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959A -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 Google Patents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959A
KR20190108959A KR1020180030682A KR20180030682A KR20190108959A KR 20190108959 A KR20190108959 A KR 20190108959A KR 1020180030682 A KR1020180030682 A KR 1020180030682A KR 20180030682 A KR20180030682 A KR 20180030682A KR 20190108959 A KR20190108959 A KR 2019010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alley
density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1663B1 (en
Inventor
황동현
이정임
Original Assignee
황동현
이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현, 이정임 filed Critical 황동현
Priority to KR102018003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63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including a server which redesigns density of a local commercial district and a user terminal which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includes: a shop information storage module storing information about a road name and a type of business of a shop; a first extraction module extracting a shop which has an address in a road unit among addresses of shops stored in the shop information storage module; a coordination module coordinating an address of the extracted shop; a second extraction module extracting a unique area among the coordinated shops except existing main commercial districts, traditional markets, and large circulation markets; a density calculation module calculating density of the unique area to generate density information; a lot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separating the density information in a lot unit to generate lot information; and a visualization module visualizing the lo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visualized lot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jectify an ambiguous definition of a local commercial district by defining a unique area separated from an existing main commercial district.

Description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본 발명은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발달 상권과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하고, 도로명 주소의 ‘길’ 단위 골목의 양쪽 모두 상권에 포함됨과 동시에 건물 단위의 골목상권의 영역설정 방법을 개선한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define a unique area distinct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 commercial area, both of the 'street' alley of the road name address is included in the commercial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with improved zoning method.

일반적으로 골목상권이란 개개의 자영업자들이 골목을 중심으로 만들어낸 상권을 의미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주택이 밀집된 곳에 형성된 대형 유통시설 및 발달상권을 포함하지 않는 상권을 의미하며, 상기 골목상권은 골목을 중심으로 생활용품, 잡화 및 식재료 등을 주로 판매하므로 생활밀착형 업종에 포함된다.In general, alley commercial rights means commercial rights created by individual self-employed workers in the alley. More specifically, it means a commercial area that does not include a large distribution facility and a developmental commercial area formed in a dense house, and the alley commercial area mainly includes all kinds of household goods, miscellaneous goods, and foodstuffs, mainly in the alley.

최근,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권을 분석하고, 분석한 상권의 규모 및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권 분석정보를 창업예정자 및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 service that provides commercial business analysis information to prospective starters and consumers to analyze business rights by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o grasp the size and information of the analyzed business rights is becoming common.

그러나, 종래의 상권 정보 제공 서비스의 경우 골목상권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분석한 상권영역과 실제 골목상권의 영역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mercial information service, the definition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is not clear, and thus, the analyzed commercial area and the actual alley commercial area are often inconsistent.

또한, 길을 기준으로 상권이 표시되지 않아, 길의 양쪽으로 골목상권이 형성된 경우 길의 한쪽 점포만이 상권 영역에 포함되고 다른 한쪽의 점포들은 골목상권이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와 건물 중간에 영역이 설정되는 등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commercial area is not displayed based on the road, when alley commercial area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ad, only one store of the road is included in the commercial area, and the other stores display the area in the middle of the building differently. The problem frequently occurred, such as being s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 발달 상권과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하고, 길의 양쪽 모두 상권에 포함됨과 동시에 건물 중심의 골목상권 영역설정 방법을 개선한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efines an inherent area distinct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 business area, and includes both sides of the road in the business area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the method for setting the alley business area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sign syst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은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점포정보 저장모듈; 상기 점포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주소지가 '길'단위인 점포를 추출하는 1차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는 좌표화 모듈; 상기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2차 추출모듈; 상기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하는 밀집도 산출모듈; 상기 밀집도정보를 필지 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하는 필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필지정보를 시각화하며 상기 시각화 된 필지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for redesigning the density of alleys and the user terminal for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the road name address and business type of the store A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tore; A primary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store having an address of a 'road' unit among addresses of stores stored in the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A coordinate module configured to coordinate the address of the extracted store; A second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unique area excluding the existing development shop,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large distribution market among the coordinated stores; A density calculation module for generating density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density of the unique area; And a visualization module for visualizing the parce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visualized parcel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by dividing the density information into parcel units.

또한, 좌표화 모듈은, 지오코딩(Geocoding)을 이용해 좌표계를 갖지 않은 상기 점포의 주소에 위치를 부여하여 상기 점포주소를 좌표화하고, 상기 좌표화 된 주소를 나타내는 좌표계로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e module uses geocoding to assign a location to an address of the store having no coordinate system to coordinate the store address, and to use a single plan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as a coordinate system representing the coordinated address. Transverse Mercator-k) may be used.

또한, 상기 2차 추출모듈은, 상기 1차 추출된 점포 중 통신업, 금융업 및 운송업과 같은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a unique area from the primary extracted stores except for stores in which secondary businesses such as telecommunications, finance, and transportation are made.

또한, 상기 밀집도 산출모듈은, 상기 고유영역을 “점포수/'길'의 길이”로 골목상권을 계량화할 수 있는 지표인 상기 밀집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ensity calculat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density information, which is an index for quantifying the alley area, using the unique area as “the number of stores / the length of a road”.

또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필지정보를 밀집도정보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지적선을 이용해 분류된 필지정보의 경계를 지도상에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module may classify the parcel information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density information, and mark the boundary of the parcel information classified using the cadastral line on the map.

또한, 상기 서버는, 소비자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유동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liquidity module for measuring liquidity of the consumer.

또한, 상기 유동성 모듈은, 택시, 지하철 및 정류장의 승하차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모듈; 점포에 출입한 소비자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승하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유동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동성정보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유동성 분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ity module,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the ride information of the taxi, subway and stop;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consumer entering and exiting a store, and a fluidity classif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liquidity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tting on and off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liquidity information into five groups. It can be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시각화 모듈은,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지도상에서 등고선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module may be characterized by representing the classified liquidity information on a map.

또한, 상기 서버는,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가구정보 수집모듈; 면적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차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주차공간의 비율을 산출한 산출정보를 생성하는 주차공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산출정보를 전달하여 자차로 이동하는 소비자의 접근이 유리한 골목상권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a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households by area; A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parking spaces by area and a parking space module for generating calculation information for calculating a ratio of parking spaces to the number of households by area, and delivering the calcul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roach of the consumer moving to his or her own vehicle identifies the favorable alleys.

또한, 상기 서버는, 점포의 임대료를 면적별로 분석하는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rent of the store for each area.

또한, 상기 임대정보 분석모듈은, 점포의 임대료 및 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대정보를 생성하는 임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임대정보를 유사한 가격별로 군집시켜 생성한 군집정보를 시각화 모듈로 전송하는 임대정보 군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s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the le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col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rent and deposit of the store to generate lease information and the lease for transmitting the cluster information generated by clustering the lease information for a similar price to the visualization module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formation cluster module.

또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군집정보를 일정 조건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별하여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도상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module may distinguish the cluster information into groups hav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display the cluster information on a map in different color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발달 상권과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함으로써 골목상권의 모호한 정의가 객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lley commercial zone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defining a unique area distinct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 commercial zone has an effect that the ambiguity definition of the alley commercial zone is objectified.

또한, 고유 영역을 필지영역으로 나누어 길의 양쪽 모두가 상권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건물과 건물 사이의 경계에 따라 상권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unique area into the parcel area, both of the roads are included in the commercial area, and it is possible to set the commercial area accor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도로명주소의 주소지가 '길' 단위인 점포를 산출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필지정보를 시각화 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 주차정보 모듈 및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주차정보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산출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alculation of a store having an address of a road name address of a street name address of a redesigned alley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isualization of the parcel information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module of the alley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further including a parking information module and a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luidity module of the alley ticket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visualizing the classified liquidity information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arking information module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and 9 (b) are exemplary views for visualizing calculation information of the alley ticket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eas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alley ticket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도로명주소의 주소지가 '길' 단위인 점포를 산출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필지정보를 시각화 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 주차정보 모듈 및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주차정보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산출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treet alley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of a street alley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ddress of the street name address of the street alley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parcel information of the street alley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fluidity module of a street alley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information module and a leas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luidity module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information module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information module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n exemplary diagram visualizing the calculation information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구성은 서버(1) 및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alley ticket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1 and a user terminal 2.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따르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골목점포의 밀집도가 높은 골목상권을 재정의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alley shop redesig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efine alley shops with high density of alley shops except for the shops where the development shop,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auxiliary business are made.

일 예로, 골목상권이란 기존 발달상권 및 시장과 구분된 영역이나, 종래의 경우 이를 표기하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the alley trade zone is an area distinct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 trade zone and the market, but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criterion for expressing it is ambiguou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와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하여 골목상권을 재설계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의 필요성이 있어 개발된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 means capable of redesigning the alley commercial zone by defining a unique area distinct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 business,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store where the auxiliary business is mad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서버(1)는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여 사용자 단말(2)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ser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redesign the density of the alleys and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below.

또한, 서버(1)는 WIFI 또는 통신망(3G/4G)을 통해 재설계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 may transmit the density of the redesigned alleys to the user terminal 2 through WIFI or the communication network 3G / 4G.

이때, 사용자 단말(2)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버(1)로부터 전송되는 재설계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2 may include an application, and receive and monitor the density of the redesigned alley are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 by the application.

또한, 사용자 단말(2)은 WIFI 또는 통신망(3G/4G) 연결이 가능한 모바일 타입(휴대폰, 패드 등)과 데스크탑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 may be formed of one of a mobile type (mobile phone, pad, etc.) and a desktop capable of connecting to WIFI or a communication network (3G / 4G).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1)는 점포주소 저장모듈(10), 1차 추출모듈(20), 좌표화 모듈(30), 2차 추출모듈(40), 밀집도 산출모듈(50), 필지정보 생성모듈(60) 및 시각화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server 1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e address storage module 10, the primary extraction module 20, the coordinate The module 30,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40, the density calculation module 50,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and the visualization module 70 may be included.

점포정보 저장모듈(10)은 나이스평가정보 등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을 수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때 저장된 점포정보는 월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The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10 may store information obtained by collecting road name addresses and business types of stores from a database such as nice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store information may be updated on a monthly basis.

따라서, 새로운 점포의 생성 및 점포의 업종 교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업 트랜드 및 배후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information on the creation of a new store and the replacement of the type of business of the store, and thu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 trend and the background.

또한, 점포정보 저장모듈(10)은 저장된 점포정보를 1차 추출모듈(2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10 may transmit the stored store information to the primary extraction module 20.

1차 추출모듈(20)은 점포정보 저장모듈(10)로부터 전달받은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도로명주소의 주소지가 '길' 단위인 점포를 추출할 수 있다.The primary extraction module 20 may extract a store in which the address of the road name address is a 'road' unit among the stored store addresses received from the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10.

이에 따라, 대로변이 아닌 거주지 인근의 좁은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점포가 추출되므로 골목 상권을 더욱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ores formed along the narrow road near the residence rather than the main street can be more clearly distinguished.

또한, 1차 추출모듈(20)은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 모듈(3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mary extraction module 20 may transmit the address of the extracted store to the coordinate module 30.

좌표화 모듈(30)은 1차 추출모듈(20)로부터 전달받은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여 좌표계를 부여할 수 있다.The coordinate module 30 may coordinate the address of the extracted store received from the primary extraction module 20 to give a coordinate system.

이때, 좌표화 모듈(30)은 지오코딩(Geocoding)을 이용해 점포의 주소에서 지리 정보를 추출하여 점포의 주소에 위치를 부여하여 좌표화할 수 있고, 좌표화 된 점포의 주소를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에 나타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rdinate module 30 may extract the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address of the store by using geocoding and coordinate the position by assigning a location to the address of the store, and coordinates the address of the coordinated store with a single plan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

따라서, 좌표화된 점포의 주소가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에 표시되므로 좌표화된 점포를 공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표화 된 점포의 오류 데이터가 정제되어 추출된 점포의 위치 정확도를 9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address of the coordinated store is displayed in the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 the coordinated store can be spatialized, and accordingly, the error data of the coordinated store is refined and extracted.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up to 90%.

또한, 좌표화 모듈(30)은 좌표화된 점포를 2차 추출모듈(4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e module 30 may transfer the coordinated store to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40.

2차 추출모듈(40)은 좌표화 모듈(30)로부터 전달받은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40 may extract a unique area excluding the existing development shop,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large distribution market among the coordinated stores received from the coordinate module 30.

이때, 2차 추출모듈(40)은 상기 제외한 상권 및 시장 이외에도 통신업, 금융업 및 운송업과 같은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추가로 제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유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40 may further exclude stores in which auxiliary businesses such as telecommunications, finance, and transportation are made, in addition to the above-excluded merchants and markets, thereby more accurately extracting unique regions.

따라서, 기존 발달상권과 시장 및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골목 상권의 모호한 범위를 객관화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jectify the ambiguity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excluding the existing development business, the market and the subsidiary business.

또한, 2차 추출모듈(40)은 추출된 고유 영역을 밀집도 산출모듈(5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40 may transfer the extracted unique region to the density calculation module 50.

밀집도 산출모듈(50)은 2차 추출모듈(40)로부터 전달받은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nsity calculation module 50 may generate the density information by calculating the density of the unique area received from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40.

이때, 밀집도는 '길'의 길이당 점포수(“점포수/'길'의 길이”)로 나눈 값이며 이에 따라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계량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nsity is divided by the number of stores per length of the road ("the number of stores /" the length of the road "), and thus the density of alleys can be quantified.

또한, 밀집도 산출모듈(50)은 생성된 밀집도정보를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sity calculation module 50 may transfer the generated density information to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필지정보 생성모듈(60)은 밀집도 산출모듈(50)로부터 전달받은 밀집도정보를 필지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may generate parcel information by dividing the dens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nsity calculation module 50 into parcel units.

또한, 필지정보 생성모듈(60)은 필지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60 may transmit parcel information to the visualization module 70.

시각화 모듈(70)은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전달받은 필지정보를 밀집도정보의 계량화된 값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module 70 may classify the parce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quantified value of the density information. However, the visualization module 70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이후, 분류된 필지정보를 지적선을 이용해 지도상에 표기하여 시각화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2)로 전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lassified parce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nd visualized on a map using intellectual lines, which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해 골목상권을 재설계함으로써 골목상권의 모호한 영역을 객관화할 수 있고, 고유 영역을 필지단위로 분리하여 건물과 건물 사이의 경계에 따라 상권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By redesigning the alley commercial area using the above system, it is possible to objectify the ambiguity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and to separate the unique areas into parcel units and set the commercial area according to the boundary between buildings. have.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1)는 유동성 모듈(80), 주차정보 모듈(90) 및 임대정보 분석모듈(100)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s 5 to 10, the server 1 of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ity module 80, parking information module 90 and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 One or more modules of 100) may be further included.

먼저, 유동성 모듈(80)은 소비자의 유동성을 측정하고,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필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First, the liquidity module 80 may measure liquidity of a consumer and receive parcel information from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또한, 유동성 모듈(80)은 교통정보 수집모듈(81), 위치정보 수집모듈(82) 및 유동성 분류모듈(8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ity module 80 may include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81,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82, and a fluidity classification module 83.

교통정보 수집모듈(81)은 택시, 지하철 및 버스정류장의 승하차정보를 수집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 및 시간대별 통행량을 파악할 수 있다.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81 may collect the getting on and off information of taxis, subways, and bus stops to grasp the traffic volume per region and time zon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위치정보 수집모듈(82)은 이동통신 통화량을 기반으로 점포에 출입한 소비자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82 may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consumer entering and leaving the store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call volume.

유동성 분류모듈(83)은 승하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유동성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필지정보와 비교하여 단순히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인지, 골목상권이 활성화 된 지역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e liquidity classification module 83 generates liquidity information by synthesizing getting on and off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parcel information with the parce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low population is a large area or an alley commercial area.

따라서, 유동성 분류모듈(83)은 골목상권뿐만 아니라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제공하므로 소비자에게 생활밀착 되어있는 업종을 창업예정자 및 자영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liquidity classification module 83 provides not only the alleys but also a larg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s, so that business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can be provided to start-up and self-employed businesses.

또한, 유동성 분류모듈(83)은 생성된 유동성정보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ity classification module 83 may classify the generated liquidity information into five groups. However, the liquidity classification module 8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이때, 유동성 분류모듈(83)은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luidity classification module 83 may transmit the classified fluidity information to the visualization module 7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화 모듈(70)은 유동성분류모듈(83)로부터 전달받은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조밀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조밀도가 높은 영역이 골목상권뿐만 아니라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the visualization module 70 may display the classified flu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low component module 83 in terms of density. In this case, the high density region is not only an alley but also a large number of the floating popul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dicating the area.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색깔, 조밀도, 등고선 등으로 시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화 된 유동성정보는 지도 외에 개별적으로 표기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isualized by color, density, contour, etc., and the visualized fluidity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displayed and visualized in addition to the map.

다음으로, 주차정보 모듈(90)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필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Next, the parking information module 90 ma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s available to the user and receive parcel information from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또한, 주차정보 모듈(90)은 가구정보 수집모듈(91), 주차정보 산출모듈(92) 및 주차공간 모듈(9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information module 90 may include a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1, a parking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92, and a parking space module 93.

가구정보 수집모듈(91)은 아파트 및 건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아파트 단지별 가구수 정보 및 건물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가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1 may generate furniture informa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urniture for each apartment complex and information on the area of the building based on a database of apartments and buildings.

또한, 가구정보 수집모듈(91)은 가구정보를 주차공간 모듈(93)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1 may transmit furniture information to the parking space module 93.

주차정보 수집모듈(92)은 아파트 및 건물의 데이터베이스와 교통관련 시설(공용주차장, 주차타워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건물 내/외부의 주차장 여부 및 교통가능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2 collects the parking informa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whether parking is available and traffic inside / outside the building based on the database of apartments and buildings and the database of transportation-related facilities (public parking lot, parking tower, etc.). Can be generated.

또한, 주차정보 수집모듈(92)은 주차정보를 주차공간 모듈(93)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2 may transmit the parking information to the parking space module 93.

주차공간 모듈(93)은 가구정보 수집모듈(91)로부터 전달받은 가구정보의 가구수 및 주차정보 수집모듈(92)로부터 전달받은 주차정보에 따라 면적 별 가구수에 대한 주차공간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rking space module 93 calculates the ratio of the parking space to the number of households by ar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furnitures of the furni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1 and the park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2,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주차공간 모듈(93)은 산출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space module 93 may transmit the calculation information to the visualization module 70.

시각화 모듈(70)은 주차공간 모듈(93)로부터 전달받은 산출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2)에 전송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module 70 may visualize the calcu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king space module 93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정보는 주차공간에 따른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총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가 표 형태로 표기되어 시각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alculation information may be visualized by displaying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according to the parking space in a tabular form.

또한, 산출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에 입력한 원하는 지역의 위치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위치의 지도 위에 원하는 지역의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총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로 표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the 'number of cars available for parking / total number of cars available for parking' in the desired area on the map of the location by receiving the location signal of the desired area input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 have.

따라서, 자차로 이용하는 소비자의 접근이 용이한 골목상권을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lley commercial zone which is easily accessible by the consumer who uses the vehicle.

다음으로, 임대정보 분석모듈(100)은 점포의 임대료를 면적 별로 분석하며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필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Next, the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00 may analyze the rent of the store for each area and receive parcel information from the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0.

또한, 임대정보 분석모듈(100)은 임대정보 생성모듈(101) 및 임대정보 군집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s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00 may include a le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01 and a lease information cluster module 102.

임대정보 생성모듈(101)은 한국감정원 등의 부동산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부동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점포의 임대료 및 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nta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01 may generate rental informa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rent and deposit of a store based on a database provided by the real estate server in connection with a real estate server such as the Korea Appraisal Board.

또한, 임대정보 생성모듈(101)은 임대정보를 임대정보 군집모듈(102)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01 may transmit the lease information to the lease information cluster module 102.

임대정보 군집모듈(102)은 임대정보 생성모듈(101)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정보를 유사한 가격 별로 군집시켜 군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ntal information cluster module 102 may generate cluster information by clustering the rent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nta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01 for a similar price.

또한, 임대정보 군집모듈(102)은 군집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ntal information cluster module 102 may transfer the cluster information to the visualization module 70.

또한, 시각화 모듈(70)은 임대정보 군집모듈(102)로부터 전달받은 군집정보를 일정 조건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별하고, 구별한 군집정보를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도상에 나타내어 시각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module 70 may classify the clus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ntal information cluster module 102 into groups hav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visualize the distinguished cluster information on a map in different color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시각화 모듈(70)은 임대정보 군집모듈(102)로부터 전달받은 군집정보를 등고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등고선을 지도 외에 개별적 그래프로 표기하거나, 지도상에 표기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군집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ization module 70 may display the clus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ease information cluster module 102 as a contour line, and the contour line may be represented by an individual graph other than a map, or displayed on a map. Cluster information can be visualized in a variety of ways.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서버
2: 사용자 단말
10: 점포정보 저장모듈
20: 1차 추출모듈
30: 좌표화 모듈
40: 2차 추출모듈
50: 밀집도 산출모듈
60: 필지정보 생성모듈
70: 시각화 모듈
80: 유동성 모듈
81: 교통정보 수집모듈
82: 위치정보 수집모듈
83: 유동성 분류모듈
90: 주차정보 모듈
91: 가구정보 수집모듈
92: 주차정보 수집모듈
93: 주차공간 모듈
100: 임대정보 분석모듈
101: 임대정보 생성모듈
102: 임대정보 군집모듈
1: server
2: user terminal
10: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20: primary extraction module
30: Coordinate Module
40: secondary extraction module
50: density calculation module
60: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70: visualization module
80: fluidity module
81: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82: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83: liquidity classification module
90: parking information module
91: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2: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93: parking space module
100: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01: renta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02: rental information cluster module

Claims (11)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점포정보 저장모듈;
상기 점포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주소지가 '길'단위인 점포를 추출하는 1차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는 좌표화 모듈;
상기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2차 추출모듈;
상기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하는 밀집도 산출모듈;
상기 밀집도정보를 필지 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하는 필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필지정보를 시각화하며 상기 시각화 된 필지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화 모듈을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In the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Servers to redesign the density of alleys and
A user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A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oad name address and a business type of a store;
A primary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store having an address of a 'road' unit among addresses of stores stored in the store information storage module;
A coordinate module configured to coordinate the address of the extracted store;
A second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unique area excluding the existing development shop, the traditional market, and the large distribution market among the coordinated stores;
A density calculation module for generating density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density of the unique area;
A parce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parcel information by separating the density information into parcel units;
And a visualization module for visualizing the parce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visualized parcel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좌표화 모듈은,
지오코딩(Geocoding)을 이용해 좌표계를 갖지 않은 상기 점포주소에 위치를 부여하여 상기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고,
상기 좌표화 된 주소를 나타내는 좌표계로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rdinate module
Geocoding is used to coordinate the address of the store by assigning a location to the store address having no coordinate system,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use as a coordinate system representing the coordinated address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추출모듈은,
상기 1차 추출된 점포 중 통신업, 금융업 및 운송업과 같은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ary extraction module,
The alley shop redesign system further comprises extracting a unique area excluding stores in which the secondary business, such as telecommunications, finance and transportation, is made among the first extracted sto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도 산출모듈은,
상기 고유 영역을 “점포수/'길'의 길이”로 골목상권을 계량화할 수 있는 지표인 상기 밀집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nsity calculation module,
And calculating the density information, which is an index for quantifying the alley commercial zone, based on the number of stores / the length of the ro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필지정보를 밀집도정보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지적선을 이용해 분류된 필지정보의 경계를 지도상에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isualization module,
And classifying the parcel information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density information, and marking the boundary of the parcel information classified using the cadastral line on a m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소비자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유동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Alley redesig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liquidity module for measuring the liquidity of the consum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모듈은,
택시, 지하철 및 정류장의 승하차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모듈;
점포에 출입한 소비자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승하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유동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동성정보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유동성 분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모듈에 상기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luidity module,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the getting on and off information of taxis, subways and stop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consumer entering the store and
A liquidity classif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liquidity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tting on and off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liquidity information into five groups;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livering the classified liquidity information to the visualiza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정보 모듈은,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가구정보 수집모듈;
면적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차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주차공간의 비율을 산출한 산출정보를 생성하는 주차공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모듈에 상기 산출정보를 전달하여 자차로 이동하는 소비자의 접근이 유리한 골목상권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information modul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available to the user,
The parking information module,
Furnitur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households by area;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by area and
And a parking space module for generating calculation information for calculating a ratio of the parking space to the number of households by area,
Alley commercial area redesig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ass the calculation information to the visualization module to identify the alley commercial zone advantageous to the consumer moving to the own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점포의 임대료를 면적별로 분석하는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Alley business redesign system further includes a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rent of the store by are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정보 분석모듈은,
점포의 임대료 및 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대정보를 생성하는 임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임대정보를 유사한 가격별로 군집시켜 생성한 군집정보를 시각화 모듈로 전송하는 임대정보 군집모듈을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rental information analysis module,
Rental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rental informa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rent and deposit of stores and
Alley business redesign system including a rental information cluste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luster information generated by clustering the rental information by a similar price to a visualization modu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군집정보를 일정 조건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별하여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도상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visualization module,
And reclassifying the cluster information into groups hav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displaying the cluster information in different colors.
KR1020180030682A 2018-03-16 2018-03-16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KR102081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82A KR102081663B1 (en) 2018-03-16 2018-03-16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82A KR102081663B1 (en) 2018-03-16 2018-03-16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59A true KR20190108959A (en) 2019-09-25
KR102081663B1 KR102081663B1 (en) 2020-02-26

Family

ID=6806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82A KR102081663B1 (en) 2018-03-16 2018-03-16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87A (en) 2020-08-26 2022-03-07 사단법인 대전세종에스엔에스감성진흥원 Emotional-based sharing system for the coexiste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 method using 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6A (en)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지씨알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120102911A (en) * 2011-03-09 2012-09-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valuation system for parking system of bluck-uni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15185A (en) * 2015-03-26 2016-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ocation of Commercial Store Selecting Method
KR101816215B1 (en) * 2016-08-18 2018-01-08 오정석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trading area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6A (en)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지씨알엠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120102911A (en) * 2011-03-09 2012-09-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valuation system for parking system of bluck-uni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15185A (en) * 2015-03-26 2016-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ocation of Commercial Store Selecting Method
KR101816215B1 (en) * 2016-08-18 2018-01-08 오정석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trading area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87A (en) 2020-08-26 2022-03-07 사단법인 대전세종에스엔에스감성진흥원 Emotional-based sharing system for the coexiste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 method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663B1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g et al. Does hotel location tell a true story? Evidence from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of hotels in Hong Kong
Zhu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MRT system on accessibility in Singapore using an integrated GIS tool
JP61413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arget position
McGrail et al.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rimary care in rural area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Armstrong et al. Cartographic displays to support locational decision making
Farber et al. Transit accessibility, land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 priority: A typology of planned station catchment areas in the Greater Toronto and Hamilton Area
Blainey Trip end models of local rail demand in England and Wales
KR20130019629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nalysis service about location requirements and trade area according to types of real property
CN110009379A (en) A kind of building of site selection model and site select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JPWO20171632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hi et al. The visual analysis of flow pattern for public bicycle system
KR102081663B1 (en) 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KR101078344B1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sales in the trading area
KR20100123408A (en) System for providing a marketing information to a company based on gis and the method thereof
KR20030038178A (en) The Method of tread area analysis utilizing a market database
CN112766718A (en) City business district boundary identification method, system,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Prastacos Integrating GIS technology in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modeling
JP2021096793A (en) Area analysis system and method thereof
Chen et al. Large-scale urban building function mapping by integrating multi-source web-based geospatial data
JP703722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Young et al. A parking model hierarchy
Kara et al. Requirements and opportunities for web-based 3D visua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property valuation information
Murad Planning and loc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Jeddah City, Saudi Arabia: Discussion of the constructive us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CN114202149A (en) Digital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220110349A (en)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and commercial area analysis services for each type of real estate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