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666A -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666A
KR20190108666A KR1020180029902A KR20180029902A KR20190108666A KR 20190108666 A KR20190108666 A KR 20190108666A KR 1020180029902 A KR1020180029902 A KR 1020180029902A KR 20180029902 A KR20180029902 A KR 20180029902A KR 20190108666 A KR20190108666 A KR 2019010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withdrawal
information
user
financi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창규
Original Assignee
씨지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주식회사쿠콘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지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주식회사쿠콘,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지에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666A/ko
Publication of KR2019010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Abstract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가 인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크래핑(scrapping)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면,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실명 확인된 계좌에 대하여 1:1로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해당 가상계좌를 통해서만 거래 자금을 입금하여야 하는 현재의 제도 하에서, 사용자가 거래소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은 채로 스크래핑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기관 시스템에서의 자금의 입출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거래자금의 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계좌 정보 및 금액 등의 입력 오류가 발생하여 자금 이체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DEPOSIT AND WITHDRAWAL OF FUNDS FOR CRYPTOCURRENCY TRANSACTION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화폐 거래를 위하여 거래소에 자금을 입금할 때 금융기관 시스템으로의 전환 없이 거래소 시스템 내에서 스크래핑(scrapping)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입금 오류 및 이체 지연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발전에 힘입어 기존 통화를 대체할 새로운 개념의 화폐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전자화폐 및 가상화폐가 이에 해당한다. 전자화폐는 기존 화폐의 체계 하에 ICT를 접목하여 기존 통화를 전자적 방식으로 대체한 결제 수단으로서,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칩 교통카드나, 인터넷을 통하여 발급 및 사용되는 포인트 등이 있다. 한편, 가상화폐는 블록체인(block chain)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형 가치수단으로서, 교환 가치 및 결제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는 새로운 개념의 화폐이다.
가상화폐는 특정 기관에서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프로세싱을 통하여 채굴되며, 피어-대-피어(Peer-to-Peer; P2P) 방식으로 거래되고, 총 발행량이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가상화폐에는 비트코인(bitcoin), 비트코인 캐시, 이더리움(ethereum), 이더리움 클래식, 리플(ripple), 라이트코인(litecoin) 등이 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를 매매하거나 또는 현실 통화로 교환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하는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등장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거래소 서버를 통한 가상화폐 거래 시 환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실물화폐를 이용하여 거래소 계좌에 금액을 입금하게 된다. 거래소에서는 사용자가 입금한 금액을 개별 사용자에 상응하는 전자지갑 형태로 관리하고, 사용자는 전자지갑에 충전된 금액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거래소를 통해 매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물화폐란, 가상화폐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결제수단으로 통용되는 임의의 통화를 지칭하며, 예컨대, 원화(KRW), 달러화(USD) 등일 수 있고, 특정 종류의 통화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가상화폐를 매도하고자 할 때는, 가상화폐를 거래소를 통하여 판매하고 판매 금액을 전자지갑을 통하여 실물화폐로 환전 받게 된다. 전자지갑에 금액을 충전하거나 충전된 금액을 실물화폐로 환전하는 과정은 개별 사용자에 대응되는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가상화폐는 아직 많은 수의 국가에서 통화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가상화폐의 매매 거래는 금융 거래가 아닌 재화에 대한 상거래로 해석되고 있으며, 가상화폐 거래소는 금융기관이 아닌 전자상거래 업체로 분류되어 금융당국에 의한 감독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가상화폐의 거래소에 대한 인가제를 제도화하기 위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발의되어 있으나, 아직 시행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으로 인하여, 가상화폐 매매에 대한 자금 출처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가상화폐를 이용한 다단계 금융,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이나 해킹(hacking) 등 가상화폐의 결제 수단으로서의 가치 및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다양한 위협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상화폐 거래의 건전한 발전 및 자금세탁 방지를 위하여, 대한민국에서는 현재 실명계좌를 확인하고 실명계좌에 대응되는 가상계좌를 1:1로 부여하여,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거래소에서 부여 받은 가상계좌로 자금을 입금해야 하고 출금은 사용자가 등록한 실명 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하게 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 하에서 거래소에 자금을 입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이나 웹 페이지 화면에서 벗어나 은행 등 금융기관 시스템에 직접 로그인한 후 수기로 자금 이전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계좌 정보나 금액 등에 대한 입력 오류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자금 이체의 지연이 발생하여 가상화폐 거래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445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화폐 거래소에 거래자금을 입금할 때 금융기관 시스템으로의 전환 없이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 내에서 스크래핑(scrapping)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수기 입력 방식의 자금 이체로 인한 입금 오류 및 이체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scrapping)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가 인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크래핑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스크래핑부에 의해 상기 추가 인증 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된 후, 거래소 서버로부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은,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 서버; 및 가상화폐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가 인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추가 인증 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된 후,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의 입출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거래소 서버에 입출금 실행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이때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입출금 실행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거래소의 계좌 정보 및 실명 정보를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입출금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이 성공할 경우 입출금 실행을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요청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은,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추가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추가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은, 상기 추가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후에, 거래소 서버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은,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거래소 서버로부터 상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수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직접 입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은, 상기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의 입출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입출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거래소 서버에 입출금 실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거래소 서버로부터 거래소의 계좌 정보 및 실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은, 상기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거래소 서버가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입출금 정보의 계좌 또는 실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소 서버가, 검증이 성공할 경우 입출금 실행을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실명 확인된 계좌에 대하여 1:1로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해당 가상계좌를 통해서만 거래 자금을 입금하여야 하는 현재의 제도 하에서, 사용자가 거래소의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 또는 웹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은 채로 스크래핑(scrapping)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기관 시스템에서의 자금의 입출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수기로 가상계좌 번호 및 입금 금액 등을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거래자금의 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계좌 정보 및 금액 등의 입력 오류가 발생하여 자금 이체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래소 서버를 통한 가상화폐 거래 시 환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수신부(31) 및 스크래핑(scrapping)부(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 서버(2)와 함께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5)을 구성하며,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즉, 거래소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화폐 거래자금의 입출금을 수행한다.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5)을 통해 요청된 자금 입출금의 직접적인 실행은 금융기관 시스템(4)을 통하여 실현된다. 금융기관 시스템(4)은, 예컨대, 기존 은행 등에서 전산 금융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레거시(legacy)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 거래소 서버(2) 및 금융기관 시스템(4) 등과 상호 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 및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5)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거래소 서버(2),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5)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에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와 거래소 서버(2)는 서로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와 거래소 서버(2)가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인 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며 단지 기능적으로만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포함된 수신부(31) 및 스크래핑부(32) 역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단말(1)은 거래소 서버(2)를 통하여 가상화폐를 매수하거나 매도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은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 및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를 생성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래소 서버(2),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 및 금융기관 시스템(4) 등과 통신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로는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래소 서버(2)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가상화폐를 매수하거나 자신이 소지한 가상화폐를 다른 사용자에게 매도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한다. 거래소 서버(2)를 통하여 거래되는 가상화폐란 비트코인(bitcoin), 비트코인 캐시, 이더리움(ethereum), 이더리움 클래식, 리플(ripple), 라이트코인(litecoin) 등 현존하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종류의 블록체인(block chain)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형 가치수단일 수 있으며, 특정 종류의 가상화폐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화폐를 매수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매수하려는 가상화폐의 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을 원화(KRW), 달러화(USD) 등의 실물화폐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가상화폐를 거래소를 통해 판매하고, 판매 금액을 거래소에서 실물화폐로 출금할 수 있다.
금융기관 시스템(4)은, 사용자가 가상화폐 거래를 위하여 가상계좌에 돈을 입금하기 위한 입금 채널에 해당하는 기관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금융기관 시스템(4)은 하나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실제 구현에 있어서 복수의 금융기관 시스템(4)을 거쳐 금융 거래가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융기관 시스템(4)은 특정 은행의 서버와 더불어 금융결제원 서버 등 감독 기관을 통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실물화폐를 가상화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래소는 실물화폐의 충전 및 환전이 가능한 소위 전자지갑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자지갑은 각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계좌를 기반으로 실현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현재 실명계좌를 확인하고 실명계좌에 대응되는 가상계좌를 1:1로 부여하여,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거래소에서 부여 받은 가상계좌로 자금을 입금해야 하고 출금은 사용자가 등록한 실명 계좌를 통해서만 가능하게 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상기 제도하에서 거래자금을 거래소에 입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거래소의 가상계좌를 거래소 서버(2)로부터 확인한 후 금융기관 시스템(4)에 가상계좌번호 및 이체 금액 등을 수기 입력하여야 했는데, 그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 오류로 인한 이체 지연 등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5)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가상화폐 거래소 화면(예컨대, 앱 또는 웹 페이지 등)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출금 요청을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전송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을 통한 입출금 실행을 처리한다. 스크래핑이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등에 로그인한 후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가져오는 기술을 지칭한다. 스크래핑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가상계좌 번호 또는 이체 금액의 입력 오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사용자 단말(1)과 통신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된다. 예를 들러, 사용자 단말(1) 상에서는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거래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이때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상기 거래소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이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application service server)일 수 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 장치 자체가 사용자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의 수신부(31)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입출금 정보와 금융기관 시스템(4)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예컨대, 인터넷 뱅킹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의 스크래핑부(32)는, 스크래핑 기술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시스템(4)에 대한 사용자 인증(예컨대, 로그인) 및 추가 인증(예컨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OTP(One-Time Password) 등을 이용한 2요소 인증)을 수행하고, 입출금 정보에 기초하여 금융기관 시스템(4)에 입출금 실행을 요청한다. 사용자가 거래소 애플리케이션 또는 거래소 웹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인증 정보 및 이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가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에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게 된다.
금융기관 시스템(4)에 의하여 사용자 검증 과정을 거쳐 가상화폐 거래자금의 입출금이 실행되면, 금융기관 시스템(4)에서는 입출금 결과를 거래소 서버(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서버(2)는 수신된 입출금 결과를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또한, 거래소 서버(2)는 수신된 입출금 결과를 직접 사용자 단말(1)에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로의 입출금 결과의 전송은 사용자 단말(1)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SMS, 이메일 등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별도의 서버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사용되는 장치로 구현되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거래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스마트폰 외에 다른 상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다른 임의의 컴퓨팅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입출금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추가 인증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과 달리,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위의 정보들이 사용자에 의하여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금융기관 시스템(4)에 입출금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거래소 서버(2)에 입출금 실행 정보를 요청하여 거래소 가상계좌정보 및 실명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입출금 실행이 이루어진 후 입출금 실행 결과를 거래소 서버(2)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상의 차이점 외에 거래소 서버(2) 및 금융기관 시스템(4)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거래소 이용자가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입출금을 요청하면(3)(S101),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서는 입출금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거래소 서버(2)에 입출금 실행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2). 예를 들어, 거래소 이용자는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에 접속하여 거래자금의 입금을 신청한 후 또는 입금 신청의 일부로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입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거래소 이용자가 입출금을 요청하는 과정(S101)은,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가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의 일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로부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요청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 자체가 거래소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일 경우, 거래소 이용자가 입출금을 요청하는 과정(S101)은 단순히 사용자가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입출금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과 사용자 사이의 임의의 정보 교환을 수반하는 이하의 다른 단계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입출금 실행 정보란, 사용자가 가상화폐 거래소에 거래자금을 입금하거나 가상화폐 거래소로부터 거래자금을 출금하기 위하여 확인이 필요한 정보로서, 거래소의 계좌정보, 계좌의 실명정보 및/또는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계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로부터 수신된 입출금 실행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거래소의 계좌정보, 계좌의 실명정보 및/또는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계좌정보를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S103).
일 실시예에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추후 스크래핑 과정을 위하여 단계(S103)에서 수신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사용자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를 통하여 입출금 실행 정보를 확인하고, 입출금의 실행을 위한 입출금 정보 및 금융기관 시스템(4)으로의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입력할 수 있다(S104).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출금 정보는 사용자의 출금계좌 번호, 출금계좌 비밀번호, 이체 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거래소의 계좌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거래소의 가상계좌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거래소 서버(2)로부터 상기 계좌정보 또는 가상계좌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계좌정보를 수기로 입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오류에 의한 이체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 정보란 사용자 대신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에 접속하여 입출금을 요청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예컨대, 금융기관 시스템(4)에 상응하는 인터넷 뱅킹 웹 사이트의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에 사용자 인증(예컨대, 로그인)을 요청하며(S105), 인증이 성공할 경우 금융기관 시스템(4)으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S106). 또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할 경우 거래소 서버(2)로부터 수신된 계좌정보 또는 가상계좌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출금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에 입출금 실행을 요청한다(S107).
일 실시예에서, 거래소 서버(2)가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제공하는 입출금 실행 정보에는 자금 이체 시 수신 계좌에 표시될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스크래핑을 통한 입출금 실행 요청 시 이러한 식별 정보를 수신 계좌에 표시하도록 입출금 실행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거래소 서버(2)에서는 입금을 원하는 사용자가 바로 자금을 이체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입금 신청을 하도록 하고, 입금이 신청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입금 건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거래소에서 자금 이체 내역을 보고 어느 사용자의 어느 입금 건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번호 + 해당 사용자의 입금 일련번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금을 수신할 거래소 계좌 또는 가상계좌에 이러한 식별정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에게 입금을 요청하면, 거래소 측에서 이체 내역만 보고도 어느 사용자의 어느 입금 건인지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별정보를 사용자의 수기로 기재하게 하면 입력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식별정보를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가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스크래핑을 수행하여 입금 시 받는 계좌의 표시 사항을 기입하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한 수기 입력 오류에 따른 이체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입출금 실행 요청을 수신한 금융기관 시스템(4)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추가 인증을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요청할 수 있다(S108). 추가 인증이란 거래 안전을 공고히 하기 위해 요구되는 ARS, SMS 메시지, OTP 등을 이용한 2요소 인증(2-factor authentication)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할 추가 인증 정보란 ARS 또는 SMS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 받은 인증번호나, 사용자가 소지한 OTP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생성된 1회용 비밀번호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2요소 인증을 통해 필요한 추가 인증 정보를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입력하면(S109),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이를 금융기관 시스템(S110)에 전송한다. 금융기관 시스템(4)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가 인증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결과에 이상이 없을 경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로부터 수신된 입출금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입출금을 실행한다(S11). 예컨대, 금융기관 시스템(4)은 사용자가 요청한 입금 금액을 사용자의 출금계좌로부터 거래소 계좌 또는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된 거래소의 가상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입출금 실행 후 금융기관 시스템(4)에서는 입출금 실행 결과를 거래소 서버(2)에 전송할 수 있다(S112). 거래소 서버(2)는 입출금 실행 결과를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전송하여,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출금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113). 또는/또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가 사용자 단말(1)과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거래소 서버(2)는 직접 거래소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1)에 입출금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S114).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201 내지 S206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 S101 내지 S101과 각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크래핑을 통한 사용자 인증 수행 후 입출금을 실행하기 전에 거래소 서버(2) 및 금융기관 시스템(4)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금 계좌에 대한 실명 검증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는 스크래핑에 의한 사용자 인증 수행 후 사용자 출금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입출금 정보를 거래소 서버(2)에 등록한다(S207). 거래소 서버(2)에서는 등록된 입출금 정보를 기반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과 통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출금계좌가 실제로 존재하는 계좌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과, 해당 출금계좌가 사용자의 실명으로 된 계좌인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S208). 예를 들어, 계좌 및 실명 여부의 검증은, 거래소 서버(2)에서 금융기관 시스템(4)에 계좌 및 실명 여부 검증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검증 결과를 금융기관 시스템(4)으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계좌 및 실명 여부의 검증은, 거래소 서버(2)에서 출금계좌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금융기관 시스템(4)으로부터 계좌의 존재 여부 및 소유자 실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출금 정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검증 결과 문제가 없을 경우, 거래소 서버(2)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3)에 의해 등록된 입출금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입출금 실행을 금융기관 시스템(4)에 요청한다(S209).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출금 실행이 요청된 후의 동작에 대한 단계 S210 내지 S216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 S108 내지 S114와 각각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실명 확인된 계좌에 대하여 1:1로 가상계좌를 부여하고 해당 가상계좌를 통해서만 거래 자금을 입금하여야 하는 현재의 제도 하에서, 사용자가 거래소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은 채로 스크래핑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기관 시스템에서의 자금의 입출금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수기로 가상계좌 번호 및 입금 금액 등을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거래자금의 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계좌 정보 및 금액 등의 입력 오류가 발생하여 자금 이체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가 인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크래핑부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스크래핑부에 의해 상기 추가 인증 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된 후, 거래소 서버로부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5.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 서버; 및
    가상화폐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추가 인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추가 인증 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전송된 후,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의 입출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거래소 서버에 입출금 실행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입출금 실행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거래소의 계좌 정보 및 실명 정보를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서버는,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입출금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이 성공할 경우 입출금 실행을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요청하도록 더 구성된 가상화폐 거래소 시스템.
  8.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의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을 위한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금융기관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입출금 정보에 상응하는 입출금 실행을 요청하여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추가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추가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식으로,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상기 추가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후에, 거래소 서버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거래소 서버로부터 상기 입출금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수신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 정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추가 인증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에 직접 입력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의 입출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상기 입출금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거래소 서버에 입출금 실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가 거래소 서버로부터 거래소의 계좌 정보 및 실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거래소 서버가 상기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입출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소 서버가,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입출금 정보의 계좌 또는 실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소 서버가, 검증이 성공할 경우 입출금 실행을 상기 금융기관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 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29902A 2018-03-14 2018-03-14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08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902A KR20190108666A (ko) 2018-03-14 2018-03-14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902A KR20190108666A (ko) 2018-03-14 2018-03-14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666A true KR20190108666A (ko) 2019-09-25

Family

ID=6806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902A KR20190108666A (ko) 2018-03-14 2018-03-14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6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65A (ko) *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유스비 Vasp를 위한 트래블룰을 만족하는 kyc/aml 솔루션 프로토콜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
WO2022114413A1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에이블엑스 가상 화폐의 출금 처리 방법 및 거래소 시스템
KR102492174B1 (ko) * 2022-02-27 2023-01-26 주식회사 보난자팩토리 이상거래 탐지 및 블랙리스트 관리가 가능한 실계좌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소 입출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492195B1 (ko) * 2022-06-16 2023-01-26 주식회사 보난자팩토리 가상자산 거래소 고객의 출금동의 및 고객확인 관련 인증대행이 가능한 가상자산 거래소 입출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WO2023003445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핑거 가격변동 리스크 회피 가능한 가상화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55B1 (ko) 2016-03-14 2017-01-17 주식회사 스트리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환전 또는 송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55B1 (ko) 2016-03-14 2017-01-17 주식회사 스트리미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환전 또는 송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465A (ko) *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유스비 Vasp를 위한 트래블룰을 만족하는 kyc/aml 솔루션 프로토콜 서비스 플랫폼의 동작 방법
WO2022114413A1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에이블엑스 가상 화폐의 출금 처리 방법 및 거래소 시스템
WO2023003445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핑거 가격변동 리스크 회피 가능한 가상화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5775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핑거 가격변동 리스크 회피 가능한 가상화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92174B1 (ko) * 2022-02-27 2023-01-26 주식회사 보난자팩토리 이상거래 탐지 및 블랙리스트 관리가 가능한 실계좌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소 입출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492195B1 (ko) * 2022-06-16 2023-01-26 주식회사 보난자팩토리 가상자산 거래소 고객의 출금동의 및 고객확인 관련 인증대행이 가능한 가상자산 거래소 입출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564B (zh) 使用记录保证即时支付的方法和系统
US10956906B2 (en) Secure account creation
CN107851245B (zh) 用于将基于区块链的资产关联到法定货币账户的方法和系统
CN107851281B (zh) 用于基于区块链的交易的欺诈控制的系统和方法
CN107851246B (zh) 用于在现有支付网络上处理基于区块链的交易的系统和方法
US20160253663A1 (en) Transaction signing utilizing asymmetric cryptography
US20150324764A1 (en) Enabling a User to Transact Using Cryptocurrency
CN108352019B (zh) 用于使用移动通信设备的欺诈检测的方法和系统
KR20190108666A (ko) 가상화폐 거래자금 입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A3019935A1 (en) Token aggregation system for multi-party transactions
CN105074757A (zh) 用于支付处理系统的待定存款
AU2016233522A1 (en) Device with multiple identifiers
US11403625B2 (en) Automated reissuance system for prepaid devices
CN103649979A (zh) 金融交易系统和方法
KR101863612B1 (ko) 입출금 내역 비교를 통한 실명거래 검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A2998543C (en) Processing method for obtaining target data, server, and online financing method
KR101922813B1 (ko)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자금 출처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A2998517C (en) Processing method for acquiring target data, server, and online funding method
WO2022047582A1 (en) Blockchain-based technologies for secure offline transaction processing
US105728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authenticated authorization requests
KR100874356B1 (ko) 옵션거래 중계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475662B1 (ko) 분산원장 기반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GHOSH et al. DEVICE AND METHOD FOR ACCEPTING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IN PAYMENT NETWORKS
EP3933735A1 (en) Payment network watching service
CN116134467A (zh) 商家经由支付轨道接受加密货币的方法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