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986A -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986A
KR20190108986A KR1020180030751A KR20180030751A KR20190108986A KR 20190108986 A KR20190108986 A KR 20190108986A KR 1020180030751 A KR1020180030751 A KR 1020180030751A KR 20180030751 A KR20180030751 A KR 20180030751A KR 20190108986 A KR20190108986 A KR 2019010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reinforcement
wall surface
reinforcement bracket
base portion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5634B1 (en
Inventor
이석진
박스칸
도남영
김봉찬
이준호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63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ground stiffener, which is possible to install a steel wire for ground reinforcement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four directions or eight directions, and specifically, to a bracket for ground stiffener, which mounts a wedge on a wire penetrating a wall surface part of the bracket for ground stiffener to be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ensioning operation using a puller for applying tension force. To this end, the bracket for ground stiff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having a fixing hole; and a wall surface part having an inclined guiding hole guiding the wire extended from the edge of the base part by being bent in a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base part an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be extended therein to be bent in a direction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Description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4방향 또는 8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for installing the steel wire for ground reinforcement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four or eight directions, in particular,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t relates to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hat can smoothly perform the tensioning work using a tensioner for attaching a wedge to the penetrated wire.

일반적으로, 지반 또는 암반이 느슨해지거나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볼트 또는 락 볼트로 불리는 앵커(anchor)와, 숏크리트(shotcrete), H형 강, 거더(girder),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등의 지반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Ground reinforcements such as anchors, also called cable bolts or lock bolts, and shotcrete, H-shaped steel, girders, and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to prevent ground or rock from loosening or collapsing. Is being used.

상술한 지반 보강재 중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중앙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판상의 브래킷에 강선을 연결하여 긴장력을 줌으로써 지반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Among the above ground reinforcement,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configured to reinforce the ground by connecting a steel wire to the plate-like bracket having a fixing hole in the center portion and applying a tension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의 고정홀에 락 볼트, 케이블 볼트, 강선 등이 관통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굴착, 취약지반이나 벽면 등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Specifically, lock bolts, cable bolts, steel wires, and the like are fixed to the fixing holes of the brackets so as to be fixed to improve the shear strength of the excavation, the weak ground or the wall surface.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일예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출원번호 제10-2017-0144399호)'가 있다. A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her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pplication number No. 10-2017-0144399)' filed by the applicant.

상기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벽면을 형성하는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해 상, 하 방향과 좌, 우 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강선을 입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conventional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llow three-dimensional steel wires to be installed in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through support hole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forming the wall surfac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지압부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인장기를 이용하여 쐐기를 장착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round reinforcing material bracke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ressur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wedge using the tensioner.

출원번호 제10-2017-0144399호(출원일자 2017년 11월 1일)Application No. 10-2017-0144399 (filed November 1, 2017)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4방향 또는 8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a bracket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to install the steel wire for ground reinforcement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four or eight directions, in particular,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t is to provide a bracket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to be able to smoothly perform the tension work using a tensioner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penetrated wire through the wedg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한다.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ase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And a wall surface portion having an inclined guide hole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and guides the wire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be bent in the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portion inclined.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surface center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t least one section of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되거나 4개의 변부에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wall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only on a pair of sides facing the base portion or may be formed on all four sides.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모두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ll portion is formed on all four sides, the neighboring wall portion may be connected integrally.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wall surface portion is bent in one side outward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extends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base portion,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wall surface portion. .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surface center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cent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clined guide hole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portion into which the wire is drawn.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 또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on a pair of edge portions or four edge portions facing the base portion,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ll portion is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the neighboring wall portion may be connected integrally.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이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the neighboring wall surface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의 후크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착탈식 보조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a hook hole is formed at a side edg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a first hook is fixed to each other by a hook hole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portion, and a detachable auxiliary plate having a through hole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may be further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착탈식 보조판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착탈식 보조판의 양측 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후크가 구비된 양측 변부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movable auxiliary plate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he first hook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movable auxiliary plate, the flexible wire extending from the corresponding vertex portion between both sides provided with the first hook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hook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of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ve pa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using a tensioner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wedge to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por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또한, 기본적으로 4방향으로 와이어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착탈식 보조판을 추가로 장착하여 최대 8방항으로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re can be mounted in up to eight directions by additionally attaching a removable auxiliary plate to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onfigured to mount the wire in four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ny way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3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urality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installed stat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first embodiment comprises a base portion 100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base unit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부(100)는 평평한 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지반, 또는 암반이나 터널 등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인장, 압축, 굽힘, 비틀림 강도가 강한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The base portion 1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trong tensile, compression, bending, and torsional strength to form a firm fixing force on the ground or a rock or a tunnel as a flat plate-shaped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홀(100h)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base portion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fixing hole (100h)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한편,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가상의 점선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00)가 구획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4,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is divided based on a virtual dotted line.

상기 고정홀(100h)은 지반 보강을 위한 강선(W1)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The fixing hole 100h is a hole for fastening the steel wire W1 for ground reinforcement.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측면에 매립되어 일부분이 노출된 강선(W1)이 상기 고정홀(100h)에 쐐기(wd)를 통해 견고하고 긴장력을 갖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에 의해 터널의 내측면이 견고하게 보강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teel wire W1 embed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and partially exposed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100h through a wedge wd to have a strong and tensioned force.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can be firmly reinforced by the part 100.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P)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ve pad (P).

상기 압축성 패드(P)는 고무 재질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0)가 터널의 불규칙한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력을 높이도록 기능한다. The compressive pad (P) may be composed of a pad of rubber material, and the base portion 100 functions to increase the adhesion that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rregular inner surface of the tunnel.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00h)의 주변 부분에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at a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100h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art 100.

상기 통공(H)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포함한 터널의 내측면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 상기 베이스부(100)와 터널 내측면의 사이 공간부(S)에 콘크리트가 상기 통공(H)을 통해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completed, the through hole (H) is in the space (S) between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including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placed in concrete Concrete can be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H) so that no empty space is created.

다음으로, 상기 벽면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도면의 좌측이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해당되고, 도면의 우측이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해당되는 것으로 한다. The wall portion 200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ase portion 100 by b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0. 4, the left side of the figure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base part 100, and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art 100.

한편, 상기 벽면부(200)에는 경사안내홀(200h)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외측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한다. Meanwhile,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in the wall surface part 200, and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W2 extending from the outer space to the inner space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100. Guide the band to bend.

구체적으로,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100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to obliquely penetrate the wall surface 200.

즉,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직선형태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That is,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200 in a straight line.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장기를 이용한 와이어 인장작업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경사안내홀(200h)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의 밴딩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consideration of the wire tensioning operation using a tensioner,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and also, inclined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e 200h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smoothly bend the wir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200h)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경사안내홀(200h)을 관통하는 와이어(W2)는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밴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200 is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The penetrating wire W2 may be bent in a bent shap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100.

즉, 도 4의 아래측에 있는 와이어(W2)의 단부 방향이 도 4의 좌측 상방을 향하도록 밴딩됨에 따라 쐐기(wd)를 장착하기 위한 인장기 작업 공간이 확보됨은 물론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이 상기 인장기의 지지면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the end direction of the wire W2 on the lower side of FIG. 4 is bent toward the upper left side of FIG. 4, the tensioner working space for mounting the wedge wd is secured, as well as the wall portion 200. The inner side of the can act as the support surface of the tensioner.

즉, 종래에는 와이의 단부가 마주하는 벽면부(200)를 향하고 있어서 길이가 긴 인장기를 브래킷의 내부공간에 넣고 작업을 하기가 어려웠지만, 와이어(W2)의 단부 방향이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길이가 긴 인장기로도 인장작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That is, in the related art, it was difficult to work with the long tensioner in the inner space of the bracket because the end of the wire is facing the wall portion 200 facing each other, but the end direction of the wire W2 is the base portion 100. As it is configured to fa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it can be stretched even with a long tensioner.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4방향 변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고, 이웃하는 각각의 벽면부(200)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all four sides of the base portion 100, each adjacent wall surface portion 200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가 4방향 변부에 모두 형성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와이어를 연결하여 복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호 간에 인장력이 장용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wall portion 200 is formed in all four sides, as shown in Figure 5, by connecting the wire in four directions so that a plurality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ensile force between each other It can be entertained.

하지만,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4방향 변부에 모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설치 상황에 따라 상기 벽면부(200)는 1개의 변에만 형성되거나, 3개의 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wall surface part 200 may not be formed in all four direction edge parts of the base part 100, but may be formed only in a pair of edge parts facing the base part 100. Accordingly, the wall surface part 20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r may be formed on three side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인장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It is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00, and further,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200 to be inclined to extend from the outside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to the inside Wire W2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ortion 100 can facilitate the tensioner operation.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urality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installed state.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6 to 9,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ase portion 100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base unit 100 will be described.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중앙 부분에 고정홀(100h)이 형성된 사각의 평평한 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지반, 또는 암반이나 터널 등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인장, 압축, 굽힘, 비틀림 강도가 강한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ase portion 100 is a rectangular flat plate-shaped portion having a fixing hole 100h formed at its center portion, and is tensioned, compressed, bent or twisted to form a firm fixing force on the ground or a rock or tunnel. It is made of a strong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면에도 압축성 패드(P)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00h)의 주변 부분에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ve pad (P), the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100h)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100 have.

한편, 상기 제2실시예의 베이스부(100)는 제1실시예의 베이스부(100)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나머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se portion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base portion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벽면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will be described.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도면의 좌측이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해당되고, 도면의 우측이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해당되는 것으로 한다.  9, the left side of the figure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base part 100, and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art 100.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is a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0 at an edge of the base portion 100. Specifically,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is the base portion 100. It is bent in one side of the outward direction and extends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base portion (100).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200')끼리 이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ach formed on the four sides, the adjacent wall surface portion 200' may be spaced apart.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벽면부(20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어 이웃하는 벽면부(200')끼리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may be formed only on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base portion 100, and also,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o be formed on each of the four edge parts so that neighboring wall surface parts 200 ′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은 벽면부(200')에는 외측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200'h)이 형성된다. In the wall portion 200 ′ as described above, an inclined guide hole 200 ′ h is formed to guide the wire W2 extending from the outer space to the inner spac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100. .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part 200 ', and specifically,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outer side of the wall surface part 200'.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한편, 인장기를 이용한 와이어 인장작업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wire tensioning operation using a tensioner, the inclined guide hole 200'h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와이어(W2)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W2)의 밴딩 시 와이어(W2)와 간섭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inclined guide hole (200 'h) is a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wire (W2) when bending of the wire (W2) is formed by extending the portion where the wire (W2) is drawn It is desirable not to occur.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상기 판상의 벽면부(200') 자체가 상기 판상의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200'h)이 상기 벽면부(20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인장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of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be inclined such that the plate-shaped wall surface portion 200 'itself forms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te-shaped base portion 100, and the inclined guide hole 200'. As h) is formed to penetrate the center portion of the wall surface portion 200 ′, the wire W2 drawn in from the outside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nd extending inwardly is directe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100. Easy to work with.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착탈식 보조판(30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1 and Figure 12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vable auxiliary plate 300 is further provided.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는 전체적으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각각의 벽면부(200')의 양측면 테두리에는 한 쌍의 후크홀(h1)이 형성된다. The modified example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embodiment as a whole, and a pair of hook holes h1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each wall surface portion 200 ′.

한편, 이웃하는 한 쌍의 벽면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착탈식 보조판(300)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movable auxiliary plate 300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wall surface portion 200 ′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이 이웃하는 벽면부(200')의 후크홀(h1)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의 양측 변부에는 각각 한 쌍의 제1후크(hk1)가 구비된다. A pair of first hooks hk1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auxiliary plate 300 so that the detachable auxiliary plate 300 is fixed to the hook hole h1 of the neighboring wall surface 200 ′. It is provided.

또한, 착탈식 보조판(300)의 양측 변부에 구비된 제1후크(hk1)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는 플렉서블 와이어(310)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와이어(310)의 단부에는 제2후크(hk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vert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hk1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auxiliary plate 300 is provided with a flexible wire 310, and an end of the flexible wire 310 has a second hook hk2. ) Is provided.

또한,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의 중앙 부분에 관통홀(300h)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through hole 300h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etachable auxiliary plate 300.

상술한 바와 같은 착탈식 보조판(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부(200')의 후크홀(h1)에 제1후크(hk1)가 걸려 고정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부(100)의 고정홀(100h)에 제2후크(hk2)가 걸려 고정되는 상태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auxiliary plate 300 includes a first hook hk1 fixed to the hook hole h1 of the wall surface 200 ′ as shown in FIG. 12, and the base plate 100 is fixed thereto. The second hook hk2 is fixed to the fixing hole 100h and may be mounted to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이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장착된 경우에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4방향 이외에 추가적으로 4개의 경사방향으로 와이어(W2)를 연결할 수 있어서 최대 8방향으로 와이어(W2)를 연결할 수 있다. When the detachable auxiliary plate 300 is mounted on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in addition to the four directions of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the wires W2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in four inclined directions so that the wires W2 may be connected in a maximum of eight directions.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20)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A base portion having a fixing hole formed therein;
A wall surface portion having an inclined guide hole for bending a wir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base to one side of the base and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ben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Bracket for reinforc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is incli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inclined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portion,
The inclined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side surface central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3,
The inclined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aight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ope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ope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되거나 4개의 변부에 모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only on a pair of sides facing the base portion or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ll four sid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모두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all four sides, and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wall surface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wall surface portion is bent in one side outward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extends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base portion,
And the inclined guide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e wall surfac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9,
The inclined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side surface central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clined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aight sha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1,
The slope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clined guide hole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formed extend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 또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9,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wall surface portion is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on a pair of sides or four sides facing the bas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9,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the ground reinforcement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adjacent neighboring wall surface portions are integrally connec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9,
The wall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neighboring wall surface brackets for ground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의 후크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착탈식 보조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9,
A hook hole is formed at the side edge of the wall portion,
And a first hook fixed to and hooked into a hook hole of a neighboring wall, respectively, and a detachable auxiliary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보조판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착탈식 보조판의 양측 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후크가 구비된 양측 변부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movable auxiliary plate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he first hook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movable auxiliary plate, the flexible wire extending from a vertex portion corresponding between the sides of the first hook is provided and the wire A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ok provided at th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of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The method of claim 1,
Ground reinforceme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ve pa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KR1020180030751A 2018-03-16 2018-03-16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KR1020956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en) 2018-03-16 2018-03-16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en) 2018-03-16 2018-03-16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86A true KR20190108986A (en) 2019-09-25
KR102095634B1 KR102095634B1 (en) 2020-03-31

Family

ID=6806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en) 2018-03-16 2018-03-16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6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8765A (en) * 2020-01-19 2020-06-05 厦门楷铭科技有限公司 Training wall assembling unit and training wall spliced by applying assembling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76A (en) * 1999-03-05 2000-09-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Spraying slope frame construction method and spraying slope frame
JP2001295271A (en) * 2000-04-11 2001-10-26 Nittoc Constr Co Ltd Irregularity adjusting mat
KR20120045938A (en) * 2010-11-01 2012-05-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Bearing plat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ground
KR20170102617A (en) * 2016-03-02 2017-09-12 김용응 Slope reinforcing structure and slope reinfor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76A (en) * 1999-03-05 2000-09-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Spraying slope frame construction method and spraying slope frame
JP2001295271A (en) * 2000-04-11 2001-10-26 Nittoc Constr Co Ltd Irregularity adjusting mat
KR20120045938A (en) * 2010-11-01 2012-05-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Bearing plat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ground
KR20170102617A (en) * 2016-03-02 2017-09-12 김용응 Slope reinforcing structure and slope reinforc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8765A (en) * 2020-01-19 2020-06-05 厦门楷铭科技有限公司 Training wall assembling unit and training wall spliced by applying assembl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634B1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975B1 (en) Shear strength reinforcing system for structure using eye-bolt and wirerope
US20210404175A1 (en) Structure having edge reinforcement on profiled rail
KR101626395B1 (en) Method for Repairing 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KR101926160B1 (en) Method and wale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20190108986A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US5678374A (en)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made construction and fixture used therefor
KR20090025496A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earthquake-proof efficiency
KR10118627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reflex composite beam girder of reinforced stiffness
KR200387409Y1 (en) Fixing apparatus of wire rope
KR100903751B1 (en) Combination device for cables
JP5334707B2 (en) Reinforcement method of beams in wooden buildings
JP5442365B2 (en) Reinforced beam joint hardware
KR102074573B1 (en) 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JP5925098B2 (en) Seismic ceiling structure
JP3882349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concrete members
KR100516769B1 (en) A reinforcement method by anchoring &amp; tensioning steel strand.
KR101939373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Member using Steel Wire Embedded FRP bar
JP4616060B2 (en) Wall mounting bracket and building outer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04211459A (en) Earth retaining structure
JP3870365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concrete members
KR20060053030A (en) Net type external prestress strength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lab bridges
KR100656285B1 (en) Anchoring structure of external wire for tension and shear reinforcement
KR101211763B1 (en) The structure of lattice girder
KR101300754B1 (en) Reinforce Structure of Concrete
KR200362980Y1 (en) A reinforcement structure by anchoring &amp; tensioning steel str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