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168A -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 Google Patents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168A
KR20190105168A KR1020180020576A KR20180020576A KR20190105168A KR 20190105168 A KR20190105168 A KR 20190105168A KR 1020180020576 A KR1020180020576 A KR 1020180020576A KR 20180020576 A KR20180020576 A KR 20180020576A KR 20190105168 A KR20190105168 A KR 2019010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transport robot
transmitter
distanc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화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엠
Priority to KR102018002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168A/en
Publication of KR2019010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1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portation robot. The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omprises: a plurality of detachable receiving parts for receiving signals from a detachable transmitting part attached to a body of an operator; a calculation part for measuring a distance and an angle of each of the detachable transmitting part and the plurality of detachable receiving parts;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portation robot on the basis of a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ognition speed is improved by using the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thereby enabling a worker to be recognized more quickly.

Description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 및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본 발명은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 및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송수신장치를 장착하여 조명의 영향 없이 빠르게 작업자를 인식하여 운송 로봇을 제어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 및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nd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port robo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and in particular, a detachable transceiver is capable of controlling a transport robot by quickly recognizing an operator without the influence of ligh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port robot.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카트를 직접 끌고 다니지 않고 작업자의 이동을 추적하여 자동으로 이동하거나, 자율주행하는 카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종래의 창고 관리를 위한 카트는 간단한 정보만을 검색하거나 단순 운반 기능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피킹(picking; 물류센터에 정리된 물품 중 발주에 의해 필요한 만큼만 구분하여 출고 및 정리) 오류가 많이 발생되는등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깊이카메라를 사용하여 센싱하는 경우 알고리즘 구현에 연산 부하가 크고, 조명에 의해 작업자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carts that move automatically by tracking worker's movements without auto-carrying carts in the workplace or autonomous driving. Conventional carts for warehouse management have only simple information search or simple transport functions, and picking (picking up and sorting out as many items as needed by ordering) There was a falling issue. In addition, when sensing using a depth camer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utational load is large in implementing the algorithm and the operator cannot be recognized by lighting.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96392호는 점포 등의 발주에서부터 물류 센터의 제품 선반에 부착된 표시기에 표시되는 피킹 수량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디지털화한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바탕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에러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용 카트를 개시하고 있으나, 신속하게 작업자를 인식하고 카트를 제어하는 내용과는 차별점이 있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6392 is based on a digital picking system that digitizes all processes from ordering of stores to the picking quantity displayed on the indicators attached to the product shelves of the distribution center, reducing the work time and error rate. Although a cart for a digital picking system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contents of quickly recognizing the operator and controlling the ca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하여 조명의 영향 없이 작업자를 빠르게 인식하여 운송 로봇을 제어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 및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ransport robot that can control the transport robot by quickly detecting the operator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light by mounting a separat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은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된 분리형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의 각각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하는 계산부와,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IoT-based transport robo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includes a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for receiving signals from a detachable transmitter attached to a worker's body, and a distance between the detachable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And a calculation unit for measuring an ang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port robot based on a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은,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된 분리형 송신부에서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운송 로봇에 장착된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들이 상기 분리형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들간의 거리와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1)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가 같으면, 운송 로봇이 작업자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includes continuously transmitting signals from a detachable transmitter attached to a body of a worker, and first to third detachable types mounted to the transport robot. Receiving signals from the separate transmitter by the receiver, calculating a distance and an angle between the separate transmitter and the first to third receivers, and a distance D1 between the separate transmitter and the first receiver. And if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is the same, the transport robot linearly moves in a worker direction.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에 대한 인식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speed for the operator by using a separate transceiver.

또한, 조명의 영향에서 자유로워 범용적인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저사향의 하드웨어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free from the influence of lighting, can be applied in a general-purpose environment, and can be used in a low-profile hardwar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concep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merely illustrated for purposes of describing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concepts. As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so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s disclosed, and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10)은 프레임부(20), 범퍼부(30), 분리형 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3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10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includes a frame unit 20, a bumper unit 30, a detachable receiver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30. do.

프레임부(20)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류를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물류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20)는 물류가 적재되는 하부 프레임(21)과, 하부 프레임부(21)의 전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부(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프레임부(2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rame portion 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load the logistics to be transported. The frame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torage unit for storing logistics. For example, the frame part 20 may include a lower frame 21 on which logistics is loaded, and an upper frame part 23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rame part 21. It does not limit the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상부 프레임부(23)는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0)를 전면에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의 상태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23)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하부에 시작/종료제어부(27)를 배치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part 23 may include a handle part for adjus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an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to provide the user with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Can provide. The upper frame unit 23 may arrange the start / end control unit 27 under the display unit 130.

범퍼부(30)는 하부 프레임부(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이동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The bumper part 3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lower frame part 20 to absorb external shocks generated during movement.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는 분리형 수신부(110)와 분리형 송신부(200)를 포함하며, 분리형 수신부(110)는 하부 프레임부(20)의 전면에 장착되고, 범퍼부(30)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벨트에 착용된 분리형 송신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송수신 장치는 초음파 신호, 비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includes a detachable receiver 110 and a detachable transmitter 200, and the detachable receiver 11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lower frame unit 20 and disposed on the bumper unit 30. A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detachable transmitter 200 worn on the belt. The separate transceiver may transmit and receive an ultrasound signal and a beacon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운송 로봇(10)은 분리형 수신부(110), 구동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라이다 센서(140), 계산부(150), 제어부(160), 배터리부(170), 인터페이스부(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transport robot 10 includes a separate receiver 110, a driver 120, a display 130, a lidar sensor 140, a calculator 150, a controller 160, and a battery unit ( 170, an interface unit 180.

분리형 수신부(110)는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로 구성되며, 제1분리형 수신부(111), 제2분리형 수신부(113), 제3분리형 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제2분리형 수신부(113)는 범퍼부(30)의 중앙에 배치되며, 제1분리형 수신부(111)와 제3분리형 수신부(115)는 제2분리형 수신부(113)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split receiver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plit receivers, and includes a first split receiver 111, a second split receiver 113, and a third split receiver 115. The second split receiver 113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umper 30,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111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115 are spaced apart by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plit receiver 113. Is placed.

구동부(120)는 배터리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운송 로봇(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운송 로봇(10)에 구비된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드라이버일 수 있다. 구동부(120)는 하부 프레임부(21)의 하면에 다수개의 바퀴,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따라 운송 로봇(10)을 구동한다.The driving unit 120 serves to move the transportation robot 10 by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unit 170, and may be a motor driving driver that drives wheels provided in the transportation robot 10. The driving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portion 21 and a motor unit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wheels, and drives the transport robot 10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unit.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작의 작업 목록 데이터 및 운송 로봇의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운송 로봇의 상태 정보는 배터리부의 상태, 시간정보, 사용시간,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work list data of the used work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robot. For example, the display 130 may be a touch scre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robot may be at least one of a state of the battery unit, time information, use time, and user information.

라이다센서(140)는 하부 프레임부(20)의 후면에 배치되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lidar sensor 14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lower frame part 20 to measure a distance.

계산부(150)는 분리형 송신부(200)와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110)의 각각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calculator 150 may measure distances and angles of the separate transmitter 200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110, respectively.

제어부(160)는 계산부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111, 113, 115)와 분리형 송신부(200)의 거리를 각각 비교하며,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분리형 수신부(111)간의 거리(D1)와,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3분리형 수신부(115)간의 거리(D3)가 같으면, 운송 로봇이 작업자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port robo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or. The controller 160 compares the distances of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111, 113, and 115 and the separate transmitter 200,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111. And, if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eparate transmitter 200 and the third separate receiver 115 is the same, the transport robot can be controlled to move linearly in the worker direction.

제어부(160)는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분리형 수신부(111)의 거리(D1)가,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3분리형 수신부(115)간의 거리(D3)보다 크면, 제3 분리형 수신부(115) 방향의 제2 각도(θ2)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If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plit type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split type receiver 111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ype transmitter 200 and the third split type receiver 115, the third split type receiver The transport robot may rotate by the second angle θ2 in the direction of 115.

제어부(160)는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분리형 수신부(111)의 거리(D1)가,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3분리형 수신부(113)간의 거리(D3)보다 작으면, 제1 분리형 수신부(111) 방향의 제1 각도(θ1)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할 수 있다.If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plit type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split type receiver 11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ype transmitter 200 and the third split type receiver 113, the controller 160 is the first split type. The transport robot may rotate by the first angle θ1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er 111.

제어부(160)는 운송 로봇(10)이 다수개의 주행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수개의 주행모드는 팔로우 모드, 드라이브 모드, 자율주행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transport robot 10 to operate in a plurality of driving mod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riving modes may be one of a follow mode, a drive mode, and an autonomous driving mode.

제어부(160)는 작업자의 이동 위치에 따라 운송 로봇(10)의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작업자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구동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피킹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와의 간격을 좀 더 가깝게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spe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nsport robot 10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operator, and may control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driving spe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erator.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distance to the worker more closely to facilitate the worker's work during the picking operation.

상기 팔로우 모드와 상기 드라이브 모드는 분리형 수신부(110)에 의해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운송 로봇이 이동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팔로우 모드는 작업자가 운송 로봇(10)의 전면에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이동하나, 드라이브 모드는 작업자가 운송 로봇(10)의 전면을 마주보는 상태로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10)의 뒤에서 이동하는 차이가 있다.In the follow mode and the drive mode,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is determined by the separate receiver 110, and the transport robot moves based on the same. However, in the follow mode, the worker moves in a state arranged side by side in front of the transport robot 10, but in the drive mode, the worker faces the front of the transport robot 10 from behind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10. There is a shift in movement.

제어부(160)는 작업자에 의해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예컨대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주행모드를 변경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change the driving mode by the operator. For example, the operator may change and select the driving mode through the display 130.

배터리부(170)는 운송 로봇(10)에 전력을 제공해 주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원 역할을 한다.The battery unit 170 serves as a power source by converting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chemical energy as an energy storage device providing power to the transportation robot 10.

인터페이스부(180)는 현재 작업자의 작업 목록 데이터를 중앙서버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목록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The interface unit 180 receives work list data of the current worker through the central server, and the received work list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은 먼저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된 분리형 송신부(200)에서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한다(S310). 이후에, 운송 로봇(10)에 장착된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들(111,113, 115)이 분리형 송신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S320). 제1 분리형 수신부(111)와 제2 분리형 수신부(113)의 거리(L1)와, 제2분리형 수신부(113)와 제3분리형 수신부(115)의 거리(L2)는 서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first transmits a signal continuously from the detachable transmitter 200 attached to the body of the worker (S310) ). Thereafter,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111, 113, and 115 mounted on the transport robot 10 receive a signal from the separate transmitter 200 (S320). The distance L1 of the first split receiver 111 and the second split receiver 113 and the distance L2 of the second split receiver 113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115 are equal to each other.

이후에, 계산부는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들(111, 113, 115)간의 거리(D1, D2, D3)와 각도(θ1, θ2)를 계산한다(S330).Subsequently, the calculator calculates the distances D1, D2, and D3 and the angles θ1 and θ2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to third split receivers 111, 113, and 115 (S330).

이후에, 제어부(160)는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111, 113, 115)와 분리형 송신부(200)의 거리를 각각 비교하며,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분리형 수신부(111)간의 거리(D1)와,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3분리형 수신부(115)간의 거리(D3)가 같으면(S340), 운송 로봇이 작업자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50). 주행모드에 따라 작업자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작업자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60 compares the distances of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111, 113, and 115 and the separate transmitter 200,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111. If the distance D3 is equal to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eparate transmitter 200 and the third separate receiver 115 (S340), the transport robot may be controlled to linearly move in the worker direction (S350). Depending on the driving mode, it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worker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orker.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분리형 수신부(111)의 거리(D1)가,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3분리형 수신부(115)간의 거리(D3)보다 크면(S360), 제3 분리형 수신부(115) 방향의 제2 각도(θ2)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할 수 있다(S370).If the distance D1 of the split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111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200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115 (S360), the third split receiver 115 The transport robot may rotate to move by a second angle θ2 in the direction of (S370).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1 분리형 수신부(111)의 거리(D1)가, 분리형 송신부(200)와 제3분리형 수신부(113)간의 거리(D3)보다 작으면(S360), 제1 분리형 수신부(111) 방향의 제1 각도(θ1)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할 수 있다(S380).If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plit type transmitter 200 and the first split type receiver 11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ype transmitter 200 and the third split type receiver 113 (S360), the first split type receiver ( The transport robot may rotate to move by the first angle θ1 in the direction 111 (S38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 20; 프레임부
30; 범퍼부 110; 분리형수신부
120; 구동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라이다센서 150; 계산부
160; 제어부 170; 배터리부
180; 인터페이스부 200; 분리형송신부
10; IoT-based transport robot 20; Frame part
30; Bumper portion 110; Remote Receiver
120; A driver 130; Display part
140; Lidar sensor 150; Calculation
160; A controller 170; Battery part
180; An interface unit 200; Separate transmitter

Claims (8)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된 분리형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의 각각의 거리와 각도를 측정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
In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A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separate transmitter attached to a body of an operator;
A calculator for measuring a distance and an angle of each of the separate transmitter and the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And
IoT based transport robo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ransport robo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는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와 분리형 송신부의 거리를 각각 비교하며,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1)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가 같으면, 운송 로봇이 작업자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includ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The controller compares distances of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and the separate transmitter,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and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 Is the same,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that controls the transport robot to move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the wor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는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와 분리형 송신부의 거리를 각각 비교하며,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의 거리(D1)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보다 크면, 제3 분리형 수신부 방향의 제2 각도(θ2)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includ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istances of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and the separate transmitter,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D1 of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is a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Greater than),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that controls the transport robot to rotate by a second angle θ2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detachable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는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와 분리형 송신부의 거리를 각각 비교하며,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의 거리(D1)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보다 작으면, 제1 분리형 수신부 방향의 제1 각도(θ1)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parate receivers includ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istances of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and the separate transmitter,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D1 of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is a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Less than),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that controls the transport robot to rotate by a first angle (θ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etachable re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로봇은,
하부프레임부와 상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이동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부;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분리형 수신부는 상기 범퍼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운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ort robot,
A frame part including a lower frame part and an upper frame part;
A bumper part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lower frame part to absorb an external shock generated during movement;
It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upper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user with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mper unit.
거리측정이 가능한 분리형 송수신 장치를 장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된 분리형 송신부에서 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운송 로봇에 장착된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들이 상기 분리형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분리형 수신부들간의 거리와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1)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가 같으면, 운송 로봇이 작업자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Continuously transmitting a signal in a separate transmitter attached to a body of an operator;
Receiving, by the first to third separate receivers mounted on a transport robot, a signal from the separate transmitter;
Calculating a distance and an angle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to third split receivers; And
If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is equal to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the transport robot moves linearly to the worker direction How the robot work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의 거리(D1)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보다 크면, 제3 분리형 수신부 방향의 제2 각도(θ2)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distance D1 of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the transport robot rotates by a second angle θ2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split receiver. Operation method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o mov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1 분리형 수신부의 거리(D1)가 상기 분리형 송신부와 상기 제3분리형 수신부간의 거리(D3)보다 작으면, 제1 분리형 수신부 방향의 제1 각도(θ1)만큼 운송 로봇이 회전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운송 로봇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distance D1 of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first split receiver is less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split transmitter and the third split receiver, the transport robot rotates by a first angle θ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plit receiver. Operation method of the IoT-based transport robo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KR1020180020576A 2018-02-21 2018-02-21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KR201901051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76A KR20190105168A (en) 2018-02-21 2018-02-21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76A KR20190105168A (en) 2018-02-21 2018-02-21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68A true KR20190105168A (en) 2019-09-16

Family

ID=6806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576A KR20190105168A (en) 2018-02-21 2018-02-21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1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328B2 (en) Autonomous cart for manufacturing and warehouse applications
US11643279B1 (en) Conveyor system for autonomous robot
US9734372B2 (en) Head-mounted code scanner
US20210294330A1 (en) Moving robot and following setting method thereof
KR102049960B1 (en) Transpotation robot and method of operating transpotation robo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20012921A (en) Robot configuration with 3D lidar
US9881277B2 (en) Wrist band haptic feedback system
JP202003863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US20210208589A1 (en) Self-driving systems and methods
JP6972600B2 (en) In-vehicle equipment, cargo handling equipment, control circuits,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CN108879882A (en)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of robot automatic charging
CN116101939A (en) Cargo handling method, unmanned forklift and storage medium
CN113580155B (en) Autonomous moving device and warehouse logistics system
KR20190105168A (en) Transportation robot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equipped with a detachable transceiver capable of distance measur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a transportation robot
JP6764137B2 (en)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device, program
CN116761978A (en) Method for measuring and analyzing packages for storage
EP3382488B1 (en) Robotic carriage
KR20200055164A (en) Mapping based autonomous cart and its control method
JP2019124982A (en) Unmanned carrier
US202201944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sensors of autonomous vehicles
US11802948B2 (en) Industrial vehicle distance and range measurement device calibration
WO2023168672A1 (en) Battery placing method and device, controller and battery swapping station
US20220009759A1 (en) Industrial vehicle distance and range measurement device calibration
WO2023230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actions with physical objects based on fusion of multiple sensors
WO2023192313A1 (en) Continuous and discrete estimation of payload engagement/disengagement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9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26

Effective date: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