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926A -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926A
KR20190110926A KR1020180107229A KR20180107229A KR20190110926A KR 20190110926 A KR20190110926 A KR 20190110926A KR 1020180107229 A KR1020180107229 A KR 1020180107229A KR 20180107229 A KR20180107229 A KR 20180107229A KR 20190110926 A KR20190110926 A KR 2019011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
output device
light emitting
optic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석 filed Critical 노진석
Priority to KR102018010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926A/en
Publication of KR2019011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9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output device for a vehicle can be provided in or attached to a vehicle, and comprises: a first plate of which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an area of one surface; a light emitting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of which at least an area protrudes in an opposite surface direction of a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plate in at least an area thereof.

Description

차량용 광출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Automotive optical outpu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부착가능한 광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광 출력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light output device provided or attachable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capable of light output.

최근,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서 개인의 개성과 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 부착시키는 차량 용품 내지 튜닝 용품에 대한 수요 및 관련 시장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utomobiles have been developed as a means for expressing individual personality and emotions beyond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ccordingly, the demand and related markets for vehicle goods or tuning goods to be attached to vehicles are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차량용품 내지 튜닝용품으로서 빛 또는 컨텐츠를 발광하여 차량의 미려함을 더해주는 용품이 다수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튜닝용품은 예컨대, 도 1과 같이 차량의 도어와 인접한 영역(예: 도어 스텝)에 설치되는 도어 스커프, 도어 내측 손잡이 부분에 적용되는 도어캐치 등이 있다. 도 1에서는 도어 스커프와 도어캐치의 예시만 도시되어 있으나, 컵홀더, 좌석 등에 다양한 형태의 광출력 장치가 튜닝용품으로서 제공되고 있다.As such a vehicle article or a tuning article, a lot of articles have been produced that emit light or contents to add beauty to a vehicle. Such a tuning article includes, for example, a door scuff installed in an area (eg, a door step) adjacent to a door of a vehicle, a door catch applied to a door inner handle portion, and the like. In FIG. 1, only an example of a door scuff and a door catch is shown, but various types of light output devices are provided as tuning products such as cup holders and seats.

상기와 같이 차량에서 사용되는 도어 스커프와 같은 광출력장치는 내부에 방출하는 발광수단이 존재하고, 인쇄층 상의 투과성 있는 영역이 상기 발광된 빛에 의해 노출되는 형태로 구동되는 방식이다. As described above, an optical output device such as a door scuff used in a vehicle has a light emitting means emitting therein, and a transmissive area on the printed layer is driven in such a manner as to be exposed by the emitted light.

그러나, 기존의 광출력 장치는 기기 내부의 LED 등의 발광수단에서 발생되는 빛번짐, 도트 효과 등에 따라 인쇄층이 온전히 발광되지 못하고 불균형한 빛의 파장이 미려함을 떨어뜨린다는 한계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printed layer does not completely emit light due to light bleeding, dot effect, etc. generated from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LEDs inside the device, and the unbalanced wavelength of light drops the beauty.

또한, 기존의 광출력장치는 복수의 판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부분의 마감이 디테일하게 처리되지 못하여 내부에 물이 스며드는 등 방수/방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also has a problem that is not susceptible to waterproof / dustproof, such as water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portion is not processed in detail in the process of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출된 것으로서, 광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각 판의 형태와 발광 모듈의 방향 설정을 기반으로 방수/방진 기능이 뛰어나면서 보다 명확하게 광출력을 할 수 있는 광출력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ght output / dustproof function is excellent and more clearly based on the shape of each plate constituting the optical output device and the direction setting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more cle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output device capable 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광출력장치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부착 가능한 광출력장치로서,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발광 모듈; 상기 제1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판; 및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2판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관통부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3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은, 상기 제1판의 안착홈이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상기 제2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판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output device provided or attachable to a vehicle, the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late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A light emitting modul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including a protrus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mbined with the first plate;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art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late so as to fit into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first plate is seated on the first plate. 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plate such that the groove is position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emits ligh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plate, the light output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를 구성하는 하판, 중판 및 상판에서, 상기 중판이 돌출부를 가져 상기 상판의 관통부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판, 제2판 및 제3판의 테두리를 특정 형태로 감싸는 몰딩부가 구비됨으로써 방수 기능이 개선된 광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lower plate, the middle plate and the upper plate constituting the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plate has a protrusion and is fitted with the through portion of the upper plate,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The molding part surrounding the edge in a specific shape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optical output device having improved waterproof function.

또한,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형태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광비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반사제한부가 상판에 구비됨으로써 노이즈 광을 배제하여 보다 명확하게 광출력이 가능한 광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reflection limiting portion formed of an optically transmissive material so that the form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not directly exposed to provide a light output device that can more clearly output the light without noise noise can do.

또한,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광출력장치의 하부면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반사부재를 통해 빛이 간접 조명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빛번짐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upl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output device and the light is indirectly illuminated through the reflective member to minimize the light bleeding effec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광출력장치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차량용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발광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들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발광 모듈을 구비하는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와 다른 형태로 구현된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vehicle article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or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a light emission pattern of a conventional light output device with a light emission pattern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fference between a direction in which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and a direction in which a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including two light emitting modu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FIG. 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work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하판', '중판' 및 '하판'은 '제1판', '제2판' 및 '제3판'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의 숫자가 각 판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임의의 숫자가 해당 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used herein, 'bottom plate', 'mid plate' and 'bottom plate' may be referred to as 'first edition', 'second edition' and 'third edition', and the number of these editions is the order of each e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number can be applied to the edition as it is not determ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을 비교한 예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a light emission pattern of a conventional light output device with a light emission pattern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광출력장치(100)는 도어스커프 외에 도어캐치, 컵홀더 또는 플레이트 등 차량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크기, 재질 및 형상의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광출력장치(100)의 실시예로서 도어 스커프와 도어 캐치를 예시로 기재하거나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materials, and shapes that can be used in a vehicle such as a door catch, a cup holder, or a plate in addition to the door scuff.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scuff and the door catch are illustrated or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출력장치(100)는 상판(110), 중판(120) 및 하판(13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lower plate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하판(110)은 중판(120)과 상판(130)을 지지하고, 발광 모듈(140)이 삽입 또는 구비되어 광원을 발산하거나 반사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판(110)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가공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이 있는 재질 예컨대, 광확산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현될 수 있다. 광확산 PC는 광확산 PC 85, 광확산 PC 80, 광확산 PC 7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plate 110 supports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or provided to emit or reflect a light source. The lower plate 110 may be processed into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for example, light diffusing polycarbonate (PC). As the light diffusion PC, light diffusion PC 85, light diffusion PC 80, light diffusion PC 70,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판(110)에는 발광 모듈(140)이 삽입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안착홈(115)은 광출력장치(100)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최장변에 따른 길이 방향으로 홈파기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광출력장치(100)가 곡면 내지 원주를 가지게 되면, 안착홈(115)은 광출력장치(100)의 형태에 따라 특정 R값을 가지는 곡면 또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주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The lower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15 into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When the mounting groove 115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formed by a groove digging meth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est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100 has a curved surface to a circumference, the seating groove 115 is process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specific R value or a circumferenti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May be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착홈(115)은 발광 모듈(140)과 비교하여 미세한 차이 즉, 소정 임계값 미만의 길이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이 안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안정된 유격을 제공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15 is formed larger than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with a fine difference, that is, a length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o allow the light emitting module to be seate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table play.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하판(110)의 일면(예: 하부면)은 일반 시트지를 인쇄 또는 코팅함으로써 마감처리할 수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재(예: 반사 시트지)가 부착될 수 있다. 반사부재가 부착되는 경우, 발광 모듈(140)에서 방출된 빛의 확산력이 더 좋아지게 되며, 이러한 반사 시트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어떤 형태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에든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One surface (eg,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may be finished by printing or coating general sheet paper, bu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flective member (eg, reflective sheet paper) may be attached. When the reflective member is attached, the diffusing powe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becomes better,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eflective shee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y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중판(120)은 하판(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문자/로고 등이 인쇄된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125)가 형성된다. 출력 영역은 하판(110)에 구비된 발광 모듈(140)에서 방출되는 빛이 외부로 선택적 투과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125)의 출력 영역에 포함된 문자 또는 로고는 빛이 투과되도록 인쇄/파내기 가공이 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에는 특정 색이 외부면에 인쇄되거나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중판(120) 또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하판과 마찬가지로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예: 아크릴, 광확산 PC 등)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iddle plate 12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0, and a protrusion 125 including an output area in which letters / logos and the like are printed is formed. The output area may output content desired by a user by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provided in the lower plate 110 to the outside. For example, a letter or logo included in the output area of the protrusion 125 may be printed / cut out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and a specific color may be printed or co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maining area. The middle plate 120 may also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ight transmissive property (for example, acrylic, light diffusion PC, etc.) like the lower pl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판(120)의 돌출부(125)는 상부를 향해 소정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5)는 예컨대, 아크릴 또는 광확산 PC를 기계가공(CNC, MCT 등) 또는 레이저 가공하여 돌출부(12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삭가공함으로써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판(120)은 '

Figure pat00001
'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후술할 상판(130)의 관통부(131)와 더욱 밀착되어 결합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출력장치(100)의 상부에 물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protrusion toward the top. For example, 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protrusion 125 by machining acrylic or light diffusing PCs (CNC, MCT, etc.) or laser processing. As such, the middle plate 120 is'
Figure pat00001
'By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is more closely coupled to the through portion 131 of the upper plate 13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combine. As a result, even if water fal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side.

상판(130)은 중판(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광비투과성의 비교적 단단한 금속제(예: 스테인리스 스틸 등)로 제조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출력장치(100)를 보호한다. The upper plat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late 120 and is made of a light-transmissive relatively hard metal (eg, stainless steel, etc.) to protect the light output device 100 from external imp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판(130)의 일부 영역(예: 대략 중앙)에는 관통부(131)가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부(131)를 통해 중판(120)의 돌출부(125)가 상판(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rough portion 131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130 (eg, approximately the center). The protrus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may be fitted to the upper plate 130 through the through part 131.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판(130)의 프레임 중 일부 영역은 반사제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제한부(135)는 프레임 중 특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별도의 영역을 의미하며, 하판(110)의 발광 모듈(14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평면상에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보다 같거나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제한부(135)는 제1 면적의 크기를 가지는 제1 반사제한부(135_1)와 상기 제1 면적과 상이한 제2 면적을 가지는 제2 반사제한부(135_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사제한부(135_1)는 발광 모듈(140)이 안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으로서 제2 반사제한부(135_2)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flection limiting part 135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rame of the upper plate 130. The reflection limiting unit 135 means a separate area having a specific thickness and length of the frame,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of the lower plate 110 is not directly exposed on a plan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larger area than the light emitting portion. For example, the reflection limiting unit 135 may include a first reflection limiting unit 135_1 having a size of a first area and a second reflection limiting unit 135_2 having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have. In this case, the first reflection limiting unit 135_1 may be formed in a wider area than the second reflection limiting unit 135_2 as a fram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sea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하판(110)에서 안착부(115)는 일측에 치우쳐져 구현되고, 이에 따라 발광 모듈(140) 또한 하판(110)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한다.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에 의해 빛이 광출력장치(100)의 상부측 즉, 중판(120) 방향을 향해 방출되고, 하판(110)과 중판(120)은 모두 광투과성 재질이므로 상판(130)의 반사제한부(135_1)가 구비되지 않거나 불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된다면 의도치 않는 노이즈 빛이 노출된다. 이러한 노이즈 빛은 상부에서 광출력장치(100)를 바라볼 때 광방출부의 발광 소자(예: LED 소자) 자체의 패턴(예: 원, 타원, 다각형 등의 광 포인트)이 노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5)에 인쇄되거나 형성된 문자 또는 로고에서 빛이 방출되는 것 이외에 의도치 않은 특정 영역에서 빛이 반사되거나 상기 문자 또는 로고상에서 광소자의 전구에 기인한 특정 패턴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제한부(135_1)가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lower plate 110 of FIG. 3, the seating unit 115 is implemented to be biased to one side, and thus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also bias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10. Light is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that is, toward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are both light transmissive materials. If the reflection limiting portion 135_1 of 130 is not provided or is formed with an insufficient area, unintended noise light is exposed. Such noise light may have a form in which a pattern (eg, light points such as circles, ellipses, and polygons) of a light emitting element (eg, an LED element) itself is exposed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100 is viewed from above. have. That is, in addition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tter or logo printed or formed on the protrusion 125, the light is reflected in a specific area unintentional or reflected to prevent the specific pattern due to the light bulb of the optical element on the letter or logo is visible. The limiting unit 135_1 is provided.

이러한 노이즈 광 현상은 도 4를 통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종래 광출력장치(100)의 발광 패턴이 도시된다. 종래에는 발광 모듈이 광출력장치(100)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측면에 위치하더라도 중앙을 비추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중앙쪽에 위치한 빛 반사 대상인 로고부분에 전구에 기인한 노이즈 빛(P)이 방출되었다. 즉, 전구에 의한 도트 효과 내지 난반사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러나, 도 4의 (b)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140)이 한쪽에 치우쳐져 중판(120)을 비추며, 해당 발광 모듈(140)은 반사제한부(135_1)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외부로 빛이 새어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미려하고 선명한 빛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noise light phenomenon is shown through FIG. 4. Specifically, FIG. 4A illustrates a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100. Conventionally,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or at the side,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mplemented to illuminate the center, so that the noise light P due to the light bulb is emitted to the logo portion that is the light reflection target located at the center side. . That is, problems such as dot effect or diffuse reflection caused by the electric bulb have been caused. Howev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biased to one side to illuminate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disposed on the reflection limiting unit 135_1. Because it is covered by the light, no light leaks out. Therefore, the user can confirm that more beautiful and clear light is emitted.

또한, 상기와 같은 상판(130)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통해, 광출력장치(100)의 테두리 등에서 빛이 새어나오거나 난반사가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entire frame of the upper plate 13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light leaks or diffuse reflection from the edg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nd the like.

도 2 및 도 3에서는 상판(130)의 양 프레임의 평면상에서 바라본 길이가 상이하도록 반사제한부(135_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판(130)의 양 프레임의 평면상에서 바라본 길이, 두께, 면적은 동일하도록(즉,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In FIGS. 2 and 3, the reflection limiting unit 135_1 is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viewed from the planes of both frames of the upper plate 130,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anes of both frames of the upper plate 130 are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for the length, thickness and area viewed from above to be formed identical (ie symmetrical).

발광 모듈(140)은 발광소자(예: LED),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예: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MCU) 및 상기 발광소자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의 양면 중에서 발광소자가 소정 간격을 두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면을 광방출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eg, an LED), a controller (eg, a micro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ircuit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Among the two surface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a surface including a region in which light emitting element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referred to as a light emitting uni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발광 모듈(140)은 소정 단위로 잘라서 사용이 가능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은 에폭시나 튜브로 마감된 LED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발광 모듈(140)에 대한 자체 방수처리가 가능하다. 발광 모듈(140)이 LED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LED 소자는 단색, RGB, NEO PIX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that can be used by cutting in a predetermined uni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plate closed with epoxy or a tube, thereby enabling waterproofing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ncludes an LED element, the LED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lor, RGB, NEO PIXEL,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140)은 리모콘에 의해 발광 형태가 제어될 수 있다. 발광 형태는 예컨대, 빛이 깜빡거릴 수 있는 블랭크 방식 또는 LED 소자가 연쇄적으로 점등/소등되는 무빙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control the light emission form by the remote controller. The light emitting form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lank method in which light may flicker, or a moving method in which LED elements are sequentially turned on / off.

도 3에서 제1판, 제2판 및 제3판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판, 제2판, 제3판은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거나, 실링처리(예: 실리콘 등)를 통해 접착시킬 수 있다. In FIG. 3, the first plate, second plate and third plate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may be attached by double-sided tape or adhered through a sealing process (eg, silicon).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10), 중판(120) 또는 상판(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성체가 삽입되어 자성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판(110), 중판(120) 또는 상판(13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자석이 들어갈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고, 각 홈에는 자성체(예: 자석)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석 방식은, 광출력장치(100)를 탈거하거나 분해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잔여물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agnetic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and magnetical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or the upper plate 13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or the upper plate 130 may include a groove into which a magnet may enter, and each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eg, a magnet). Such a magnet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no residue of the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is generated when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removed or disassembled.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10) 또는 중판(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홀은 상판(130)과 중판(120)의 견고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미세한 수분이 광출력장치(100) 내부에 들어오게 된 경우, 상기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성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판(110) 또는 중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배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하판(110) 또는 중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

Figure pat00002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drainage hol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The drainage hole may be formed fo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isture may escape when the minute moisture enters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despite the firm coupling of the upper plate 130 and the middle plate 120.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or the middle plate 120 may be implemented in a tapered form in which the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in order to maximize the drainage effec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is approximately '
Figure pat00002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 form.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출력장치(100)가 도어 스커프로 구현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물리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출력장치(100)는 상기 광출력장치(100)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들려올려지도록 하는 구동 수단(예: 도르래 등)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차량 도어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광출력장치(100)의 일측을 들어올릴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door scuff, it is possible to be physically driven as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for example, a pulley) to be inclined to one side in a state where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horizontally positioned, and the driving means is connected to a vehicle door. The driving means may lift one si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when the vehicle door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door.

다른 예로서, 광출력장치(100)의 일영역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구동 수단으로서 구비되고,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탄성체가 복원력을 가지도록 압축시킨 경우, 차량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는 구동 수단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복원 탄성력에 의해 광출력장치(1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승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as a driving means in one region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nd when the driving means compresses the elastic body to have a restoring force while the vehicle door is closed, the vehicle door is opened. As the pressure of the driving means for pressing the elastic body is released, at least one region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raised by the restoring elastic force.

반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광출력장치(100)를 하강시키거나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동수단이 다시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 개폐에 따라 보다 동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고, 광출력장치(100)의 미려함과 개성이 나타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riving means may be compressed again so that the driving means lowers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r has a restoring force. By this embodiment, the user may have a more dynamic feeling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beauty and personality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may appear.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출력장치(100)는 상판(130)의 관통부(135)와 중판(120)의 돌출부(125)의 결합방식에 의해 1차적인 방수처리가 가능하며, 도 2와 같이 하판(110), 중판(120) 및 상판(130)의 테두리를 감싸는 몰딩부(150)에 의해 2차적인 방수처리가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몰딩부(150)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물이 몰딩부(150)의 외부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밖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3차적인 방수처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primarily waterproofed by a coupling method of the penetrating portion 135 of the upper plate 130 and the protrus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Likewise, the secondary waterproofing may be performed by the molding unit 150 surrounding the edges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molding part 150 is formed to be lowered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naturally flows out along the outer inclined surface of the molding part 150, thereby enabling a third waterproof treatment.

광출력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3층의 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판(110), 중판(120) 및 상판(130)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만약, 광출력장치(100)의 구성에서 상판(130)이 배제되는 경우, 중판(120)의 돌출부(125)는 생략된 채로 문자와 로고가 인쇄된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중판(120)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중판(120)의 상면은 코팅처리(예: 하드코팅)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출력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층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중판(120)의 상부면 또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formed in a three-layered plate structure as shown in FIGS. 3 and 5, but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It may be. If the upper plate 130 is exclud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the shape of the middle plate 120 including an output area in which letters and logos are printed while the protrus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is omitted is omitted. Can be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20 may be coated (eg, hard coated) to protect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from external impa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three-layer struc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20 may also be coated.

도 2 및 도 3에서 개시하는 광출력장치(100) 또는 광출력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재질, 형태, 제조 방식(예: 코팅), 각 판의 결합 방식, 배수홀, 구동 방식(예: 스프링, 도르래 등)등은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할 다양한 형태의 광출력장치(1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출력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문서상에서 차이점으로 언급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공통적인 구성과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Material, form, manufacturing method (e.g., coating)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r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disclosed in Figs. : Springs, pulleys, etc.) may be similar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light output devices 100 to be described below. In other words, various embodiments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with a common configuration and function except for the portions mentioned as differences in the present docume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5의 광출력장치(100)는 도 3의 광출력장치(100)와 달리 하판(110)의 안착홈(115)이 중판(120)과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도록 하판(110)과 중판(120)이 결합된다. 또한,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는 중판(120)과 결합된 면의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안착홈(1150)에 결합된다. As shown, the light output device 100 of FIG. 5 is different from the light output device 100 of FIG. 3, so that the seating groove 115 of the lower plate 110 is located on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middle plate 120 (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is combined.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150 to emit ligh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middle plate (120).

이 경우, 발광 모듈(140)은 상부쪽(중판 방향)을 향해 직접적으로 빛이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광출력장치(100)의 하부쪽을 향해 방출되어 간접적인 조명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판(130)의 반사제한부(135)에 의하지 않고서도 광출력장치(100)의 상부쪽에서 광출력장치(100)를 바라볼 때의 발광 소자에 의한 노이즈 빛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does not emit light directly toward the upper side (medium plate direction), but emit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to generate an indirect lighting effect. Therefore, no nois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when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even without the reflection limiting part 135 of the upper plate 130.

또한,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는 하판(110)의 안착홈(115)이 형성된 면이 아닌 다른 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므로, 안착홈(115)이 형성된 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에 빛을 방출하게 되어 빛의 시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하판(110)의 밑면 즉, 안착홈(115)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는 반사 부재가 부착되어 빛의 반사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emits light toward a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groove 115 is forme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emits light toward the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groove 115 is formed. By emitting light in a relatively larger area, the cyanity of light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reflec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groove 115 is formed, thereby maximizing the reflection effect of light.

상기와 같은 도 5의 하판(110), 중판(120) 및 발광 모듈(140)의 결합 방식은 하판(110) 및 중판(120)에 의한 2층 구조의 광출력장치(100)로 구현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The combination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of FIG. 5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even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100 having the two-layer structure by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is implemented. Similarly applicable.

도 6은 종래 발광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40)이 삽입되는 방향들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fference between a direction in which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and a direction in which a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의 (a)는 종래 광출력장치(100)에서 발광 모듈(E)이 판에 삽입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발광 모듈(E)은 판의 상/하부가 아닌 측면 방향(a)을 향해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판의 구조상 상부방향(b) 또는 하부방향(c)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판에서 빛이 반사되는 영역이 좁아지게 된다. 또한, 빛반사 대상인 로고부가 판의 중앙에 있다는 전제하에서, 종래에는 발광 모듈(E)이 중앙쪽을 향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술한 도 4의 (a)와 같은 노이즈 빛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6A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E is inserted into a plate in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100.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E emits light toward the side direction (a) rather than the top / bottom of the plate, it emits light toward the upper direction (b) or the lower direction (c) in the structure of the plate. More relatively, the area where light is reflected on the plate becomes narrower. In addi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logo portion, which is the object of light reflection, is at the center of the plate, the noise light effect as shown in FIG. 4 (a) is generated because the light emitting module E is designed to face the center.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도 6의 (b) 또는 (c) 방식으로 하판(110)과 발광 모듈(140)이 설계되므로, 도 4의 (b)와 같은 선명한 광방출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3과 도 5의 결합방식에서는 모두 (c)방식을 채택하였다. 다만, 도 5에서는 (c)방식을 채택하되, 도 3과 비교하여 하판(110)을 반대로 하여 중판(120)과 결합시킨 형태이다. 본 문서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출력장치(100)의 일부 구성에서 도 6의 (b) 방식 또한 채택이 가능하다.Therefor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plate 1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are designed in the manner of FIG. 6 (b) or (c), the light emission is vivid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in the aforementioned combination method of FIGS. 3 and 5, the method (c) was adopted. However, in FIG. 5, the method (c) is adopted, but the lower plate 110 is inverted and combined with the middle plate 120 in comparison with FIG. 3. Although not shown in this document, the scheme of FIG. 6B may also be adopted in some configurations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또한, 도 6의 (b)와 (c)에서는 발광 모듈(140)이 수직 방향으로만 방향이 설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는 소정 각도로 빛이 방출되도록 안착부(115)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115)는 발광 모듈(140)이 삽입될 때 소정 각도의 경사로 기울어져 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경사받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받침부는 안착부(115) 내에서 특정 영역이 더 높게 형성되는 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발광 모듈(140)이 안착되는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경사받침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가 소정 각도로 광을 방출하도록 위치함으로써 발광빛이 광출력장치(100)의 내부에 확산되어 더욱 선명한 광출력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se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6B and 6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emits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It may be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115 to be released. For example,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the seating part 115 may be formed with a separate inclined support part (not shown)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a specific area is formed higher in the seating portion 115, but a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not limited to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As such,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positioned to emit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emitted light may be diffused into the light output device 100 to derive a more clear light output effect.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발광 모듈(140)을 구비하는 광출력장치(100)의 사시도로서, 도 7의 광출력장치(100)는 차량의 뒷열(2열)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스커프의 전면(a)과 후면(b)의 예시이다. 광출력장치(100)의 전면(a)에서 발광 모듈(140)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형태이며, 이와 같이 광출력장치(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모듈(140)을 구비할 수 있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100 having two light emitting modules 1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f FIG. 7 is applied to a rear row (two rows) of a vehicle. This is an example of the front (a) and rear (b) of the door scuff. In the front surface a of the light output device 100,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 light output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light emitting modules 140.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와 다른 형태로 구현된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의 광출력장치(100)는 차량 도어의 손잡이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캐치의 예시이다. 이와 같이 광출력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되는 어떠한 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FIG. 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f FIG. 8 is an example of a door catch that may be applied to a handle portion of a vehicle door. As such, the light output device 10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may be applied to any article provided in the vehicle.

이하에서는 도 9를 통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의 광출력장치(100)의 제작공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의 각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호 순서가 변경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각 단계들 사이에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Hereinafter,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optical output device 100 of FIGS. 1 to 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9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 steps of FIG. 9 may be changed or omitted from each other, and a separate process may be added between the step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10) 및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S910). 하판(110)은 예컨대, 광확산 PC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특정 형상(예: 플레이트)으로 바디(몸체)를 형성하고, 홈파기 가공에 의해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광출력장치(100)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홈파기 가공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판(110)의 재질과 플레이트 등의 형상은 임의적인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wer plate 110 and the sea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S910). The lower plate 110, for example, cuts the light diffusion PC in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ody (body) in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a plate), and the mounting groove 115 is formed by grooving. In this case, at least two grooving may be add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The shape of the material and the plate of the lower plate 110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안착홈(115)은 발광 모듈(140)의 크기보다 소정 값 이하의 오차로 더 크게 형성하여 발광 모듈(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홈파기 가공 또한 특정 방향, 크기,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larger with an error of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to fix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Such grooving is also not limited to a specific direction, size, or shape, and may be processed into various sizes and shapes as necessary.

다음으로, 중판(120) 및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S930). 중판(110) 또한 광확산 PC 또는 아크릴 등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특정 형상으로 바디를 형성하고, 기계가공 또는 레이져가공을 통해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판(120)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불투명 방식은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투명은 금색, 은색 또는 펄색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중판(120)은 경우에 따라 코팅(예: 하드코팅, UV코팅 등)층이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S930). The middle plate 110 may also form a body in a specific shape by cutting the light diffusing PC or acrylic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by machining or laser process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iddle plate 120 may be implemented as transparent or opaque, and the opaque manner may be processed by various printing methods. In this case, the opacity may be various forms such as gold, silver or pearl.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late 120 may be formed with a coating layer (eg, hard coating, UV coating, etc.) in some cases.

또한, 돌출부(125)에는 광원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문자, 로고 등을 포함하는 출력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영역은 파내기(음각) 방식을 통해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은 겉면이 불투명 색으로 인쇄된 중판(120)에 대하여, 문자 또는 로고 등의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을 파냄으로써 해당 출력 영역은 투명한 영역이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방출되는 광원에 의해 해당 글자 또는 로고만이 외부에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나, 시트지 등을 이용하여 출력 영역이 표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125)가 형성되지 않고 출력 영역만이 가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with an output area including a character, a logo, and the like to be expressed through a light source. Such an output area can be formed by digging (engraving). For example, the output area is excavated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letter plate or logo, etc. with respect to the middle plate 120, the outer surface printed in opaque color, the output area can be exposed to the transparent area, which is emitted Only the corresponding letter or logo may be externally represented by the light sour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put area may be expressed using sheet paper, and in some cases, only the output area may be processed without forming the protrusion 125.

다음으로, 상판(130) 및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S950). 상판은 광비투과성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특정 형상으로 바디를 형성하고, 가공을 통해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이 경우, 관통홀(131)의 일부 프레임 영역인 반사제한부(135)의 크기와 영역을 설정하여 가공할 수 있다.Next, the upper plate 130 and the through hole 131 may be formed (S950). The upper plate is formed by cutting a non-transparent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ody in a specific shape, through-hole 131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ing. In this case, the size and area of the reflection limiting part 135 which is a part of the frame area of the through hole 131 may be set and processed.

상기 각 판의 준비공정에서, 필요에 따라 배수홀 형성 공정, 자성체 삽입 공정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각 판의 구조 또한 이에 따라 변형되어 가공될 수 있다.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each plate, a drainage hole forming process, a magnetic material insertion process, etc. may be added as necessary, and the structure of each plate may also be modified and processed accordingly.

각 판의 준비공정이 완료되면, 각 판을 결합하는 결합 공정이 수행된다(S970). 이러한 결합 공정은 양면 테이프, 실링 처리(예: 실리콘 등) 또는 자성 결합 방식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된 구성물의 방수 처리 및 테두리 외관을 마무리하는 몰딩 공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몰딩부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물 등이 외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나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When the preparation process of each plate is completed, a bonding process for combining each plate is performed (S970). This bonding process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double-sided tape, sealing treatment (eg silicone) or magnetic bonding. Then, a molding process of finishing the waterproofing and the rim appearance of the combined components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molding part is formed to be lowered toward the outside to guide the water and the like to flow along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추가적으로, 상기 일련의 공정 중 임의의 시점에서 발광 모듈(140)이 안착부(115)에 삽입되는 공정, 반사 부재가 결합되는 공정, 기타 그 밖의 조립과 마감에 필요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cess of insert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nto the seating unit 115, a process of coupling the reflective member, and other processes required for assembly and finishing may be performed at any point in the series of processes.

상기와 같은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통해 방수 기능이 개선되고, 보다 명확하게 광출력이 가능한 광출력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9 as described above, the waterproof function may be improved, and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provided more clear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광출력 장치 110: 상판
120: 중판 125: 돌출부
130: 하판 135: 안착부
140: 발광 모듈
100: light output device 110: top plate
120: middle plate 125: protrusion
130: lower plate 135: seating portion
140: light emitting module

Claims (1)

차량에 구비되거나 부착 가능한 광출력장치로서,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발광 모듈;
상기 제1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판; 및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2판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관통부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3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은, 상기 제1판의 안착홈이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상기 제2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판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A light output device provided or attached to a vehicle,
A first plate having a reces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thereof;
A light emitting modul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including a protrus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mbined with the first plate;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to be fitted to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late, at least in a portion of the region;
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to emit ligh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the vehicle optical output device.
KR1020180107229A 2018-09-07 2018-09-07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901109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29A KR20190110926A (en) 2018-09-07 2018-09-07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29A KR20190110926A (en) 2018-09-07 2018-09-07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11A Division KR101930275B1 (en) 2018-03-21 2018-03-2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26A true KR20190110926A (en) 2019-10-01

Family

ID=6820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29A KR20190110926A (en) 2018-09-07 2018-09-07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9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3008B2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US10427595B2 (en) Illuminating vehicle assembly and illumination method
CN110431346A (en) Back light unit
CN109166488A (en) Integrated light-emitting mark
CN208620281U (en) A kind of signal lamp lighting device of tape identification
JP2009080982A (en) Plane light emitting apparatus
KR20190110926A (en)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8320943A (en) A kind of steering wheel switch with atmosphere lamp
JP2007123133A (en) Light panel
JP2002245830A (en) Light guide panel equipment
JP3113085U (en) Solar display device
KR101930275B1 (en)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238168B1 (en) Improved structure of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6104146B (en) Decoration uses light structures
CN112721798A (en) Automobile skylight illuminat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display pattern
KR102042852B1 (en) Two tone color channel type signboard assembly
KR102063256B1 (en) Channel type signboard assembly
JP2005301157A (en) Planar illuminant
EP3486720A1 (en) Projection lamp
KR200185223Y1 (en) Advertisement device using acrylic boaed and led(light emitting diode)
JPS63172189A (en) Display device
JP3864342B2 (en) Display board
JP3230449U (en) Backlight module
CN215154265U (en) Automobile skylight illuminat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display pattern
JP5103552B1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