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028A -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028A
KR20190109028A KR1020180030865A KR20180030865A KR20190109028A KR 20190109028 A KR20190109028 A KR 20190109028A KR 1020180030865 A KR1020180030865 A KR 1020180030865A KR 20180030865 A KR20180030865 A KR 20180030865A KR 20190109028 A KR20190109028 A KR 20190109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control server
emergency
multimedia content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윌
Priority to KR102018003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028A/ko
Publication of KR2019010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4L65/4076
    • H04L65/40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젝터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외부의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는,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수단, 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통제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프로젝터의 전원을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 수단, 긴급 상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OT 게이트웨이 수단,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타임 스케줄 수단, 재난 재해 등 비상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환하기 위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 외부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 외부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 수단, 및 로컬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NETWORK BASED IOT PROJECTOR FOR PREVENTING DISASTER AND CRIME}
본 발명은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젝터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반 프로젝터와 달리 프로젝터에 네트워크 콘트롤 기능 및 IOT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이 포함된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프로젝터는 천정이나 벽에 고정시키는 타입과 탁자나 책상 등에 설치하여 이동하는 타입으로 LCD, DLP 등 디스플레이 소자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또는 홈 씨어터(Home Theater)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1과 같이, 외부입력 즉, PC, 티브이 등의 영상신호 입력을 LCD, DLP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통해 실제 영상형태로 구현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 상기 신호 처리부(11)의 출력을 레이저, LCD를 통해 실제 영상형태로 구현하는 영상 생성부(12), 상기 영상 생성부(12)의 출력을 스크린에 투영되도록 확대하기 위한 렌즈부(13)로 이루어진다. 현재 이와 같이 구성된 프로젝터는 상술한 고정형태 또는 이동 형태로 설치되어 소정 자료를 디스플레이하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광고는 기업이나 개인이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 및 기업의 이념, 신조, 정책 등을 불특정 다수인에게 널리 알려 상품의 판매를 촉진시키기 위한 소기의 목적을 거두기 위해 투자하는 정보활동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된 광고의 방법으로는 TV, 라디오 등과 같은 공중파 방송 매체 또는 신문, 잡지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옥외에 설치되는 간판과 같은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옥외에 설치되는 광고 장치는 문자나 도안이 인쇄된 광고판을 하우징 내부의 형광 램프로 조명하거나, 대소형 건물의 옥탑에 설치되는 전광판에 문자나 동영상과 같은 광고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옥외용 광고 장치는 공간적인 제약이 많고 공간 확보에 따른 제반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다수인이 각자의 개성에 맞도록 제작하므로서 여러 종류의 광고장치가 설치되어 통일성이 없어 광고의 효과도 저하됨은 물론 도시의 미관 또한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한 건물의 외벽에 광고 장치를 설치하려면 건물 외벽에 부착되는 광고판의 높이, 크기, 위치 등에 대한 법규상의 제약이 따르며, 옥탑에 전광판을 설치할 경우에는 광고장치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별도의 건물 임대료 등과 같은 사용료가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연결된 빔 프로젝터와 투영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광고 시스템도 광고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광고 파일을 갱신하는 등의 오프라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난 및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긴급문자로 알려주고는 있지만 휴대단말기를 현재 소지하지 않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재난발생시 이를 즉시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 평상시 기업의 광고나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등을 수행하는 한편, 재난시 재난 관련 이미지 또는 재난 발생 상황 등을 투사하고, 또한 범죄 발생과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 휴대단말기 또는 비콘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이를 미리 정해진 곳으로 알려주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외부의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는,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수단,
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통제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프로젝터의 전원을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 수단,
긴급 상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OT 게이트웨이 수단,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타임 스케줄 수단,
재난 재해 등 비상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환하기 위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
외부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
외부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 수단, 및
로컬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서 포함한다.
전술한 양태에서 통제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 수단은, 유선 LAN, 무선 LAN, Wi-Fi, 3G, LTE , 블루투스, 와이브로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제어부는 IOT 게이트웨이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을 통해 현재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단하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이머전시 전용의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거나 통제 서버로부터의 실시간 멀티미디어(영상 또는 방송)을 재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제어부는 통제 서버로부터 미리정해진 식별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을 통해 현재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단하고 현재 수신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영상 또는 방송)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저장 수단에는 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타임 스케줄이 더 저장되고, 타임 스케줄 수단은 타임 스케줄에 따라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양태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미리정해진 소프트웨어 또는 앱(App)을 설치한 스마트폰 또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위급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는 위급 신호가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된 경우 위급 신호가 수신된 프로젝터의 위치 정보를 통제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상이한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 또는 비콘 송신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Z-웨이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 설치된 로컬 프로젝트는 평상시에는 기업의 광고,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또는 범재 예방을 위한 각종 멀티미디어 영상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제 센터로부터 수신하여 투사하거나 통제 센터에서 정해진 편성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대응하여 시간별로 송출하고, 재난 재해가 발생하면 특정한 지역에 설치된 프로젝터 또는 전체 프로젝트를 동시에 관리 센터에서 재난재해 상황에 맞는 특정한 정보(재난 문자 정보, 영상, 이미지를 포함)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프로젝터에서 출력하여 재난으로 인한 피해 방지에 도움을 준다.
또한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휴대폰 또는 Beacon단말을 통해 긴급한 위급상황을 인식하게 되면 이를 통제 센터로 전송하고 통제 센터는 이를 즉각 전국에 기존 설치된 시군 CCTV통합관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CCTV 영상녹화를 가능하게 하고 112와 같은 해당 관청으로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여 범죄 예방에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터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시스템에서 프로젝터와 제어 센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시스템에서 IOT 게이트웨이 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시스템은 통제 서버(100), 복수의 로컬 영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로젝터(200)를 포함하고, 통제 서버(100)와 복수의 프로젝터(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먼저, 상기 통제 서버(100)는 기업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 설치되어 원하는 광고 콘텐츠 또는 홍보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젝터(200)에 제공하고, 재난 발생시 재난 상황을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영상, 문자, 이미지, 또는 이들이 조합된 콘텐츠(이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젝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제 서버(100)는,
외부의 로컬 프로젝터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외부에 설치된 로컬 프로젝터(200)들의 전원을 on/off 및 모니터링하고 현장에 맞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젝터로 전송하고 비디오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모듈,
재난 재해 등 비상 상황시 외부(방송국 등)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로컬 프로젝터(200)에 송출하기 위한 이머전스 스위칭(Emergence Switching) 모듈과,
로컬 프로젝터(200)의 IOT 게이트웨이(gateway)로부터 비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 CCTV 관제센터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긴급한 신호를 보내기 위한 CCTV NVR 인터페이스(Interface)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통제 서버(100)는 시간대별로 미리 정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방송 스케줄 일정표를 로컬 프로젝터(200)로 전송하기 위한 타임 스케줄링 모듈을 포함한다. 통제 서버(100)의 관리자는 타임 스케줄링 모듈을 이용하여 로컬 프로젝터를 통해 방송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방송 스케줄 일정을 기록한 일정표를 작성하고 이를 로컬 프로젝터(200)로 전송하여 언제든지 로컬 프로젝터(200)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방송 스케줄 시간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통제 서버(100)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에 대해 긴급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기 위한 TEXT 오버레이(OVERLAY) 모듈을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로컬 프로젝터에 영상과 문자를 동시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복수의 로컬 프로젝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제 서버(200) 및 통신 단말(400)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LAN, Wi-Fi, 3G, LTE , 블루투스 등) 수단,
통제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SD카드)과,
통제 서버(2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전원을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 수단,
긴급한 상황에 따라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전송받아 통제 서버(100)에 전송하기 위한 IOT 게이트웨이 수단,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타임 스케줄 수단,
재난 재해 등 비상시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
외부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스피커),
외부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 수단(프로젝션),
로컬에서 노트북이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이동 단말을 통해 직접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HDMI 입력 인터페이스 및 USB 입력 인터페이스, 및
로컬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통신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RJ-45 등의 유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Z-wave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3G, LTE, 와이브로,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네트워크 통신 수단은 원거리 통신 수단인 RJ-45 및 Wi-Fi 통신 모듈을 통해 통제 서버(200)와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근거리 통신 수단인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의 이동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로컬 프로젝터(200)의 각각은 통제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저장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SD 메모리, HDD, SSD, RAM 등의 비휘발성을 갖는 저장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SD 메모리가 이용되었으며, SD 메모리에는 통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로컬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OS(안드로이드)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타임 스케줄링 수단에 의해 시간대별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로컬 프로젝터(100)는 통제 서버(2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전원을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 수단을 포함한다. 로컬 프로젝터(100)는 SMPS와 같은 전원 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로컬 프로젝터(100)의 제어부는 전원 On/OFF 수단(스위치)을 통해 SMPS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영상 출력 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긴급한 상황에 따라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전송받아 통제 서버(100)에 전송하기 위한 IOT 게이트웨이 수단을 더 포함한다.
IOT 게이트웨이는 특정 소프트웨어(어플)을 설치한 스마트폰 이나 비콘 송신기를 보유한 사람들이 범죄 등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전송하는 이머전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통제 서버(100)에 전송하여, 통제 서버에서 적절한 대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 또는 비콘 송신기(IoT 디바이스) 각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처럼 IoT 디바이스 각각이 WiFi, 블루투스, 지그비, Z-웨이브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및 Z-웨이브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들 각각은 독립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외부의 휴대 단말 또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OS에서 제공되는 이머전시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송출중인 콘텐츠를 정지지키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이머전시용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로딩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로컬 프로젝터의 소리 출력부와 영상 출력부를 통해 싸이키 조명과 싸이렌과 같은 이머전시용 소리 및 영상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범죄와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된 경우 범죄의 진행이 멈추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머전시용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음성 출력부 및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위급 신호를 통제 서버(100)에 전송하고, 통제 서버(100)에서 위급 신호를 수신하면 CCTV 관제센터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긴급한 신호를 보내도록 기능하는 CCTV NVR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CCTV 관계센터에 위급 신호가 발생된 로컬 프로젝터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CCTV 관제센터에서는 전송되어온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주변의 CCTV의 녹화를 활성화한다.
또한 통제 서버(100)는 위급 신호를 수신한 경우 CCTV 관계센터에 위급 신호 발생을 통지하는 로컬 프로젝터의 위치에 기반하여 한편 미리 정해진 경찰서와 같은 해당 관청에 이를 신고하도록 더 동작되어 범죄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외부의 휴대 단말 또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OS에서 제공되는 이머전시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송출중인 콘텐츠를 정지지키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이머전시용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로딩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가 통제 서버에 위급 신호를 통지하고 난 후 서버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콘텐츠(영상 또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컬 프로젝터(200)는 SD 카드와 같은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타임 스케줄 수단을 포함한다. 타임 스케줄링 수단은 로컬 프로젝터를 운용하는 OS 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다.
제어부는 통제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타임 스케줄링 일정표를 수신하여 저장수단에 저장한 후, 스케줄링 일정표에 따라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간대별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스케줄링 일정표는 통제 서버(100)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지만 관리자가 현장의 로컬 프로젝터에 USB 인터페이스 또는 WiFi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컬 프로젝터(200)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 또는 재난 재해 등 비상시 현재 타임 스케줄링 일정표에 따라 방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단하고,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이머전시 스위칭 수단 역시 전술한 타임 스케줄 수단과 유사하게 로컬 프로젝터를 운용하는 OS 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머전시 스위칭 수단은, IOT 게이트웨이로부터 긴급 또는 비상 신호가 발생된 경우 또는 통제 서버(100)로부터 재난 발생 등으로 인해 이머전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된다.
통제 센서(100)에서 재난 발생 등으로 인해 긴급하게 방송사의 영상을 송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통제 센터에서는 이머전시 스위칭 기능을 통해 이머전시용 태그 또는 식별자를 가진 방송사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로컬 프로젝터(200)에 전송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텍스트 오버레이 기능을 통해 자막이 오버레이된 상태로 송출될 수 있다. 로컬 프로젝터(200)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에 포함된 이머전시용 태그 또는 식별자를 통해 최우선적으로 송출해야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로컬 프로젝터(200) 내의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을 활성화하여 현재 방송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단하고 통제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 설치된 로컬 프로젝트는 평상시에는 기업의 광고, 지방자치단체의 홍보 또는 범재 예방을 위한 각종 멀티미디어 영상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제 센터로부터 수신하여 투사하거나 통제 센터에서 정해진 편성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대응하여 시간별로 송출하고, 재난 재해가 발생하면 특정한 지역에 설치된 프로젝터 또는 전체 프로젝트를 동시에 관리 센터에서 재난재해 상황에 맞는 특정한 정보(재난 문자 정보, 영상, 이미지를 포함)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프로젝터에서 출력하여 재난으로 인한 피해 방지에 도움을 준다.
또한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휴대폰 또는 Beacon단말을 통해 긴급한 위급상황을 인식하게 되면 이를 통제 센터로 전송하고 통제 센터는 이를 즉각 전국에 기존 설치된 시군 CCTV통합관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CCTV 영상녹화를 가능하게 하고 112와 같은 해당 관청으로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여 범죄 예방에 일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외부의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에 있어서,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수단,
    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통제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프로젝터의 전원을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 수단,
    긴급 상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OT 게이트웨이 수단,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타임 스케줄 수단,
    재난 재해 등 비상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환하기 위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
    외부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
    외부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 수단, 및
    로컬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수단은, 유선 LAN, 무선 LAN, Wi-Fi, 3G, LTE , 블루투스, 와이브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IOT 게이트웨이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시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을 통해 현재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단하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이머전시 전용의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거나 통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제 서버로부터 미리정해진 식별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이머전스 스위칭 수단을 통해 현재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단하고 현재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는 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타임 스케줄이 더 저장되고,
    상기 타임 스케줄 수단은 타임 스케줄에 따라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6. 제4항에 있어서,
    IOT 게이트웨이는 미리정해진 소프트웨어 또는 앱(App)을 설치한 스마트폰 또는 비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위급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위급 신호가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된 경우 위급 신호가 수신된 프로젝터의 위치 정보를 통제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는 상이한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 또는 비콘 송신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Z-웨이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KR1020180030865A 2018-03-16 2018-03-16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KR20190109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65A KR20190109028A (ko) 2018-03-16 2018-03-16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65A KR20190109028A (ko) 2018-03-16 2018-03-16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28A true KR20190109028A (ko) 2019-09-25

Family

ID=6806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65A KR20190109028A (ko) 2018-03-16 2018-03-16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0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5954A (ko) 교통 신호등에 근접 배치된 프로그래머블 사인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NO20020671L (no) System for digitalt å frembringe og fremvise reklameinformasjon i kinoer og teatre, og tilsvarendefremgangsmåte
US7881662B2 (en) System for information contextual distribution simultaneously in a public and individual mode
CN105550899A (zh) 智能终端上的媒体分发系统及方法
US11102447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for multi-screen
KR20210019625A (ko)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CN103138861A (zh) 基于数字广播的应急广播系统
KR101015952B1 (ko) 교통 상황 관제 시스템
CN101567828B (zh) 一种乘客信息服务系统及其实现方法
KR20160100705A (ko) 화면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JP6547335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2077138A (zh) 用于数字电影的动态显示的方法和设备
JP2000347576A (ja) 電子看板システム
JP745858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160069271A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화상 회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1274830A (ja) 緊急情報配信装置、緊急情報提供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90109028A (ko) 재난 및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iot 프로젝터
KR20190059825A (ko)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
KR100913214B1 (ko) Rfid 태그 생성기
KR20140025091A (ko) 무인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688365B1 (ko)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포터블 광고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US2019022751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gital display monitoring and reporting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7015B1 (ko) 재난 재해 정보를 처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EP2444946A1 (en) Mobile alert broadc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