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517A - 온열매트 - Google Patents

온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517A
KR20190107517A KR1020180028862A KR20180028862A KR20190107517A KR 20190107517 A KR20190107517 A KR 20190107517A KR 1020180028862 A KR1020180028862 A KR 1020180028862A KR 20180028862 A KR20180028862 A KR 20180028862A KR 20190107517 A KR20190107517 A KR 2019010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ail
jangpan
vibration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436B1 (ko
Inventor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이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성 filed Critical 이희성
Priority to KR102018002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성되는 장판 본체와,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되는 열선과, 상기 장판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열선과 연결되는 레일부와, 상기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는 커넥터와, 상기 장판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어탭터와, 상기 열선으로 전기를 흘려보내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열선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가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위치가 가변됨으로 인하여 온열매트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와 제어패널 사이의 케이블이 꼬일 염려가 없어 단선이나 화재의 위험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온열매트{HEATING MAT}
본 발명은 온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가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위치가 가변됨으로 인하여 온열매트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와 제어패널 사이의 케이블이 꼬일 염려가 없어 단선이나 화재의 위험이 전혀 없는 온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판(1), 열선(2), 콘센트(3), 제어패널(4), 온도 선택부(5) 및 콘센트(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장판은 온도 선택부(5)를 통해 전류량을 제어하여 열선(2)의 발열량을 조절하며, 주로 겨울철 난방용이나 캠핑장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장판은 콘센트라 장판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된 상태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제어패널과 콘센트 사이의 케이블이 꼬여 단선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고, 콘센트 위치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169호(고안의 명칭:전기장판 구조체, 공개일자:2011년 03월 04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가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위치가 가변됨으로 인하여 전기장판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와 제어패널 사이의 케이블이 꼬일 염려가 없어 단선이나 화재의 위험이 전혀 없는 온열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무선충전부가 구비되어 수면 중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은 전자제품을 충전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온열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직포에 구비된 압력센서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활성화되어 진동모터로 간헐적으로 미세한 진동을 주므로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온열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에 사용자의 코골이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가수면상태로 전환시켜 코골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온열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성되는 장판 본체와,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되는 열선과, 상기 장판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열선과 연결되는 레일부와, 상기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는 커넥터와, 상기 장판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어탭터와, 상기 열선으로 전기를 흘려보내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열선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절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열선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레일과, 상기 열선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결합링을 매개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구름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판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부를 통해 구동되는 무선 충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모터와, 상기 부직포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압력센서의 복수 지점에 사용자의 체중이 느껴지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수면 중 또는 수면 시도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진동모터를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제어부는, 상기 진동모터의 미세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압력센서에 사용자의 코골이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가수면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성되는 장판 본체와,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되며, 내부로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열관과, 상기 장판 본체의 모서리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열관으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상기 온열관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온열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되, 상기 체크밸브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삽입관을 통해 상기 온열관으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와, 상기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패널과,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된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커넥터에 연결되되, 상기 체크밸브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삽입관을 통해 상기 온열관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가 형성된 커버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가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위치가 가변됨으로 인하여 전기장판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와 제어패널 사이의 케이블이 꼬일 염려가 없어 단선이나 화재의 위험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충전부가 구비되어 수면 중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은 전자제품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에 구비된 압력센서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활성화되어 진동모터로 간헐적으로 미세한 진동을 주므로 사용자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에 사용자의 코골이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가수면상태로 전환시켜 코골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장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사시도 및 내부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커넥터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내부를 보인 도면 및 레일부와 커넥터의 연결부위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내부를 보인 도면 및 커넥터와 제어패얼의 연결부위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어패널 내부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사시도 및 내부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커넥터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내부를 보인 도면 및 레일부와 커넥터의 연결부위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은, 장판 본체(100), 부직포(130), 열선(200), 레일부(300), 커넥터(400) 및 제어패널(500)이 포함된다.
상기 장판 본체(100)는 도 2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시트(110)와 하부 시트(120) 및 상부 시트(110)와 하부 시트(120)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시트(110)와 하부 시트(12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는 부재이므로 표면은 일반적인 침구류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 예컨대, 면이나 양모소재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저온화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부 시트(110)의 외부는 얇은 담요와 같은 것으로 덮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부 시트(110)와 하부 시트(120) 사이에는 부직포(13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부직포(130)에는 열선(2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패턴(연속된 "U"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열선(200)은 예컨대,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 니크롬선일 수 있으며, 부직포(130)에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으나, 열에 의한 접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박음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선(200)은 사용자가 수면 중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전자파 저감 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장판 본체(10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레일부(300)는 장판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장판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 판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레일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판 본체(100)의 짧은 측 모서리에 인접하되, 모서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레일부(300)는 장판 본체(100)의 내부에서 열선(200)과 연결되는데, 이러한 레일부(300)는 도 4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상을 갖는 2개의 레일(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은 각각 열선의 양측 단부와 연결되며,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은 커넥터(400)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를 열선(20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도성인 금속재질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2개의 레일(310, 320)로 구성되는 것은 열선(200)과 커넥터(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역할 뿐 아니라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을 따라 커넥터(40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와 더불어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이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이 커넥터(400)와 연결되는 부위의 회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커넥터(400)가 상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수평하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커넥터(400)는 장판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어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400)는 도 4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410)을 매개로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되며, 이러한 결합링(410)은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단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제1레일(310)과 제2레일(320)의 단면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결합링(410)은 원형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링(410)의 내주면에는 제1레일과 제2레일이 맞닿는 위치에 도시되지 않은 구름베어링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름베어링은 커넥터(400)가 제1레일(310)과 제2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링(410)과 2개의 레일(310, 320)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이 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패널(500)은 어댑터(510)와 조절스위치(520)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제어패널(500)은 장판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며, 어탭터(510)는 열선(200)으로 전기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커넥터(400)와 연결되며, 어탭터(510)는 커넥터(400)와 분리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절스위치(520)는 열선(200)으로 흘려보내는 전기의 양을 제어하여 열선(200)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일례로 좌우로 회전되는 원형의 휠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500)에는 도시되지 않은 안정기나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600), 진동모터(710), 압력센서(720), 진동제어부(7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무선 충전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판 본체(100) 내부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레일부(3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전자기기(미도시)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충전부(600)는 레일부(3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되는 커넥터(400)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의 사용자는 수면이나 휴식을 위해 장판 본체(100)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판 본체(1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진동모터(710)와 복수의 압력센서(7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모터(710)와 압력센서(720)는 부직포(130)에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진동모터(710)와 압력센서(7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연속된 직사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제어부(700)는 장판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진동제어부(700)는 상술한 무선 충전부(600)와 마찬가지로 레일부(3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한데, 커넥터(400)와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에는 진동제어부(700)가 진동모터(710) 및 압력센서(720)와 연결되는 전선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 진동제어부(700)는 압력센서(720) 및 진동모터(710)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진동제어부(700)는 압력센서(720)의 복수의 지점에서 사용자의 체중이 느껴지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수면 중 또는 수면 시도중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수면 중 또는 수면 시도중으로 판단하면, 진동제어부(700)는 진동모터(710)를 간헐적으로 진동시켜 장판 본체(100)에 누워있는 사용자를 수면상태로 유도한다.
상기 진동모터(710)의 건헐적 진동은 예컨대,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의 간헐적인 진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면이 유도되는 것과 같다.
상기 진동제어부(700)는 미세한 진동을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를 수면에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제어부(700)는 활성화된 압력센서(720)에 사용자의 코골이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진동모터(710)를 강하게 구동시켜 사용자를 가수면 상태로 전환시킨다.
상기와 같이 진동모터(710)를 강하게 구동시키면 사용자는 완전히 깨지 않은 가수면 상태로 되는데, 일반적으로 코골이가 심한 사람의 경우, 흔들거나 약하게 가격하면 코골이를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골이가 심한 사람은 수면을 취하여도 숙면을 취하지 못하여 피로감이 사라지지 않는데, 압력센서(720)에 코골이의 진동이 감지되면 진동제어부(700)가 일시적으로 강한 진동을 주어 수면 중인 사용자가 완전히 깨어나지 않은 가수면 상태로 전환시켜 수면 중 코골이를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압력센서(720)는 예컨대, 상하좌우 약 20 내지 25cm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진동제어부(700)는 압력센서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점에 기설정된 무게( 약 3 내지 5kg)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누워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활성화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이 만족되었을 경우, 압력센서(720)에 인접한 진동모터(710)들을 구동하여 미세진동 또는 강한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내부를 보인 도면 및 커넥터와 제어패얼의 연결부위를 보인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어패널 내부를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는, 장판 본체(100), 부직포(130), 온열관(210), 커넥터(400) 및 제어패널(500)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장판 본체(100), 부직포(130)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장판 본체(100), 부직포(130)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열관(21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열선(200)을 대체한 부재로서, 이러한 온열관(210)은 열선(200)과 마찬가지로 부직포(130)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온열관(210)의 내부로는 온수가 순환되는데, 이러한 온수는 후술할 히터(530)에 의해 가열되며, 히터(530)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순환부(540)에 의해 온열관(210)의 내부로 투입 및 회수되면서 순환된다.
상기와 같은 온열관(210)은 사용자가 장판 본체(100)에 눕거나 앉게 되는 경우,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판 본체(10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상기 커넥터(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판 본체(100)의 모서리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적어도 2개의 지점에 마련되며, 복수의 커넥터(400)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400)에는 후술할 제어패널(500)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400)에는 상기 온열관(210)의 일측과 타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420)이 구비되며, 이러한 연결관(420)에는 체크밸브(421)가 각각 설치되는데, 이러한 체크밸브(421)는 온열관(210)의 내부에 있는 온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421)는 제어패널(500)이 복수의 커넥터(400)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400)에만 연결되므로, 연결되지 아니한 커넥터(400)의 외부로 온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421)는 연결관(420)의 내측 방향(장판 본체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연결관(4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데, 이러한 연결관(420)의 개방을 통해 온열관(210)도 개방된다.
상기 제어패널(500)은 커넥터(400)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삽입관(550), 순환부(540), 히터(530), 온도계(560) 및 조절스위치(52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관(550)은 체크밸브(421)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부재로서, 예컨대, 제어패널(500)을 커넥터(400)에 연결하는 조작에 의해 삽입관(550)이 체크밸브(421)를 밀어서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제어패널(500)은 연결관(420) 및 온열관(210)과 연결된다.
상기 순환부(540)는 연결관(420)과 온열관(210)에 있는 온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순환부(540)는 도 7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500)의 내부에 구비된 순환관(570)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500)에는 순환관(570)의 내부를 순환하는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3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히터는 도 7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관(570) 내부에 설치된 가열체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가열체는 그물망 형상의 열선으로 제작되어 그물망을 통과하는 온수를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570)의 내부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2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온도계(260)는 히터(53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순환부(540)를 거친 상태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계(560)는 순환관(57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순환부(540)를 배출한 이후의 온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연결관(420)이나 온열관(210)의 내부 또는 후술할 커버패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500)에는 온도계(560)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히터(530)를 제어하여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5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500)과 연결된 커넥터(400)를 제외한 나머지 커넥터(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패널(800)이 연결되는데, 상기 체크밸브(421)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삽입관(810)을 통해 상기 온열관(210)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820)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패널(800)의 순환부(820)에 의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는 내부에서 온수가 순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는 복수의 커넥터(400)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400)에 제어패널(500)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어패널(500)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선이 꼬이지 않는 최적의 위치에 제어패널(500)을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장판 본체 110-상부 시트
120-하부 시트 130-부직포
200-열선 210-온열관
300-레일부 310-제1레일
320-제2레일
400-커넥터 410-결합링
420-연결관 431-체크밸브
500-제어패널 510-어댑터
520-조절스위치 530-히터
540-순환부 550-삽입관
560-온도계 570-순환관
600-무선 충전부
700-진동제어부 710-진동모터
720-압력센서
800-커버패널 810-삽입관
820-순환관

Claims (10)

  1.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성되는 장판 본체와,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되는 열선과,
    상기 장판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열선과 연결되는 레일부와,
    상기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레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판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는 커넥터와,
    상기 장판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어탭터와, 상기 열선으로 전기를 흘려보내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열선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절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열선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레일과, 상기 열선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결합링을 매개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구름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판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부를 통해 구동되는 무선 충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모터와,
    상기 부직포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압력센서의 복수 지점에 사용자의 체중이 느껴지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수면 중 또는 수면 시도중으로 판단하고, 상기 진동모터를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어부는,
    상기 진동모터의 미세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압력센서에 사용자의 코골이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가수면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가변형 전기장판.
  10.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구성되는 장판 본체와,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되며, 내부로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열관과,
    상기 장판 본체의 모서리 복수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온열관으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상기 온열관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온열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연결되되, 상기 체크밸브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삽입관을 통해 상기 온열관으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와,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와, 상기 히터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패널과,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된 커넥터를 제외한 나머지 커넥터에 연결되되, 상기 체크밸브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삽입관을 통해 상기 온열관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가 형성된 커버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KR1020180028862A 2018-03-12 2018-03-12 온열매트 KR10206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62A KR102065436B1 (ko) 2018-03-12 2018-03-12 온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62A KR102065436B1 (ko) 2018-03-12 2018-03-12 온열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94A Division KR102104827B1 (ko) 2020-01-06 2020-01-06 전원공급 커넥터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온열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17A true KR20190107517A (ko) 2019-09-20
KR102065436B1 KR102065436B1 (ko) 2020-01-13

Family

ID=6806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62A KR102065436B1 (ko) 2018-03-12 2018-03-12 온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586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에스피케어 Dc전원 온열매트의 무선리모컨을 구비한 아답터통합형 시스템
KR102665317B1 (ko) 2022-06-09 2024-05-10 주식회사 에스피케어 무선기능이 포함된 지능형 IoT 온열 매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85Y1 (ko) * 2006-02-28 2006-06-01 김재진 매트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20130010412A (ko) * 2011-07-18 2013-01-28 유영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온수온열 다다미
KR101561409B1 (ko) * 2015-04-07 2015-10-16 최태열 전열매트
KR101793835B1 (ko) * 2016-08-23 2017-11-20 안정호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85Y1 (ko) * 2006-02-28 2006-06-01 김재진 매트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20130010412A (ko) * 2011-07-18 2013-01-28 유영도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온수온열 다다미
KR101561409B1 (ko) * 2015-04-07 2015-10-16 최태열 전열매트
KR101793835B1 (ko) * 2016-08-23 2017-11-20 안정호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436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9944B2 (en) Warming mattress and mattress pad
KR20120031847A (ko) 온열 부위의 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발열장치
KR102065436B1 (ko) 온열매트
US20060015998A1 (en) Heating system for bathing vessels and related structures
KR102104827B1 (ko) 전원공급 커넥터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온열매트
KR102051429B1 (ko)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JP2017000311A (ja) 暖房マット
JP2000210159A (ja) 座席用暖房装置
CN207679872U (zh) 远红外理疗保健垫
KR200366966Y1 (ko)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온열매트
KR200184404Y1 (ko) 매트의 난방장치
JP4716504B2 (ja) 岩盤浴用人工石盤及び岩盤浴ベッド
KR20100035776A (ko) 스프링 침대용 황토-숯 온돌장치
KR200414838Y1 (ko) 맥섬석 세라믹을 갖는 침대보료
WO2008123640A1 (en) Mattress for beds
KR20200075399A (ko) 다기능 온열 매트
KR100685140B1 (ko) 황토 온열매트
KR200310579Y1 (ko) 매트용 3단 발열 장치
KR20070036931A (ko) 침대용 매트리스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CN217591124U (zh) 一种车用电热毯
KR101229299B1 (ko) 족열기 및 온열방석 일체형 온열매트
KR100980109B1 (ko) 인체 감응형 다용도 발열패드
KR200438934Y1 (ko) 원적외선방사매트 겸용 이불
KR20110103782A (ko) 반신욕 기능을 갖는 발열 매트리스 및 침대
KR200405288Y1 (ko) 반신 보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