en) * 2020-09-21 2021-12-08 (주)윈윈코리아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KR102352304B1 (en) * 2021-10-14 2022-01-17 (주)이온케어스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or
KR20220063338A (en)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Self-Generated Portable Ion Generator
KR20230054177A (en) 2021-10-15 2023-04-24 최정환 minus ion gen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95B1 (en) * 2003-08-13 2006-07-0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Ion-generating component, ion-generating unit, and ion-generating apparatus
KR20090084429A (en) * 2008-02-01 2009-08-0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ith anion and cation producer for a vehicle
KR20110010053U (en) * 2010-04-19 2011-10-26 영 섭 신 Cellular phone holder for car
KR101419720B1 (en) * 2013-01-09 2014-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device of generating negative 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95B1 (en) * 2003-08-13 2006-07-0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Ion-generating component, ion-generating unit, and ion-generating apparatus
KR20090084429A (en) * 2008-02-01 2009-08-0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ith anion and cation producer for a vehicle
KR20110010053U (en) * 2010-04-19 2011-10-26 영 섭 신 Cellular phone holder for car
KR101419720B1 (en) * 2013-01-09 2014-08-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device of generating negative 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77B1 (en) * 2020-09-21 2021-12-08 (주)윈윈코리아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KR20220063338A (en)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Self-Generated Portable Ion Generator
KR102352304B1 (en) * 2021-10-14 2022-01-17 (주)이온케어스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or
KR20230054177A (en) 2021-10-15 2023-04-24 최정환 minus ion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406B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406B1 (en)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negative ion
CN102015053B (en) Secure web based transactions
KR200329002Y1 (en) Nose mask for negative ion release and dust prevention
US20040216745A1 (en) Electronic human breath filtration device
US20030154983A1 (en) Personal air filtering device
KR20210004492A (en) An electric powered mask
US20110126828A1 (en) Personal air purifier
KR200474765Y1 (en) Necklace type anion wind generator
WO2011105728A2 (en) Portable air cleaner
US20220226678A1 (en) Mask
KR102062236B1 (en) Necklace for anion emission
US20210394197A1 (en) Anti-virus mask
KR20170031956A (en) Neck band typee anion generating apparatus
JP3224950U (en) Breathing mask
US20220062664A1 (en) Potential Feedback Human Breath Filtration Device
KR20210043228A (en) Portable air freshener
GB2402337A (en) Air Purifier
WO2019182416A1 (en) Portable negative ion generator
US20220054866A1 (en) Air purification mask
US20050142045A1 (en) Vehicular Photoelectron air purifier
KR100427086B1 (en) dust collector for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s
KR102336477B1 (en) Portable anion generating device
CN212430544U (en) Small night lamp
KR20220002918U (en) Airborne virus and airborne bacteria reduction device
CN210097198U (en) Portable air cleaner and wearable filter assembly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