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086A -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086A
KR20190107086A KR1020197023664A KR20197023664A KR20190107086A KR 20190107086 A KR20190107086 A KR 20190107086A KR 1020197023664 A KR1020197023664 A KR 1020197023664A KR 20197023664 A KR20197023664 A KR 20197023664A KR 20190107086 A KR20190107086 A KR 20190107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speed
temperature
air conditioner
valu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리
융펑 쉬
메이빙 슝
융챵 완
원타오 수
샤오룽 치엔
루펑 천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0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로서, 당해 방법은,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S1);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하는 단계(S2); 및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S3);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
본 발명은 공기 조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 및 외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외기 조화기(The fresh air machine)는 난방 시의 성에제거 작동, 난방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되어 오일 반환 작동 등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외기 조화기를 제어하여 냉풍 방지 작동 상태로 진입시킴으로써 냉풍이 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현재, 관련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안은 많이는 종래의 공조기 내부 기기의 방안을 따르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실내 열교환기 중부에 배치된 온도 센서로 검출된 온도 값에 근거하여, 실내 팬을 온/오프하거나 풍속 레벨 전환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안을 적용할 시 이하 문제가 출현하게 된다. 1) 팬이 오프된 상황에서 중부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값이 쾌속 상승하여 아주 쉽게 냉풍 방지 팬이 턴온된다. 또한 팬 작동 후에는 팬이 최소 풍속 레벨로 작동될지라도 중부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값이 쾌속으로 감소하게 되어 팬을 다시 오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팬이 빈번하게 온/오프된다. 2) 팬이 턴온 상태에 처할 시, 송풍 온도가 37℃ 이상에 도달하고 이를 10분간 지속한 후, 중부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값은 여전히 보다 낮아서 팬이 장시간 동안 저속 작동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풍속 레벨 전환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상술한 기술 중의 기술 문제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로써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외기 조화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실시예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당해 방법은,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하는 단계; 및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은, 검출된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 등 파라미터를 통해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할 수 있는바,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한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은 또한 이하의 부가적 기술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로 속도일 시,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크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풍속은 제로 속도보다 크고 상기 설정 풍속보다 작음 - ;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큼 - ;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크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설정 풍속으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설정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제1 풍속으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음 - ;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로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1 풍속은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설정 온도에 근거하여 설정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풍속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최저 허용 풍속 레벨에 대응되는 배기 풍속이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나아가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큼 - ;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고;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다.
상술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상술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실시예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바, 당해 장치는, 상기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를 획득하기 위한 온도 획득 모듈;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하기 위한 풍속 획득 모듈; 및 상기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기 위한 풍속 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에서, 풍속 조정 모듈은 온도 획득 모듈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그리고 풍속 획득 모듈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한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는 또한, 이하의 부가적 기술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로 속도일 시,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클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하고;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클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설정 풍속으로 조정하며, 상기 제1 풍속은 제로 속도보다 크고 상기 설정 풍속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크다.
나아가,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설정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을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제1 풍속으로 조정하고;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을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로 속도로 조정하며,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다.
나아가,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설정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풍속을 설정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풍속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최저 허용 풍속 레벨에 대응되는 배기 풍속이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나아가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큼 - ;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고;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다.
상술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외기 조화기를 제공하고, 이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는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 조정 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의 블록 개략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서 시종일관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소자를 나타낸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인바,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아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 장치 및 외기 조화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은, 단계S1 내지 단계S3을 포함한다.
단계S1: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TS), 송풍 온도(TA) 및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외기 조화기는, 난방 시 성에제거 작동,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되어 오일 반환 작동 등 상황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 또는 리모컨을 통해 세팅한 설정 온도(TS)를 획득할 수 있고, 중부 온도 센서를 통해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를 획득할 수 있고, 그리고 송풍 온도 센서를 통해 송풍 온도(TA)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 또는 리모컨을 통해 세팅한 설정 풍속을 획득하고 저장하여 후속되는 제어 과정에서 조달할 수 있다. 여기서, 계단적인 풍속 레벨을 통해 설정 풍속을 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레벨1, 레벨2, 레벨3, ..., 레벨n을 선택하고, 설정 풍속을 레벨1, 레벨2, 레벨3, ..., 레벨n에 대응되는 풍속으로 세팅할 수 있다. 등급이 없는 풍속 수치를 통해 설정 풍속을 세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백분율 수치를 세팅하여 설정 풍속을 최대 허용 풍속의 어느 한 백분율로 세팅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 또는 리모컨을 통해 세팅한 설정 풍속은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과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단계S3: 설정 온도(TS), 송풍 온도(TA),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로 속도일 시, 즉 팬이 오프 시, 송풍 온도(TA)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중의 최대값(max(T2, TA))을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온도(TA)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중의 최대값(max(T2, TA))이 제1 소정 온도 값(a)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중의 최대값(max(T2, TA))이 제1 소정 온도 값(a)보다 크면,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하며, 여기서, 제1 풍속은 제로 속도보다 크고 설정 풍속보다 작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1 풍속일 시, 송풍 온도(TA)를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온도(TA)가 제2 소정 온도 값(b)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가 제2 소정 온도 값(b)보다 크면,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설정 풍속으로 조정한다. 여기서, 제2 소정 온도 값은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크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설정 풍속일 시, 송풍 온도(TA)를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온도(TA)가 제3 소정 온도 값(c)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가 제3 소정 온도 값(c)보다 작으면,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1 풍속일 시 송풍 온도(TA)를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온도(TA)가 제4 소정 온도 값(d)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가 제4 소정 온도 값(d)보다 작으면,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로 속도로 조정하는바, 즉 팬은 작동을 정지한다. 여기서, 제4 소정 온도 값(d)은 제3 소정 온도 값(c)보다 작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은 풍속 레벨을 변화하는 것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풍속은 송풍 온도(TA) 및 설정 온도(TS)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으면, 제1 풍속은 외기 조화기의 최저 허용 풍속 레벨에 대응되는 배기 풍속이고; 만약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나아가 송풍 온도(TS)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송풍 온도(TS)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고; 만약 송풍 온도(TS)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크면,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다. 여기서, 제2 소정 차이 값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다.
예를 들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정 차이 값을 4℃로 취할 수 있고, 제2 소정 차이 값을 6℃로 취할 수 있다.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4℃보다 작을 시,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최저 풍속 레벨에 처할 수 있다.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4℃보다 크거나 같고 6℃보다 작거나 같을 시,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을 수 있다.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6℃보다 클 시,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을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제1 소정 온도(a), 제2 소정 온도(b), 제3 소정 온도(c)및 제4 소정 온도(d)는 배기 풍속 조정의 임곗값으로, 고정불변인 것이 아니며, 이는 부동한 지역에서 기후 및 사용자에 대한 요구에 근거하여 외부 입력 기기(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를 통해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은, 검출된 설정 온도, 송풍 온도,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 등 파라미터를 통해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할 수 있는바,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는, 온도 획득 모듈(10), 풍속 획득 모듈(20) 및 풍속 조정 모듈(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획득 모듈(10)은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TS), 송풍 온도(TA) 및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를 획득한다. 풍속 획득 모듈(20)은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한다. 풍속 조정 모듈(30)은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설정 온도(TS), 송풍 온도(TA) 및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그리고 풍속 획득 모듈(20)이 획득한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풍속 획득 모듈(20)은 사용자가 조작 패널 또는 리모컨을 통해 세팅한 설정 풍속을 획득하고 저장하여 후속되는 제어 과정에서 조달할 수 있다. 여기서, 계단적인 풍속 레벨을 통해 설정 풍속을 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레벨1, 레벨2, 레벨3, ..., 레벨n을 선택하고, 설정 풍속을 레벨1, 레벨2, 레벨3, ..., 레벨n에 대응되는 풍속으로 세팅할 수 있다. 등급이 없는 풍속 수치를 통해 설정 풍속을 세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백분율 수치를 세팅하여 설정 풍속을 최대 허용 풍속의 어느 한 백분율로 세팅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 또는 리모컨을 통해 세팅한 설정 풍속은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과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풍속 획득 모듈(20)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로 속도일 시, 즉 팬이 오프 시,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송풍 온도(TA)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중의 최대값(max(T2, TA))을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속 조정 모듈(30)은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송풍 온도(TA)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중의 최대값(max(T2, TA))이 제1 소정 온도(a)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T2) 중의 최대값(max(T2, TA))이 제1 소정 온도 값(a)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풍속 조정 모듈(30)은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풍속은 제로 속도보다 크고 설정 풍속보다 작다.
풍속 획득 모듈(20)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1 풍속일 시,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송풍 온도(TA)를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속 조정 모듈(30)은 송풍 온도(TA)가 제2 소정 온도 값(b)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가 제2 소정 온도 값(b)보다 크면, 풍속 조정 모듈(30)은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설정 풍속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소정 온도 값은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크다.
풍속 획득 모듈(20)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설정 풍속일 시,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송풍 온도(TA)를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속 조정 모듈(30)은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송풍 온도(TA)가 제3 소정 온도 값(c)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가 제3 소정 온도 값(c)보다 작으면, 풍속 조정 모듈(30)은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할 수 있다.
풍속 획득 모듈(20)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1 풍속일 시, 온도 획득 모듈(10)이 획득한 송풍 온도(TA)를 판단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속 조정 모듈(30)은 송풍 온도(TA)가 제4 소정 온도 값(d)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가 제4 소정 온도 값(d)보다 작으면, 풍속 조정 모듈(30)은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로 속도로 조정할 수 있는바, 즉, 팬이 작동을 정지한다. 여기서, 제4 소정 온도 값은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은 풍속 레벨을 변화하는 것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풍속은 송풍 온도(TA) 및 설정 온도(TS)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속 조정 모듈(30)은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으면, 제1 풍속을 외기 조화기의 최저 허용 풍속 레벨에 대응되는 배기 풍속로 설정하고; 만약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풍속 조정 모듈(30)은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고; 만약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크면,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다. 여기서, 제2 소정 차이 값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다.
예를 들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정 차이 값을 4℃로 취할 수 있고, 제2 소정 차이 값을 6℃로 취할 수 있다. 풍속 조정 모듈(30)이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4℃보다 작다고 판단할 시,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최저 풍속 레벨에 처할 수 있다. 풍속 조정 모듈(30)이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4℃보다 크거나 같고 6℃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할 시,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을 수 있다. 풍속 조정 모듈(30)이 송풍 온도(TA)와 설정 온도(TS)와의 차(Δ(TA-TS))가 6℃보다 크다고 판단할 시,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은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을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제1 소정 온도(a), 제2 소정 온도(b), 제3 소정 온도(c)및 제4 소정 온도(d)는 배기 풍속 조정의 임곗값으로, 고정불변인 것이 아니며, 이는 부동한 지역에서 기후 및 사용자에 대한 요구에 근거하여 외부 입력 기기(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를 통해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에서, 풍속 조정 모듈은 온도 획득 모듈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그리고 풍속 획득 모듈이 획득한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또한, 외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기 조화기는,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그 구체적 구현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군더더기가 되는 설명을 피면하고자, 여기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조화기는, 배기 풍속의 조정 시간을 단축하고 팬의 온/오프 빈도를 감소할 수 있어서 냉풍 방지 효과를 대폭 제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로서 '중심’, '종 방향’, '횡 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직립’, '수평’, '정(頂)', '저(底)',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외주 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의 도시에 기초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로서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와 간략화를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구비하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조작해야 함을 지시 또는 암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며, 때문에 이를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여서는 안 된다.
이 외에도, 용어로서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이를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지시 또는 암시로, 혹은 지시되는 기술 특징의 수량에 대한 명시/묵시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되는 특징은,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당해 특징을 하나 또는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 개’의 함의는, 별도로 명확하고 구체적인 한정이 있지 않은 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있지 않은 한, ‘장착’, ‘상호 연결’, ‘연결’, ‘고정’등의 용어를 넓은 의미에서 이해하여야 하는바, 예를 들어, 이는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되었을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직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두 개 소자의 내부적 연통일 수도 있고 또는 두 개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 상황에 따라 상술의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 함의를 이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있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및 제2 특징의 직접 접촉, 또는 제1 및 제2 특징의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 접촉일 수가 있다. 그리고,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지상(之上)', '상방(上方)' 및 '상면(上面)'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상방 또는 경사 상방에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지하(之下)', '하방(下方)' 및 '하면(下面)'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하방 또는 경사 하방에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작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로서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되는 구체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의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서술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명되는 구체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외에도,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호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부동한 실시예 또는 예시, 그리고 부동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에 대해 결합 및 조합을 진행할 수 있다.
비록 위에서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화, 수정,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Claims (10)

  1.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상기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온도, 상기 송풍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 상기 송풍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로 속도일 시,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크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풍속은 제로 속도보다 크고 상기 설정 풍속보다 작음 - ;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큼 - ;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크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설정 풍속으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 상기 송풍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설정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제1 풍속으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음 - ;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로 속도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속은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설정 온도에 근거하여 설정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풍속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최저 허용 풍속 레벨에 대응되는 배기 풍속이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나아가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큼 - ;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고;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은,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
  5.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외기 조화기의 설정 온도, 송풍 온도 및 상기 외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를 획득하기 위한 온도 획득 모듈;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 및 설정 풍속을 획득하기 위한 풍속 획득 모듈; 및
    상기 설정 온도, 상기 송풍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상기 현재 배기 풍속 및 상기 설정 풍속에 근거하여,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조정하기 위한 풍속 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제로 속도일 시,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중부 온도 중의 최대값이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클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1 풍속으로 조정하고,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보다 클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설정 풍속으로 조정하며,
    상기 제1 풍속은 제로 속도보다 크고 상기 설정 풍속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1 소정 온도 값보다 큰,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설정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을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상기 제1 풍속으로 조정하고,
    상기 외기 조화기의 현재 배기 풍속이 상기 제1 풍속일 시, 상기 송풍 온도가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송풍 온도가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을 시, 상기 외기 조화기의 배기 풍속을 제로 속도로 조정하며,
    상기 제4 소정 온도 값은 상기 제3 소정 온도 값보다 작은,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송풍 온도 및 상기 설정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풍속을 설정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풍속은 상기 외기 조화기의 최저 허용 풍속 레벨에 대응되는 배기 풍속이고;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풍속 조정 모듈은 나아가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은 상기 제1 소정 차이 값보다 큼 - ;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두 개 레벨 낮고; 및
    만약 상기 송풍 온도와 상기 설정 온도와의 차가 상기 제2 소정 차이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이 상기 설정 풍속에 대응되는 풍속 레벨보다 한 개 레벨 낮은,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
  10. 외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외기 조화기의 냉풍 방지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외기 조화기.
KR1020197023664A 2017-08-02 2017-10-09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 KR201901070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53474.XA CN107514744B (zh) 2017-08-02 2017-08-02 新风机及其防冷风控制方法和装置
CN201710653474.X 2017-08-02
PCT/CN2017/105414 WO2019024241A1 (zh) 2017-08-02 2017-10-09 新风机及其防冷风控制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86A true KR20190107086A (ko) 2019-09-18

Family

ID=6072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64A KR20190107086A (ko) 2017-08-02 2017-10-09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06936B2 (ko)
EP (1) EP3591301A4 (ko)
JP (1) JP2020505577A (ko)
KR (1) KR20190107086A (ko)
CN (1) CN107514744B (ko)
WO (1) WO2019024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6981A (zh) * 2020-05-27 2020-09-25 广东纽恩泰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空气源热泵热风机机组防冷风控制方法以及系统
CN114576824B (zh) * 2020-11-30 2023-04-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运行控制装置及空调器
CN112594894A (zh) * 2021-01-21 2021-04-02 广东积微科技有限公司 用于新风机的控制方法、系统及新风机
CN113531834B (zh) * 2021-07-21 2022-07-12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空调室内机的制冷防热风处理方法及装置
CN115682344A (zh) * 2021-07-30 2023-02-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883677B (zh) * 2021-09-16 2023-06-0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3958996A (zh) * 2021-09-24 2022-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3757793B (zh) * 2021-09-27 2022-09-30 浙江中广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防冷风运转控制方法
CN115076997B (zh) * 2022-04-22 2023-1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非易失性存储介质以及控制装置
CN115013891B (zh) * 2022-05-27 2023-09-15 成都归谷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针对过敏性鼻炎的室内空气调节系统
CN114963482A (zh) * 2022-06-29 2022-08-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4340U (ko) * 1980-02-04 1981-09-02
JPH043843A (ja) * 1990-04-20 1992-01-0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914735A (ja) * 1995-06-30 1997-01-17 Toshiba Corp マルチシステム空気調和機
JP2002340384A (ja) *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07040554A (ja) * 2005-08-01 2007-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US7912807B2 (en) * 2009-04-30 2011-03-22 Integrated Environmental Solu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energy efficient buildings using a plurality of synchronized workflows
US8756024B2 (en) * 2009-05-08 2014-06-17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alysis system
JP5249293B2 (ja) * 2010-09-09 2013-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331065A (zh) * 2011-05-25 2012-01-25 宁波奥克斯电气有限公司 Vrv空调系统制热时内机防冷风控制方法
EP2719966B1 (en) * 2011-06-08 2019-05-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on air-conditioning device
CN103307697B (zh) * 2012-03-15 2015-10-28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空调器的制热控制方法
DE102013207449A1 (de) * 2013-04-24 2014-10-30 Dürr Systems GmbH Verfahren zum Konditionieren von Luft und Konditionieranlage
US11193677B2 (en) * 2015-07-21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288174A (zh) * 2016-08-11 2017-01-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
CN106568170B (zh) * 2016-10-28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制热防冷风装置和方法
CN106839284B (zh) * 2017-01-05 2020-02-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管机空调系统及其的室内风机的控制方法和装置
CN107166677B (zh) * 2017-06-21 2020-02-0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新风机及其的控制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1301A1 (en) 2020-01-08
US20200003446A1 (en) 2020-01-02
CN107514744B (zh) 2019-10-01
EP3591301A4 (en) 2020-04-08
JP2020505577A (ja) 2020-02-20
CN107514744A (zh) 2017-12-26
WO2019024241A1 (zh) 2019-02-07
US11306936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086A (ko) 외기 조화기 및 그 냉풍 방지 제어 방법과 장치
CN107560007B (zh) 空调系统及其冷媒散热管的防凝露控制方法和装置
KR20190105617A (ko) 외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과 장치
CN104165440B (zh) 空调风速控制方法及系统
CN107062549B (zh) 空调器制热运行控制方法
WO2018126581A1 (zh) 风管机空调系统及其的室内风机的控制方法和装置
CN104949270A (zh) 空调器的制冷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11059713A (zh)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975918A (zh) 空调系统、空调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813360B (zh) 多联机系统及其室内机的防冷风控制方法和装置
CN107525234A (zh) 一种空调压缩机变频保护的方法及装置
CN107906692B (zh) 厨房空调器控制方法、厨房空调器及存储介质
CN104949290B (zh) 基站空调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8105857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
CN107178875B (zh) 空调器及其室外风机的控制方法和装置
CN111397125B (zh) 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控制设备
CN104566836A (zh) 空调器及其自动控制方法、装置
CN106440212B (zh) 空调器、加湿控制装置及其湿度控制方法
CN110173858B (zh) 空调器及其自清洁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75919A (zh) 空调系统、空调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288142B (zh) 空调器湿度控制方法及空调器
CN105004004B (zh) 室内风机控制方法及装置
CN106524433A (zh) 定频空调控制方法
CN113566378B (zh)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介质
CN106765872B (zh) 一种制热模式下外风机的控制方法、控制器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