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64A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64A
KR20190109964A KR1020180031708A KR20180031708A KR20190109964A KR 20190109964 A KR20190109964 A KR 20190109964A KR 1020180031708 A KR1020180031708 A KR 1020180031708A KR 20180031708 A KR20180031708 A KR 20180031708A KR 20190109964 A KR20190109964 A KR 2019010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evice
physical address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536B1 (ko
Inventor
김평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536B1/ko
Priority to PCT/KR2019/003174 priority patent/WO2019182323A1/ko
Priority to EP19771230.0A priority patent/EP3761657A4/en
Priority to US16/980,515 priority patent/US11356741B2/en
Publication of KR2019010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영상 처리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 처리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고,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IMAGE DISPLAY APP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입력 소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 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셋탑 박스 등을 연결하여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셋탑 박스 등을 외부 입력 소스로 미리 설정하고, 입력 모드를 전환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외부 입력 소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외부 입력 소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 처리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고,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 처리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연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콘텐트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를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도 11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연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콘텐트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를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영상 표시 장치(100), 영상 처리 장치(200), 소스 장치(300), 원격제어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예컨대, TV)와 영상 처리 장치(200)(예컨대, AV 리시버(201))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200)는 소스 장치(300)(예컨대, BD 플레이어(301), 셋톱 박스(302), OTT 박스(303))와 HDMI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 도 2, 3)(이하, 영상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도 3)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데스크탑,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폰,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다양한 외부 입력 소스(예컨대,셋톱 박스 등)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트(영상,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통신 기능(이하, ‘CEC 기능’으로 설명하기로 한다.)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CEC 기능을 지원하는 영상 표시 장치(100)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들과 CEC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AV 리시버(201), AV 앰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외부 입력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의 디코딩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처리를 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200)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업스케일링 하기도 하며, 원본 그대로 영상 표시 장치(예컨대, TV)로 보내주는 바이패스(Bypass)기능을 하는 영상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200)는 아날로그로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각 채널의 스피커로 보내주는 파워앰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출력 장치(예컨대, 영상 표시 장치(100) 또는 영상 처리 장치(200))로 송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3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디코더를 이용해 영상, 음성, 문자 등으로 변환해서 출력 장치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300)는, 콘텐트를 재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는, BD 플레이어(301), 셋톱 박스(302), OTT 박스(303),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장치(3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HDMI 연결 포트에 연결되고, 영상 처리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HDMI 연결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가 CE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소스 장치(300)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CEC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콘텐트를 제공 받기 위해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300)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100)는 콘텐트를 제공 받기 위한 소스 장치(300) 즉, 외부 입력 소스(이하, ‘입력 모드’로 설명하기로 한다.)를 선택 또는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콘텐트는,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문자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방송 신호, 방송 신호로부터 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콘텐트는, 소스 장치(300)로부터 출력 장치(영상 표시 장치(100) 및/또는 영상 처리 장치(200))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소스 장치(3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300)의 제조사, 기기 명, HDMI 연결 포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소스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 할 필요 없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자동으로 소스 정보를 인식하고 소스 정보에 관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300)는 미리 생성된 테이블에 포함된 소스 정보(예컨대, 제조사 명)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스 정보(예컨대, 제조사 명)를 선택하면, 선택된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로 외부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모드로 선택된 소스 장치(300)로 입력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몇 번째 HDMI 연결 포트에 영상 처리 장치(200)가 연결되고 영상 처리 장치(200)의 몇 번째 HDMI 연결 포트에 소스 장치(300)가 연결되어 있는지에 관한 물리적 주소 정보가 필요하다. 즉, 영상 처리 장치(200)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 연결된 HDMI 연결 포트 정보(이하, ‘제1 HDMI 연결 포트 정보’)와, 소스 장치(300)가 영상 처리 장치(200)에 연결된 HDMI 연결 포트 정보(이하, ‘제2 HDMI 연결 포트 정보’)가 필요하다.
예컨대, 영상 표시 장치(100)(예, TV)에 구비된 복수의 HDMI 연결 포트 중 2번 HDMI 연결 포트에 영상 처리 장치(200)(예, AV리시버)가 연결되고, 영상 처리 장치(200)의 3번 HDMI 연결 포트에 소스 장치(300)(예, 셋탑 박스)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소스 장치(300)의 HDMI 연결 포트 정보를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장치(300)가 CEC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일 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CEC 기능을 이용하여 CEC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소스 장치(300)의 소스 정보(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 장치 식별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설정할 수 있다. CEC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획득한 소스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소스 장치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예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장치(300)가 CEC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CE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CEC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소스 장치(300)와 연결될 때에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는, 통합 리모컨 설정을 위한 IR 컨트롤(예컨대, MBR(Multi-Brand Remote control) 기능(이하, ‘MBR 기능’으로 설명하기로 한다.)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소스 장치(300)는 MBR 키 수신부(3002, 도4)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송출한 제어 신호(MBR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MBR 키 송신부(1007, 도 4)를 통해 미리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MBR 키)를 송출하고, 이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가 전송한 HDMI info-frame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100)는 MBR 기능을 이용하여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MBR 기능을 이용하여 소스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소스 장치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예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11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연결된 소스 장치(300)가 CEC 기능을 지원하거나, 또는 CE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소스 정보를 설정할 필요 없이,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자동으로 소스 정보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입력 소스 장치에 관한 소스 정보를 사용자 입력으로 직접 설정하는 불편함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자동으로 설정된 소스 정보(예컨대, 기기 명)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하고, 표시된 소스 정보(예, 기기 명)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소스 장치(300)로의 입력 모드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 상에서 콘텐트를 제공 받기 위한 외부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자 할 때, 소스 장치(300)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미리 설정하는 과정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된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 제조사 명)을 선택하는 입력만으로 외부 입력 모드를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4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입력 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4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400)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외에, 디스플레이(11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오디오 처리부(115), 오디오 출력부(126), 전원부(190), 센싱부(19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의 영상 표시 장치(100a)는 도 1, 도 2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12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를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메모리(120)에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영상 처리 장치(200)에 의해 확인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200)는,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300)로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입력 모드 전환을 인식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셋을 이용하여,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비디오 처리부(180), 디스플레이(110), 오디오 처리부(115), 오디오 출력부(126),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의 제어를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121),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12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입력 신호가 미리 지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경우 채널 스크롤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TV 뷰어 모듈(123),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로부터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문자 인식 모듈(124),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의 채널 제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MBR 모듈(12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롬, 램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12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영상 처리 장치(200)와의 제1 연결 포트 정보와, 영상 처리 장치(200)의 소스 장치(300)와의 제2 연결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에 각각 매칭되는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 제조사 명, 모델 명 등)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리모컨 코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 도3)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1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는,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 제조사 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4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튜너부(1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40)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미도시)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미도시)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161), 카메라부(162) 및 광 수신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3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163)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업/다운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영상 제공 장치(미도시)는 HDMI 포트(17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1)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오디오 처리부(11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1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1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6)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6)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6)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6)는 스피커(127), 헤드폰 출력 단자(128)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6)는 스피커(127), 헤드폰 출력 단자(128) 및 S/PDIF 출력 단자(129)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9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센싱부(191)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태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91)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92),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93), 온/습도 센서(194), 적외선 센서(195), 자이로스코프 센서(196), 위치 센서(예컨대, GPS)(1970), 기압 센서(198), 근접 센서(199),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튜너부(140)를 포함하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톱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 100a)의 블록도는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의 영상 표시 장치(100b)는 도 1, 도 2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b)는, TV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b)는, CEC 기기 정보 저장부(1003), CEC 메시지 처리부(1004), 소스 정보 표시부(1005), MBR 설정부(1006), MBR 키 송신부(100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CEC 메시지 처리부(1004)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와 CEC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EC 메시지 처리부(1004)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소스 장치(300)에게, 물리적 주소 정보, 기기 명, 제조사 명 등을 물어보기 위한 CEC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이에 응답하는 수신된 CEC 메시지를 CEC 기기 정보 저장부(1003)로 전달할 수 있다.
CEC 기기 정보 저장부(1003)는, 수신한 CEC 메시지에 포함된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CEC 정보 데이터 베이스(1001)에 저장할 수 있다.
소스 정보 표시부(1005)는, 소스 정보(물리적 주소 정보, 기기 명, 제조사 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HDMI 정보 처리부(1008)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HDMI info-frame 정보를 수신하고, info-frame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제조사, 기기 타입, 모델 명 등을 info-frame 정보 데이터 베이스(1002)에 저장할 수 있다.
MBR 키 송신부(1007)는, info-frame 정보 데이터 베이스(1002)에 저장된 info-frame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사, 모델 명 등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셋을 선택하고,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MBR 설정부(1006)는, HDMI info-frame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코드 셋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MBR 설정부(1006)는, 리모컨 코드 셋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EC 정보 데이터베이스(1001)는, CEC 메시지를 통해 획득된, 외부 장치의 기기 명, 제조사, 물리적 주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info-frame 정보 데이터베이스(1002)는, HDMI info-frame을 통해 획득된, 외부 장치의 제조사, 기기 타입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100b)에 포함된 CEC 기기 정보 저장부(1003), CEC 메시지 처리부(1004), 소스 정보 표시부(1005), MBR 설정부(1006), MBR 키 송신부(1007)를 각각의 독립된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CEC 기기 정보 저장부(1003), CEC 메시지 처리부(1004), 소스 정보 표시부(1005), MBR 설정부(1006), MBR 키 송신부(1007)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프로세서(130)(도 2, 3)가 메모리(120)(도2, 3)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EC 정보 데이터베이스(1001), info-frame 정보 데이터베이스(1002)는, 메모리(120)(도2, 3)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도 4의 영상 처리 장치(200a)는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200)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200a)는, AV 리시버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0a)는, CEC 메시지 처리부(2002), HDMI Hot Plug 감지부(2003)를 포함할 수 있다.
CEC 메시지 처리부(2002)는, CEC 메시지를 생성하고, CEC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간에 CEC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HDMI Hot Plug 감지부(2003)는, 영상 처리 장치(200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HDMI 입력 포트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주소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1)는, 영상 처리 장치(200a)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영상 처리 장치(200a)에 포함된 CEC 메시지 처리부(2002), HDMI Hot Plug 감지부(2003)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영상 처리 장치(200a)의 프로세서(미도시)가 영상 처리 장치(200a)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V 리시버(200a)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 데이터베이스(2001)는 영상 처리 장치(200a)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도 4의 제1 소스 장치(301a)는, 도 1의 BD 플레이어(301)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도 4의 제2 소스 장치(302a)는, 도 1의 셋탑 박스(302)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도 4의 제3 소스 장치(303a)는, 도 1의 OTT 박스(303)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소스 장치(301a)가 CE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제1 소스 장치(301a)의 물리적 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소스 장치(301a)는 MBR 키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소스 장치(302a)는 MBR 키 수신부(3002)를 포함할 수 있다. MBR 키 수신부(3002)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송출한 MBR 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소스 장치(303a)가 CEC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제1 소스 장치(303a)의 물리적 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소스 장치(303a)는 MBR 키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3 소스 장치(301a, 303a)는 MBR 키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송출한 MBR 키를 수신할 수 있다.도 4의 블록도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흐름도를 설명하면서 도 6, 도 7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의 단계 S501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영상 처리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20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소스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영상 처리 장치(200)와의 제1 HDMI 연결 포트 정보와, 영상 처리 장치(200)의 소스 장치(300)와의 제2 HMDI 연결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표시 장치(1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영상 처리 장치(200)가 연결되고, 영상 처리 장치(200)의 3번 HDMI 입력 포트에 소스 장치(300)가 연결되어 있다면,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는 <2.3.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주소 정보는, 4 바이트(byt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를 1 depth 라고 할 때, 4개의 depth 까지 장치 연결이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영상 처리 장치(200)에 의해 확인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예에 관해서는, 후술할 도 9, 도 12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300)의 장치의 타입, 장치의 제조사, 기기 명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300)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예에 관해서는, 후술할 도 8, 도 11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300)의 HDMI 연결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테이블은, 복수의 소스 장치가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때, 복수의 소스 장치에 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가 획득한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300)의 식별 정보(예컨대, BD 플레이어, A사)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소스 장치에 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300)의 식별 정보(예컨대, 셋탑 박스, B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3.0.0>)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300)의 식별 정보(예컨대, OTT 박스, C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될 때,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소스 장치(300)가 추가적으로 연결되었는지 감지하고 소스 정보를 테이블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HMDI 연결 포트에 장치 연결을 인식하거나 Hot-Plug 감지에 따라, 테이블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연결된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테이블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300)로부터 CEC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테이블에 추가하고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일 실시 예에 따라 도 5의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소스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예에 관해, 후술할 도 9, 도 12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단계 S50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콘텐트를 제공 받기 위한 소스 장치(300)를 선택 또는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300)에 관한 장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치 식별 정보로서 장치 타입과 제조사 명(예컨대, "BD 플레이어- A사", "셋탑 박스- B사", "OTT 박스-C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 장치(40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 S503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BD 플레이어-A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미리 생성된 테이블(도 6 참조)을 검색하여 "BD 플레이어-A사"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결정된 물리적 주소 정보(<2.1.0.0>)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HDMI 연결 포트 2번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HDMI 연결 포트 1번에 연결된 소스 장치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물리적 주소 정보(<2.1.0.0>)를 포함하는 입력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팅함에 따라, 물리적 주소 정보(<2.1.0.0>)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로 입력 모드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300)로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셋을 이용하여 소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BD 플레이어-A사", 도 7 참조)가 선택됨에 따라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BD 플레이어-A사”)에 대응하는 제1 소스 장치로 입력 모드가 전환된 상태에서, 다른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셋탑 박스-B사”, 도 7 참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셋탑 박스-B사”)에 대응하는 제2 소스 장치로의 입력 모드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다른 장치 식별 정보(“셋탑 박스-B사”, 도 7 참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장치 식별 정보("BD 플레이어-A사”)에 대응하는 제1 소스 장치에게 입력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BD 플레이어-A사”)에 대응하는 제1 소스 장치에게 전원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라 도 5의 영상 표시 장치(100)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예에 관해서는 후술할 도 10, 도 13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연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콘텐트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를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소스 장치(300)가 CEC 기능을 지원할 때에,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소스 장치(300)를 자동 인식하여 소스 정보로 저장하며,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영상 처리 장치(200)(예컨대, AV 리시버(201))가 연결되고, 영상 처리 장치(200)의 1번 HDMI 입력 포트에 소스 장치(300)(예컨대, BD 플레이어(301))가 연결된 예를 설명한다. 이 때, 소스 장치(301)의 물리적 주소 정보는, <2.1.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소스 장치(300)가 CEC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의 단계 S901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 인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영상 처리(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20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소스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예컨대, 제조사, 기기 명, 물리적 주소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될 때, 영상 표시 장치(100)의 HMDI 연결 포트에 장치 연결을 인식하거나 Hot-Plug 감지에 따라,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예컨대, 제조사, 기기 명, 물리적 주소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90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예컨대, “<Give Physical Address>”라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Give Physical Address>”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물리적 주소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로부터, 예컨대, “<Report Physical Address>”라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Report Physical Address>”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를 전달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로부터 물리적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를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두 번째(2번) HDM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첫 번째(1번) HMDI 연결 포트에 소스 장치(30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단계 S904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예컨대, “<Give OSD Name>”라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Give OSD Name>”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기기 명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는, 기기 명, 제조사 명, 모델 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로부터, 예컨대, “<Set OSD Name>”라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et OSD Name>”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기기 명(예컨대, “BD player”)을 전달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로부터 기기 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기 명(예컨대, “BD player”)을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903에서 저장된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에 대응하여 기기 명(예컨대, “BD player”)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6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903에서 수신한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와 S905에서 수신한 기기 명(예컨대, “BD player”)을 대응하여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두 번째(2번) HDM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첫 번째(1번) HMD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소스 장치(300)의 기기 명을, 예컨대, “BD player”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소스 정보에 관한 테이블은, 각각의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와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예, 장치 타입, 기기 명, 제조사 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 및/또는 제조사 명)를 메모리(120, 도 3)에 기 저장된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와 비교하고, 중복되지 않음을 확인한 후,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01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120, 도 2,3)(이하, 메모리(120))에 저장된 소스 정보에 관한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를 디스플레이(110, 도 3)(이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입력 소스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장치 타입, 기기 명, 제조사 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으로써, 소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소스 장치에 관한 장치 식별 정보는, 소스 장치의 장치 타입(예컨대, “BD 플레이어”)과 소스 장치의 제조사 명(예컨대, “A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소스 장치에 관한 장치 식별 정보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모델 명(예컨대, “DD”)과 소스 장치(300)의 모델 명(예컨대, “ss”)이 조합된 정보(예컨대, “DD-ss”)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의 단계 S100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선택된 소스 장치로 입력 모드를 전환하라는 제어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의 단계 S1003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t Stream Path>”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1002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한 메시지를 소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Set Stream Path>”라는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et Stream Path>”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전환하고자 하는 입력 모드를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t Stream Path>” 메시지에,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를 포함시켜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가 포함된 “<Set Stream Path>” 메시지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두 번째(2번) HDM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첫 번째(1번) HMD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소스 장치(300)로부터 콘텐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모드로 전환하겠다는 의미의 메시지일 수 있다.
도 10의 단계 S1004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HDMI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1002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DD-ss”)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의 첫 번째 바이트(byte) 정보 (예컨대, <2.1.0.0>에서 “2”)를 기초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2번 HDMI 입력 포트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05에서, 영상 처리 장치(200)는, HDMI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0)는, 단계 S1003에서 브로드 캐스트 된 <Set Stream Path>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Set Stream Path>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적 주소(예컨대, <2.1.0.0>)의 두 번째 바이트(byte) 정보 (예컨대, <2.1.0.0>에서 “1”)를 기초로, 영상 처리 장치(200)의 1번 HDMI 입력 포트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단계 S1006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로부터 <Active Sourc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브로드 캐스트 된 “<Set Stream Path>”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적 주소(예컨대, <2.1.0.0>)가 자신의 물리적 주소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소스 장치(300)는, <Set Stream Path>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자신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1.0.0>)를 포함시켜서 “<Active Source>”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Active Source>”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메시지를 전송한 소스 장치(300) 자신이 영상 표시 장치(100)로 콘텐트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로서 동작할 것임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1007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CEC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Active Source>” 메시지를 수신하면, 하나의 통합된 제어 장치(400, 도1)에 의해, CEC 메시지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소스 장치(300)에 관한 정보(물리적 주소 정보, 제조사 명, 기기 명 등)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소스 정보 중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통해, 기기 명과 같은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모드로의 전환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연결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콘텐트 제공 장치를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는, 소스 장치(300)가 CEC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때에, MBR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소스 장치(300)를 자동 인식하여 소스 정보로 저장하며,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영상 처리 장치(200)(예컨대, AV 리시버(201))가 연결되고, 영상 처리 장치(2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소스 장치(300)(예컨대, 셋탑 박스(302))가 연결된 예를 설명한다. 이 때, 소스 장치(302)의 물리적 주소 정보는, <2.2.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1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 인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예컨대, 제조사, 기기 명, 물리적 주소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될 때, 영상 표시 장치(100)의 HMDI 연결 포트에 장치 연결을 인식하거나 Hot-Plug 감지에 따라, 소스 장치(300)에 관한 소스 정보(예컨대, 제조사, 기기 명, 물리적 주소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 신호 예컨대, MBR power key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리모컨 코드 셋 중 적어도 하나의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예컨대, power key)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0, 도 2,3)(이하, 메모리(120))는,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리모컨 코드 셋을 복수 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 중 송출할 코드 셋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CE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3에서, 소스 장치(3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온(on) 또는 오프(off)로 전환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스 장치(30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송출한 제어 신호(예컨대, power key)가 자신의 리모컨 코드 셋에 대응함에 따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4에서, 영상 처리 장치(200)는, HDMI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0)는, 제어 신호(예컨대, power key)에 기초하여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전환한 소스 장치(300)가 영상 처리 장치(200)의 몇 번째 HDMI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를 감지한 영상 처리 장치(200)는 감지된 HDMI 입력 포트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 장치(200)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연결된 소스 장치(300)가 온(on)으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면, 2번 HDMI 입력 포트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5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HDMI info-fram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HDMI info-frame 정보는, 소스 장치(300)의 제조사, 기기 명, 모델 명 등을 포함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DDC(Display Data Chanel) 라인을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송출한 power key의 제어 신호에 응답한 소스 장치(300)의 HDMI info-fram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6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0)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전환한 소스 장치(300)가 영상 처리 장치(200)의 몇 번째 HDMI 입력 포트(예컨대, 2번)에 연결되어 있는지 감지함에 따라,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0)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달하기 위해,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Routing Information>” 라는 CEC 메시지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가, 영상 처리 장치(200)의 2번 HDMI 입력 포트에 연결된 소스 장치(300)의 전원이 온(on) 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를 브로드 캐스트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2의 단계 S1207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와 장치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외부 입력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입력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1205에서 획득한 HDMI info-frame에 포함된 소스 장치(300)의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제조사 명, 기기 명, 모델 명))와, 단계 S1206에서 획득한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를 맵핑하여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 및/또는 제조사 명)를 메모리(120, 도 3)에 기 저장된 소스 정보에 관한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와 비교하고, 중복되지 않음을 확인한 후, 소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단계 S1301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메모리(120, 도 2,3)(이하, 메모리(120))에 저장된 소스 정보에 관한 테이블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 명)를 디스플레이(110, 도 3)(이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입력 소스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제조사 명 “A사”)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으로써, 소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소스 장치에 관한 장치 식별 정보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모델 명(예컨대, “DD”)과 소스 장치(300)의 모델 명(예컨대, “kk”)이 조합된 정보(예컨대, “DD-kk”)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의 단계 S1302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소스 장치(예컨대, “DD-kk”)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선택된 소스 장치로 입력 모드를 전환하라는 제어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3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t Stream Path>”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1302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DD-kk”)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Set Stream Path>”라는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et Stream Path>” 메시지는, CEC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간에 미리 약속된 송수신 메시지로서, 전환하고자 하는 입력 모드를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t Stream Path>” 메시지에,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소스 장치(300)의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를 포함시켜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가 포함된 “<Set Stream Path>” 메시지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두 번째(2번) HDM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두 번째(2번) HMDI 연결 포트에 연결된 소스 장치(300)로부터 콘텐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모드로 전환하겠다는 의미의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1304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HDMI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단계 S1202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예컨대, “DD-kk”)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리적 주소 정보(예컨대, <2.2.0.0>)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물리적 주소의 첫 번째 바이트(byte) 정보 (예컨대, <2.2.0.0>에서 “2”)를 기초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2번 HDMI 입력 포트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5에서, 영상 처리 장치(200)는, HDMI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CEC 기능을 지원하는 영상 처리 장치(200)는, 단계 S1303에서 브로드 캐스트 된 “<Set Stream Path>”라는 CEC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Set Stream Path>”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적 주소(예컨대, <2.2.0.0>)의 두 번째 바이트(byte) 정보 (예컨대, <2.2.0.0>에서 “2”)를 기초로, 영상 처리 장치(200)의 2번 HDMI 입력 포트로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소스 장치(300)는 CE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에 관한 예이므로, 단계 S1303에서 브로드캐스트 된 <Set Stream Path>라는 CEC 메시지를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소스 장치(300)는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다.
도 13의 단계 S1306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MBR 키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 인식 프로세스에서 획득한 HDMI info-frame(도 12의 S1205 참조)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코드 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결정된 리모컨 코드 셋을 이용하여 소스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CE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소스 장치(300)를,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인식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의 소스 정보 중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기기 명과 같은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모드로의 전환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개시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은 본 개시의 실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본 개시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는 a1, a2 및 a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기재은, A라는 엘리먼트(element)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엘리먼트가 a1, a2 또는 a3라는 넓은 의미이다.
상기 기재로 인해 엘리먼트 A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반드시 a1, a2 또는 a3로 국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A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a1, a2 및 a3 이외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을 배제한다는 의미로, 배타적으로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기재는, A는 a1를 포함하거나, a2를 포함하거나, 또는 a3를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기재가 A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반드시 소정 집합 내에서 선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가, 반드시 a1, a2 및 a3를 포함하는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a1, a2, 또는 a3가 컴포넌트 A를 구성한다는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라는 기재는, "a1", "a2", "a3", "a1 및 a2", "a1 및 a3", "a2 및 a3", 및 "a1, a2 및 a3" 중에서 한 가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a1 중 적어도 하나, a2 중 적어도 하나 및 a3 중 적어도 하나"라고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이상,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라는 기재는 "a1 중 적어도 하나", "a2 중 적어도 하나" 및 "a3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100 : 영상 표시 장치
130 : 프로세서

Claims (19)

  1. 영상 처리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를 제어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의 제1 HDMI 연결 포트 정보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상기 소스 장치와의 제2 HDMI 연결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스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소스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입력 모드 전환을 인식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확인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를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영상 처리 장치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와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의 제1 HDMI 연결 포트 정보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상기 소스 장치와의 제2 HDMI 연결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소스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물리적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입력 모드 전환을 인식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리모컨 코드 셋에 포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확인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물리적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소스 장치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장치 식별 정보를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소스 장치의 입력 모드로 전환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소스 장치의 물리적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방법.
  19. 제10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31708A 2018-03-19 2018-03-19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08A KR102549536B1 (ko) 2018-03-19 2018-03-19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9/003174 WO2019182323A1 (ko) 2018-03-19 2019-03-19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19771230.0A EP3761657A4 (en) 2018-03-19 2019-03-19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16/980,515 US11356741B2 (en) 2018-03-19 2019-03-1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08A KR102549536B1 (ko) 2018-03-19 2018-03-19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64A true KR20190109964A (ko) 2019-09-27
KR102549536B1 KR102549536B1 (ko) 2023-06-29

Family

ID=6798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08A KR102549536B1 (ko) 2018-03-19 2018-03-19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56741B2 (ko)
EP (1) EP3761657A4 (ko)
KR (1) KR102549536B1 (ko)
WO (1) WO20191823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049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82547A1 (ko) * 2022-03-24 2023-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0123B1 (en) 2008-04-18 2018-01-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electing a picture of a devic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KR102549536B1 (ko) * 2018-03-19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080895A4 (en) * 2020-01-09 2023-08-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 THEREOF
CN113497924A (zh) * 2020-03-20 2021-10-1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系统及投影方法
US11895359B2 (en) * 2021-04-13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4012030A1 (zh) * 2022-07-15 2024-01-1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和用于显示设备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358A (ko) * 2008-03-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입력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237571A1 (en) * 2008-03-18 2009-09-24 Funai Electric Co., Ltd. Video display device
US11356741B2 (en) * 2018-03-19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534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콘트롤 네트워크의 외부입력 정보 업데이트방법
TWI384870B (zh) 2006-01-03 2013-02-01 Mstar Semiconductor Inc 自動偵測影音訊號的影音切換方法及其相關裝置
US8094989B2 (en) 2006-10-31 2012-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xternal input table
KR101306706B1 (ko) 2006-11-09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와 연결된 외부기기 자동 설정 장치 및 방법
US8510798B2 (en) 2007-04-02 2013-08-13 Sony Corporation Authentication in an audio/visual system having multiple signaling paths
JP4618291B2 (ja) * 2007-11-30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における操作情報送信方法
US20100013998A1 (en) 2008-07-17 2010-01-21 Peter Mortensen Intelligent task based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EP2574044A4 (en) * 2010-05-19 2013-04-24 Sharp Kk PLAYING DEVICE,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SYSTEM,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918544B2 (en) * 2011-03-31 2014-12-23 Logitech Europ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remote-control system
US20130229579A1 (en) * 2012-03-01 2013-09-05 Sony Corporation Hdmi device showing network map and device addresses
CN104113772B (zh) 2013-04-22 2018-11-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US9247177B2 (en) 2013-04-22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TWI619387B (zh) 2015-08-14 2018-03-21 凱銳光電股份有限公司 符合hdmi-cec規格的遙控方法與系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7571A1 (en) * 2008-03-18 2009-09-24 Funai Electric Co., Ltd. Video display device
KR20080039358A (ko) * 2008-03-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입력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56741B2 (en) * 2018-03-19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049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82547A1 (ko) * 2022-03-24 2023-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6741B2 (en) 2022-06-07
KR102549536B1 (ko) 2023-06-29
WO2019182323A1 (ko) 2019-09-26
US20210021904A1 (en) 2021-01-21
EP3761657A1 (en) 2021-01-06
EP3761657A4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53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KR1023470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678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72221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1018530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8009805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1010609B (zh) 提供广播节目信息的图像显示设备和方法
US10582257B2 (en) Serve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N108476342B (zh)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101425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4365729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8906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KR102121535B1 (ko)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873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262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program
KR2017007647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70101077A (ko)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