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854A -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854A
KR20190108854A KR1020180030451A KR20180030451A KR20190108854A KR 20190108854 A KR20190108854 A KR 20190108854A KR 1020180030451 A KR1020180030451 A KR 1020180030451A KR 20180030451 A KR20180030451 A KR 20180030451A KR 20190108854 A KR20190108854 A KR 2019010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por
organic solvent
pipe
coola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529B1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18003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9Vapour recovery methods, e.g. condensing the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2007/0494Means for condensing the vapours and reintroducing them into the storage tanks

Abstract

본 발명은 유증기를 포집하여 유기용제로 회수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기용제로부터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로부터 포집된 유증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액화장치와; 액화된 유기용제와 수분을 분리시키는 유수분리기와;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액화된 유기용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그리고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장치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고,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재와; 내외측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액상의 열매체를 수용하는 열매체수용부와; 상기 액화장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매가 이동되도록, 상기 액화장치 내측에 배치되는 냉매배관과;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이동된 유증기가 상기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응결되도록 상기 유증기를 이송하는 응결배관;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 내부를 냉각시킨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액화장치로 순환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의 회수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효율성과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vapor recovery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유증기 발생시설 운용 시 발생되는 유증기(VOCs)를 포집한 후, 포집된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유기용제로 회수함에 있어, 유증기 회수 효율을 증가시킨 유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라 자동차나 사업장이 아닌 생활 속에서도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대기 중 반응에 의해 추가로 미세먼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배출되고 있다. VOCs는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어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화합물로 벤젠,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통칭하며 주로 석유화학, 정유, 도료, 도장공장의 제조와 저장과정, 자동차 배기가스, 페인트나 접착제 등 건축자재, 주유소의 저장탱크 등에서 발생하고 낮은 농도에서도 악취를 유발하고 그 자체로도 환경과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대기 중에서 광화학반응에 관여하여 광화학산화물 등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휘발성 석유제품 및 유기용매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의 처리문제가 국가적 관리대상으로 지정되었는바, 공중위생관리법시행규칙 개정/공포 및 시행으로 석유계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유증기 배출을 억제하는 회수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였고,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해 유증기의 대기 방출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유증기 배출을 억제하며 상기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를 회수하기위한 유증기 회수 장치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063호에는 주유소의 휘발유 저장탱크, 화학공장의 휘발성 유기용제 저장 탱크, 저유소나 탱크터미널의 휘발성 유기 용제 저장탱크 등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킴으로써 회수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유증기 회수장치는 대기환경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유증기 대비 회수율이 높지 않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0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의 운용비용 대비 유증기 회수율과 액화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기용제로부터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로부터 포집된 유증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액화장치와; 액화된 유기용제와 수분을 분리시키는 유수분리기와;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액화된 유기용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그리고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장치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고,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재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이동된 유증기가 냉매 및 냉각제에 의해 냉각되어 응결되도록 상기 유증기를 이송하는 응결배관과; 냉각된 냉각제가 상기 응결배관 내에 투입되도록, 상기 냉각제가 이동되는 냉각제배관; 그리고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킨 냉각제를 냉각하여 상기 액화장치로 순환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액화된 유기용제로부터 상기 냉각제를 추출하는 냉각제분리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제는, 상기 유기용제의 응결 온도 이하의 응결온도를 갖는 용매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제는, 상기 저장트레이에 수집된 유기용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제는 부동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각제를 상기 냉각제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펌프와; 상기 액화장치로의 냉각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냉각제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응결배관은, 직관 또는 나선형모양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응결배관을 통과한 유증기를 응결 회수하여 냉각제로 활용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 장치의 운용 비용 대비 유증기 회수율과 액화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증기 발생 설비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액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장치는 유증기가 발생되는 다양한 유류 운용 설비에 적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저유소 및 탱크터미널 출하대에 적용된 예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증기 발생 설비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탱크로리(1000), 저유소 유류 저장탱크(2000), 유증기 회수용 로딩암(3000), 유류 유출입 로딩암(4000) 및 유증기 회수 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탱크로리(1000)는 액체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화물용 자동차로 유기용제를 상기 저장탱크(2000)에서 주유소나 화학 공장 등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저유소 저장탱크(2000)는 고정된 구조물로 설치되어 유기용제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로딩암은 상기 저유소 저장탱크와 탱크로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기능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딩암은 그 기능에 따라 유증기를 회수하는 유증기 회수용 로딩암(3000)과 유류(유기용제)를 유출입하기 위한 유류 유출입 로딩암(4000)으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유증기 회수용 로딩암(3000)이 연료의 주입 또는 인출시 상기 탱크로리의 유증기를 인출하여 후술할 유증기 회수장치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로딩암이하 하면 유증기 회수용 로딩암을 칭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탱크로리(1000)내에는 상기 유기용제의 휘발성 때문에 유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증기는 연료유, 윤활유, 유압기유 등이 고압으로 미세한 틈으로 분사되어 생성되거나, 기기 혹은 배관 등으로부터 유출되어 액체상태로 존재하다가 고열의 장비에 접촉함으로써 기화된 후 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와 만나서 생성된 기체를 말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유증기는, 상기 저유소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에서 상기 탱크로리(1000)로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탱크로리(1000)를 통해서, 탱크로리(1000)나 송유관을 통하여 화학공장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에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화학공장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증기는 장시간 유기용제 와 접촉하고 있었기 때문에 포화상태에 가까운 고농도 상태이므로 다량의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이 된다.
또한, 상기 유증기는 발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다량의 유증기가 대기 중으로 곧바로 방출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증기가 발생하는 곳에 본 발명과 같은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미도시)는 저유소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에서 탱크로리(1000)로 유기용제 적재 시 발생하는 유증기, 탱크로리(1000)나 송유관이나 을 통하여 화학공장 유류 저장탱크(2000)에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나 화학공장 유류 저장탱크(2000)에서 탱크로리로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저유소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 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여,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킴으로써 분리하여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액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는 포집기(100), 흡입관(200), 액화장치(300), 냉각기(400), 배출관(600), 저장트레이(700), 냉각제유입관(720) 그리고 기체배출관(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포집기(100)는 상기 저유소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에서 상기 탱크로리(1000)로 유기용제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탱크로리(1000)나 송유관을 통하여 화학공장 유류 저장탱크(2000)에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또는 정유공장 유류 저장탱크(2000)에서 탱크로리로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저유조나 화학공장의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포집기(100)에서 포집된 유증기는 흡입관(200)을 통해 액화장치(300)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흡입관(200)에는 흡입차단밸브(220)를 구비하여 상기 유증기의 이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화장치(300)는 상기 흡입관(200)으로부터 들어온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화장치(300)는 응결배관(310), 열매체수용부(320) 그리고 단열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응결배관(310)은 상기 흡입관(200)으로부터 유증기가 유입되는 관으로,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영하의 저온상태에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용제가 휘발되어 유증기에 포함되었을 때,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의 온도는 유기용제의 응결점 이하의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310)은 설계 및 운용의 편의상 직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유증기의 이동경로를 연장하기 위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하 순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로가 형성된 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증기의 응결을 위해 상기 응결배관(310)을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냉매를 이용한 냉각방식과 냉각제를 이용한 냉각방식이 선택적으로 또는 병존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를 이용한 냉각방식은, 냉각기(400)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응결배관(310)을 이동하는 유증기에 간접적으로 접촉시켜, 상기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냉동 공조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냉각제를 이용한 냉각방식은, 냉각기(400)에 의해 냉각된 냉각제를 응결배관(310) 내부로 직접 투입하여, 응결배관(310) 내의 유증기와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을 말한다.
이와 같은 냉각제를 이용한 냉각방식은, 이하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열매체 수용부(320)는 열교환율이 낮은 액상의 열매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내외측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열매체는 유기용제의 응결 온도 이하에서도 액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어는점이 낮은 물질이어야 한다.
또한, 열 차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적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열매체로 글리콜계 부동액과 물이 6:4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330)는 상기 액화장치(300)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열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우레탄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기(400)는 상기 응결배관(310)을 냉각시킨 냉매 또는 냉각제를 다시 냉각하여 순환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기(400)는 상기 응결배관(310) 내에 냉각된 냉각제를 직접 투입하도록 하는 냉각제배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후,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유증기가 유입되면, 냉각된 냉매를 통해 상기 응결배관(310)이 냉각됨은 물론, 상기 응결배관(310)에 연결된 상기 냉각제배관(410)을 통해 냉각제가 상기 유증기에 포함되고, 이로 인해 온도가 낮아진 유증기가 응결배관(3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가 액화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600)은 상기 응결배관(310)에서 액화되어 분리된 유기용제를 상기 저장트레이(70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저장트레이(700)는 상기 배출관(600)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냉각제는 상기 유기용제의 응결 온도 이하의 응결온도를 갖는 다양한 물질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째는 냉각 대상인 유기용제와 동일한 유기용제가 냉각제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유기용제 이외의 다른 물질이 유기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제로 유기용제가 사용되는 경우, 포집된 유기용제를 다시 냉각제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포집된 유기용제의 활용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냉각제로 유기용제로 이외의 다른 물질(예를 들면, 부동액)이 사용되는 경우, 냉각효율이 높은 물질이 사용될 수는 있으나, 유기용제가 액화된 이후, 액화된 유기용제와 상기 냉각제를 분리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먼저, 상기 냉각제로 유기용제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냉각제로 냉각되어 액화된 유기용제가 냉각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장치는 냉각제유입관(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제유입관(7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냉각기(400)에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냉각기(400)에서 추가적으로 냉각된 유기용제가 냉각제로 냉각제배관(410)에 제공된다.
상기 냉각제배관(410)은 냉각된 냉각제(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310)내에 공급하도록 하는 배관으로, 상기 응결배관(310)의 유입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냉각제로 사용되는 유기용제란, 냉각된 유기용제를 말하는 것으로, 응결배관을 통해 냉각 응결되어 회수된 유기용제일 수도 있고, 별도의 유기용제를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유기용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제로 유기용제 외의 다른 물질인 부동액이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냉매로 부동액이 사용되는 경우, 냉각되어 상기 응결배관으로 투입된 냉각제는 유기용제를 냉각 응결시킨 이후 포집된 유기용제로부터분리되어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관(6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된 유기용제로부터 냉각제를 분리/추출하여, 상기 냉각제를 상기 냉각기(400)에 제공하고, 유기용제는 저장트레이에 제공하는 냉각제분리기(7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기체배출관(800)은 상기 응결배관(310)을 통과하여 유기용제가 분리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유증기 회수 장치가 저유소나 탱크터미널 출하대, 화학 공장 등에서 운용되는 경우, 상기 유증기 회수 장치는 상기 저유소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에서 상기 탱크로리(1000)로 유기용제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탱크로리(1000)나 송유관이나 을 통하여 화학공장 유류 저장탱크(2000)에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또는 화학공장 유류 저장탱크(2000)에서 탱크로리로 유기용제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저유소나 화학공장의 유기용제 저장탱크(2000)내부에 존재하는 유증기를 상기 포집기(100)를 통해 포집하고, 상기 흡입관(200)을 통해 유증기를 상기 액화장치(30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액화장치(300)는 상기 냉매배관(410)을 통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응결배관(310)을 따라 유증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상기 유증기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배출관(600)으로 배출하여 재활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결배관(310)이 직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응결배관(310)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상기 유증기가 상기 응결배관(310)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아 유증기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체배출관(800)으로 배출되는 상기 응결배관(310)을 통과한 유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재주입함으로써, 유증기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때, 새로 유입된 유증기와 회수된 유증기의 순환은 교차적으로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상기 유증기에 혼합된 수분의 함량이 높거나, 냉각 온도 대비 유증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응결배관(310)에 결빙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310)에 결빙이 일정량 이상 발생되면, 상기 응결배관(310)이 막혀 유증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제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상기 응결배관(310)의 유기용제 회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흡입관(200)의 흡입차단밸브(220)를 차폐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으로의 유증기 유입을 차단한 후, 상기 냉각기(400)를 중지시키고 냉매차단밸브를 차폐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의 온도를 높이고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결빙을 융해시킴으로써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결빙을 제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상기 응결배관(310)과 연결되는 이송배관(710)을 통해,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이송배관(710)을 통해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배관(710)에는 저장트레이에 보관된 유기용제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와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액화장치(300)의 결빙 제거 작업 시 상기 냉각기(400)의 가동을 중지한 후,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상기 응결배관(310)으로 이송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를 유기용제로 채울 수 있다.
이후,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결빙이 융해되면,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를 채운 유기용제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에 유기용제를 투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성에 제거 작업시 융해된 수분이 상기 응결배관(310)에 잔류 되지 않고, 상기 유기용제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냉각기(400)를 재가동하여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낮출 때 상기 응결배관(310)에 성에가 다시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결배관(310)에 생긴 성에를 제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310) 내의 유기용제 투입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를 투입한 후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성에가 융해된 수분과 함께 배출할 수도 있고, 상기 액화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높인 이후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를 투입하여 성에가 융해된 수분과 함께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결배관(310)에 성에가 융해된 수분이 잔류되지 않도록 상기 응결배관(310)에 유기용제의 투입과 배출을 반복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을 유기용제로 세척하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응결배관(310)의 내부에 투입하기 위한 유기용제를 보관하는 유기용제보관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화장치(300)의 성에 제거 작업 시 상기 저장트레이(700)에 저장된 유기용제를 투입하지 않고, 상기 유기용제보관트레이로부터 유기용제를 이송하여 상기 응결배관(310)에 투입하며, 상기 액화장치(300)의 성에 제거 작업 완료 후 배출된 상기 유기용제를 다시 상기 유기용제보관트레이에 보관하여 성에 제거 작업 시마다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유증기를 포집하여 유기용제로 회수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회수율을 충분히 확보하여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100 : 포집기 200 : 흡입관
210 : 흡입펌프 220 : 흡입차단밸브
300 : 액화장치 310 : 응결배관
320 : 열매체수용부 330 : 단열재
400 : 냉각기 410 : 냉각제배관
411 : 냉각펌프 412 : 냉각제차단밸브
600 : 배출관 700 : 저장트레이
710 : 이송배관 720 : 냉각제유입관
711 : 이송펌프 712 : 이송차단밸브
740 : 냉각제분리기 800 : 기체배출관
1000 : 탱크로리 2000 : 유류 저장탱크
3000 : 유증기 회수용 로딩암 4000 : 유류 유출입 로딩암

Claims (9)

  1. 유기용제로부터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로부터 포집된 유증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액화시켜 분리하는 액화장치와;
    액화된 유기용제와 수분을 분리시키는 유수분리기와;
    상기 액화장치로부터 액화된 유기용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그리고
    상기 배출관 으로부터 이송된 유기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장치의 외측 내벽에 구비되고,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재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이동된 유증기가 냉매 및 냉각제에 의해 냉각되어 응결되도록 상기 유증기를 이송하는 응결배관과;
    냉각된 냉각제가 상기 응결배관 내에 투입되도록, 상기 냉각제가 이동되는 냉각제배관; 그리고
    상기 유증기를 냉각시킨 냉각제를 냉각하여 상기 액화장치로 순환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상기 유기용제의 응결 온도 이하의 응결온도를 갖는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유기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상기 저장트레이에 수집된 유기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부동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은,
    복수 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상기 냉각제를 상기 냉매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냉각펌프와;
    상기 액화장치로의 냉각제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냉각제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은,
    직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배관은,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KR1020180030451A 2018-03-15 2018-03-15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KR10206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51A KR102060529B1 (ko) 2018-03-15 2018-03-15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51A KR102060529B1 (ko) 2018-03-15 2018-03-15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54A true KR20190108854A (ko) 2019-09-25
KR102060529B1 KR102060529B1 (ko) 2020-02-11

Family

ID=6806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51A KR102060529B1 (ko) 2018-03-15 2018-03-15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680A (ko) 2021-10-05 2023-04-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증기 포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3Y1 (ko) 2009-04-30 2010-03-1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응축회수장치
KR101506338B1 (ko) * 2013-09-13 2015-03-26 문명곤 유증기 회수장치
KR101522904B1 (ko) * 2014-09-02 2015-05-27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저장탱크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저장탱크 청소방법
KR101813442B1 (ko) * 2017-01-09 2018-01-03 박현배 유증기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63Y1 (ko) 2009-04-30 2010-03-1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응축회수장치
KR101506338B1 (ko) * 2013-09-13 2015-03-26 문명곤 유증기 회수장치
KR101522904B1 (ko) * 2014-09-02 2015-05-27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저장탱크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저장탱크 청소방법
KR101813442B1 (ko) * 2017-01-09 2018-01-03 박현배 유증기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529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442B1 (ko) 유증기 회수 장치
RU236687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гексафторида серы в газовой фазе
CN104801146A (zh) 一种挥发性有机气体的回收装置和工艺
CA2736223A1 (en) Ultra-low emission natural gas dehydration unit with continuously fired reboiler
KR20150045888A (ko) 유증기 회수장치
CN102151414A (zh) 利用冷凝吸附法的油气回收装置及吸附与脱附的切换装置
KR101984744B1 (ko) 유증기 회수 장치
CN104918680A (zh) 无需冷却能地除去由吸收性气体污染的压缩工业气体中可吸收性气体的方法和设备
CN102911703A (zh) 油气回收方法
KR102060529B1 (ko) 유증기 회수 처리 장치
CN204637927U (zh) 一种油气回收装置
JP7359703B2 (ja) ガス滅菌剤の回収及び精製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295118B (zh) 一种循环式原油储罐油气真空吸附回收系统
RU260038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KR100459001B1 (ko) 압축저장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 장치
CN102921269A (zh) 油气回收装置
CN102407059A (zh) 高沸点有机气体的回收装置
US118198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nd purifying a gaseous sterilizing agent
CN205825584U (zh) 一种智能化的轻质汽油转换装置
CN105026308A (zh) 用于储存和分配燃料的设备,特别是用于机动车辆
CN104906916B (zh) 挥发性有机污染场地土壤修复废气处理系统及其工艺
CN204973468U (zh) 挥发性有机污染场地土壤修复废气处理系统
KR100601348B1 (ko) 기액분리장치
KR200389233Y1 (ko) 기액분리장치
KR200259352Y1 (ko) 압축저장 냉각 응축식 휘발성 유기 증기 회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