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049A -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049A
KR20190109049A KR1020180030914A KR20180030914A KR20190109049A KR 20190109049 A KR20190109049 A KR 20190109049A KR 1020180030914 A KR1020180030914 A KR 1020180030914A KR 20180030914 A KR20180030914 A KR 20180030914A KR 20190109049 A KR20190109049 A KR 2019010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ole
safety device
rope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숙
Original Assignee
조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숙 filed Critical 조명숙
Priority to KR102018003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049A/ko
Publication of KR2019010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매달린 상태로 안전하게 전기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착용자의 몸통을 감아 고정되는 몸통고정띠; 버클에 의해 허리에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허리벨트; 일단은 상기 허리벨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허리벨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주에 걸어 몸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전주걸이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작업용 안전장치{Safety Equipment For Working On The Telephone Pole}
본 발명은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주에 매달린 상태로 안전하게 전기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기선로의 가설작업이나 통신선로의 가설작업시 작업자가 탈 수 있는 버킷 형태의 작업대가 마련된 크레인 형태의 작업용 차량이 동원된다. 이 차량을 이용하면 안전하게 작업할 수는 있지만 차량을 동원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차량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이나 차량을 수배하지 못한 긴급한 상황에서는 불가피하게 작업자가 단신으로 사다리를 이용하여 전주를 타고 올라가 작업에 임해야 한다. 종래에는 허리벨트에 로프를 연결하여 작업에 임하곤 하였지만 이는 작업자에게 위험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80-0002297호 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84-0002385호는 허리춤에 로프를 걸 수 있는 구성의 안전바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만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5943호는 전주에 설치된 각종 통신장비에 대한 유지 보수작업시 작업자의 안전과 편리를 위하여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제안된 안전 좌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작업자가 앉을 수 있으며 각종 장비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것으로 그 형상이 부체꼴 모양으로 이루어진 좌판부와, 작업자가 좌판부에 앉았을 때 편안한 착석 구조를 갖도록 하고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좌판부의 후방측에 구비된 등받이와, 상기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좌판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좌판부와 전주를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대와, 좌판부 및 지지대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는 전주에 올라선 상태에서 작업을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서 전주를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작업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은 아니며 고정된 것이어서 여러 높이에서 작업하는데 사용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80-000229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실1984-000238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594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작업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주에 매달린 상태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하며, 전주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높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착용자의 몸통을 감아 고정되는 몸통고정띠; 버클에 의해 허리에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허리벨트; 일단은 상기 허리벨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허리벨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주에 걸어 몸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전주걸이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통고정띠는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는 어깨고정띠; 상기 어깨고정띠의 앞으로 연장된 띠는 옆구리와 사타구니를 거쳐 허벅지를 감싼 다음 등쪽으로 연장되어 등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어깨고정띠의 뒷쪽과 연결되는 연장띠를 포함함으로써;
착용자의 앞쪽에서 볼 때는 11자 형태로 설치되고; 착용자의 뒷쪽에서 볼 때는 "X"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몸통고정띠의 어깨고정띠의 앞쪽에는 어깨고정띠가 좌우로 벌어져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벌어짐방지끈이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주걸이로프의 일단에는 전주카라비너가 결속되고 타측에는 길이조절구가 연결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일단은 상기 몸통고정띠에 연결되고 타단은 추락시 몸통이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외부의 고정지점에 연결되는 추락방지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주에 매달린 상태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하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추락시에도 사용자가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전주걸이로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의 착용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의 착용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의 착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주작업용 안전장치의 길이조절구의 정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주작업용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몸에 착용하고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주작업용 안전장치는 몸통고정띠(10,10',11,11',12,12'), 허리벨트(30), 전주걸이로프(40), 및 추락방지로프(60)를 포함하고 있다.
몸통고정띠(10,10',11,11',12,12', 이하, '10 등'이라 함)는 착용자의 몸통을 감아 고정하는 것이다. 몸통고정띠(10 등)는 통상 X반도라 불리는 안전용품과 유사한 방식으로 몸통을 감싸게 된다. 몸통고정띠(10 등)는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는 어깨고정띠(10,10')와, 어깨고정띠(10,10')의 앞으로 연장된 띠는 옆구리와 사타구니를 거터 허벅지를 감싼 다음 등쪽으로 연장되어 등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어깨고정띠(10,10')의 뒷쪽과 연결되는 연장띠(11,11',12,12')를 포함한다. 이로써 몸통고정띠(10 등)는 착용자의 앞쪽에서 볼 때는 11자 형태로 설치되고(도 1 참조), 착용자의 뒷쪽에서 볼 때는 "X"자 형태로 설치된다(도 2 참조).
몸통고정띠(10 등)의 어깨고정띠(10,10')의 앞쪽에는 어깨고정띠(10,10')가 좌우로 벌어져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벌어짐방지끈(2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벌어짐방지끈(20)의 중간에는 연결 또는 분리를 위한 통상의 버클(21)이 설치되어 있다.
추락방지로프(60)는 일단이 상기 몸통고정띠(10 등)에 연결되고 타단이 추락시 몸통이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외부의 고정지점에 연결된다. 외부의 고정지점이란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구조물로서 전주 자체가 될 수 있다.
몸통고정띠(10 등)의 뒤쪽, 즉 어깨고정띠(10,10')의 뒤쪽 부분이 "X"자 형태로 엇갈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등지지판(13)이 설치된다(도 2 참조). 추락방지로프의 일단은 이 등지지판(13)에 연결된다. 즉 어깨고정띠(10,10')의 뒤쪽 연장끈(12,12')은 이 등지지판(13)에 "X"자 형태로 끼워져 교차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등지지판(13)에는 등판고리(1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추락방지로프(60)의 단부에 설치된 후방카라비너(61)는 이 등판고리(14)에 걸려진다. 추락방지로프의 타단에 설치된 전방카라비너(62)는 한쪽 어깨고정띠(10)에 설치된 거치고리(15)에 끼워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시 전방카라비너(62)를 거치고리(15)에서 분리하여 소정 고정부위에 추락방지로프(60)를 매달아놓을 수 있다.
허리벨트(30)가 허리버클(31)에 의해 허리에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통고정띠(10 등)와 허리벨트(30)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허리벨트(30)에 중량물을 매달아도 허리벨트(30)가 밑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몸통고정띠(10 등)에 고리를 만들고 이 고리에 허리벨트(30)를 끼움으로써 서로 고정하면 될 것이다.
몸통고정띠(10 등)는 양쪽 다리를 끼울 수 있는 다리끼움부(11,11')를 포함하고 있다. 다리끼움부(11,11')는 어깨고정띠(10,1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사타구니에 걸쳐지게 되어 있다. 이로써 몸통고정띠(10 등)는 착용자의 몸통 및 다리를 전부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추락시 추락방지로프(60)에 의해 큰 불편 없이도 공중에 매달릴 수 있게 된다.
전주걸이로프(60)는 일단이 허리벨트(30)의 일측(착용자의 왼쪽)에 마련된 제1전주로프고리(32)에 연결되고 타단이 허리벨트(30)의 타측(착용자의 오른쪽)에 마련된 제2전주로프고리(33)에 연결된다. 작업자는 전주(P)가 자신의 몸체와 전주걸이로프(40)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고 무게중심을 뒤로 한 상태에서 발을 전주(P)에 지지함으로써 전주(P) 위에서 양손이 자유롭게 지탱될 수 있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전기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주걸이로프(40)의 일단에는 전주카라비너(41)가 결속되고 타측에는 길이조절구(50)가 연결됨으로써 전주걸이로프(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길이조절구(50)는 전주걸이로프(40, 이하 '로프'라 한다)에 끼워지는 로프고정구(51)와, 로프고정구(51)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로프고정구(51)에 끼워진 로프(40)를 가압하여 로프(40)가 고정되도록 하는 레버 형태의 잠금구(53)와, 잠금구(53)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손으로 눌러 잠금구(53)의 선단이 로프(40)에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52)와, 허리벨트(30)에 고정되어 있는 제2전주로프고리(33)에 걸기 위한 벨트고정고리(54)를 포함한다.
손잡이(52)를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톱니와 같이 생긴 잠금구(53)의 선단부위가 로프고정구(51)에 끼워진 로프(40)에서 이격되고 따라서 로프(40)가 로프고정구(51)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로프(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로프(4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길어야 할 때도 있고 그 반대여야 할 때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10',11,11',12,12' : 몸통고정띠
13 : 등판 14 : 등판고리
15 : 거치고리 20 : 벌어짐방지끈
30 : 허리벨트 31 : 허리버클
40 : 전주걸이로프 41 : 전주카라비너
50 : 길이조절구 51 : 로프고정구
52 : 손잡이 53 : 잠금구
54 : 벨트고정고리

Claims (4)

  1. 착용자의 몸통을 감아 고정되는 몸통고정띠;
    버클에 의해 허리에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허리벨트;
    일단은 상기 허리벨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허리벨트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주에 걸어 몸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전주걸이로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고정띠는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는 어깨고정띠;
    상기 어깨고정띠의 앞으로 연장된 띠는 옆구리와 사타구니를 거쳐 허벅지를 감싼 다음 등쪽으로 연장되어 등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어깨고정띠의 뒷쪽과 연결되는 연장띠를 포함함으로써;
    착용자의 앞쪽에서 볼 때는 11자 형태로 설치되고; 착용자의 뒷쪽에서 볼 때는 "X"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몸통고정띠의 어깨고정띠의 앞쪽에는 어깨고정띠가 좌우로 벌어져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벌어짐방지끈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몸통고정띠에 연결되고 타단은 추락시 몸통이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외부의 고정지점에 연결되는 추락방지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KR1020180030914A 2018-03-16 2018-03-16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KR20190109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14A KR20190109049A (ko) 2018-03-16 2018-03-16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14A KR20190109049A (ko) 2018-03-16 2018-03-16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49A true KR20190109049A (ko) 2019-09-25

Family

ID=6806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914A KR20190109049A (ko) 2018-03-16 2018-03-16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0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85A (ko) 1981-10-13 1984-06-25 미카엘 에이. 포오렉 선로 보호기 및 이에 관련된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85A (ko) 1981-10-13 1984-06-25 미카엘 에이. 포오렉 선로 보호기 및 이에 관련된 단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946B1 (en) Roping harness with an offset attachment strip
US3757893A (en) Articulating leg slings and belt
US8353386B2 (en) Safety harness
AU2017245405B2 (en) Leg strap assembly and safety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2647293A (en) Fire safety appliance for application to the outside of windows
EP3162411A1 (en) Protective equipment
CA2155457A1 (en) Harness with adjustable means for supporting a tool belt
CA2067119C (en) Harness and seat board repelling system
US20130175117A1 (en) Convertible Safety Harness
US20200114181A1 (en) Harness With Adjustable Belt Strap
US4446943A (en) Fire service harness
JP200814880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US20070114095A1 (en) Positioning and safety lanyar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US2302997A (en) Fireman's utility belt and attachment therefor
US20150060195A1 (en) Harness with Integral Relief Loops for Suspension Trauma
US20110174572A1 (en) Attachable Arrangement
US11603707B2 (en) Carri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90109049A (ko)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JP6733884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101824384B1 (ko) 탈부착 가능한 사다리형 안전로프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대
KR200480530Y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KR101710380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US20060011414A1 (en) Mounting plate for harness
KR200255061Y1 (ko) 안전조끼가 구비된 그네식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