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26A -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 Google Patents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26A
KR20190106226A KR1020180027399A KR20180027399A KR20190106226A KR 20190106226 A KR20190106226 A KR 20190106226A KR 1020180027399 A KR1020180027399 A KR 1020180027399A KR 20180027399 A KR20180027399 A KR 20180027399A KR 20190106226 A KR20190106226 A KR 2019010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ripod
support
selfie
selfie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이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구 filed Critical 이은구
Priority to KR102018002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226A/ko
Publication of KR2019010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멀티 삼각대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 연결구 및 중앙 연결구의 주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 및 관통홀을 통해 중앙 연결구에 삽입되는 로드부 및 로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폰 고정부를 포함하는 셀카봉을 포함하고, 상기 셀카봉은 하부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MULTI-TRIPOD AND SELFIE STICK THEREFOR}
본 발명은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셀카봉(selfie stick) 및 삼각대 겸용 멀티 삼각대 및 그에 사용 가능한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도구로서 셀카봉이 있다. 셀카봉은 신축 가능한 로드부 및 로드부의 단부에 장착되는 폰 고정부를 포함하며, 폰을 폰 고정부에 고정시킨 후 마치 원거리에서 사진을 찍는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하지만, 셀카봉은 손으로 들 수 있는 것으로서, 삼각대와 같이 자립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여행이나 사진을 찍기 위해서 셀카봉과 삼각대를 각각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삼각대와 셀카봉을 겸용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6-003008호는 셀카봉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셀카봉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삼각대로도 사용이 가능한 셀카봉용 삼각대를 개시한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 따르면, 3개의 지지대가 원통 구조로 조립되어 부피가 작지만,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며, 안정적인 지지가 어려워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6-137874호 역시 삼각대 수납가능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서, 셀카봉의 손잡이에 삼각대가 수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하지만, 손잡이에 수용될 수 있는 삼각대의 크기가 한정적이어서 안정적인 지지가 어렵다는 단점을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셀카봉과 삼각대 기능을 포함하되 안정적인 지지 및 컴팩트한 수납을 제공하는 멀티 삼각대 및 그를 위한 셀카봉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삼각대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 연결구 및 중앙 연결구의 주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 및 관통홀을 통해 중앙 연결구에 삽입되는 로드부 및 로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폰 고정부를 포함하는 셀카봉을 포함하고, 상기 셀카봉은 하부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셀카봉과 삼각대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멀티 삼각대만 사용하면, 멀티 삼각대를 휴대하는 것으로 삼각대 사용 및 셀카봉 사용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는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셀카봉 지지판 및 셀카봉 지지판을 각각의 메인 지지대와 연결하는 중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셀카봉의 단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셀카봉 지지판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로드부 또는 메인 지지대는 신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축 가능한 안테나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치수가 다른 중공형 실린더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출 가능하게 연장되었다가 다시 축소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지지대 등은 복수개의 지지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지지통에는 상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지지대의 각 지지통 단부에는 내접하는 지지통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고정캠이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통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로드부 역시, 메인 지지대와 유사하게, 치수가 다른 복수의 지지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출될 수 있으며, 각 지지통에는 상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로드부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통도 동일한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지지대의 내면은 로드부의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지지대가 접힌 상태에서 로드부 및 메인 지지대가 서로 밀착하도록 컴팩트하게 면접할 수 있다.
로드부는 관통홀을 통과 가능한 손잡이 및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는 관통홀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셀카봉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메인 지지대가 접힌 상태 또는 축소되어 접힌 상태에서 메인 지지대의 단부를 지지 또는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셀카봉은 메인 지지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셀카봉 자체가 분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연결구는 셀카봉의 로드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로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드 고정부는 중앙 연결구를 통과하는 나사 로드, 셀카봉 로드부를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해제하는 캠 부재, 로드부에 형성된 랙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피니언 손잡이, 그리고 로드부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폰 고정부는 로드부의 단부에 위치한 자성구, 및 자성구 상에서 임의 각도로 고정되는 자성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성판을 통해 폰의 배면에 부착된 철판 등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자성판에는 자성구의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 홈이 형성될 수가 있으며, 폰 고정부는 로드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구가 볼 조인트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성판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하도록 할 수가 있다.
폰 고정부에는 자석 이외의 나사 결합, 거치대의 조임, 벨크로 결합, 실리콘 고무 점착, 양면 테이프, 자바라 암(arm)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폰 고정부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고무밴드나 벨크로 등이 추가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사 결합 역시 폰 고정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폰 자체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지만, 폰에 부착되는 철판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폰에 장착되거나 자성으로 자성구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암나사와 수나사의 위치는 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가능성에 대해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멀티 삼각대에 사용되는 셀카봉은 멀티 삼각대의 중앙 연결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중앙 연결구에 삽입되는 로드부 및 로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멀티 삼각대에 사용되는 하부 지지부는 일반 셀카봉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셀카봉의 로드부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 연결구 및 중앙 연결구의 주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홀을 통해 셀카봉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셀카봉 지지판 및 셀카봉 지지판을 각각의 상기 메인 지지대와 연결하는 중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셀카봉 지지판과 셀카봉의 단부는 단순히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자석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삼각대에 대한 셀카봉 지지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등을 이용하여서도 일시적인 고정을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삼각대는 셀카봉과 삼각대 기능을 포함하여 하나를 휴대하면서도 2개 이상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삼각대는 안정적인 지지 및 컴팩트한 수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삼각대는 하부 지지부를 공유하여 다양한 셀카봉을 일체로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하부 지지부의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 삼각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멀티 삼각대에서 셀카봉의 로드부와 하부 지지부의 메인 지지대 간의 밀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삼각대 중 폰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삼각대의 중앙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의 폰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의 셀카봉과 셀카봉 지지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삼각대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멀티 삼각대에서 셀카봉의 로드부와 하부 지지부의 메인 지지대 간의 밀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멀티 삼각대(300)는 하부 지지부(100) 및 셀카봉(200)을 포함하며, 셀카봉(200)은 하부 지지부(100)와 결속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며, 필요시에 하부 지지부(100)로부터 분리되어 셀카봉 단독의 사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셀카봉(200)이 하부 지지부(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하부 지지부(100)가 삼각대로서 기능을 하며, 셀카봉(200)에 고정된 폰이나 카메라를 피사체로부터 일정 거리 및 일정 각도,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 지지부(100)는 관통홀(112)이 형성된 중앙 연결구(110) 및 중앙 연결구(110)의 주변에 회전하면서 확대 또는 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대(120)는 주로 중앙 연결구(110)에 3개가 연결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3개 이상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지지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셀카봉(200)은 로드부(210) 및 로드부(210)의 단부에 제공되는 폰 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210)는 관통홀(112)을 길이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로 제공되며, 중앙 연결구(110)에 삽입됨으로써 셀카봉(200)을 하부 지지부(100)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셀카봉과 삼각대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300)를 이용하면, 셀카봉(200)과 하부 지지부(100)를 이용하여 삼각대로 사용할 수 있고, 셀카봉(200)을 하부 지지부(100)로부터 분리하여 단독 셀카봉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하부 지지부(100)는 관통홀(112) 하부에 위치하는 셀카봉 지지판(130) 및 셀카봉 지지판(130)을 각각의 메인 지지대(120)와 연결하는 중간 지지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지지대(132)는 셀카봉 지지판(130)과 메인 지지대(120)를 링크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셀카봉 지지판(130)이 관통홀(1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부(210) 및 메인 지지대(120)는 다단으로 인출되는 마치 안테나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단을 이루는 지지통(122, 124)을 상호 인출함으로써 신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지지대(120)는 복수개의 지지통(122, 124)를 포함하며, 치수가 다른 지지통(122, 124)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출 가능하게 연장되었다가 다시 축소될 수가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셀카봉은 손잡이(220)에 인접한 위치에 셀카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셀카 스위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폰 또는 카메라와 연결되어 폰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메인 지지대(120)는 복수개의 지지통(122, 124)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지지통(122, 124)은 비원형,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로드부(210)를 수용하기 위해 내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달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통(122, 124)에는 상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나 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메인 지지대(120)의 각 지지통 단부에는 내접하는 지지통(124)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 고정캠(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통(124)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로드부(210) 역시, 메인 지지대(120)와 유사하게, 치수가 다른 복수의 지지통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출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지지통에는 상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삼각대 중 폰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폰 고정부(230)는 신축 가능한 로드부(210)의 단부에 위치한 볼 조인트(232), 볼 조인트(232)의 단부에 형성된 자성구(234), 및 자성구(234) 상에서 임의 각도로 고정되는 자성판(236)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구(234) 및 자성판(236)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자성판(236)을 통해 폰의 배면에 부착된 철판(240)을 폰 고정부(230)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자성판(236)에는 자성구(234)의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 홈(238)이 형성될 수가 있으며, 폰 고정부(230)는 자성구(234)가 볼 조인트(232)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성판(236)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볼 조인트(232')는 자성구(234')를 특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나사를 이용하여 볼 조인트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특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볼 조인트(232")에 연결된 자성구(234")는 편심된 위치에 고정될 수가 있다. 자성구(234")가 편심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셀카봉과 같이 사용자를 바라보는 각도로 폰을 고정하는 데에 더 유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폰 고정부에는 자석 이외의 나사 결합, 거치대의 조임, 벨크로 결합, 실리콘 고무 점착, 양면 테이프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폰 자체 또는 폰 케이스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경우, 폰 고정부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폰을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폰에 부착되는 철판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폰 고정부에 형성된 수나사로 폰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폰 고정부(230), 중앙 연결구(110) 등에는 수평계를 형성하여, 삼각대를 사용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삼각대의 중앙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중앙 연결구(110')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나사공에 조임 나사 형태의 로드 고정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드 고정부(114')를 이용하여 셀카봉(200)의 로드부(210)를 중앙 연결구(1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구(110")에 고정 캠(cam) 형태의 로드 고정부(1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캠 형태의 로드 고정부(114")는 중앙 연결구(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캠 면을 이용하여 셀카봉(200)의 로드부(210)를 고정(lock) 또는 해제(unlock)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고정 핀을 사용하거나 조임나사로 로드부를 직접 가압하지 않고, 로드부를 수용하는 C-링 또는 브라켓의 반경을 조여서 로드부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도 로드부에 랙을 형성하고 중앙 연결구에 피니언과 연결된 노브를 연결하여 로드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중앙 연결구에 로드부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나 랫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카봉(200)의 로드부(210)는 관통홀을 통과 가능한 손잡이(220) 및 손잡이(220)의 단부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걸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50)는 중앙 연결구(110')의 관통홀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삽입된 셀카봉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지지대(120)가 접힌 상태 또는 축소되어 접힌 상태에서, 걸림부(250)는 메인 지지대(120)의 단부를 지지 또는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셀카봉은 메인 지지대(1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삽입된 셀카봉 자체도 하부 지지부에서 분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지지대(120)의 최대 벌림각은 중앙 연결구(110')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걸림부(250)가 벌어진 메인 지지대(120)의 내면에 밀착되어 메인 지지대(1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메인 지지대의 내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걸림부의 형상도 그에 대응하거나 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의 폰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폰 고정부(260)는 수나사가 형성된 자성구(266)를 중심으로, 자성구(266)를 수용 및 고정하기 이한 볼 조인트(262)및 암나사가 형성된 자성판(268)을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262)는 자성구(266)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면의 수용부를 제공하며, 구면의 수용부에는 복수개의 영구자석(264)이 제공될 수가 있다. 따라서, 자성구(266)는 수용부 내에서 수나사의 방향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다. 물론, 자성구를 자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자성구를 하나의 자석 또는 복수개의 자석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암나사가 형성된 자성판(268)을 통해서 역시 철판(240)이 부착된 폰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자성구(266)에서 수나사의 방향을 조절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폰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자성구(266)의 수나사는 자성판(268) 외에도 동일한 치수의 암나사가 형성된 폰 또는 폰 케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폰 고정부(270)는 볼 조인트(272) 및 볼 조인트(272)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 결합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나사 결합부(276)는 카메라의 고정 암나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폰 자체 또는 폰 케이스에도 암나사가 형성된 경우라면, 해당 폰 또는 폰 케이스를 폰 고정부(270)에 직접 고정시킬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삼각대의 셀카봉과 셀카봉 지지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로드부(210)의 손잡이(220)에 자성체를 형성하고, 셀카봉 지지판(130) 내에도 영구 자석(134)을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중앙 연결구(110)를 통해 셀카봉의 로드부(210)가 하부 지지부에 삽입된 경우, 셀카봉의 로드부(210)가 셀카봉 지지판(130)에 지지되는 동시에 자기력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셀카봉과 하부 지지부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0 : 멀티 삼각대 100:하부 지지부
110 : 중앙 연결구 120 : 메인 지지대
130 : 셀카봉 지지판 200 : 셀카봉
210 : 로드부 230 : 폰 고정부

Claims (13)

  1.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 연결구 및 상기 중앙 연결구의 주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중앙 연결구에 삽입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셀카봉;을 구비하는 멀티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셀카봉 지지판 및 상기 셀카봉 지지판을 각각의 상기 메인 지지대와 연결하는 중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 또는 상기 메인 지지대는 신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메인 지지대의 내면은 상기 로드부의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지지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 및 상기 메인 지지대가 컴팩트하게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관통홀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메인 지지대의 단부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구는 상기 셀카봉의 상기 로드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 고정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위치한 자성구, 및 상기 자성구 상에서 임의 각도로 고정되는 자성판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판을 통해 폰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판에는 상기 자성구의 외면에 대응하여 오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폰 고정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구는 상기 볼 조인트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삼각대.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멀티 삼각대에 사용되는 셀카봉에 있어서,
    상기 멀티 삼각대의 중앙 연결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중앙 연결구에 삽입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연결구로부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12. 제1항 내지 제10항의 멀티 삼각대에 사용되는 하부 지지부에 있어서,
    셀카봉의 로드부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 연결구 및 상기 중앙 연결구의 주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인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셀카봉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지지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하부에 위치하는 셀카봉 지지판 및 상기 셀카봉 지지판을 각각의 상기 메인 지지대와 연결하는 중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지지부.
KR1020180027399A 2018-03-08 2018-03-08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KR20190106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99A KR20190106226A (ko) 2018-03-08 2018-03-08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99A KR20190106226A (ko) 2018-03-08 2018-03-08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26A true KR20190106226A (ko) 2019-09-18

Family

ID=6807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99A KR20190106226A (ko) 2018-03-08 2018-03-08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2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69A (ko) * 2020-02-11 2021-08-19 박서우 셀카봉
CN113339675A (zh) * 2021-06-21 2021-09-03 张玉华 可折叠万向机械结构
CN114198603A (zh) * 2021-12-07 2022-03-18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七地质大队(山东省第七地质矿产勘查院) 一种高度可调的水工环地质测绘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69A (ko) * 2020-02-11 2021-08-19 박서우 셀카봉
CN113339675A (zh) * 2021-06-21 2021-09-03 张玉华 可折叠万向机械结构
CN114198603A (zh) * 2021-12-07 2022-03-18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七地质大队(山东省第七地质矿产勘查院) 一种高度可调的水工环地质测绘架
CN114198603B (zh) * 2021-12-07 2023-12-26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七地质大队(山东省第七地质矿产勘查院) 一种高度可调的水工环地质测绘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9032A (en) Portable camera support
KR20190106226A (ko) 멀티 삼각대 및 셀카봉
JP2020112774A (ja) 自撮り装置
WO2022047882A1 (zh) 支撑架及拍摄设备
WO2022047883A1 (zh) 旋转组件、支撑架及拍摄设备
US20150351531A1 (en) Smartphone or tablet mounting device and method
TW20123222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8503031A (ja) 電子機器のための携帯式スタンド
AU2019201695B1 (en) An anti-shake selfie stick
WO2017133278A1 (zh) 一种智能电子设备用支架
KR20210001197U (ko) 자유롭게 회전 신축가능한 스마트 암
WO2021147729A1 (zh) 带有副手柄的拍摄设备支架
CN106989257B (zh) 一种连接座和手机夹
KR10159719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304026B1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장치를 위한 핸드폰 삼각대
WO2019174018A1 (zh) 可旋转无线充电的智能终端夹及三轴陀螺仪稳定器
TWI617763B (zh) 用以將附件與承載臂耦接的耦接裝置、承載臂及固持桿
CN110410637A (zh) 快装板
KR20150069582A (ko) 기능성 스마트폰 지지대
CN205670783U (zh) 一种用于智能手机的保护壳
CN219843636U (zh) 一种采用磁吸式遥控器的自拍杆副手柄及自拍杆
CN209146659U (zh) 三脚架及自拍装置
CN212617535U (zh) 多功能自拍杆
CN210379382U (zh) 一种自带收纳装置的便携伞式卫星天线
CN219606575U (zh) 一种用于摄像头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