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338A -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338A
KR20190107338A KR1020180028468A KR20180028468A KR20190107338A KR 20190107338 A KR20190107338 A KR 20190107338A KR 1020180028468 A KR1020180028468 A KR 1020180028468A KR 20180028468 A KR20180028468 A KR 20180028468A KR 20190107338 A KR20190107338 A KR 2019010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rail
disposed
pow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희
김용순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338A/ko
Publication of KR2019010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에 의하여 공중에 설치되며 파워유닛과 프리유닛을 구비하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파워유닛은,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파워 레일, 상기 파워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파워 롤러, 및 상기 파워 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프리유닛에 일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프리유닛은, 상기 파워 레일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프리 레일, 상기 프리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프리 롤러, 및 상기 프리롤러에 캐리어를 연결시키는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롤러가 지지되는 상기 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롤링 플레이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Conveyor rail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 생산라인에서는 여러 가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차체나 부품을 이송하게 된다.
차체 이송에 자주 쓰이는 이송장치로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가 있다.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는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하는 파워 유닛과 파워 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물을 이동시키는 프리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프리 유닛은 프리 레일과 프리 레일 상에서 롤링하여 이송물을 이동시키는 프리 롤러로 구성된다. 이때 프리 유닛은 이송물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과정이 반복되면 프리 레일에 마모 및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모 및 변형에 의해 이송과정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시간 동안 생산 라인이 정지될 수 밖에 없는바, 생산라인 정지에 따른 손해가 불가피하다.
생산라인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프리 레일의 마모 및 변형 여부에 대한 연 1회 정기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설치 높이, 구조적 문제, 검사자의 편차 등의 한계로 인해 정기 검사 이후에도 프리 레일의 마모 및 변형으로 인한 생산라인 정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정기 검사는 프리 레일의 위치가 높고, 검사를 진행하기 어려운 좁고 미끄러운 장소인 바 검사자의 인명 사고의 위험도 높다.
따라서 프리 레일에 발생한 마모 및 변형을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프리 레일에 발생한 마모 및 변형을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프리 레일에 발생한 마모 및 변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별도의 정기검사 없이도 프리 레일의 마모 및 변형에 의한 생산라인 정지를 방지하여, 생산라인 정지에 따른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에 의하여 공중에 설치되며 파워유닛과 프리유닛을 구비하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파워유닛은,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파워 레일, 상기 파워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파워 롤러, 및 상기 파워 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프리유닛에 일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프리유닛은, 상기 파워 레일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프리 레일, 상기 프리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프리 롤러, 및 상기 프리롤러에 캐리어를 연결시키는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롤러가 지지되는 상기 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롤링 플레이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놓여진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 레일의 배치방향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및 상기 프리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롤링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리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프리 레일의 상부의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 롤러는 일방향으로 적어도 두쌍이 배치되며, 상기 제2센서는 일 방향으로 배치된 프리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 레일은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리 레일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프리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와 상기 제2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를 두고 배치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고,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각 센서로부터 롤링 플레이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롤링 플레이트의 마모 및 변형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가 정기 검사를 수행하여 직접 프레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마모 및 변형을 측정할 필요가 없고, 생산라인을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마모 및 변형이 심하게 발생한 프리 레일을 수리 또는 교체하여 생산 라인의 정지로 인한 손해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물(자동차 몸체)을 이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모식도이며, 도 2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사시도를 아래에서 위를 향해 바라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프리 레일에 마모 및 변형이 발생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프리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프리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리레일의 각 구간별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물(자동차 몸체)을 이송하는 동작의 개략적 모식도이며, 도 2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구조와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레일 홀더(13)를 서포터(11)와 브라켓(12)에 의해 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바디, 샤시, 도어 등을 운반한다.
서포터(11)가 일정 높이에 일 방향으로 길게 고정된다. 레일 홀더(13)는 후술할 파워레일(21)과 프리레일(3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각 레일 홀더(13)는 서포터(11)의 일정 위치에 브라켓(12)에 의하여 서포터(11)에 고정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는 파워 유닛(20)과 프리 유닛(30)을 구비한다.
파워 유닛(20)의 파워 레일(21)과 프리 유닛(30)의 프리 레일(31)은 레일 홀더(13)에 의해 고정되며, 일반적으로 프리 레일(31)은 파워 레일(21)의 하부에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프리 유닛은 캐리어(40)를 지지하면서, 프리 레일(31)을 따라 캐리어(4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생산 라인에서는 캐리어(40)에 자동차 몸체(VB)를 적치하여 각각의 공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리 유닛(30) 자체는 동력원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프리 유닛(30)에 동력을 전달하여야 하는데, 파워 유닛(20)이 프리 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워 유닛(20)은 파워 레일(21)을 주행하는 파워 롤러(23)와 프리유닛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27)을 포함하고, 파워 롤러(23)와 체인(27)은 트롤리(25)에 의해 연결된다. 파워 레일(21)은 “H”를 눕혀놓은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파워 유닛(20)은 트롤리(25)에 결합되는 푸셔(29)를 더 포함한다. 이때, 파워 레일(21)은 체인(27)의 하중만 인가되고, 캐리어 및 캐리어에 적치된 이송물의 하중은 프리 유닛(20)에서 지지한다.
프리 유닛(30)은 프리 레일(31)을 주행하는 프리 롤러(33)를 포함한다. 프리 레일(31)은 “[“ 형태의 레일과 와 ”]” 형태의 레일의 개구된 부분이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일측에 배치된 프리 레일을 제1프리 레일이라 하고, 타측에 배치된 프리 레일을 제2프리 레일이라 할 수 있다. 프리 레일(31)은 프리 롤러(33)가 주행하는 면을 가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프리 롤러(33)가 주행하는 면을 롤링 플레이트(31a)라 한다. 프리 롤러(33)는 축(34)에 의해 양측의 롤러가 연결된다. 축(34)은 캐리어 연결부(35)에 결합된다. 캐리어 연결부(35)의 일단에는 캐리어 도그(37)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캐리어(40)가 연결된다. 이때, 캐리어 도그(37)가 파워 유닛(20)의 푸셔(29)와 체결되어, 구동력이 프리 유닛(30)으로 전달된다. 프리 레일(31)의 하단부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3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동작을 살펴보면, 이송과정에서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는 체인(27)에 의해 추진되는 푸셔(29)에 캐리어 도그(37)를 결합시켜, 프리 레일(31)에 프리 롤러(33)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40)를 이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리 레일(31)의 롤링 플레이트(31a)가 이송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국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를 일정시간 이상 이용하게 되면 프리 레일(31)에 마모 및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종래의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의 프리 레일에 마모 및 변형이 발생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도 4의 A 부분과 같이 롤링 플레이트(31a)가 마모 및 변형된다.
이처럼 롤링 플레이트(31a)가 마모 및 변형되어 문제가 발생하면, 생산 라인 전체가 정지될 수 밖에 없다. 정기적으로 롤링 플레이트(31a)의 마모 및 변형을 확인하더라도, 전체 영역에 대해 꼼꼼히 확인하기 어렵고,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검사자의 안전이 문제된다. 결국 롤링 플레이트에 대한 정기 검사는 미봉책에 불과하다. 실제로 현업에서 정기검사를 실시한 후에도 롤링 플레이트의 마모 및 변형으로 1년간 2건의 라인 정지(약 3시간)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롤링 플레이트의 마모 및 변형을 객관적이면서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프리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프리 유닛 및 모니터링 유닛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유닛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롤링 플레이트(31a)를 사이의 상하에 배치되는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를 포함한다. 이때,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는 캐리어 연결부(35)에 고정부(59)에 의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는 프리 유닛(30)과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는 롤링 플레이트(3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가 일측의 프리 레일(31)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리 레일이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리 레일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프리 레일로 구성될 경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제1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와 제2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는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센서(51a)는 제1센서(51a)로 부터 롤링 플레이트(31a)의 하면까지의 거리(Da)를 측정하고, 제2센서(51b)는 제2센서(51b)로부터 롤링 플레이트(31b)의 상면까지의 거리(Db)를 측정한다. 제1센서(51a)와 제2센서(51b)의 거리(Dt)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Da 와 Db를 측정함으로써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 변화를 알 수 있다.
즉, Dt에서 Da 와 Db의 합을 빼서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를 구할 수 있고.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로부터 롤링 플레이트(31a)의 마모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Da 와 Db 각각으로부터 롤링 플레이트(31a)의 변형을 알 수 있다. 즉,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Da 및 Db-가 급격히 변화할 경우 이를 롤링 플레이트(31a)의 변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 레일(31)은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배치되는데, 도면에 예시한 것과 달리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는 양측의 프리 레일(31)의 롤링 플레이트(31a)에 각각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프리 롤러(33)는 주행 방향으로 적어도 두쌍이 배치되고, 제2센서(51b)는 주행 방향으로 배치된 프리 롤러(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 롤러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롤링 플레이트(31a)의 마모 및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떠한 위치에서 마모 및 변형이 발생했는지 모니터링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가 놓여진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 레일(31)의 배치방향 따라 설치되는 태그(55b)와 프리 레일(31)의 하부에 배치되어 태그(55b)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기(5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태그(55b)는 롤링 플레이트(31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식기(55a)와 태그(55b)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식기(55a)는 캐리어 연결부(35)에 배치된다. 인식기(55a)는 제1센서(51a)와 함께 배치되거나, 제1센서(51a)와 주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태그(55b)는 프리 레일(31)의 인식기(55a)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태그(55b)는 롤링 플레이트(31a)의 하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두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태그(55b)는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인식기(55a)가 해당 태그(55b)를 통해 현재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가 측정되고 있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유닛의 구성을 도 7 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는 각각 제1앰프 및 제2앰프를 통해서 측정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고, 데이터 처리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PLC로 전달한다. 제1센서(51a) 및 제2센서(51b)가 측정할 수행할 때와 동시에 인식기(55a)에서는 태그(55b)를 인식하여 현재 측정이 수행되고 있는 위치를 PLC로 전달한다. 한편, PLC를 통해 전원부(예를 들어, 배터리, 어뎁터 등)가 연결되며, 측정 결과는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리레일의 각 구간별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롤링 플레이트(31a)의 두께가 소정의 두께(예를 들어, 6 mm) 이하인 경우(도 8의 위치 5 이후)에는 불량 발생을 경고하는 시스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불량으로 인해 생산 라인 전체가 정지되기 전에 해당 부분에 대해 단기간에 보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검사자가 프리 레일의 모든 구간에 대해 하나하나 확인할 필요가 없다.
종래에는 4인의 검사자가 하루 8시간씩 일주일간 검사를 진행하여야 했고, 검사 기간 동안에는 해당 라인을 정지하여야 하는 등 피해가 매우 컸다. 나아가 검사를 진행하더라도, 측정 오차나 구조적으로 사람의 손이 닿기 힘든 곳까지 검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프리 레일의 마모 및 변형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검사를 진행하여야 하는 위치가 매우 높아 검사자의 안전문제도 존재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면, 별도의 검사기간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생산 라인 가동 중에 병행하여 프리 레일의 마모 및 변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프레 레일의 마모 및 변형으로 갑자기 생산라인이 정지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생산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리.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다수의 이격된 서포트에 의하여 공중에 설치되며 파워유닛과 프리유닛을 구비하는 파워 앤드 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파워유닛은,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파워 레일, 상기 파워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파워 롤러, 및 상기 파워 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프리유닛에 일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프리유닛은,
    상기 파워 레일의 하부에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프리 레일, 상기 프리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프리 롤러, 및 상기 프리 롤러에 캐리어를 연결시키는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 롤러가 지지되는 상기 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롤링 플레이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놓여진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 레일의 배치방향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 및
    상기 프리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롤링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리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프리 레일의 상부의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롤러는 일방향으로 적어도 두쌍이 배치되며, 상기 제2센서는 일 방향으로 배치된 프리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레일은 일측에 배치되는 제1프리 레일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2프리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1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와 상기 제2프리 레일의 롤링 플레이트의 상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028468A 2018-03-12 2018-03-12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07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68A KR20190107338A (ko) 2018-03-12 2018-03-12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68A KR20190107338A (ko) 2018-03-12 2018-03-12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38A true KR20190107338A (ko) 2019-09-20

Family

ID=6806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68A KR20190107338A (ko) 2018-03-12 2018-03-12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73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0377B2 (en) Enhanced rail inspection
CN101171192A (zh) 用于监控带式输送装置的带定向和/或带运行的方法以及带式输送机
CN101058384B (zh) 电梯设备和用于检查承载机构的方法
CN107074456B (zh) 输送带的磨损监测系统
KR102424193B1 (ko) 레일 검사 장치 및 레일 검사 시스템
CA2693555C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rolling stock wheels
US20230219767A1 (en) Sorting conveyor and conveying cart for a sorting conveyor
KR101841597B1 (ko) 반송차 시스템과 반송차 시스템의 검사 방법, 및 검사 대차
RU2631891C1 (ru) Система диагностики и удале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усилия натяжения проводов и тросов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JP5318611B2 (ja) コンベヤベルト及びガイドローラの不良判定システム
US20240327131A1 (en) Conveyor system with system for detecting the state of wear and tear and/or defects and respective method
JP2005024441A (ja) Icタグ・センサ付き軸受の異常検査システム
CN112292337B (zh) 用于磨损识别的方法和具有磨损识别的传送系统
US20240051764A1 (en) Conveyor device with operation-monitoring system
Kirjanów-Błażej et al. Calibration procedure for ultrasonic sensors for precise thickness measurement
US9382070B2 (en) Conveyor and method to convey animal products in an agricultural business
KR20190107338A (ko) 컨베이어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US20120167661A1 (en) I-Beam Wear Assessment Trolley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180089005A (ko) 철도 차량 차륜 및 베어링의 검지 시스템
US11367637B2 (en) Method of operating transport system
CN106241276B (zh) 一种皮带打滑检测装置及方法
GB2559466A (en) Measurement carriages and systems including measurment carriages
JP5318610B2 (ja) コンベヤベルト及びガイドローラの不良判定システム
US121291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wear of a transport system having sliding contacts
KR20190113212A (ko) 철도 선로의 손상 평가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침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