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663A -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 Google Patents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663A
KR20190110663A KR1020180032376A KR20180032376A KR20190110663A KR 20190110663 A KR20190110663 A KR 20190110663A KR 1020180032376 A KR1020180032376 A KR 1020180032376A KR 20180032376 A KR20180032376 A KR 20180032376A KR 20190110663 A KR20190110663 A KR 2019011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low
direct
shower hose
valve housing
contro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817B1 (ko
Inventor
서천석
Original Assignee
서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천석 filed Critical 서천석
Priority to KR102018003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10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C1/104Device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pipes, e.g. means for aerating self-closing flushing valves using a single check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호스용 역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밸브 하우징과 역류제어시트로 이루어진 간소화구성으로, 제조 및 취급관계를 편리화하고, 아울러, 반구 형상을 취하는 직수유도판과, 그에 대응하는 역류제어시트에 의한 상하 이송개폐단속구조에 의해 수도배관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직수, 예컨대, 높은 수압작용으로 인한 역류방지구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되게 함으로써, 생산성과 취급성, 그리고, 사용효율성과 경제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설치공간부와, 직수유도판과, 확장경사 배출면과, 고정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설치공간부로 삽입되며, 직수유도판의 상부면으로 안착 결합하는 역류제어시트;
그리고, 보조확장경사면과, 플랜지 삽입홈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의 고정플랜지로 결합하는 수밀부재를 구비토록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Backflow prevention unit for shower hose}
본 발명은 샤워호스용 역류방지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탕, 세면대 또는, 주방용 수전구 등에 연결사용되는 샤워호스에 있어, 그 샤워호스로 설치 적용되는 역류방지수단의 내구성을 증대되게 하여 토출 수압에 의한 손상 내지 변형을 예방하고, 아울러, 견고하고 안정적인 역류차단구조에 의해 수밀성 또한 향상되게 한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샤워는 기본적인 신체위생은 물론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고,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을 이완되게 하여 정신건강에 또한 도움을 주는 역할을 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샤워는 물을 분부기와 같은 형태로 흩뿌려 신체오염물질을 씻어내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인바, 이때, 사용되는 수단을 우리는 통상 샤워기라 칭하며, 이러한, 샤워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는, 수도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필요한 방향과 위치로 안정되게 유도하는 소정길이의 유동성 샤워호스와, 상기 샤워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작은 알갱이 형태로 쪼개어 분사하는 샤워 헤드로 구성된다.
한편, 부연설명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 구성의 샤워기는 단지 신체오염물질을 씻어내는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필요에 따라 주방에 마련된 수전구에 선택적으로 연결설치하여, 분부기와 같은 형태로 물을 흩뿌려 설거지를 하거나, 식 재료를 세척하는 등의 용도로 또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각종 오염물질을 씻어내는 용도 내지 식 재료 등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샤워기는, 수전구를 통해 공급되는 직수를 일반 분무기와 같이, 넓은 공간범위로 흩뿌려지게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물 사용 관계를 갖도록 한 것이기는 하나, 그 반면, 역류방지기능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세숫대야 또는 설거지통 내의 오염된 물에 샤워기 헤드가 사용대기상태 등의 이유로 입수된 상태하에 단수 내지 수압차이가 발생할 경우, 순간적인 수전구 배관라인의 압력변화로 인해 세숫대야 또는 설거지통의 오염된 물이 샤워기 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수전구의 배관라인 내로 유입(흡입)되며, 그 배관라인을 오염시키는 역류현상(Backflowing)이 그 문제점의 예라 할 수 있다.
이에, 근래에는 각종 수전구 또는, 수전구에 연결 사용되는 샤워호스 등의 역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기능 구조의 역류방지수단이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와 같은, 종래 역류방지수단의 대표적인 일 예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내측 면에 직수유도공이 마련된 원통형의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내측 면, 예컨대, 직수유도공 형성부위 상부면에 연질의 탄성 밀폐막이 축 고정구조로 설치된 형태의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구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샤워호스용 역류방지구는, 샤워호스를 통한 물 공급시, 그 공급되는 물의 토출 수압에 의해 탄성밀폐막을 탄성 변형시켜 직수유도공을 개방되게 함으로써 샤워기 헤드를 통한 물의 배출을 원활히 하고, 또 다르게, 단수 또는 수압차이로 인해 역류현상이 발생할 경우, 역류 압력에 의해 탄성밀폐막을 원상태로 탄성 복원시켜 직수유도공을 밀폐되게 함으로써, 샤워기 헤드를 통한 역류를 방지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샤워호스용 역류방지구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류방지수단이 탄성밀폐막으로 이루어지고, 그와 같은, 탄성밀폐막을 토출수압에 의해 변형 개방시키는 구성을 취함에 따라, 수도배관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직수의 토출 수압이 미약할 경우, 오히려, 탄성밀폐막이 간섭요인으로 작용하며 샤워기 헤드를 통한 물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지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다르게, 직수의 토출 수압이 상대적으로 너무 높은 경우에 있어서는, 연질의 탄성밀폐막이 그 수압 충격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며 사용수명을 단축되게 하는 등, 내구성 및 사용효율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내구성 및 사용효율성이 좋지 못한 종래 샤워호스용 역류방지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공개(실용신안 공개 제2009-0002796호)된 "역류방지용 니플"이 창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선출원 공개기술로서의 "역류방지용 니플"은 단순히 샤워호스뿐만 아니라, 유체가 흐름 되는 모든 수전배관라인에 선택적으로 설치 사용되는 범용적 구조로써,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 공개기술은 수많은 부품이 조합된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제품구성으로써, 고가의 재료비용은 물론 난이도 높은 제조기술을 필요로 함에 따라 생산 및 판매원가를 동반 상승시키는 상당한 경제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복잡한 제품구조로 인해 상대적으로 고장 발생률 또한 높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샤워호스용 역류방지수단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하우징과 역류제어시트로 이루어진 간소화구성으로, 제조 및 취급관계를 편리화하고, 아울러, 반구 형상을 취하는 직수유도판과, 그에 대응하는 역류제어시트에 의한 상하 이송개폐단속구조에 의해 수도배관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직수, 예컨대, 높은 수압작용으로 인한 역류방지구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되게 함으로써, 생산성과 취급성, 그리고, 사용효율성과 경제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류제어시트와, 보조탄성시트에 의한 이중 차단구조로서, 직수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도하고, 역류현상에 대해서는 견고한 이중 밀폐력에 의해 수밀성을 증대되게 하여, 역류차단효율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설치공간부와, 직수유도판과, 확장경사 배출면과, 고정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설치공간부로 삽입되며, 직수유도판의 상부면으로 안착 결합하는 역류제어시트;
그리고, 보조확장경사면과, 플랜지 삽입홈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밸브 하우징의 고정플랜지로 결합하는 수밀부재를 구비토록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은, 밸브 하우징과 역류제어시트로 이루어진 간소화된 구성에 의해 일련의 제조 및 취급관계를 편리화되게 한 것임은 물론, 특히, 반구 형상의 직수유도판을 형성하고, 그 직수유도판을 역류제어시트에 의한 상하 이송개폐작용에 단속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되게 한 것으로, 이는, 생산성과 취급성, 그리고, 사용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은, 역류제어시트와, 보조탄성시트에 의한 이중 차단구조로써, 직수의 흐름은 원활하게 유도하되,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역류현상에 대해서는 견고한 이중 밀폐구조에 의해 수밀성을 증대되게 하여, 역류차단효율을 향상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이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삼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삼실시예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사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방지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밸브 하우징(1)과, 역류제어시트(2)와, 수밀부재(3)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밸브 하우징(1)은,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외관몸체 구성인바, 이와 같은, 밸브 하우징(1)은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구조를 취하며, 그 내측면에 설치공간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부(11) 내측 하부면에 상부측을 향해 융기된 반구 형상의 직수유도판(12)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설치공간부(11) 상단 내측면 둘레에 확장경사 배출면(13)을 형성하고, 연속하여, 상기 설치공간부(11) 상단 외측면 둘레에 고정플랜지(14)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 하우징(1)에 있어, 상기 직수유도판(12)은,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된 상부면 중앙에 원형으로 관통된 로드설치공(121)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로드설치공(121)을 중심으로 직수유도판(12) 상부 방사상 면에 사다리꼴 형태로 관통된 다수개의 직수유도공(122)과, 격막형태로 막힘 된 다수개의 역류차단막(123)이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원형 교차배열, 예컨대, 도 1 및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 배치구성으로 형성된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 하우징(1)에 있어, 상기 직수유도판(12)은, 반구 형상으로 융기된 상부측의 반대방향, 예컨대, 직수유도판(12)의 저면부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을 향해 함몰된 형태의 직수포집홈(124)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제어시트(2)는, 전술한, 밸브 하우징(1)을 통과하는 직수 및 역류현상에 따른 오염수의 유입을 개폐구조에 의해 단속하는 수단이며, 이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을 향해 융기된 원판, 예컨대, 반구 형상의 경질 시트부재(2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그 경질 시트부재(21) 하부면에 연질의 합성고무수지(22)를 코팅처리 한 적층구성인바, 이와 같은, 적층구성의 역류제어시트(2)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중앙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태의 축 구성으로 작동로드(23)를 일체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작동로드(23) 끝단부에 걸림 고정추(231)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체결식 구조 또는, 일체화 성형구조(도시생략)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작동로드(23)를 중심으로, 역류제어시트(2)의 하부 방사상 면에 사다리꼴 형태로 관통된 다수개의 직수배출공(24)과, 사다리꼴 형태로 막힘 되며 돌출된 다수개의 유도공 차단돌기(25)를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원형 교차배열, 예컨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 배치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역류제어시트(2)에 있어, 상기 유도공 차단돌기(25)는, 역류제어시트(2)를 형성하는 기초구성, 예컨대, 경질 시트부재(21) 하부면에 연질의 합성고무수지(22)가 코팅처리된 구성에 있어, 상기 연질의 합성고무수지(22)가 사다리꼴로 돌출성형 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끝으로, 상기 수밀부재(3)는, 전술한, 밸브 하우징(1)을 샤워기 헤드와 샤워기 호스의 연결부위로 설치함에 있어, 그 설치부위에 밀폐력 및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일종의 실링 수단인바, 이와 같은, 수밀부재(3)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링 형상의 구성으로, 그 내측면 둘레에 보조확장경사면(3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확장경사면(31) 하부면 둘레에 플랜지 삽입홈(32)을 일체로 형성한 연질의 고무 수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밸브 하우징(1)의 설치공간부(11)에 역류제어시트(2)를 수용 삽입시키는 구조로 하여, 직수유도판(12)의 로드설치공(121)에 작동로드(23)를 삽입시킨다.
이어, 상기 삽입된 작동로드(23) 단부에 걸림 고정추(231)를 결합시켜, 그 결합된 걸림 고정추(231)의 걸림구조에 의해 작동로드(23)와 로드설치공(121)을 상호 연결 결합되게 한다.
이후, 밸브 하우징(1)의 고정플랜지(14)에 플랜지 삽입홈(32)을 이용, 수밀부재(3)을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을 구현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를 이룰 경우, 역류제어시트(2)는 직수유도판(12)에 안착된 형태를 취하는 것인바, 이에, 상기와 같이 안착 될 경우, 역류제어시트(2)로 형성된 직수배출공(24)은, 직수유도판(12)의 역류차단막(123) 위치와 일치하는 구조로 밀착되고, 또 다르게, 역류제어시트(2)로 형성된 유도공 차단돌기(25)는 직수유도판(12)의 직수유도공(122)과 일치되는 형태로 삽입되며, 그 유도공 차단돌기(25)에 의해 직수유도공(122)을 막힘 되게 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은, 샤워기 헤드(100)와 샤워기 호스(200)의 연결부위로 설치된 형태로 역류방지기능을 행하는 것인바,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사용관계로서, 샤워기 호스를 통해 직수가 전달되면, 그 전달되는 직수는 밸브 하우징(1)의 하부, 예컨대, 직수포집홈(124)으로 집중유도되며 수압이 증대되고, 수압이 증대된 직수는 직수유도판(12)의 직수유도공(122)으로 유입되며, 그 직수유도공(122)을 막고 있는 유도공 차단돌기(25)에 흐름 압력을 전달하여 직수유도공(122)을 개방한다.
이어, 상기 개방된 직수유도공(122)을 통해 직수가 유입되고, 그 유입되는 직수는 역류제어시트(2)의 하부면에 압력을 작용시키며, 역류제어시트(2)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키게 된다.
이후, 상승된 역류제어시트(2)의 직수배출공(14)을 통해 직수가 연속적으로 흐름 되며, 샤워기 헤드를 통해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일반적인 사용관계를 갖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 사용관계도중, 순간적인 단수 내지 수압차이로 인해 역류현상이 발생할 경우, 역류압력과 걸림고정추(231)에 의한 하중작용에 의해 역류제어시트(2)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23)의 이송유도작용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며, 직수유도판(12)에 밀착되고, 그와 같이, 밀착된 상태에서 유도공 차단돌기(25)에 의해 직수유도공(122)을 막힘 차단되게 함으로써역류를 방지한다.
이때, 전술한, 일련의 작동관계에 있어, 밸브 하우징(1)으로 형성된 확장경사배출면(13)과, 수밀부재(3)로 형성된 보조확장경사면(31)은, 전달되는 직수압력에 의해 역류제어시트(2)가 상승할 경우,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의 내측 상부면 둘레와, 역류제어시트(2) 사이의 공간을 극대화되게 하여, 토출되는 직수의 흐름을 보다 원할하게 하는 기능을 행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이 실시예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이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있어, 직수유도판(12)의 로드설치공(121)과, 역류제어시트(2)의 작동로드(23)가 삽입 결합된 결합부위 하부면에 걸림 고정추(231)에 의한 걸림 연계구조, 예컨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탄성 복원스프링(S)을 더 설치 형성하여, 그 설치된 탄성 복원스프링(S)의 탄성 밀착작용에 의해 샤워기를 사용하지 않는 도중이라도 항상, 역류제어시트(2)와 직수유도판(12)이 밀착 단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삼실시예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삼실시예 작용상태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에 있어, 역류제어시트(2)의 상부면 중앙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보조 작동로드(41)를 수직 연장구성으로 일체화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보조 작동로드(41) 상단면에 함몰된 반구 형상의 보조 탄성시트(4)를 일체화 구조로 더 연결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역류제어시트(2)에 의해 직수유도판(12)을 밀착단속하고, 이와 동시에, 보조 탄성시트(4)에 의해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의 확장경사 배출면(13) 및 수밀부재(3)의 보조확장 경사면(31) 또한, 밀착단속되게 함으로써, 역류현상 발생시 견고한 이중 역류차단작용을 행하게 된다.
또 다르게,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의 사 실시예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사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에 있어, 밸브 하우징(1)으로 마련되는 직수유도판(12)의 구성을, 직수 수압에 의해 상부측을 향해 반구 형상으로 융기 변형되고, 역류압에 의해 하부측을 향해 반구형상으로 함몰 변형되는 연질의 얇은 고무수지 구성, 예컨대, 탄성 가변유도판(5)으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 가변유도판(5)의 상부 중앙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고정 작동로드(51)를 일체화 결합구조로 수직 연장시켜, 그 연장되는 고정 작동로드(51) 상단부에 탄성밸브시트(6)를 일체화 구조로 더 결합형성하며, 재차, 상기 고정 작동로드(51)를 중심으로 탄성 가변유도판(5) 상부 방사상 면에 도 8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로 관통된 다수개의 직수배출공(52)을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원형간격배열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역류제어시트(2)가 배제된 형태로써, 탄성 가변유도판(5) 단일구성에 의해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의 확장경사 배출면(13)과, 수밀부재(3)의 보조확장 경사면(31)을 밀착단속하며, 역류차단 작용을 행하게 된다.
1 : 밸브 하우징 2 : 역류제어시트
3 : 수밀부재 4 : 보조탄성시트
5 : 탄성가변유도판 6 : 탄성밸브시트
11 : 설치공간부 12 : 직수유도판
13 : 확장경사 배출면 14 : 고정플랜지
21 : 경질 시트부재 22 : 합성고무수지
23 : 작동로드 24 : 직수배출공
25 : 유도공 차단돌기 31 : 보조확장 경사면
32 : 플랜지 삽입홈 41 : 보조 작동로드
51 : 고정 작동로드 52 : 직수배출공

Claims (6)

  1.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설치공간부(1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설치공간부(11) 내측 하부면에 융기된 반구 형상의 직수유도판(12)과, 설치공간부 상단 내측면 둘레에 확장경사 배출면(13)과, 설치공간부 상단 외측면 둘레에 고정플랜지(14)를 일체로 형성한 밸브 하우징(1);
    상기 밸브 하우징(1)의 설치공간부(11)로 삽입되며, 융기된 직수유도판(12)의 상부면에 안착 결합하는 반구 형상의 역류제어시트(2);
    그리고, 내측 상부면 둘레에 보조확장경사면(31)과, 보조확장경사면(31) 하부면 둘레에 플랜지 삽입홈(32)을 일체로 형성하며, 플랜지 삽입홈(32)에 의해 상기 밸브 하우징(1)의 고정플랜지(14)로 탈,부착 결합하는 링 형상의 수밀부재(3)로 형성하되;
    상기 밸브 하우징(1)에 있어, 직수유도판(12)은, 상부면 중앙에 원형관통된 로드설치공(121)을 형성하고, 로드설치공(121)을 중심으로 직수유도판(12) 상부 방사상 면에 관통된 직수유도공(122)과 막힘된 역류차단막(123)을 다수개의 원형 교차배열구조로 더 형성하며;
    상기 역류제어시트(2)는, 하부면 중앙에 상기 직수유도판(12)의 로드설치공(121)으로 삽입 결합하는 작동로드(23)와, 작동로드(23) 끝단부로 결합하는 걸림 고정추(231)를 형성하고, 작동로드(23)를 중심으로 역류제어시트(2) 하부 방사상 면에 관통된 직수배출공(24)과, 막힘된 유도공 차단돌기(25)를 다수개의 원형 교차배열구조로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의 직수유도판(12)은, 반구 형상으로 융기된 구성임을 포함하며, 융기된 부위와 반대되는 직수유도판(12)의 저면부는 직수포집홈(124)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제어시트(2)는, 반구형상을 취하는 경질 시트부재(21) 하부면에 연질의 합성고무수지(22)가 코팅처리되고, 코팅처리된 연질의 합성고무수지(22)가 돌출성형 되며 유도공 차단돌기(2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호스용 역류방지 유닛은, 직수유도판(12)의 로드설치공(121)과, 역류제어시트(2)의 작동로드(23)가 결합된 결합부위 하부면에, 걸림 고정추에 의해 걸림된 연계구조로 탄성 복원스프링(S)이 더 설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제어시트(2)는, 상부면 중앙에 보조 작동로드(41)에 의한 수직 연장구성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보조 탄성시트(4)를 더 연결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의 직수유도판(12)은, 직수 수압에 의해 상부측을 향해 반구 형상으로 융기 변형되고, 역류압에 의해 하부측을 향해 반구형상으로 함몰 변형되는 탄성 가변유도판(5)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변유도판(5)의 상부 중앙면에 고정 작동로드(51)가 일체화 결합구조로 수직 연장하며, 그 연장되는 고정 작동로드(51) 상단부에 탄성밸브시트(6)가 일체화 구조로 더 결합형성되고;
    상기 고정 작동로드(51)를 중심으로 탄성 가변유도판(5) 상부 방사상 면에 관통된 다수개의 직수배출공(52)이 원형간격배열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KR1020180032376A 2018-03-21 2018-03-21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KR10205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76A KR102052817B1 (ko) 2018-03-21 2018-03-21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76A KR102052817B1 (ko) 2018-03-21 2018-03-21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63A true KR20190110663A (ko) 2019-10-01
KR102052817B1 KR102052817B1 (ko) 2019-12-05

Family

ID=6820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376A KR102052817B1 (ko) 2018-03-21 2018-03-21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629A (ja) * 1999-06-29 2001-01-16 Kane Kogyo Kk 逆流防止装置
KR100831714B1 (ko) * 2007-02-27 2008-05-22 (주)원바다 동축 이중체크밸브형 유체 역류방지장치
JP2009275852A (ja) * 2008-05-15 2009-11-26 Tlv Co Ltd 逆止弁
KR20130049738A (ko) * 2011-11-04 2013-05-14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체크 밸브
JP2015200333A (ja) *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逆止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629A (ja) * 1999-06-29 2001-01-16 Kane Kogyo Kk 逆流防止装置
KR100831714B1 (ko) * 2007-02-27 2008-05-22 (주)원바다 동축 이중체크밸브형 유체 역류방지장치
JP2009275852A (ja) * 2008-05-15 2009-11-26 Tlv Co Ltd 逆止弁
KR20130049738A (ko) * 2011-11-04 2013-05-14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체크 밸브
JP2015200333A (ja) *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17B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5265A (en) Jet-aerator spray shower-head
CN108061178B (zh) 按压切换阀芯
JP6375456B2 (ja) スプレーヘッドおよびスプレー装置
KR102052817B1 (ko) 샤워호스용 역류 방지유닛
KR100701650B1 (ko) 출몰식 급수장치
KR100745084B1 (ko) 급수 분배기
US7467753B2 (en) Connecting tube structure
US20170306597A1 (en) Washer with an adjustable inlet aperture for different water pressure
US6105926A (en) Diaphragm assembly disc
AU2014100933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erving and Filtering Water
CN210585436U (zh) 一种出水嘴结构及花洒、顶喷、抽取式喷头
US10274092B2 (en) Flow diverter valve
KR101273399B1 (ko) 수전용 절수기
KR20130045791A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US20170051482A1 (en) Trap integrated drain device for washbasin
CN114278761A (zh) 一种具有排残留水功能的淋浴器
KR200257561Y1 (ko) 역류방지밸브를 갖는 자동 정류량조절밸브
KR101126692B1 (ko)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CN100510490C (zh) 电磁阀
JPH0241400Y2 (ko)
KR20160003586U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EP1711663A1 (en) Water saving device
JP7345216B2 (ja) 排水栓装置
KR200480200Y1 (ko)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CN214063910U (zh) 一种自力式定流量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