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911A -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911A
KR20190107911A KR1020180029227A KR20180029227A KR20190107911A KR 20190107911 A KR20190107911 A KR 20190107911A KR 1020180029227 A KR1020180029227 A KR 1020180029227A KR 20180029227 A KR20180029227 A KR 20180029227A KR 20190107911 A KR20190107911 A KR 2019010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product
shopping mal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김광민
엄정길
김태선
조현진
정진성
장혁창
윤상열
이상진
김지혜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18002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911A/ko
Publication of KR2019010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이동 단말에서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뱅킹 앱을 실행하여 금융사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뱅킹 앱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뱅킹 앱의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METHOD PAYMENT SERVI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주문하고 결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보안 절차를 통과해야만 결제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복잡한 보안 절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불필요한 보안 절차를 생략하고 사전 인증 등을 통해 보안 절차를 간소화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결제가 가능한 간편 결제 서비스가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 처리 절차를 간소화하여,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결제 서비스 제공 장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뱅킹 앱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뱅킹 앱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뱅킹 앱의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대응하면,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앱의 화면과 중첩되는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으로 인지되면,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뱅킹 앱이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앱을 통해 접속된 금융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출금 계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금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의 결제 금액 및 입금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좌 이체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터치 스크린, 및 뱅킹 앱이 실행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에 뱅킹 앱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뱅킹 앱의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뱅킹 앱 화면과 중첩되는 가상의 레이어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 처리 절차를 간소화하여,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금융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생체 인식부(130), 음성 인식부(140), 디스플레이(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 망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금융사 시스템(도 3의 도면 부호 200 참조) 또는 쇼핑몰 서버(도 3의 도면 부호 300 참조)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에서 사용되는 통신 기술로는,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생체 인식부(13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인식하여 생체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인식부(130)는 인식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인식부(130)는 정맥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정맥 인식 수단은 장정맥(손바닥 정맥), 지정맥(손가락 정맥) 등 사용자의 정맥을 스캔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정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체 인식부(130)는 지문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수단은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체 인식부(130)는 홍채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홍채 인식 수단은 사용자의 홍채를 스캔하여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체 인식부(130)는 망막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망막 인식 수단은 사용자의 망막을 스캔하여 망막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망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체 인식부(130)는 얼굴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얼굴 인식 수단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40)는 마이크, 리시버 등 사운드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며, 이에 대한 음성 인식을 통해 음성 입력으로부터 음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킹 앱이 실행되는 경우 뱅킹 앱을 통해 처리되는 금융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이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을 이루는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뱅킹 앱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뱅킹 앱을 실행하고, 뱅킹 앱을 통해 금융사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다양한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은 인터넷 접속 기능, 및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금융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사 시스템(200)은 은행 등 금융 기관에 구비된 전산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210), 대외계(220), 계정계(230), 정보계(240) 및 인터페이스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금융사 시스템(2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금융사 시스템(2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대외계(220)는 금융 기관의 대내외 망을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대외계(220)는 금융사 시스템(200)과 이동 단말(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외계(220)는 금융사 시스템(200)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금융사 시스템(또는 결제시스템) 간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외계(220)는 비대면 금융 거래 수단(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 텔레 뱅킹, 모바일 뱅킹 등)의 외부 통신망을 통한 금융사 시스템(200)과의 연결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외계(220)는 공동망(예를 들어, CD 공동망, 금융 공동망 등)을 통한 다양한 금융 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계정계(230)는 금융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 고객의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계정계(230)는 고객의 입금, 출금, 계좌 이체, 지로 납부, 신규 개설, 폐쇄 등의 전반적인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정보계(240)는 계정계(230)를 통해 수행되는 금융 거래의 기록, 금융 거래 기록의 통계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정보계(240)는 금융 거래 기록을 기초로 예측, 성과측정, 결산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계(240)는 본부업무의 처리와 영업점 정보지원 및 고객정보 관리를 처리할 수 있다.
DBMS(210)는 금융사 시스템(200) 내 구성요소에서 각각의 기능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원장정보, 고객정보, 상품정보, 경영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BMS(210)는 원장정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211), 경영정보 DB(212), 고객정보 DB(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장정보 DB(211)는 금융 기관에 가입한 각 고객에 대한 원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장정보는 소정의 고객원장, 고객원장과 연계되는 계좌원장 및 계좌원장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원장은 금융 기관과 거래하는 각 고객에 대응하는 원장정보이다. 고객원장은, CIF(Customer Information File)번호, 국가코드, 담당자ID, 영업점번호, 고객분류, 고객이름, 고객주소, 지역구분코드, 전화번호, 사업장번호, 상호, 분류코드, 유효기일, 상태본점정보, 결산일, 현금가용일, 성, 명, 주민등록번호, 회사주소, 회사전화번호, 우송장소, 구좌번호, 사장, 업종, 법정대리인, 최초거래일, TRW, DB, 사용한도, 모회사번호. 국명, 전송, 성별거주자, 직업, 우송주소, 회사명, 후견인명, 후견인전화번호, 법정대리인사업자번호, 건공정구분, 세금구분, 지역코드, 그룹코드, 우편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객원장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과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계좌원장은 고객원장과 관계형으로 연계되며, 금융 기관에 개설된 각 금융 계좌에 대응하는 원장정보이다. 계좌원장은, 계좌번호(또는 증권번호), CIF번호, 점번, 통화, 개설일, 상태, 상품종류, 이율, 비밀번호, 잔액, 타점권잔액1, 타점권잔액2, 통장잔액, 통장번호, 분실일, 분실 장소, 미지금이자, 시간연장건수, 시간연장금액, ARS설정, 최종입금일, 최종출금일, 최종입금액, 최종출금액, 무통장거래건수, 이자이체계좌, 평통연결여부, 최종지급이자, 최종지급거래번호, 개별이율참조, 최종이자계산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좌원장은 계좌원장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기권(월수), 기간(일수), 기간연장, 만기일, 목표액 등을 포함하는 정기성 수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좌원장은, 계좌원장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수탁금액, 액면금액, 연금일, 주식수 등을 포함하는 신탁 수신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계좌원장은 계좌원장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거래번호, 일자, 점번, 상품종류, 거래종류, 현금액, 타점권, 배치번호(Batch No.), 복합거래, 기산일, 통장라인, 적요 등을 포함하는 거래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계좌원장과 부가정보구성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과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고객정보 DB(213)는 고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예를 들어,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고객의 회원정보(예를 들어, 고객이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가입함에 의해 고객에 대응하여 금융사 시스템(200) 상에 구비된 고객원장에 구비된 회원ID 정보, 또는 CIF 번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50)은 금융사 시스템(200) 내 구성 요소간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미들웨어(Middleware)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사 시스템(200)은 설계 의도 또는 금융사 시스템(200)이 구비되는 각 금융 기관의 종류(예를 들어, 시중은행, 저축은행, 신탁은행)에 따라 외국환계(미도시), 투자금융계(미도시), 국제계(미도시) 등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금융사 시스템(200)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사 시스템(200)이 구비되는 금융 기관은 시중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등, 소정의 금융 계좌가 개설 및 운용되고, 이에 대응하는 통장, 현금카드, 직불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 선불카드 등을 발급할 수 있는 모든 금융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정 금융 기관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금융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금융사 시스템(200) 또는 앱 마켓 서버(미도시)로부터 자신의 이동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이라고 명명하여 사용함)로 뱅킹 앱(application, 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뱅킹 앱은, 대응하는 금융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 입출금, 계좌 관리, 이체, 결제, 지로 납부 등의 전반적인 금융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후,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현재 방송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해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뱅킹 앱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뱅킹 앱을 통해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결제 금액, 입금 계좌 번호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 처리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뱅킹 앱 실행이 요청되면, 뱅킹 앱을 실행시킨다(S100).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01).
상기 S10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100)에 뱅킹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금융사 시스템(200) 또는 웹 마켓 서버(미도시)로부터 뱅킹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뱅킹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S1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뱅킹 앱에 의해 연결된 금융사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뱅킹 앱이 실행되면, 제어부(170)는 뱅킹 앱에 의해 금융사 시스템(20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S101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절차는 생체 인식, 공인인증서 인증, 모바일 OTP(One Time Password) 인증, 패스워드 인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생체 인식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 대상이 되는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뱅킹 앱을 통해 금융사 시스템(200)에 회원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획득되어, 이동 단말(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금융사 시스템(200)의 고객정보 DB(213)에 저장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70)는 금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비교 대상이 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생체 인식부(130)를 통해 획득된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거나, 생체 인식부(130)를 통해 획득된 생체 정보를 금융사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S101 단계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뱅킹 앱을 통해 계좌 이체, 조회 등 다양한 금융 거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100)은 뱅킹 앱을 실행하는 중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뱅킹 앱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제어 입력을 입력하면(S102), 뱅킹 앱을 통해 대응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S103), 해당 웹 페이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1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50) 즉, 터치 스크린에 대한 특정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이를 대응하는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제어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 입력 모드가 선택되거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분석하여 터치 제스처가 필기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뱅킹 앱 화면 상에 중첩되는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고, 가상의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의 레이어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대한 필기 인식을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한다. 필기 입력을 위한 가상의 레이어는 한 획으로 필기하기 어려운 문자의 입력을 위해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동안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필기 인식을 통해 특정 문자가 인식되면 뱅킹 앱을 통해 인식된 문자에 매핑된 웹 사이트의 웹 주소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대응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S1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부(140)를 통해 특정 음성 입력이 입력되면, 이를 대응하는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제어 입력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대응하는 웹 사이트의 웹 주소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대응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S1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뱅킹 앱 화면 상에 특정 웹 사이트로의 접속 기능에 대응된 터치 메뉴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터치 메뉴가 터치되면, 뱅킹 앱을 통해 터치된 터치 메뉴에 매핑된 웹 사이트의 웹 주소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대응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이고(S104), 해당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현재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이 존재하면(S105), 현재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06). 즉, 제어부(170)는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이면, 대응하는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현재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명, 상품 설명, 방송 영상, 가격 등)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상기 S106 단계를 통해 상품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S107), 뱅킹 앱의 계좌 이체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시킴으로써 뱅킹 앱의 계좌 이체 화면을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하고(S108), 계좌 이체를 통해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S109).
상기 S107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S106 단계를 통해 상품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바로(또는, 즉시) 결제가 선택되거나, 결제 수단으로 계좌 이체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08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뱅킹 앱을 통해 금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사용자의 출금 계좌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계좌 이체 화면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금융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사용자 이름, 사용자의 출금 계좌 번호 등을 수신하고, 이를 계좌 이체 화면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08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S103 단계를 통해 접속한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현재 방송 판매 중인 상품에 대한 결제 금액, 입금 계좌 정보(입금 은행, 입금 계좌 번호)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계좌 이체 화면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로부터, 이체 금액, 입금 은행, 입금 계좌 번호 등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계좌 이체 화면에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뱅킹 앱을 통해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상태에서, 해당 웹 사이트에서의 결제가 완료되거나, 뱅킹 앱 화면으로의 이동이 요청되면(S110), 뱅킹 앱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S11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현재 방송으로 판매 중인 상품을 구매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뱅킹 앱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뱅킹 앱이 실행되어 뱅킹 앱 화면(5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511)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뱅킹 앱은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로부터 문자('S')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S')에 미리 매핑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Shinhan SHOP')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또한, 뱅킹 앱은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현재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상품 정보(521)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뱅킹 앱을 사용 중인 사용자의 출금 계좌 정보(출금 계좌 번호, 출금 가능액 등)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후, 해당 상품에 대해 사용자가 바로 구매(522)를 선택할 경우, 뱅킹 앱은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시켜 계좌 이체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금융사 시스템(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출금 계좌 정보를 토대로 계좌 이체를 수행하여, 해당 상품에 대해 결제를 처리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홈쇼핑 방송을 시청 중 시청 중인 상품을 구매하고 싶을 경우, 간편하고 빠르게 계좌 이체를 통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생체 인식부
140: 음성 인식부
150: 디스플레이
160: 메모리
170: 제어부
200: 금융사 시스템
300: 쇼핑몰 서버

Claims (12)

  1. 이동 단말에서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뱅킹 앱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뱅킹 앱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뱅킹 앱의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대응하면,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앱의 화면과 중첩되는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으로 인지되면,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상의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뱅킹 앱이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뱅킹 앱을 통해 접속된 금융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출금 계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금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의 결제 금액 및 입금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좌 이체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 계좌 이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11. 터치 스크린, 및
    뱅킹 앱이 실행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에 뱅킹 앱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방송 판매 중인 상품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뱅킹 앱의 계좌 이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뱅킹 앱 화면과 중첩되는 가상의 레이어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180029227A 2018-03-13 2018-03-13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7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27A KR20190107911A (ko) 2018-03-13 2018-03-13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27A KR20190107911A (ko) 2018-03-13 2018-03-13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11A true KR20190107911A (ko) 2019-09-23

Family

ID=6806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27A KR20190107911A (ko) 2018-03-13 2018-03-13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7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445B1 (ko) * 2020-03-19 2020-11-23 (주)디에스티인터내셔날 장정맥을 이용한 전자결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445B1 (ko) * 2020-03-19 2020-11-23 (주)디에스티인터내셔날 장정맥을 이용한 전자결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9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requestor at an ATM
US201903183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designated payment transaction
US10956907B2 (en) Authorization of transactions based on automated validation of customer speech
US201803519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authentication
US11334868B2 (en) Variable deposits maximums for a digital cash deposit digitization service
US11455634B2 (en) Payment transaction methods and systems enabling verification of payment amount by fingerprint of customer
EP35200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identity authentication
CN110651290A (zh) 用于增强的用户认证的系统及方法
US11568194B2 (en) Payment transaction methods and systems enabling verification of payment amount by payment card
US110873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recurring customer payment to merchants
US2023041011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obtaining real-time cardholder authentication of a payment transaction
US20230298068A1 (en) Methods and system for providing atm non-customer lead information
US8301555B2 (en) Pre-approved customer acceptance validation
CN116245523A (zh) 用于从数字钱包认证中收集设备数据的系统和方法
US202100819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icrocredit for Processing a Payment Transaction
US11687931B2 (en) Payment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a deceptive pin of a payment card
KR102648298B1 (ko) 비대면 계좌개설을 통한 간편결제 서비스 등록 방법
US201903405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stallment-based payment card transactions
US201903039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currency plan profile for payment cards
KR20190107911A (ko) 이동 단말 및 이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374065A1 (en) Resource distribution channel authorization through third party system integration
US202102644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yment transaction at merchant device from customer wallet
US1076962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provisioning a mobile wallet
US202001844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ount event notification
US116573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ttern-based authentication for payment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