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275B1 -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275B1
KR101930275B1 KR1020180032811A KR20180032811A KR101930275B1 KR 101930275 B1 KR101930275 B1 KR 101930275B1 KR 1020180032811 A KR1020180032811 A KR 1020180032811A KR 20180032811 A KR20180032811 A KR 20180032811A KR 101930275 B1 KR101930275 B1 KR 10193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 emitting
light
optical outpu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석 filed Critical 노진석
Priority to KR102018003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2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275B1/en
Priority to PCT/KR2019/003286 priority patent/WO20191823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light output device for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a vehicle can be disposed in a vehicle or attached to the vehicle. The light output device for a vehicle can comprise: a first plate of which at least a portion has a mounting groove; a light emitting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protruding unit of which at least a portion protrudes in the opposite side direction of a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allowing a penetr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unit to enable the penetration unit to be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unit of the second plate, to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plate.

Description

차량용 광출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000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0002]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부착가능한 광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광 출력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light output device that is provided or attachable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light output more efficiently.

최근,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서 개인의 개성과 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 부착시키는 차량 용품 내지 튜닝 용품에 대한 수요 및 관련 시장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utomobiles have been developed as means for expressing individual personality and emotion over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ccordingly demand for automobile articles or tuning articles to be attached to vehicles and related markets are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차량용품 내지 튜닝용품으로서 빛 또는 컨텐츠를 발광하여 차량의 미려함을 더해주는 용품이 다수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튜닝용품은 예컨대, 도 1과 같이 차량의 도어와 인접한 영역(예: 도어 스텝)에 설치되는 도어 스커프, 도어 내측 손잡이 부분에 적용되는 도어캐치 등이 있다. 도 1에서는 도어 스커프와 도어캐치의 예시만 도시되어 있으나, 컵홀더, 좌석 등에 다양한 형태의 광출력 장치가 튜닝용품으로서 제공되고 있다.As such a vehicle or tuning device, a large number of products are being produced that emit light or contents to enhance the beauty of the vehicle. Such a tuning article includes, for example, a door scuff provided in an area (e.g., a door step) adjacent to a door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1, a door catch applied to a door inner handle, and the like. 1 shows only an example of a door scuff and a door catch, various types of optical output devices such as a cup holder and a seat are provided as tuning products.

상기와 같이 차량에서 사용되는 도어 스커프와 같은 광출력장치는 내부에 방출하는 발광수단이 존재하고, 인쇄층 상의 투과성 있는 영역이 상기 발광된 빛에 의해 노출되는 형태로 구동되는 방식이다. As described above, an optical output device such as a door scuff used in a vehicle has a light emitting means for emitting light therein, and a transmissive region on the print layer is exposed by the emitted light.

그러나, 기존의 광출력 장치는 기기 내부의 LED 등의 발광수단에서 발생되는 빛번짐, 도트 효과 등에 따라 인쇄층이 온전히 발광되지 못하고 불균형한 빛의 파장이 미려함을 떨어뜨린다는 한계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has a limit in that the print layer is not completely emitted due to the light blurring and the dot effec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the LED inside the device, and the wavelength of the unbalanced light is reduced.

또한, 기존의 광출력장치는 복수의 판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부분의 마감이 디테일하게 처리되지 못하여 내부에 물이 스며드는 등 방수/방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device is not susceptible to waterproofing / dustproofing such as penetration of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because the finish of the joining portion is not processed in detail during the process of joining the plurality of plat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출된 것으로서, 광출력장치를 구성하는 각 판의 형태와 발광 모듈의 방향 설정을 기반으로 방수/방진 기능이 뛰어나면서 보다 명확하게 광출력을 할 수 있는 광출력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output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waterproof / dustproof function based on the shape of each plate constituting the optical output device, And to provide an optical outpu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light outpu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광출력장치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부착 가능한 광출력장치로서,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발광 모듈; 상기 제1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판; 및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2판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관통부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3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a vehicle, the optical output device comprising: a first plate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a surface thereof; A light emitting module mounted on the seating groov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including at least a protrusion protruding at least in a reg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surface coupled with the first plate;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penet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to be fitted into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late at least in a reg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1판의 안착홈이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과 반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상기 제2판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판의 안착홈에 결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late is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fac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second And may be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to emit light in the plate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판은, 광비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와 인접한 영역 중 상기 광방출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형태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광방출부보다 같거나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사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plate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nd is formed so as to be equal to or wider than the light emitting portion so that the shap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region adjacent to the penetrating portion is not directly exposed. A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formed so as to have an area can be form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1판의 안착홈이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상기 제2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판의 안착홈에 결합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is positioned on a side where the seating groove is engaged with the second plate,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And may be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to emit l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upled surfac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용 광출력장치는 상기 제1판, 상기 제2판 및 상기 제3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vehicular optical output apparatus may include a molding section that surrounds the edges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몰딩부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로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olding part may be formed to be low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출력장치는 상기 제1판의 양면 중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며,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optical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ve member, which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which is coupled to an opposite surface of a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at is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

일부실시예에서, 상기 제3판의 양면 중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 면은 하드 코팅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f the third plate that engages the second plate may be hard coated.

일부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 또는 상기 제2판 중 적어도 하나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may be formed with a drain hole.

일부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 상기 제2판 또는 상기 제3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성체가 삽입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magnetic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or the third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광출력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현되는 제1판에 대하여, 상기 제1판의 일면 중 일부 영역을 홈 가공하여 발광 모듈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제1공정; 광투과성 재질로 구현되는 제2판에 대하여, 상기 제2판의 일부 영역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판을 가공하는 제2공정; 광비투과성 재질로 구현되는 제3판에 대하여, 상기 제3판의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을 가공하는 제3공정; 및 상기 제1판, 상기 제2판 및 상기 제3판을 결합하는 결합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light emitting module is seated by grooving a part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A first step of forming a seating groove; A second step of processing the second plate so as to project a part of the second plate to the second plate embodied as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A third step of processing the upper plate so as to form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a part of the third plate with respect to the third plate realized with a light permeable material; And a joining process of joining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를 구성하는 하판, 중판 및 상판에서, 상기 중판이 돌출부를 가져 상기 상판의 관통부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판, 제2판 및 제3판의 테두리를 특정 형태로 감싸는 몰딩부가 구비됨으로써 방수 기능이 개선된 광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lower plate, the middle plate, and the upper plate constituting the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plate has a protruding portion and is fitted to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first pl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cal output device improved in waterproof function by having a molding part that surrounds the rim in a specific form.

또한,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형태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광비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반사제한부가 상판에 구비됨으로써 노이즈 광을 배제하여 보다 명확하게 광출력이 가능한 광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output device capable of emitting light more clearly by excluding a noise light by providing a reflection limiting part formed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so that the shap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not directly exposed can do.

또한,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광출력장치의 하부면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반사부재를 통해 빛이 간접 조명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빛번짐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and the light is indirectly illuminated through the reflecting member, thereby minimizing the light spreading effec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광출력장치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차량용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발광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들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발광 모듈을 구비하는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와 다른 형태로 구현된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light output device or a vehicle article that may be implemented with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ission pattern of a conventional optical output apparatus and an emission pattern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and a difference between direction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having two light emitting modu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implemented in a different form from Figure 2,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echnicia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하판', '중판' 및 '하판'은 '제1판', '제2판' 및 '제3판'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의 숫자가 각 판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임의의 숫자가 해당 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ottom plate', 'middle plate' and 'bottom plate' mentioned in this document may be referred to as 'first plate', 'second plate' and 'third plat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number may be applied to the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의 발광 패턴을 비교한 예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ission pattern of a conventional optical output apparatus and an emission pattern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광출력장치(100)는 도어스커프 외에 도어캐치, 컵홀더 또는 플레이트 등 차량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크기, 재질 및 형상의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광출력장치(100)의 실시예로서 도어 스커프와 도어 캐치를 예시로 기재하거나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materials, and shapes, such as a door catch, a cup holder, and a plate.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or scuffs and door catches are illustrated or shown as examples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출력장치(100)는 상판(110), 중판(120) 및 하판(13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may be realized by coupling the upp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lower plate 130 together.

하판(110)은 중판(120)과 상판(130)을 지지하고, 발광 모듈(140)이 삽입 또는 구비되어 광원을 발산하거나 반사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판(110)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가공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이 있는 재질 예컨대, 광확산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현될 수 있다. 광확산 PC는 광확산 PC 85, 광확산 PC 80, 광확산 PC 7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plate 110 supports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or provided to diverge or reflect the light source. The lower plate 110 may be fabricat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uch as a light diffusion polycarbonate (PC). The light diffusing PC may be a light diffusing PC 85, a light diffusing PC 80, a light diffusing PC 70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판(110)에는 발광 모듈(140)이 삽입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안착홈(115)은 광출력장치(100)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최장변에 따른 길이 방향으로 홈파기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광출력장치(100)가 곡면 내지 원주를 가지게 되면, 안착홈(115)은 광출력장치(100)의 형태에 따라 특정 R값을 가지는 곡면 또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주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The lower plate 11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115 into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When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a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by a grooving meth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est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has a curved surface or a circumferen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a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certain R value or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착홈(115)은 발광 모듈(140)과 비교하여 미세한 차이 즉, 소정 임계값 미만의 길이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이 안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안정된 유격을 제공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15 is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that is, a length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o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seated and a stable clearance is provid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하판(110)의 일면(예: 하부면)은 일반 시트지를 인쇄 또는 코팅함으로써 마감처리할 수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재(예: 반사 시트지)가 부착될 수 있다. 반사부재가 부착되는 경우, 발광 모듈(140)에서 방출된 빛의 확산력이 더 좋아지게 되며, 이러한 반사 시트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어떤 형태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에든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One surface (e.g.,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may be finished by printing or coating a common sheet, bu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flective member (e.g., reflective sheet) may be attached. When the reflective member is attached, the diffusing powe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mprov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eflective shee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y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중판(120)은 하판(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문자/로고 등이 인쇄된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125)가 형성된다. 출력 영역은 하판(110)에 구비된 발광 모듈(140)에서 방출되는 빛이 외부로 선택적 투과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125)의 출력 영역에 포함된 문자 또는 로고는 빛이 투과되도록 인쇄/파내기 가공이 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에는 특정 색이 외부면에 인쇄되거나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중판(120) 또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하판과 마찬가지로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예: 아크릴, 광확산 PC 등)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iddle plate 1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0, and a protrusion 125 including an output area printed with a character / logo or the like is formed. The output area allow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provided in the lower plate 110 to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reby outputting a content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characters or logos included in the output area of the protrusion 125 may be printed / ripped so that the light is transmitted, and the remaining color may be printed o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Such a middle plate 12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can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e.g., acrylic, light diffusion PC, etc.) like the lower pl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판(120)의 돌출부(125)는 상부를 향해 소정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5)는 예컨대, 아크릴 또는 광확산 PC를 기계가공(CNC, MCT 등) 또는 레이저 가공하여 돌출부(12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삭가공함으로써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판(120)은 '

Figure 112018028372858-pat00001
'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후술할 상판(130)의 관통부(131)와 더욱 밀착되어 결합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출력장치(100)의 상부에 물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The project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by machining an acrylic or light diffusing PC by machining (CNC, MCT, etc.) or laser processing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projecting portion 125. As described above,
Figure 112018028372858-pat00001
So that it can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131 of the upper plate 13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even if the water drops on the upper part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side can be minimized.

상판(130)은 중판(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광비투과성의 비교적 단단한 금속제(예: 스테인리스 스틸 등)로 제조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출력장치(100)를 보호한다. The upper plat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late 120 and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o protect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from an external imp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판(130)의 일부 영역(예: 대략 중앙)에는 관통부(131)가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부(131)를 통해 중판(120)의 돌출부(125)가 상판(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enetrating portion 131 is provided in a part of the top plate 130 (for example, substantially at the center). The projecting port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can be fitted to the upper plate 130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131.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판(130)의 프레임 중 일부 영역은 반사제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제한부(135)는 프레임 중 특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별도의 영역을 의미하며, 하판(110)의 발광 모듈(14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평면상에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보다 같거나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제한부(135)는 제1 면적의 크기를 가지는 제1 반사제한부(135_1)와 상기 제1 면적과 상이한 제2 면적을 가지는 제2 반사제한부(135_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사제한부(135_1)는 발광 모듈(140)이 안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으로서 제2 반사제한부(135_2)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135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frame of the upper plate 130. The reflection restricting unit 135 refers to a separate area having a specific thickness and length in the fram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to prevent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of the lower plate 110 from being directly exposed on the plane. And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equal to or wider than the light emitting portion. For example, the reflection restricting part 135 may include a first reflection restricting part 135_1 having a first area size and a second reflection restricting part 135_2 having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have. In this case, the first reflection restricting part 135_1 may be formed as a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seated, and wider than the second reflection restricting part 135_2.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하판(110)에서 안착부(115)는 일측에 치우쳐져 구현되고, 이에 따라 발광 모듈(140) 또한 하판(110)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한다.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에 의해 빛이 광출력장치(100)의 상부측 즉, 중판(120) 방향을 향해 방출되고, 하판(110)과 중판(120)은 모두 광투과성 재질이므로 상판(130)의 반사제한부(135_1)가 구비되지 않거나 불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된다면 의도치 않는 노이즈 빛이 노출된다. 이러한 노이즈 빛은 상부에서 광출력장치(100)를 바라볼 때 광방출부의 발광 소자(예: LED 소자) 자체의 패턴(예: 원, 타원, 다각형 등의 광 포인트)이 노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5)에 인쇄되거나 형성된 문자 또는 로고에서 빛이 방출되는 것 이외에 의도치 않은 특정 영역에서 빛이 반사되거나 상기 문자 또는 로고상에서 광소자의 전구에 기인한 특정 패턴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제한부(135_1)가 구비된다.3, the mounting portion 115 is biased to one side so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also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10. [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toward the middle plate 120 and both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are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Unintentional noise light is exposed if the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135_1 of the light guide 130 is not provided or formed with an insufficient area. Such a noise light may be a pattern in which a pattern (e.g.,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or the like) of a light emitting element (e.g., an LED elemen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tself is expos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100 is viewed from above have. That is, in order to prevent light from being reflected in an unintended specific area other than the light emitted from a character or logo printed or formed on the protrusion 125, or to prevent a specific pattern due to the light bulb of the optical element from appearing on the character or logo, And a restriction unit 135_1.

이러한 노이즈 광 현상은 도 4를 통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종래 광출력장치(100)의 발광 패턴이 도시된다. 종래에는 발광 모듈이 광출력장치(100)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측면에 위치하더라도 중앙을 비추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중앙쪽에 위치한 빛 반사 대상인 로고부분에 전구에 기인한 노이즈 빛(P)이 방출되었다. 즉, 전구에 의한 도트 효과 내지 난반사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러나, 도 4의 (b)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140)이 한쪽에 치우쳐져 중판(120)을 비추며, 해당 발광 모듈(140)은 반사제한부(135_1)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외부로 빛이 새어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미려하고 선명한 빛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noise light phenomenon is illustrated in FIG. Specifically, FIG. 4A shows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FIG.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r at the center, the noise light P due to the light bulb is emitted to the logo portion as the light reflection target located at the center . That is, problems such as a dot effect or diffuse reflection by a light bulb have been caused.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biased to one side to illuminate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mounted on the reflection limiting part 135_1 So that the light does not leak out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user can see that a clearer and clearer light is emitted.

또한, 상기와 같은 상판(130)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통해, 광출력장치(100)의 테두리 등에서 빛이 새어나오거나 난반사가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light leaks out or diffuses from the edg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through the entire frame of the upper plate 130 as described above.

도 2 및 도 3에서는 상판(130)의 양 프레임의 평면상에서 바라본 길이가 상이하도록 반사제한부(135_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판(130)의 양 프레임의 평면상에서 바라본 길이, 두께, 면적은 동일하도록(즉,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2 and 3, the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135_1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s of both frames of the upper plate 1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ength, thickness, and area viewed on the substrate are the same (i.e., symmetrical).

발광 모듈(140)은 발광소자(예: LED),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예: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MCU) 및 상기 발광소자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의 양면 중에서 발광소자가 소정 간격을 두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면을 광방출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e.g., an LED), a controller (e.g., a micro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and a circuit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controller. A surface including a region in which light emitting element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both sides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referred to as a light emitting por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발광 모듈(140)은 소정 단위로 잘라서 사용이 가능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 모듈(140)은 에폭시나 튜브로 마감된 LED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발광 모듈(140)에 대한 자체 방수처리가 가능하다. 발광 모듈(140)이 LED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LED 소자는 단색, RGB, NEO PIX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which can be cut by a predetermined uni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plate that is finished with an epoxy or a tube so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can be self-waterproofed.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ncludes an LED element, the LED element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olor, RGB, NEO PIXEL,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140)은 리모콘에 의해 발광 형태가 제어될 수 있다. 발광 형태는 예컨대, 빛이 깜빡거릴 수 있는 블랭크 방식 또는 LED 소자가 연쇄적으로 점등/소등되는 무빙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mode by the remote controller. The luminescent patter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lanking scheme in which light can be flickered, or a moving scheme in which an LED element is lit / turned on in a cascade manner.

도 3에서 제1판, 제2판 및 제3판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판, 제2판, 제3판은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거나, 실링처리(예: 실리콘 등)를 통해 접착시킬 수 있다. In Fig. 3,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can be comb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may be attached with a double-sided tape or may be bonded through a sealing process (e.g., silicon or the like).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10), 중판(120) 또는 상판(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성체가 삽입되어 자성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판(110), 중판(120) 또는 상판(13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자석이 들어갈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고, 각 홈에는 자성체(예: 자석)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석 방식은, 광출력장치(100)를 탈거하거나 분해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잔여물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agnetic substance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or the upper plate 130 to be magnetically coupled.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may have a groove into which a magnet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and a magnetic body (e.g., a magnet) may be provided in each groove. Such a magnet system has an advantage that no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residue is generated when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is removed or disassembled.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10) 또는 중판(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홀은 상판(130)과 중판(120)의 견고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미세한 수분이 광출력장치(100) 내부에 들어오게 된 경우, 상기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성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판(110) 또는 중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배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하판(110) 또는 중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

Figure 112018028372858-pat00002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rain hol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Such a drain hole may be formed to allow the moisture to escape when fine moisture enters the in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despite the strong coupling between the top plate 130 and the middle plate 120.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in order to maximize the drainage effec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110 or the middle plate 120 may have a roughly "
Figure 112018028372858-pat00002
&Quot;< / RTI >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출력장치(100)가 도어 스커프로 구현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물리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출력장치(100)는 상기 광출력장치(100)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들려올려지도록 하는 구동 수단(예: 도르래 등)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차량 도어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광출력장치(100)의 일측을 들어올릴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is implemented as a door scuff, it is possible that the door of the vehicle is physically driven as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For example,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 drive means (e.g., a pulley or the like) for raising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in an inclined state in a state where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is horizontally positioned, The driving unit can lift one 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when the vehicle door is opened.

다른 예로서, 광출력장치(100)의 일영역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구동 수단으로서 구비되고,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탄성체가 복원력을 가지도록 압축시킨 경우, 차량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는 구동 수단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복원 탄성력에 의해 광출력장치(1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승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as a driving means in one region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driving means compresses the elastic body to have a restor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door is closed, At least one region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can be raised by the restoring elastic force while the pressing of the driving means for pressing the elastic body is released.

반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이 광출력장치(100)를 하강시키거나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동수단이 다시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 개폐에 따라 보다 동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고, 광출력장치(100)의 미려함과 개성이 나타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riving means can be compressed again so that the driving means can lower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or have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have a more dynamic feeling as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beauty and personality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can be exhibited.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출력장치(100)는 상판(130)의 관통부(135)와 중판(120)의 돌출부(125)의 결합방식에 의해 1차적인 방수처리가 가능하며, 도 2와 같이 하판(110), 중판(120) 및 상판(130)의 테두리를 감싸는 몰딩부(150)에 의해 2차적인 방수처리가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몰딩부(150)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물이 몰딩부(150)의 외부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밖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3차적인 방수처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can be subjected to a primary waterproof treatment by a coupling method of the penetrating portion 135 of the upper plate 130 and the protruding port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The second waterproof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the molding part 150 surrounding the rim of the lower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upper plate 13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molding part 150 is formed so as to be lowered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is allowed to flow out naturally along the outer inclined surface of the molding part 150, thereby enabling a third waterproof treatment.

광출력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3층의 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판(110), 중판(120) 및 상판(130)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만약, 광출력장치(100)의 구성에서 상판(130)이 배제되는 경우, 중판(120)의 돌출부(125)는 생략된 채로 문자와 로고가 인쇄된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중판(120)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중판(120)의 상면은 코팅처리(예: 하드코팅)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출력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층 구조에서도 마찬가지로 중판(120)의 상부면 또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3 and 5,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 lower plate 110, a middle plate 120, and a top plate 130 It is possible. If the upper plate 130 is exclud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the protrusion 125 of the middle plate 120 is omitted, and the shape of the middle plate 120 including the output area in which characters and a logo are printed .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20 is coated (for example, hard coated) to protect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from an external impa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late 120 can also be coated with the three-layer structure.

도 2 및 도 3에서 개시하는 광출력장치(100) 또는 광출력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재질, 형태, 제조 방식(예: 코팅), 각 판의 결합 방식, 배수홀, 구동 방식(예: 스프링, 도르래 등)등은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할 다양한 형태의 광출력장치(10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출력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문서상에서 차이점으로 언급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공통적인 구성과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coating)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or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disclosed in Figs. 2 and 3, the coupling method of each plate, the drain hole, the driving method : Spring, pulley, etc.) can be similar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optical output devices 100 to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rawings. In other words,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with a common configuration and function except for portions referred to as differences in this docume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5의 광출력장치(100)는 도 3의 광출력장치(100)와 달리 하판(110)의 안착홈(115)이 중판(120)과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도록 하판(110)과 중판(120)이 결합된다. 또한,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는 중판(120)과 결합된 면의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안착홈(1150)에 결합된다. 3,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of FIG. 5 differs from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of FIG. 3 in that the lower plate 110 is positioned so that the seating groove 115 of the lower plate 110 is coupled to the middle plate 120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are combined. Further,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1150 so as to emit ligh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middle plate 120.

이 경우, 발광 모듈(140)은 상부쪽(중판 방향)을 향해 직접적으로 빛이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광출력장치(100)의 하부쪽을 향해 방출되어 간접적인 조명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판(130)의 반사제한부(135)에 의하지 않고서도 광출력장치(100)의 상부쪽에서 광출력장치(100)를 바라볼 때의 발광 소자에 의한 노이즈 빛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not directly emitted toward the upper side (the middle plate direction), but is emitt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to generate an indirect lighting effect. Therefore, no noise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when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viewed from above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without depending on the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135 of the upper plate 130. [

또한,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는 하판(110)의 안착홈(115)이 형성된 면이 아닌 다른 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므로, 안착홈(115)이 형성된 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에 빛을 방출하게 되어 빛의 시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하판(110)의 밑면 즉, 안착홈(115)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는 반사 부재가 부착되어 빛의 반사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emits light toward the other surface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groove 115 of the lower plate 110 is formed and thus emits light toward the surface on which the mounting groove 115 is formed The light is emitted in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at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ness of the light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refle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ating groove 115 is formed, thereby maximizing the reflection effect of light.

상기와 같은 도 5의 하판(110), 중판(120) 및 발광 모듈(140)의 결합 방식은 하판(110) 및 중판(120)에 의한 2층 구조의 광출력장치(100)로 구현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When the bottom plate 110,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of FIG. 5 are combined with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f the two-layer structure using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middle plate 120 Likewise applicable.

도 6은 종래 발광 모듈이 삽입되는 방향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40)이 삽입되는 방향들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module is inserted and a difference between direction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는 종래 광출력장치(100)에서 발광 모듈(E)이 판에 삽입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발광 모듈(E)은 판의 상/하부가 아닌 측면 방향(a)을 향해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판의 구조상 상부방향(b) 또는 하부방향(c)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판에서 빛이 반사되는 영역이 좁아지게 된다. 또한, 빛반사 대상인 로고부가 판의 중앙에 있다는 전제하에서, 종래에는 발광 모듈(E)이 중앙쪽을 향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술한 도 4의 (a)와 같은 노이즈 빛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6 (a) is a view of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 E is inserted into a plate.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E emits light toward the side direction (a), not the top / bottom of the plate, it emits light toward the upward direction (b) or the downward direction (c) The area where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plate relatively becomes narrower.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E is designed so as to face toward the center under the premise that the logo part to be a light reflection targe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the noise light effect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도 6의 (b) 또는 (c) 방식으로 하판(110)과 발광 모듈(140)이 설계되므로, 도 4의 (b)와 같은 선명한 광방출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3과 도 5의 결합방식에서는 모두 (c)방식을 채택하였다. 다만, 도 5에서는 (c)방식을 채택하되, 도 3과 비교하여 하판(110)을 반대로 하여 중판(120)과 결합시킨 형태이다. 본 문서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출력장치(100)의 일부 구성에서 도 6의 (b) 방식 또한 채택이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1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are designed in the manner of (b) or (c) of FIG. 6, so that clear light emission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combining method of FIG. 3 and FIG. 5, both methods (c) are adopted. In FIG. 5, (c) is adopted, but the lower plate 110 is reversed to be coupled with the middle plate 120 in comparison with FIG. Although not shown in this document, the method of FIG. 6 (b) can also be adopted in some configurations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또한, 도 6의 (b)와 (c)에서는 발광 모듈(140)이 수직 방향으로만 방향이 설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는 소정 각도로 빛이 방출되도록 안착부(115)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115)는 발광 모듈(140)이 삽입될 때 소정 각도의 경사로 기울어져 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경사받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받침부는 안착부(115) 내에서 특정 영역이 더 높게 형성되는 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발광 모듈(140)이 안착되는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경사받침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발광 모듈(140)의 광방출부가 소정 각도로 광을 방출하도록 위치함으로써 발광빛이 광출력장치(100)의 내부에 확산되어 더욱 선명한 광출력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6 (b) and 6 (c),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se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light- May be coupled to the seat portion 115 to be discharged. For example, the mount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with a slant support portion (not shown)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115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inserted.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a specific region is formed higher in the mount portion 115. However, the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moun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not limited to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s positioned to emit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light emitting light diffuses into the inside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nd a clearer light output effect can be obtained.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발광 모듈(140)을 구비하는 광출력장치(100)의 사시도로서, 도 7의 광출력장치(100)는 차량의 뒷열(2열)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스커프의 전면(a)과 후면(b)의 예시이다. 광출력장치(100)의 전면(a)에서 발광 모듈(140)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형태이며, 이와 같이 광출력장치(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모듈(140)을 구비할 수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having two light emitting modules 1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of FIG. 7 is applied to a rear column (two columns) (A) and the rear surface (b) of the door scuff that can be used.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n the front surface a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is in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light emitting modules 140. [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와 다른 형태로 구현된 광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의 광출력장치(100)는 차량 도어의 손잡이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캐치의 예시이다. 이와 같이 광출력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되는 어떠한 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implemented in a different form from Figure 2,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f Fig. 8 is an example of a door catch that can be applied to a handle portion of a vehicle door.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can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can be applied to any article provided in a vehicle.

이하에서는 도 9를 통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의 광출력장치(100)의 제작공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출력장치(100)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의 각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호 순서가 변경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각 단계들 사이에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steps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of FIGS. 1 to 8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steps in FIG. 9 are mutually reversed or omitted, and that a separate process is added between the step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10) 및 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S910). 하판(110)은 예컨대, 광확산 PC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특정 형상(예: 플레이트)으로 바디(몸체)를 형성하고, 홈파기 가공에 의해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광출력장치(100)의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홈파기 가공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판(110)의 재질과 플레이트 등의 형상은 임의적인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110 and the sea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S910). The lower plate 110 is formed, for example, by cutting a light diffusion PC 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ody (body) with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a plate), and a seating groove 115 is formed by a grooving process. In this case, at least two grooving processes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100. [ The material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shape of the plate and the like are arbitrary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안착홈(115)은 발광 모듈(140)의 크기보다 소정 값 이하의 오차로 더 크게 형성하여 발광 모듈(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홈파기 가공 또한 특정 방향, 크기,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115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by an err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can be fixed. Such grooving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rection, size and shape, and can be processed into various sizes and shapes as required.

다음으로, 중판(120) 및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S930). 중판(110) 또한 광확산 PC 또는 아크릴 등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특정 형상으로 바디를 형성하고, 기계가공 또는 레이져가공을 통해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판(120)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불투명 방식은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투명은 금색, 은색 또는 펄색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중판(120)은 경우에 따라 코팅(예: 하드코팅, UV코팅 등)층이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middle plate 120 and 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S930). The intermediate plate 110 may also be formed by cutting a light diffusion PC, acrylic or the like 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ody in a specific shape, and 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through machining or laser processing.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middle plate 120 may be implemented as transparent or opaque, and the opaque manner may be processed by a variety of printing methods. In this case, opaqueness can be various forms such as gold, silver or pearl. Further, the intermediate plate 120 may be formed with a layer (e.g., hard coating, UV coating, etc.) layer as the case may be.

또한, 돌출부(125)에는 광원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문자, 로고 등을 포함하는 출력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영역은 파내기(음각) 방식을 통해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은 겉면이 불투명 색으로 인쇄된 중판(120)에 대하여, 문자 또는 로고 등의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을 파냄으로써 해당 출력 영역은 투명한 영역이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대해 방출되는 광원에 의해 해당 글자 또는 로고만이 외부에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나, 시트지 등을 이용하여 출력 영역이 표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125)가 형성되지 않고 출력 영역만이 가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output region including characters, logos, and the lik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source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125. [ Such an output region can be formed by a wave (intaglio) method. For example, the output area can be formed by expos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character, a logo,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middle plate 120 printed with the opaque color on its surface, so that the transparent region of the output region can be exposed, Only the corresponding letter or logo can be displayed on the outside by the light sour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output region may be expressed using a sheet or the like, and in some cases, only the output region may be formed without the protrusion 125 being formed.

다음으로, 상판(130) 및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S950). 상판은 광비투과성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특정 형상으로 바디를 형성하고, 가공을 통해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이 경우, 관통홀(131)의 일부 프레임 영역인 반사제한부(135)의 크기와 영역을 설정하여 가공할 수 있다.Next, the upper plate 130 and the through holes 131 may be formed (S950). In the upper plate, stainless steel or the like, which is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ody in a specific shape, and a through hole 131 is formed through processing. In this case, the size and area of the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135, which is a frame region of the through hole 131, can be set and processed.

상기 각 판의 준비공정에서, 필요에 따라 배수홀 형성 공정, 자성체 삽입 공정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각 판의 구조 또한 이에 따라 변형되어 가공될 수 있다. In the preparing process of each plate, a drain hole forming process, a magnetic material inserting process, or the like may be added as necessary, and the structure of each plate may be modified and processed accordingly.

각 판의 준비공정이 완료되면, 각 판을 결합하는 결합 공정이 수행된다(S970). 이러한 결합 공정은 양면 테이프, 실링 처리(예: 실리콘 등) 또는 자성 결합 방식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된 구성물의 방수 처리 및 테두리 외관을 마무리하는 몰딩 공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몰딩부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물 등이 외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나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When the preparation process of each plate is completed, a bonding process of joining the plates is performed (S970). Such bonding processes can be of various types, such as double-sided tape, sealing (e.g., silicon), or magnetic coupling. Then, the waterproofing treatment of the combined components and the molding process for finishing the appearance of the rim are carried out. In this case, the molding part is formed so as to be lowered in height toward the outside, so that water or the like can be guided to flow along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추가적으로, 상기 일련의 공정 중 임의의 시점에서 발광 모듈(140)이 안착부(115)에 삽입되는 공정, 반사 부재가 결합되는 공정, 기타 그 밖의 조립과 마감에 필요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140 into the seating part 115, the process of joining the reflective member, and other processes necessary for assembly and finishing can be performed at any point in the series of processes.

상기와 같은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통해 방수 기능이 개선되고, 보다 명확하게 광출력이 가능한 광출력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The optical output device 100 having improved waterproof function and capable of more clearly outputting ligh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9 as described abov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광출력 장치 110: 상판
120: 중판 125: 돌출부
130: 하판 135: 안착부
140: 발광 모듈
100: optical output device 110: top plate
120: middle plate 125: protrusion
130: lower plate 135:
140: Light emitting module

Claims (11)

차량에 구비되거나 부착 가능한 광출력장치로서,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발광 모듈;
상기 제1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판; 및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2판의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관통부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3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판은, 상기 제1판의 안착홈이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상기 제2판과 결합된 면의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판의 안착홈에 결합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1. An optical output device provided in or attachable to a vehicle,
A first plate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one surface thereof;
A light emitting module mounted on the seating groove;
A second plat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including at least a protrusion protruding at least in a reg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surface coupled with the first plate; And
And a third plat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to be fitted into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first plate is engaged with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is located on a surface where the seating groove is engaged with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so as to emit ligh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은, 상기 제1판의 안착홈이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과 반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판과 결합되며,
상기 발광 모듈의 광방출부는 상기 제2판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제1판의 안착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late is engaged with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surface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plate to emit light in the second plat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은,
광비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와 인접한 영역 중 상기 광방출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형태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광방출부보다 같거나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사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third plate,
A reflection restricting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ight permeability and formed to have an area equal to or wider than tha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not directly expos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penetrating portion Wherein the optical output device is a light outpu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광출력장치는,
상기 제1판, 상기 제2판 및 상기 제3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ular optical output device includes:
And a mold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rims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lding unit may include:
And is formed to be lower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장치는,
상기 제1판의 양면 중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며,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output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ng member coupled to a surface of the first plat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at is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the reflecting member being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판에서, 상기 제2판과 결합되는 면의 반대 면은 하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third plat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second plate is hard co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 또는 상기 제2판 중 적어도 하나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formed with a drai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 상기 제2판 또는 상기 제3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성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agnetic substance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삭제delete
KR1020180032811A 2018-03-21 2018-03-2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930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11A KR101930275B1 (en) 2018-03-21 2018-03-2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CT/KR2019/003286 WO2019182373A1 (en) 2018-03-21 2019-03-2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11A KR101930275B1 (en) 2018-03-21 2018-03-2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29A Division KR20190110926A (en) 2018-09-07 2018-09-07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275B1 true KR101930275B1 (en) 2018-12-18

Family

ID=6495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11A KR101930275B1 (en) 2018-03-21 2018-03-21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2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342Y1 (en) * 1999-03-11 2000-03-15 윤안소 License plate
KR100775392B1 (en) * 2006-11-14 2007-11-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A scuff for decorating a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342Y1 (en) * 1999-03-11 2000-03-15 윤안소 License plate
KR100775392B1 (en) * 2006-11-14 2007-11-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A scuff for decorating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470B1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JP4442216B2 (en) LED lamp device
CN102287683B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163322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license plate
TW200733425A (en) LED packag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130106350A (en) Vehicular heads-up display device
CN110431346A (en) Back light unit
EP3002154B1 (en) Optic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21122115A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KR101930275B1 (en)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09080982A (en) Plane light emitting apparatus
CN112512848A (en) Motor vehicle door comprising a light source supported by an inner seal
JP2005038643A (en) Backlight unit
CN210118661U (en) Smooth picture frame
KR102314114B1 (en) oor scuff for a vehicle
KR20190110926A (en)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H11219138A (en) Planar light emitting display
KR102238168B1 (en) Improved structure of optical output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05149848A (en) Illumination device using light-emitting diode
CN213276246U (en) Projection device
JP2002093237A (en) Mirror with illuminator
CN112606759B (en) Vehicle window and automobile
US10928673B2 (en) Display device
CN211139205U (en) Luminous car logo of car
JP2005293963A (en) Side light typ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