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053A -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053A
KR20190107053A KR1020197022854A KR20197022854A KR20190107053A KR 20190107053 A KR20190107053 A KR 20190107053A KR 1020197022854 A KR1020197022854 A KR 1020197022854A KR 20197022854 A KR20197022854 A KR 20197022854A KR 20190107053 A KR20190107053 A KR 2019010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point
encoding
patter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642B1 (ko
Inventor
지원 루
Original Assignee
지원 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원 루 filed Critical 지원 루
Publication of KR2019010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40/1353Extracting features related to minutiae or p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9/000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by performing operations within image blocks; by using histograms, e.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by summing image-intensity values; Project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06V40/1371Matching features related to minutiae or p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50Maintenance of biometric data or enrolment thereof
    • G06V40/53Measures to keep reference information secret, e.g. cancellable biome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인체의 지문 이미지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한 지문 템플릿에서, 적어도 1 개의 지문선에 적어도 1 개의 지문 특징점을 설정함으로써 숫자 및 / 또는 자모의 부호화를 실현한다. 이로 인해 특정 정보를 포함한 지문 패턴을 형성하고, 제품에 대한 부호화 및 표지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 패턴은 어느 한 물품의 특정 부호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에 형성되는 경우, 각 인체 지문처럼 오직 하나이며, 이러한 특징점을 이용하여 물품의 특정 신분정보를 표현하는 지문 패턴은 물체무늬 코드 (Fingerprint of Thing: FOT)라고 칭할 수 있다. 물체무늬 코드는 인체 지문 패턴에서 파생된 새로운 2 차원 사이즈를 갖는 부호이며, 1 차원 코드 보다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1 차원 코드로 표현할 수 없고 2 차원 코드라면 너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각 제품에 독특한 신분정보를 포함한 물체무늬 코드를 새길 수 있어 인체 지문과 같이 종생불변이고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부호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지문 특징점에 의해 부호화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품경제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사회는 대량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분류, 식별, 소급, 진위인식이 필요하다. 1949 년에 1 차원 바코드가 미국에서 발표되고 1991 년에 PDF417 코드를 대표로 하는 2 차원 바코드가 미국 Symbol 사로부터 제출되어 현재는 1 차원 바코드와 2 차원 바코드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다. 1 차원 바코드의 정보량은 한정되어 있고, 2 차원 바코드의 정보량은 대량이지만, 이러한 바코드 이미지가 표기된 제품과 큰 차이가 있는 보통 하나의 막대모양 또는 사각형 패턴 블록을 보인다는 것이 그 문제점이다. 1 차원 바코드와 2 차원 바코드는 그 자체의 특성에 따라 해당 업계에서 널리 적용되어 이미 생활의 일부, 특히 모바일 인터넷 시대에서 더욱 필수적이다.
하지만 1 차원 바코드는 표시 가능한 정보의 양이 제한되어 있으며 보통 그 자체가 하나의 표식으로 되어 사용시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지원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2 차원 바코드는 1 차원 바코드보다 고급인 바코드 형식이며, 가로와 세로 방향 모두에서 동시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비교적 작은 면적에서 대량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 차원 바코드는 간섭에 강하고 폭넓게 적용된다. 그러나 적용과정에서 2 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속이는 사례를 종종 볼 수 있다는 일부의 문제가 발생하여 2 차원 바코드에 대한 평판은 미운 정 고운 정이 뒤섞여 있다.
또한 인체 지문은 손가락 피부에 특유한 문양이며, 피부 중 융선으로 구성되는 점이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융선의 시작점, 끝점, 분기, 결합 등을 특징점이라고 부른다. 융선의 이러한 특징점은 수많은 배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지문, 심지어 하나의 지문 각 융선은 모두 특별한 것이다. 지문의 생체특성은 전체적인 특징과 국소적인 특징으로 나눌 수 있다.
(인체 지문의 전체적인 특징)
손가락 끝마디 정면 피부에서 울퉁불퉁하게 생긴 융선, 이러한 거의 평행인 곡선은 서로 다른 지문유형을 형성하며, 지문의 전체적인 특징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인체 지문은 그 형상에 따라 크게 궁상문, 제상문, 와상문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인체 지문의 유형 분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궁상문 (Arch)
궁상문는 융선이 한측으로부터 흘러 들고 중앙이 융기한 다음 다른 측에서 흘러 나오는 지문 유형이다. 궁상문는 중심점이 없고, 중심문양은 상하 포위선과 명확한 경계가 없기 때문에 진정한 삼각형 문양이 아니다. 상기 중심점은 지문 패턴의 특징점을 의미하며, 그 기하학적 특징은 융선이 C 점을 중심으로 도는 각도 변화 값이 딱 알맞게 ð이며, 2 중심점이라면 2ð이다.
(2) 제상문 (Loop)
제상문은 1 개 또는 복수 개의 융선이 한측으로부터 흘러 들고 중앙에서 휘어져 시작한 측으로 되돌아 흘러 나오는 지문 유형이다. 1 개 이상의 완전한 제상선으로 중심문양(중심점)을 구성한다. 제상선의 대측에는 삼각형 문양의 상하 융선(삼각점)이 중심문양을 둘러싸고 있다.
(3) 와상문 (Whorl)
와상문은 지문의 중심문양이 환상 또는 나선상 등 곡선모양을 나타내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확장하여 상하 포위선과 접합하며 2개 이상의 삼각점을 형성하는 지문유형이다.
(인체 지문의 국소적인 특징)
세분점(minutia) 또는 특징점이라고도 한다. 실제상 지문 융선은 연속적인 것이 아니며, 원활하고 스트레이트한 것도 아니고, 끊어 지거나 분기 또는 되도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점, 분기점 및 회전점이 특징점이다. 2 개의 지문은 항상 같은 전체적인 특징을 가지지만, 그들 국소적인 특징, 즉 특징점은 완전히 같은 것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특징점에 의해 지문의 유일한 확인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국소적인 특징점은 분류, 위치, 방향, 곡률 등 특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분류 특성에 대해 이러한 국소적인 특징점 분류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끝점과 분기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특징점 분류에 관한 모식도이며, 그 중,
1. 끝점은 1 개의 융선의 시작점 또는 끝점을 의미하고,
2. 분기점은 1 개의 융선이 2 개 융선으로 분기되는 분기점을 의미하고,
3. 환점은 1 개의 융선이 분기된 후 신속히 합류하여 형성되는 환상점을 의미하고,
4. 교량점은 인접한 2 개의 융선을 연결하는 합류점을 의미하고,
5. 섬은 두 분기의 중앙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 개 섬형식의 짧은 융선을 의미하고,
6. 교차점은 2 개의 융선이 십자형으로 합류 연결하는 합류점을 의미하고,
7. 고립점은 고립된 점 모양의 융선을 의미하고,
8. 단점은 지문선이 파단하여 형성된 한 쌍의 끝점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지문의 중심점과 삼각점의 모식도이다. 여기서 융선에서 중심점과 삼각점을 정의하여 '특이점'이라고 총칭할 수 있다.
중심점 (Core point) : 지문 융선의 점근하는 중심에 위치하여 지문을 판독할 때의 기준점으로 할 수 있다.
삼각점 (Delta point) : 중심점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분기점 또는 단점, 혹은 2 개의 융선이 합류하는 장소, 고립점, 회전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이러한 특이점을 가리키고 있다.
위치특성에 대해 이러한 국소적인 특징점의 위치는 2 차원 좌표계에 의해 기술된 절대적이여도 좋고, 상대적일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점 또는 중심점에 상대한 것이어도 좋다.
방향특성에 대해 이러한 국소적인 특징점의 방향은 국소적인 특징점이 존재하는 국소적인 융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곡률특성에 대해 융선방향이 변화하는 속도, 즉 다음 점과 이전 점의 방향변화에 따른 협각 또는 기울기가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하는 속도이다.
인체 지문은 개인의 단 하나인 생체특징 샘플로서 일반적으로 인체의 식별 및 구분에 이용된다. 종래기술에서 지문 이미지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이러한 패턴은 모두 이미지정보의 식별 및 기존의 지문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부호화된다.
예를 들어, 중국 특허문헌 CN104376307A (공개일자 : 2015 년 2 월 25 일)에는 지문 이미지 정보의 부호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바, 입력된 지문 이미지를 전처리한 후 지문 골격도 및 추출된 지문 유형, 지문의 중심점, 삼각점, 분기점 및 끝점을 부호화 처리하여 지문 이미지에 대응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안정된 부호, 즉 일정한 길이를 갖는 비트 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부호화 처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S1) 레지스트레이션 (registration) 단계 : 5 종류의 지문 유형에 대해 다음의 규칙에 따라 이미지의 레지스트레이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와상 지문은 2 개의 중심점이 있고 위의 중심점을 이미지 중심 원점(O)으로 2 개의 중심점 연결선이 이미지의 수직선이 되도록 회전한다. 또한 좌제상문, 우제상문, 및 텐트 모양의 지문은 모두 하나의 중심점과 하나의 삼각점이 있고, 중심점을 이미지 중심 원점(O)으로 중심점과 삼각점 연결선이 이미지의 수직선으로 되고 중심점이 삼각점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또한 아치형 지문은 아치의 수직선이 이미지의 수직선이 되도록 회전하고 수직선에서 수평 융선과 그 위의 첫 번째 융선 사이 부분의 중점을 이미지의 중심 원점(O)으로 선택한다. (S2) 구역분할단계 : 레지스트레이션한 지문 골격도을 구역으로 나눈다. 이미지 중심(O)을 원점으로 3 화소 피치에 따라 이미지를 원점을 중심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일련의 정방형 사이드 밴드로 구분하고 원점에 가장 가까운 정방형의 사이드 밴드를 이미지의 제 1 구로, 바깥쪽으로 순서대로 이미지의 제 2 구, 이미지의 제 3 구로 이미지의 가장자리까지 순차적으로 유추한다. (S3) 특징점 번호 매기기 단계 : 특징점을 자연수 순으로 번호를 매기고 다음의 원칙에 따르도록 한다. 즉, 중심 원점(O)을 1 번으로 하고 낮은 구역의 특징점 번호가 높은 구역의 특징점 번호보다 작으며 동일한 정방형 분할구역에서는 수평축 원점의 오른쪽인 +x 축을 초기 축으로 역시계방향으로 순서대로 나타나는 특징점을 차례로 번호 매기며 최종 n 개의 특징점은 이미지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순서대로 P1, P2, ..., Pn과 같게 번호가 매겨 진다. (S4) 특징점 부호화 단계 : 필요한 특징부호의 길이 요구에 따라 전후순서에 따라 일정한 수, 예를 들어 n 개의 특징점을 선택하고, 점Px (제 1 회 부호화에 따라, Px = P3)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Px 후의 각 특징점을 부호화한다. 그 규칙에 따라 각 특징점을 8 자리 코드로 부호화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앞 두 자리는 특징점 유형 부호로서 00이 중심점, 01이 삼각점, 10이 분기점, 11이 끝점이며, 그 뒤 6 자리는 특징점과 P3 사이의 연결선이 통과하는 지문 융선 수이다. (S5) 새로운 부호화를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필요가 있으면, 단계(S6)로 이행하며, 필요가 없는 경우, 단계(S7)로 이행한다. (S6) 기준점 Px을 뒤로 한 자리 움직인 후 (즉, 제 1 회가 P3에 따르면, 제 2 회는 P4에 따라며, 순차적으로 유추) 단계 (S4)로 이행한다. 또한, 최대로 n-3 회의 부호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기 쉽다. (S7) 부호합성 단계 : 매회 각 특징점의 부호를 순서대로 연결하면 지문 이미지에 대응하는 최종 부호를 형성할 수 있다.
중국 특허문헌 CN104376307A은 취득한 지문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지문 특징정보를 형성하는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지문 생체특징정보를 부호화하여 암호화 체계에서 사용 가능한 암호 키를 생성하여 정보 시스템의 보안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본질은 인체의 자연적 지문을 판독대상으로 한 다음에 다시 부호화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문특징 중 중심점 (00), 삼각점 (01), 분기점 (10) 및 끝점 (11)의 4 개의 특징점만을 채택하고 상기 4 가지의 특징점 각자에 대해 그 특징유형 부호 (2 자리 숫자)와 특징점과 P3 사이 연결선이 통과하는 지문 융선 수 (6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10000021 과 같은 1조의 숫자열로 된다. 즉, 특정 지문을 긴 특정 숫자열로 변환하며 지문 이미지에는 상기에 포함되는 4 개의 특징점뿐만 아니라 더 많은 특징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숫자열에 따라 지문 이미지를 해독할 수 없다.
종래기술에는 정보량에 대한 요구가 1 차원 바코드보다 크고 2 차원 바코드보다 작은, 패턴이 보다 간결 · 명료하며 또한 자연적으로 신뢰감을 줄 수 있는 물체와 코드의 1 대 1을 실현할 수 있는 부호화 방식이 결여된다. 인체 지문의 이용 과정에서, 즉 지문 이미지의 부호 수취와 지문 특징점에 대한 부호화는 단지 2 개의 지문 패턴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인체 지문의 특징점을 전문화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특정 정보를 포함한 지문 패턴을 구축하기 위한 명확한 부호화 규칙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간 지문이 특징점을 이용하여 지문 특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물체무늬 코드를 형성하는 부호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2 차원 바코드와 구별되는 새로운 2 차원 부호화 형태, 즉 제품의 신분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물체무늬 코드 (Fingerprint of Thing : FOT)를 형성하고, 제품에 대한 부호화 및 표지를 실현한다. 상기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지문 패턴은 어느 물품의 단 하나인 특정 정보를 포함과 동시에, 상기 물품에 형성되는 경우, 각 인체 지문처럼 모두 유일한 것이며 이러한 물품의 특정 신분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지문 패턴은 물체무늬 코드라고도 칭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물체무늬 코드 (Fingerprint of Thing : FOT)는 인체의 지문 이미지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한 지문 템플릿에서, 적어도 1 개의 지문선에 적어도 1 개의 지문 특징점을 설정함으로써 숫자 및 / 또는 자모의 부호화를 실현한다. 이로 인해 특정 정보를 포함한 지문 패턴을 형성하고, 제품에 대한 부호화 및 표지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문 패턴은 어느 하나의 물품의 단 하나인 특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에 형성되는 경우 각 인체 지문처럼 오직 하나이며, 이러한 특징점을 이용하여 물품의 특정 신분정보를 표현하는 지문 패턴은 물체무늬 코드 (Fingerprint of Thing : FOT )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지문 특징점을 소정의 문자, 예를 들어 자모 및 / 또는 숫자에 대응시키고, 지문 특징점 부호화 정보정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특징점 정의단계와;
지문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복수의 마커 점을 갖는 지문 패턴인 지문 템플릿을 선택하는 템플릿 선택단계와;
지문 템플릿의 마커 점에 따라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고, 상기 2 차원 좌표계에서 지문 템플릿을 구역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분할구역을 형성하는 부호화 분할구역 형성단계와;
상기 2 차원 좌표계의 원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분할구역에서 간격을 두고 일정 수의 사선을 형성하고, 사선과 상기 지문 템플릿의 지문선과의 교차부에 복수의 부호화 블록구역을 형성하는 부호화 블록구역 형성단계와;
부호화 대상정보에 따라 부호화 할 필요가 있는 부호화 블록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각 부호화 블록구역에 대해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을 이용하여 교체함으로써 부호화 정보를 포함한 지문 특징점을 갖는 지문 패턴을 형성하는 부호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문 템플릿 라이브러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문 템플릿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마커 점은 상기 지문 템플릿에서 고정위치에 설정된 하나의 중심점과 2개의 삼각점이거나 또는 상기 지문 템플릿의 주변지문선의 고정위치에 설정된 3 개의 특정 지문 특징점이다.
상기 중심점은 나선형 지문선의 시작점, 끝점 또는 고립점이다.
상기 중심점은 2 개 삼각점과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 등을 구성한다.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중심점을 원점으로 2개의 삼각점의 중심을 찾고 연결하며 그 연결선의 중점을 찾고 상기 원점과 상기 중점을 연결하여 Y 축을 구성하며, 상기 2 개 삼각점 연결선을 중심점 측에 평행 이동하여 X 축을 구성함으로써 2 차원 좌표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삼각점이 없는 템플릿에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중심점을 원점으로 3 개의 주변 마커 점이 위, 왼쪽, 아래의 배열이 되도록 이미지를 회전하고, 상기 원점과 상기 위 마커 점을 연결하여 Y 축을 구성하고, 상기 원점과 상기 왼쪽 마커 점을 연결하여 X 축을 구성함으로써 2 차원 좌표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 분할구역은 2 차원 좌표계에서 각도 및 / 또는 좌표 원점과의 거리 차이에 따라 지문 패턴을 구분하여 형성된 다른 구역이다.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은 상기 교차부를 둘러싸며 형성된 교체 가능한 화소구역이다.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방형, 또는 규칙적인 선형(扇形)이다.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에는 적어도 1 개의 지문선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에는 2 개 또는 3 개의 지문선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의 크기는 상기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의 크기와 같다.
상기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은 중심점, 삼각점, 분기점 환점, 교량점, 교차점, 단점 또는 고립점 등 지문 특징점을 포함한 화소 패턴이다.
다른 종류의 상기 지문 특징점은 특정 자모 또는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지문 패턴에 형성된 특징점이 나타내는 자모 또는 숫자 및 그 좌표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부호를 형성한다.
서로 다른 상기 부호화 분할구역은 부호화 정보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한 공통분할구역과 부호화 정보의 암호 키를 저장하기 위한 암호화 분할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 암호 키는 부호화 정보 문자열의 저장 및 / 또는 읽기 전후 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1조의 문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부호화 패턴으로 이루어진 물체무늬 코드 태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 로드되어 실행시 상술한 방법에 따른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방안에 따라 본 발명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효과를 갖는다.
(1) 정보량이 많음
각 물체무늬 코드는 손가락 지문 크기만한 면적을 가지며, 72 개의 부호화 블록구역 (또는 부호화 정보 자릿수라 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1 차원 바코드의 코드 자리수보다 훨씬 크고 동시에 평면 사이즈가 작고, 1 차원 코드처럼 너무 긴 길이를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스캐너 *?*장치의 사이즈에 대한 요구도 낮아 진다. 만일 1 개의 사선에 1 개의 암호키 코드, 1 개의 체크코드 및 2 개의 유효부호를 포함한 4 개의 부호화 블록구역이 있으면, 물체무늬 코드 전체가 20° 간격으로 18 개의 사선을 설정한 경우에는 36 자리의 유효 부호화 블록구역이 생기게 되고 적어도 36 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2) 호환성이 강함
물체무늬 코드의 각 부호화 블록구역은 적어도 7 이상의 부호화 가능한 선택권이 있고 그것은 1 차원 바코드와 호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자 및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면 각 제품에 일련 번호를 만들어 각 제품의 부호가 유일하게 함으로써 그들과 코드의 1 대 1을 달성할 수 있다.
(3) 식별 가능성이 높음
지문 융선이 간결하고 특징정보의 식별 가능성이 높다. 물체무늬 코드는 제품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새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장치, 전사장치 또는 레이저 인쇄장치 등에 의해 물체무늬 코드를 제품 표면에 직접 인쇄 또는 새겨 제품의 일부로 되어 복제 또는 파괴하기 어렵다.
(4) 보안성이 높음
부동한 부호화 분할구역은 암호화 분할구역과 공통 분할구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호화 분할구역에서는 부호의 저장, 읽기 전후 순위를 자모 또는 숫자일 수도 있는 1조의 문자에 대응시켜 부호화 암호 키라고 칭할 수 있다. 이처럼 공통 분할구역에서 읽은 동일 조의 숫자 / 자모 문자열이라도 부호화 암호 키의 다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지문 패턴을 형성하며 암호 키를 파악하지 못하면 제대로 물체무늬 코드를 분석할 수 없다.
(5) 고장허용성이 강함
본 발명의 부호화 방법은 동일 사선 상 몇 개의 부호화 블록구역에 하나의 체크 코드를 설정하고 체크 코드를 통해 동일 사선에서 누락된 어느 부호화 블록구역의 데이터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소적인 부호화 패턴이 불명료한 것에 의한 식별 불가능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장점에 의해 휴대폰 또는 스캐너 단말기로 상품의 물체무늬 코드를 스캔하고 식별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상품의 명칭, 제조업자, 제품 일련번호, 생산 날짜, 조회 횟수, 및 조회 장소 등 상품의 중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다. 어느 제품의 물체무늬 코드가 단순히 똑같게 복제된 경우 복제된 모든 제품의 물체무늬 코드는 동일 물체무늬 코드이며, 2 이상의 동일 상품을 조회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제품 일련번호 또는 이 상품의 조회된 횟수 및 조회지에 따라 해당 제품이 복제품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부호화 암호 키가 올바르지 않거나 또는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이 제품의 물체무늬 코드를 조회하면 틀린 상품정보가 표시되거나 또는 식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해당 제품의 진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중 지문 특징점 분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 중 지문의 중심점과 삼각점의 모식도이며,
도 3은 인체 지문 중 중심점과 삼각점을 가진 지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문 특징점의 부호화 정보정의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의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위치결정 동심원 지문 템플릿의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위치결정 나선선 지문 템플릿의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부호화 분할구역 형성의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부호화 블록구역 형성의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부호화 방법의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부호화 방법의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물체무늬 코드의 지문 템플릿의 식별흐름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은, 지문 특징점을 소정의 문자, 예를 들어 자모 및 / 또는 숫자에 대응시키고, 지문 특징점 부호화 정보정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특징점 정의단계;
지문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지문 특징점은 없지만 마커 점을 갖는 지문 패턴인 지문 템플릿을 선택하는 템플릿 선택단계;
지문 템플릿의 마커 점에 따라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고, 상기 2 차원 좌표계에서 지문 템플릿을 구역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분할구역을 형성하는 부호화 분할구역 형성단계;
상기 2 차원 좌표계의 원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분할구역에서 간격을 두고 일정 수의 사선을 형성하고, 사선과 상기 지문 템플릿의 지문선과의 교차부에 복수의 부호화 블록구역을 형성하는 부호화 블록구역 형성단계; 및
부호화 대상정보에 따라 부호화 할 필요가 있는 부호화 블록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각 부호화 블록구역에 대해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을 이용하여 교체함으로써 부호화 정보를 포함한 지문 특징점을 갖는 지문 패턴을 형성하는 부호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문 특징점의 부호화 정보정의표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1 개의 융선, 보통 2 개의 융선, 3 개여도 좋은 융선상에 설정된 서로 다른 부호화 정보를 대표하는 분기점, 환점, 교량점, 섬, 교차점, 고립점, 단점 등을 포함한 특징점이 다른 배열조합 등에 의해 문자 예를 들어 숫자 및 / 또는 자모로 이루어진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를 형성한다. 서로 다른 특징점은 필요에 따라 어느 특정 문자 (예를 들어 : 숫자 또는 자모) 또는 어느 문자열에 부여 또는 대응시킬 수도 있고, 문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 및 정의할 수 있으며, 대응관계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지만 도 4 상황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칙으로 되면 통일된 부호화 기준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응관계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 및 호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점 패턴 데이터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체작업을 쉽게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부호화 블록구역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화소 패턴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지문 템플릿 라이브러리인 경우 각각 특정 지문 패턴으로 이루어진 지문 템플릿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지문 템플릿은 인체 지문에 유래한 일반적 유형의 패턴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형성된 지문과 같은 모양의 패턴일 수도 있다. 그 특징으로서 일반 지문 이미지를 토대로 가공에 의해 형성된 지문 템플릿은 위치결정용 특징점 이외에 지문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 즉 나중에 부호화에 사용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지문의 융선은 모두 원활하고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화소 패턴의 대체에 의해 지문 템플릿에 특징점의 특성을 추가할 수 있다. 다음 세 가지 지문 템플릿을 예로 본 발명의 방법 단계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 가지 지문 템플릿은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과 보조위치결정 동심원 템플릿과 보조위치결정 나선선 템플릿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동심원라고 부르지 만, 보다 정확하게는 동심 타원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지문의 특징에 가깝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은 해당 지문 템플릿의 지문 패턴 융선이 지문과 같은 구조형태를 나타내고, 또한 하나의 중심점과 2개의 삼각점 즉 왼쪽 삼각점과 오른쪽 삼각점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중심점은 지문 패턴의 중심점이며, 이 3 개의 점으로 이등변 삼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3 개의 점에 의해 지문 템플릿의 위치결정이 가능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 3 개의 점으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문 템플릿의 주변 지문에 보조위치결정 구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좌표계의 구축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위치결정 마커 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커 점은 특정 지문 특징점이여도 좋다. 또한 삼각점의 설정방법은 인체 지문의 진짜 태양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지문에는 중심점과 삼각점의 지문 이미지가 있다.
상기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은 분명한 중심점과 2개의 삼각점이 있으며 이들 세 점의 위치에서 2 차원 좌표계를 확립할 수 있고 보조위치결정선으로 위치결정할 필요가 없지만, 보조위치결정선은 위치결정의 체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의 위치결정방법에 의해 좌표의 확립 및 위치결정이 더 정확하게 된다. 이른바 보조위치결정선은 실제상 하나의 특정 지문 특징점 블록구역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문 템플릿의 오른쪽 상측의 분할구역 내에는 지문 특징점이 없고 부호화 분할구역을 형성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구역은 지문의 모양 또는 임의의 인체 지문 이미지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위치결정 동심원 템플릿은 해당 지문 템플릿의 지문 패턴 융선이 지문과 같은 구조의 동심 타원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중심점을 가지지만 삼각점이 없는 적어도 2 개(보통 2 개)의 여분 마커 점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중심점은 동심원의 원심이며, 상기 마커 점은 지문 템플릿의 주변 지문에 설정된 보조위치결정구역에 설정한 좌표계의 구축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위치결정 마커 점이며, 이들 마커 점은 특정 지문 특징점일 수도 있으며, 중심점은 적어도 이들 2 개의 마커 점과 지문 템플릿을 위치결정할 수 있는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패턴의 가장 바깥쪽의 위, 아래 및 왼쪽 (즉, 윗점, 아래점, 및 왼쪽점)에 각각 1 개의 교량점이나 환점과 같은 지문 특징점이 있으며 좌표 마커를 구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위치결정 나선선 템플릿은 상기 보조위치결정 동심원 템플릿에 아주 가까이 있으며 그 지문 패턴이 나선선으로 이루어진 타원형태인 것을 제외하고, 이 경우 지문 융선이 중심점으로부터 환상 또는 나선형 등 곡선모양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나선형 선으로 퍼지며, 기타 특성이 일치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들 2 가지의 템플릿은 반드시 보조위치결정구역에 의존해야 만이 좌표계를 확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인 경우, 상기 중심점이 2개의 삼각점과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을 구성하고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중심점을 원점으로 2개의 삼각점의 중심을 찾고 연결하며 연결선의 중점을 찾고 상기 원점과 상기 중점을 연결하여 Y 축을 구성하며, 상기 2 개 삼각점 연결선을 중심점 측에 평행 이동하여 X 축을 구성함으로써 2 차원 좌표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위치결정 동심원 템플릿인 경우, 상기 중심점이 다른 3 개의 마커 점과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중심점이 윗점 및 아래점과 X 축을 구성하고 중심점이 왼쪽점과 Y 축을 구성하며 X 축과 Y 축으로 2 차원 좌표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위치결정 나선선 템플릿에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위치결정 동심원 템플릿과 마찬가지로 구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분할구역 형성의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에 대해 상기와 같은 2 차원 좌표계의 구축이 완료된 후 좌표 원점 (중심점)을 둘러싸면서 2개의 삼각점과 Y 축이 각각 120°와 -120°가 된다. 좌표 원점을 기점으로 20°마다 1 개의 사선, 합계 18 개의 사선을 설정한다. 2 개씩 인접한 융선이 1 조의 코드로, 1 개의 사선에 4 개의 부호가 있어 72 개의 부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분할구역은 위치좌표가 확인된 후, 각도 및 / 또는 원점과의 거리 차이에 따라 고정적 또는 가변하는 크기로 구분하는 것이며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분할구역에만 나타난다. 따라서, 부호화 정보의 신속한 식별 및 제도를 보장하여 크게 범위를 축소할 수 있으며 식별과 제도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부호화 방식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호화 분할구역에 대한 좌표의 위치결정에 의해 부호화 정보를 암호화 할 수도 있다. 구체적 방법은 서로 다른 부호화 분할구역을 암호화 분할구역과 공통 분할구역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부호의 저장, 읽기 전후 순위를 1 조의 숫자에 대응시켜 부호화 암호 키라고 할 수 있으며 암호화 분할구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1 조의 부호화 정보는 부호화 암호 키의 부동함에 따라 서로 다른 지문 패턴을 형성하며, 이 암호 키를 파악하지 않는 한 부호를 제대로 분석할 수 없다. 합법적으로 허가된 업체만이 부호화 암호 키를 얻을 수 있으며 지문부호의 모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열인 경우, 예를 들어 어느 담배의 바코드가 6901028075770이고, 690이 중국을 대표할 때 만약 공통 분할구역에서 읽어 낸 정보가 9010280757706 인 경우, 이 숫자열은 단지 첫 자리 숫자 6이 마지막 자리에 옮겨졌을 뿐 앞의 숫자열과 완전히 동일하더라도 해당 숫자열에 대응하는 바코드가 대표한 제품은 더 이상 어느 브랜드의 담배가 아니다.
암호화 분할구역에 저장된 암호 키는 오로지 1 조의 문자열, 예를 들면100과 같은 숫자열일 수 있다. 이들은 약정한 순서로 저장 및 판독되며 대표하는 부호화 규칙은 정보 자릿수 문자열의 마지막 자릿수를 첫 자리로 이전하는 것이다. 만일 지문부호 암호화 분할구역에서 읽어 낸 암호 키의 숫자열이 100이며, 공통 분할구역에서 읽어 낸 숫자열이 9010280757706이면, 이 지문부호가 실제로 대표하는 것은 9010280757706 대신 6901028075770이다.
마찬가지로, 암호 키 101이 대표하는 부호화 규칙은 마지막 두 자리 숫자를 앞쪽 두 자리로 평행 이동시키는 것이다. 만일 공통 분할구역에서 읽어 낸 숫자열이 여전히 9010280757706이면 실제로 대표하는 부호화 정보열은 0690102807577이다.
부호화 암호 키는 지문부호의 사용자측과 지문 부호화 장치의 공급자측에서 사전에 약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호화 블록구역 형성의 모식도이다. 선정한 부호화 분할구역에 있어서, 상기 2 차원 좌표계의 원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일정 수량의 사선을 형성하고, 사선과 상기 지문 템플릿의 지문선과의 교차부에 복수의 부호화 블록구역을 형성하며, 이들 블록구역은 상기 교차부를 둘러싸며 형성된 대체 가능한 화소구역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의 크기는 상기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방형, 또는 규칙적인 선형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에는 적어도 1 개의 지문선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 내에는 2 개 또는 3 개의 지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사선상 4 개의 부호화 블록구역은 제 1 구역부터 제 4 구역까지 부호에 해당하는 숫자가 1234이면 도 9의 오른쪽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문 특징 패턴을 해당 부호화 블록구역의 원래의 지문 패턴 대신 채용하는 것으로서, 1234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지문 패턴을 형성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부호 "
Figure pct00001
”와"
Figure pct00002
”를 예로 지문 특징점이 어떻게 지문부호를 구성하는지 및 부호에 대한 방향성의 영향을 설명한다. 이들 2 개의 지문부호는 모두 하나의 단점과 하나의 분기점으로 구성되며, 그 차이점은 지문부호(2) 중 분기점의 1 개 융선이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변화하여 교차하는 반면, 지문부호(3) 중 분기점의 1 개 융선이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변화하여 교차하는 것이다. 각 제품의 물체무늬 코드는 모두 하나의 중심점과 2개의 삼각점이 있고, 중심점을 중심으로 2 개 삼각점은 Y 축과 각각 + 120°와 -120°가 되는 것으로서, A ( A1, A2), B (B1, B2), C (C1 및 C2) 셋이 (6 개 하위구역) 균등하게 분포된 구역을 형성한다. 또한 중심점을 원점으로 20도마다 1 개의 사선, 합계 18 개의 사선을 설정하고 융선을 2 개씩1 조의 코드로 하여, 1 개의 사선에 4 조의 부호, 합계 72 개의 부호를 갖게 됨으로써 하나의 제품에 대한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를 실현한다. 부호화 분할구역의 수, 사선의 수, 각 사선에서의 부호수는 모두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단순히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제상, 사선의 수, 각도 등은 모두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1 개 사선 위의 4 조 부호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에서 X 축과 협각 + 10°를 이루는 사선에서 원점부터의 거리가 8, 크기가 6 Х 5 인 부호화 분할구역이 첫 번째 부호화 분할구역이며 제 1 구역으로, 원점부터의 거리가 12, 크기가 6 Х 5 인 부호화 분할구역이 두 번째 부호화 분할구역이며 제 2 구역으로, 원점부터의 거리가 16, 크기가 6 Х 5 인 부호화 분할구역이 세 번째 부호화 분할구역이며 제 3 구역으로, 원점부터의 거리가 20, 크기가 6 Х 5 인 부호화 분할구역이 네 번째 부호화 분할구역이며 제 4 구역으로 한다.
서로 다른 지문 템플릿인 경우 물체무늬 코드를 해독할 때 먼저 지문 템플릿의 식별단계를 실행하여 해당 좌표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해독하려고 하는 지문 패턴이 어떤 템플릿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및 식별과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 부호화 단계
물체무늬 코드를 이용하여 1 조 58이라는 숫자열을 부호화하며,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을 사용하며 템플릿을 선택한 후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한다. 실제상, 본 발명에서 반드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지문 템플릿을 위치결정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X 축과 협각이 + 10°인 사선에서 원점부터의 거리가 8, 크기가 6 Х 5 인 부호화 블록구역이 첫 번째 부호화 블록구역이고, A 영역이라고 하며, 이 영역에 숫자 5 인 부호를 정장;
X 축과 협각이 + 30°인 사선에서 원점부터의 거리가 16, 크기가 6 Х 5 인 부호화 블록구역이 두 번째 부호화 블록구역이고, B 영역이라고 하며, 이 영역에 숫자 8 인 부호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르면,
첫 번째 단계로서, 중심점과 2개의 삼각점이 설정된 삼각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을 찾아내고 화소 패턴의 비교를 통해 원점과 2개의 삼각점을 확정하여 X 축과 Y 축을 확정하며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한다. 또한 작성한 상술한 방안에 따라 사선을 설정하여 부호화 블록구역을 형성한다.
두 번째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부호대응관계에 따라 숫자 5의 지문 특징점 패턴이 "
Figure pct00003
”이며, 위쪽 1 개의 지문 특징점이 연속선이고, 아래쪽 1 개의 지문 특징점이 단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숫자 8의 지문 부호 패턴이 "
Figure pct00004
”이며, 2 개의 지문선이 교차하고 지문의 특징점이 교차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 번째 단계로서, X 축과의 협각 +10 및 원점부터의 거리 8에 따라 A 영역의 좌표위치를 찾아내고 지문 템플릿 중 A 영역의 패턴을 "
Figure pct00005
”로 대체한다. 마찬가지로, B 영역의 좌표위치를 찾아내고 지문 템플릿 중 B 영역의 패턴을 "
Figure pct00006
”로 대체한다.
따라서 숫자 5와 8을 포함한 지문특징 패턴이 생성되며 58 물체무늬 코드 패턴이라고 칭할 수 있다.
(2) 해독 단계
첫 번째 단계로, 지문 템플릿을 확인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체무늬 코드의 지문 템플릿의 식별 흐름 모식도이다. 컴퓨터 화상식별장치에 의해 생성된 58 지문부호 패턴을 식별하고 특징점에 따라 중심 특징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중심 특징점이 존재하면 계속하여 2개의 삼각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2 개 삼각점이 존재하면 제 1 유형의 지문 템플릿 (즉, 중심점과 삼각점의 위치결정 지문 템플릿)을 채용한다. 물론, 그 외의 경우, 예를 들어, 다른 지문 템플릿이면, 다른 대응하는 지문 템플릿으로 식별된다. 도 12의 보조 위치결정선은 실제상 전술한 마커 점이며, 위치결정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며, 특정 지문 특징점일 수 있다.
중심점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고 2개의 삼각점의 중심을 찾아내어 1 개의 직선으로 이으며, 직선의 중점을 찾고 상기 원점과 상기 중점을 연결하여 Y 축을 구성하며, 2개의 삼각점 연결선을 중심점으로 평행 이동하여 X 축을 구성함으로써 2 차원 좌표계를 형성한다.
두 번째 단계로, 부호화 분할구역을 식별한다.
확립한 2 차원 좌표계에서 X 축과의 협각 + 10°, 원점부터의 거리 8, 크기 6 Х 5에 따라 첫 번째 부호화 블록구역 A 을 결정하고, 이 블록구역 내의 패턴 "
Figure pct00007
”을 읽어 내며 특징점의 특성에서 근거하여 A 영역 내의 부호특징이 위쪽의 1 개 지문이 연속선이고, 아래쪽의 1 개 지문이 단점이라고 패턴 식별된다. 예를 들면 화소 이미지 비교에 의해, 도 4의 부호화 모식도 따라 이 블록구역부호에 해당하는 숫자를 5로 부호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부호화 블록구역 B의 패턴이 "
Figure pct00008
”이며, 그 대응하는 숫자를 8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정보는 58로 식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2 차원 구조의 물체무늬 코드 및 그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여 미리 설정한 지문 특징점이 없는 지문 템플릿 패턴에 특정 지문 특징점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지문 특징점 블록구역의 화소대체를 통해 특정 정보를 포함한 지문 패턴, 즉 물체무늬 코드를 구축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문 특징점을 결합하여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방식, 즉, 구체적인 부호화 방법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그 핵심 중 하나로 지문 템플릿에 지문 특징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지는 수정, 대체,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지문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복수의 마커 점을 갖는 지문 패턴인 지문 템플릿을 선택하는 템플릿 선택단계와;
    지문 템플릿의 마커 점에 따라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고, 상기 2 차원 좌표계에서 지문 템플릿 구역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분할구역을 형성하는 부호화 분할구역 형성단계와;
    상기 2 차원 좌표계의 원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분할구역에서 간격을 두고 일정 수의 사선을 형성하고, 사선과 상기 지문 템플릿의 지문선과의 교차부에 복수의 부호화 블록구역을 형성하는 부호화 블록구역 형성단계와;
    부호화 대상정보에 따라 부호화 할 필요가 있는 부호화 블록구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각 부호화 블록구역에 대해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을 이용하여 교체함으로써 부호화 정보를 포함한 지문 특징점을 갖는 지문 패턴을 형성하는 부호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지문 특징점을 소정의 문자, 예를 들어 자모 및/또는 숫자에 대응시키고, 지문 특징점 부호화 정보정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특징점 정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점은 상기 지문 템플릿에서 고정위치에 설정된 하나의 중심점과 2개의 삼각점이거나 또는 상기 지문 템플릿의 주변지문선의 고정위치에 설정된 3 개의 특정한 지문 특징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은 나선형 지문선 시작점, 끝점 또는 고립점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이 2 개 삼각점과 이등변 삼각형 또는 정삼각형 등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중심점을 원점으로 2개 삼각점의 중심을 찾고 연결하며 그 연결선의 중점을 찾고 상기 원점과 상기 중점을 연결하여 Y 축을 구성하며, 상기 2 개 삼각점의 연결선을 중심점 측에 평행 이동하여 X 축을 구성함으로써 2 차원 좌표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삼각점이 없는 템플릿에서 2 차원 좌표계를 구축하는 단계는, 중심점을 원점으로 3 개의 주변 마커 점이 위, 왼쪽, 아래의 배열이 되도록 이미지를 회전하고, 상기 원점과 상기 위 마커 점을 연결하여 Y 축을 구성하며, 상기 원점과 상기 왼쪽 마커 점을 연결하여 X 축을 구성함으로써 2 차원 좌표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분할구역은 2 차원 좌표계에서 각도 및 / 또는 좌표 원점과의 거리 차이에 따라 지문 패턴을 구분하여 형성된 다른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은 상기 교차부를 둘러싸며 형성된 교체 가능한 화소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방형, 또는 규칙적인 선형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에는 적어도 1 개의 지문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에는 2 개 또는 3 개의 지문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블록구역의 크기는 상기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의 크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특징점 화소 패턴은 중심점, 삼각점, 분기점 환점, 교량점, 교차점, 단점 또는 고립점 등 지문 특징점을 포함한 화소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상기 지문 특징점은 특정 자모 또는 숫자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패턴에 형성된 특징점이 나타내는 자모 또는 숫자 및 그 좌표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부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 부호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부호화 분할구역은 부호화 정보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한 공통분할구역과 부호화 정보의 암호 키를 저장하기 위한 암호화 분할구역과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암호 키는 암호화 정보 문자열의 저장 및 / 또는 읽기 전후 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1 조의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시스템.
  20. 제 19항에 따른 부호화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부호화 패턴으로 이루어진 물체무늬 코드 태그.
  21. 컴퓨터 시스템에 로드되어 실행시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호화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22. 제 21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97022854A 2017-01-04 2017-12-14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511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03305.1A CN107067061B (zh) 2017-01-04 2017-01-04 一种物纹码编码方法及系统
CN201710003305.1 2017-01-04
PCT/CN2017/116212 WO2018126866A1 (zh) 2017-01-04 2017-12-14 一种物纹码编码方法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53A true KR20190107053A (ko) 2019-09-18
KR102511642B1 KR102511642B1 (ko) 2023-03-17

Family

ID=5962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854A KR102511642B1 (ko) 2017-01-04 2017-12-14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9639B2 (ko)
EP (1) EP3567526A4 (ko)
JP (1) JP7082268B2 (ko)
KR (1) KR102511642B1 (ko)
CN (1) CN107067061B (ko)
WO (1) WO2018126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7061B (zh) * 2017-01-04 2018-11-20 陆际文 一种物纹码编码方法及系统
US10943086B2 (en) 2017-07-06 2021-03-09 Nec Corporation Minutia features generation apparatus, system, minutia features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N107886147B (zh) * 2017-09-26 2020-12-22 朱恩彤 环码的制作方法及识别方法
CN110717360A (zh) * 2018-07-12 2020-01-21 吕士选 一种指纹6位字符标记法
CN110895665B (zh) * 2018-09-12 2023-03-31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屏下成像的坐标变换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0087374A1 (zh) * 2018-10-31 2020-05-0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辨识指纹Logo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860834B2 (en) * 2019-03-20 2020-12-08 Adobe Inc. Enhanced biometric privacy
US20240096088A1 (en) * 2021-01-22 2024-03-21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971A (en) * 1994-05-24 1997-05-20 Sparrow; Malcolm K. Vector based topological fingerprint matching
CN102737263A (zh) * 2011-04-08 2012-10-17 成功大学 应用于编码的图案标志
WO2015140157A1 (en) * 2014-03-17 2015-09-24 Agfa Graphics Nv A decoder and encoder for a digital fingerprint code
KR20160018318A (ko) * 2015-01-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43357A1 (es) 2004-01-23 2005-07-27 Salva Calcagno Eduardo Luis Procedimiento de identificacion de personas mediante la conversion de huellas dactilares y codigos geneticos en codigos de barras y disposicion utilizada en dicho procedimiento
JP2006285744A (ja) 2005-04-01 2006-10-19 Fukushima Insatsu Kogyo Kk 2重安全カードおよびその利用システム
CN1323371C (zh) * 2005-08-15 2007-06-27 西安交通大学 基于二维条码的指纹信息隐藏及认证方法
US20120020535A1 (en) * 2010-07-22 2012-01-26 Igentx Unique, repeatable, and compact biometric identifier
EP2937819B8 (en) * 2012-12-19 2020-09-30 Denso Wave Incorporated System which uses information code
JP6079579B2 (ja) 2013-11-19 2017-02-1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コード読取装置、及び情報コード利用システム
CN104376291B (zh) * 2013-08-12 2019-07-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CN103699867B (zh) * 2013-11-22 2017-01-25 唐玉红 一种楔形条形码的识别方法
CN104036267A (zh) * 2014-07-03 2014-09-10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纹注册、指纹识别方法及具有指纹识别功能的终端设备
CN104376307B (zh) 2014-11-24 2017-08-04 西南交通大学 一种指纹图像信息编码方法
CN104504738B (zh) * 2014-12-20 2017-11-07 乐清咔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印章及其印文图像信息处理方法
EP3232369B1 (en) * 2016-04-15 2021-06-16 Nxp B.V.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6096348B (zh) * 2016-06-07 2019-04-12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多维码的证卡验证系统及方法
CN107067061B (zh) * 2017-01-04 2018-11-20 陆际文 一种物纹码编码方法及系统
US10915771B2 (en) * 2018-02-13 2021-02-09 Integrated Biometr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captured fingerpr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971A (en) * 1994-05-24 1997-05-20 Sparrow; Malcolm K. Vector based topological fingerprint matching
CN102737263A (zh) * 2011-04-08 2012-10-17 成功大学 应用于编码的图案标志
WO2015140157A1 (en) * 2014-03-17 2015-09-24 Agfa Graphics Nv A decoder and encoder for a digital fingerprint code
KR20160018318A (ko) * 2015-01-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82268B2 (ja) 2022-06-08
US20190340411A1 (en) 2019-11-07
CN107067061B (zh) 2018-11-20
WO2018126866A1 (zh) 2018-07-12
EP3567526A1 (en) 2019-11-13
US10929639B2 (en) 2021-02-23
KR102511642B1 (ko) 2023-03-17
CN107067061A (zh) 2017-08-18
JP2020507839A (ja) 2020-03-12
EP3567526A4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053A (ko) 물체무늬 코드의 부호화 방법 및 시스템
CN105938569B (zh) 用于生成和打印三维条形码的方法和系统
Garrido-Jurado et al. Generation of fiducial marker dictionaries using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JP2006318507A (j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入出力方法
JP2020507839A5 (ko)
CN103794135A (zh) 由点阵与二维码形成的标识及对其进行生成与识别的方法
CN101334849A (zh) 二维码标签的符号生成方法及装置、以及二维码标签结构
WO2021169502A1 (en) A pixel image as well as its processing method and application system
CN102043940B (zh) 二维码符号数据的识读方法和装置
CN105069388A (zh) 使用点编码的数据输出输入方法
CN110427792A (zh) 一种遮挡二维码的识读匹配方法及其应用
CN109831309A (zh) 一种具有多重验证的安全码原理和方法
US20190377920A1 (en) Using Passively Represented Information to Identify Items Within a Multi-Dimensional Space
US10565416B2 (en) Using passively represented information to identify items within a multi-dimensional space
US11704525B2 (en) Method of marking an object, method for generating a marker, method for generating a marker cod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object
CN105701529B (zh) 一种在二维码上实现彩色图片显示的方法
JP2010117870A (ja) 包含型コードシンボル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並びに閉領域包含型コードシンボル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並びに、包含型コードシンボルが付された物品及び閉領域包含型コードシンボルが付された物品。
CN100361169C (zh) 商品动态防伪标识
CN111144532B (zh) 一种资产码元素、资产码以及资产码的构建方法
EP3846107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reparing an original marked object with a higher level of security against adulteration and counterfeiting through a deterministic design, computing device, computer programs, computer- readable data carrier and device adapt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object
Johnson Jr et al. Overlay Videos for Quick and Accurate Watermark Identification, Comparison, and Matching: Creating and Using Overlay Videos.
CN113052287B (zh) 一种基于数字水印二维码的一物一码商品防伪与溯源系统
Ledoux et al. Alphanumeric glyphs transformation based on shape morphing: Context of text
JP6545563B2 (ja) 印鑑照合プログラム、印鑑照合方法、印鑑照合装置
RU2298828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отпечатка папиллярного уз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