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966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966A
KR20190104966A KR1020190108257A KR20190108257A KR20190104966A KR 20190104966 A KR20190104966 A KR 20190104966A KR 1020190108257 A KR1020190108257 A KR 1020190108257A KR 20190108257 A KR20190108257 A KR 20190108257A KR 20190104966 A KR20190104966 A KR 20190104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cover
water
rotat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819B1 (ko
Inventor
전제욱
정순기
김민호
김영석
장훈
지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81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출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커버의 최대 상승 시, 상기 승강커버의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조작부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승강시키거나 회전시켜가면서 출수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의 최대 상승 높이가 더욱 높아질 수 있고, 최대 하강높이는 더욱 낮아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출수노즐의 높이 가변거리가 더욱 길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모듈의 상단이 조작부에 의해 정수기 본체에 지지됨과 동시에, 로테이터에 의해서도 그 하단 또는 중심부가 정수기 본체에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출수모듈이 보다 견고하게 정수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 시, 출수모듈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의 하방에 수용공간이 확보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이게 물을 받을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수모듈을 회전하거나 승강시키는 동작이 부드럽고 일정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출수노즐을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더라도, 출수노즐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의 승강 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강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부의 가독성이 높아져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사용자도 조작부를 인지할 수 있고,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로 이루어진 출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커버의 최대 상승 시, 상기 승강커버의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조작부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는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승강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승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 또는 고정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커버의 승강을 위해 상기 승강커버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 또는 고정커버에는 상기 승강커버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커버 또는 고정커버에는 상기 승강커버의 최대 하강 시, 승강커버의 하강을 차단하도록 잠금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테이터 본체와, 상기 로테이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디스크 및 상기 로테이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디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출수모듈의 회전 시, 상기 출수모듈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는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홀의 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홀에는 상기 회전홀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의 상단과 하단에 접촉 지지되면서, 수평부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수평부 또는 수직부와 대면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가이드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 또는 수직부와 선접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의 수평위치는 물론 수직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의 최대 상승 높이가 더욱 높아질 수 있고, 최대 하강높이는 더욱 낮아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출수노즐의 높이 가변거리가 더욱 길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모듈의 상단이 조작부에 의해 정수기 본체에 지지됨과 동시에, 로테이터에 의해서도 그 하단 또는 중심부가 정수기 본체에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출수모듈이 보다 견고하게 정수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 시, 출수모듈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되고,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하방에 수용공간이 확보되어 다양한 크기의 용이게 물을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출수모듈을 회전하거나 승강시키는 동작이 부드럽고 일정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출수노즐을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더라도, 출수노즐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의 승강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의 승강동작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장착된 로테이터 및 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위치로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트레이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의 가독성이 높아져 어른 사용자는 물론 키가 작은 사용자도 조작부를 인지할 수 있고,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로테이터와 정수기 본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조작부와 정수기 본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조작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정수기 본체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조작부와 정수기 본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정수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300)와,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20)와, 상기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10) 및 상기 승강커버(4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로 이루어진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에 의해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10) 및 출수노즐(430)은 로테키어(200)에 고정된 고정커버(42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은 좌우방향으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작부(300)의 선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이 회전하면, 출수모듈(400)과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조작부(300)가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질 때, 돌출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출수모듈(400)과 조작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와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 노즐(430)을 통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냉각 또는 가열 된후 냉수, 온수의 형태로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양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10)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도 일체로 결합되어,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출수모듈(40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선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냉수 생성을 위한 쿨링 탱크(150) 또는 온수 생성을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를 곧 바로 출수모듈(4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 상세히는 로어 커버(111b)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에 연결된 출수모듈(400)의 상방에는 조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출수모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출수모듈(400)은, 프론트 커버(111)에 마련된 개구부(101)를 통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20)와, 상기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10) 및 상기 승강커버(4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430)은 승강커버(4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커버(410)가 고정커버(420)를 따라 승강하면, 결과적으로 출수노즐(430)의 수직방향의 위치(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고정커버(420)는 로테이터(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커버(420)에 연결된 승강커버(410) 및 출수노즐(430)은 수평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420)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된다. 또한, 승강커버(410)가 최개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커버(410)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로테이터(200)와 조작부(300) 사이 간격(B)에는 수납공간(S)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승강커버(410)의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상기 조작부(300) 사이에 마련된 수납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납공간(S)에 의해 승강커버(41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10) 및 승강커버(41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상승 높이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10) 및 승강커버(41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하강 높이는 더 낮아질 수 있다.
즉, 승강커버(410) 및 승강커버(41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높이조절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커버(420)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출수모듈(400)은 조작부(300)에 의해 그 상단이 정수기 본체(100)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로테이터(200)에 의해 그 하단 또는 중심부가 정수기 본체(100)에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모듈(400)이 보다 견고하게 정수기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출수모듈(400)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 시, 출수모듈(400)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테이터(200)와 출수모듈(400)을 연결하는 브릿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00)는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20)를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통과하며, 양단이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20)에 고정된다.
상기 출수모듈(400) 및 로테이터(200)가 회전하면,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500)의 내부, 그리고 브릿지(500)가 연결된 로테이터(200)의 선단, 고정커버(420) 및 승강커버(410)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각종 호스(600)가 통과되는 통로(201,412,422,501)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통로(201,412,422,501)가 형성되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승강커버(410)의 내부공간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통로(201,412,422,501)를 통해 승강커버(410)에 구비된 출수노즐(430)로 정수기 본체(100)에서 생성된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호스(6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호스(600)는 정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정수관, 그리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관 및 온수관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1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승강커버(410) 및 출수노즐(430)이 승강 동작할 때, 호스(600)가 승강커버(410)의 내부공간(421)에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1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승강커버(410) 및 출수노즐(430)의 높이에 관계없이 냉수,정수 및 온수가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외부승강>
한편, 상기 승강커버(410)는 외측에 배치된 외측 커버이고, 고정커버(420)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 커버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커버(41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41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커버(420)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내측에 마련된 승강공간(411)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커버(410)는 상기 고정커버(420)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커버(410)는 고정커버(420)의 외측에 구비되고, 승강커버(410)가 하강하면, 고정커버(420)는 외측으로 서서히 노출되고, 승강커버(410)가 상승하면, 고정커버(420)는 승강커버(410)의 내측으로 서서히 수용된다.
일 예로,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 시, 고정커버(420)는 승강커버(410)의 내측으로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커버(410)가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승강커버(410)는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되면서, 하강하고, 고정커버(420)는 외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승강커버(410)가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상부로 밀면, 고정커버(420)가 승강커버(410)의 내측으로 수납되면서, 승강커버(410)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승강커버(410)가 승강하며, 승강커버(410)에 고정된 출수노즐(43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승강커버(410)의 외형은 상기 고정커버(4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커버(420) 및 승강커버(410)는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고정커버(420) 및 승강커버(41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커버(420) 및 승강커버(410)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저항수단>
또한, 상기 승강커버(410) 또는 고정커버(420)에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승강을 위해 상기 승강커버(41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승강커버에 가해지는 승강력’이라 함은, 승강커버(410)의 승강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힘을 의미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하강시키기 위해 승강커버(410)을 하방으로 잡아 당기는 힘 또는 승강커버(410)를 상승시키기 위해 승강커버(410)를 상방으로 미는 힘일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승강커버(410)가 하강하려는 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커버(410)가 고정커버(420)를 기준으로 승강할 경우, 승강커버(410)가 자중에 의해 임의대로 하강할 수 있다.
상세히, 승강커버(410)가 최대 상승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커버(410)의 자중에 의해 승강커버(410)가 하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에서 손을 떼면 승강커버(410)가 그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임의로 더 하강할 수 있다. 즉, 승강커버(410)의 높이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커버(420) 또는 상기 승강커버(410)에 저항수단을 구비한다.
저항수단은 승강커버(4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해 상기 승강커버(41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승강커버(410)가 상승된 상태에서 승강커버(410)는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잡고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 또는 상승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에서 손을 떼더라도, 승강커버(4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이 희망하는 높이에 출수노즐(43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저항수단은 승강커버(41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승강 조작하는 데 무리한 힘이 들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승강커버(410)를 승강시키면서 느끼는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채택되어야 한다.
상기 저항수단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을 포함하거나, 점성을 갖는 오일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커버(410)에 가해지는 승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고정커버(420)와 대면하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커버(420)와 선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돌기(4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승강커버(410)와 대면하는 상기 고정커버(42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커버(410)와 선접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돌기(4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접촉’이라 함은 도 8에 도시된 횡단면에서,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가 점접촉된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점접촉이 승강커버(41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져,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가 승강커버(410)의 승강방향을 따라 선 형태로 접촉한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커버(420) 또는 상기 승강커버(4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돌기(413,423)가 상기 승강커버(410)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예로, 승강커버(410)에 저항돌기(413)가 형성되면, 고정커버(420)에는 상기 저항돌기(4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가 저항돌기(413,423)에 의해 선접촉될 경우,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 사이의 마찰력은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가 서로 접촉(선접촉) 지지되어, 승강커버(410)의 승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호 간의 접촉 지지로 인해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의 휨 등의 변형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승강커버(410)를 승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저항돌기(413,423)에 의해 승강커버(410)에는 소정의 고정력이 확보되어, 승강커버(410)는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저항돌기(413,423)는 볼록한 반원형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항돌기(413,423)가 곡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가 선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커버(410)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저항돌기(413,423)의 개수는 복수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강커버(410)가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승강하다 보면,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고,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의 접촉 부위에는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승강커버(410)의 승강조작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는 이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승강커버(410)와 고정커버(420)는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또는 POM(polyoxymethylen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OM(polyoxymethylene)을 대신하여,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커버(410)가 승강할 때, 고정커버(420)와 승강커버(410)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은 향상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에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커버(410) 또는 고정커버(420)에는 상기 승강커버(410)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커버(410)는 고정커버(420)의 외측을 감싼 상태에서, 승강을 하기 때문에, 고정커버(420)에 의해 승강커버(410)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지만, 승강커버(410)가 고정커버(420)의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승강커버(410)가 양측으로 조금이라도 흔들릴 경우, 승강커버(410)의 승강 동작이 불안정하게 진행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고정커버(420) 또는 승강커버(410)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승강커버(410)가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되면서, 좌우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일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커버(420)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홈(428,441) 및/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427,442)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커버(410)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428,441)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돌기(414) 및/또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427,442)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415)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커버(420)에는 제1가이드홈(428,441)과 제1가이드돌기(427,442)가 형성되고, 승강커버(410)에는 제2가이드돌기(414)와 제2가이드홈(415)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1가이드홈(428,441)에 제2가이드돌기(414)가 끼워지고, 제2가이드홈(415)에 제1가이드돌기(427,442)가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커버(410)가 승강하기 때문에, 승강커버(410)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일직선으로 승강될 수 있다.
전술한 제1가이드홈(428)과 제1가이드돌기(427)는 고정커버(420)에 곧바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홈(441)과 제1가이드돌기(442)는 별도의 부재에 형성된 후 고정커버(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가이드홈(428,441)과 제1가이드돌기(427,442)는 고정커버(420)에 형성되고, 별도의 부재에 형성된 후 고정커버(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커버(420)의 하측 후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441)과 제1가이드돌기(442)가 형성된 가이드브라켓(440)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브라켓(440)은 고정커버(420)의 하측 후방에 결합되고, 승강커버(410)는 가이드브라켓(440)에 접촉 지지되면서 일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승강커버(410)는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되면서 일직선으로 승강할 수도 있다.
상세히, 승강커버(410)가 상승된 상태에서, 가이드브라켓(440)은 승강커버(410)의 하측을 지지하고, 승강커버(410)가 하강된 상태에서, 가이드브라켓(440)은 승강커버(410)의 상측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440)에는 고정커버(420)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429)와 결합되는 연결부(44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444)는 상기 고정커버(420)의 돌기부(429)와 나사 등의 수단을 이용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홈(428)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가이드돌기(427,427') 사이에 마련되며, 내측에 마련된 제1가이드 돌기(427')의 단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415)의 후벽(416)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벽(416)과 대면하는 날개부(427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27a)는 상기 제2가이드홈(415)의 후벽(416)과 면접촉하면서, 지지되어, 승강커버(410)의 전후 방향의 흔들림 및 좌우 방향의 흔들림을 보다 확실히 잡아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427,427')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가이드돌기(427')의 단부에 날개부(427a)가 형성된 고정커버(420)에 의해, 상기 승강커버(410)는 승강하는 과정에서 보다 확실히 고정커버(420)에 접촉 지지되고,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10)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직선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427a)의 단부는 브릿지(500)를 통해서 로테이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가이드홈(428,441) 및 제1가이드돌기(427,427',442)는 후방(정수기 본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이드돌기(414) 및 제2가이드홈(415)은 전방(출수모듈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강커버(410)가 가이드 브라켓(440)에 접촉된 상태로 반복적으로, 승강하다 보면, 승강커버(410)와 가이드 브라켓(440)의 마찰에 의해 승강커버(410) 또는 가이드 브라켓(440)의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440)은 POM(polyoxymethylen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OM(polyoxymethylene)을 대신하여,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커버(410)가 가이드 브라켓(440)을 따라 승강할 때, 승강커버(410)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되돌아가서, 상기 승강커버(410)의 양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커버(42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425)가 안착되는 안착홈(4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커버(410) 하단에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45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랜지(450)의 외경은 승강커버(4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랜지(450)를 잡고 승강커버(4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잠금수단>
다시, 도 7로 되돌아가서, 상기 승강커버(410) 또는 고정커버(420)에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최대 하강 시, 더 이상 승강커버(410)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잠금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커버(410) 또는 고정커버(420)에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 시, 더 이상 승강커버(410)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잠금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잠금수단이 없다면, 사용자가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높이 및 최대 하강높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승강커버(410)는 하강하던 중 고정커버(420) 와 분리될 우려가 있고, 승강커버(410)가 상승하던 중 고정커버(420)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커버(410)가 설정된 최대치로 하강하거나 상승하면, 승강커버(410)의 하강 동작 또는 상승 동작을 구속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고정커버(420)와 대면하는 승강커버(410)의 내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잠금돌기(417) 및 상기 잠금돌기(417)가 수용되게 상기 고정커버(42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잠금홈(42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커버(410)가 최대치로 하강하거나 상승하면, 잠금돌기(417)가 잠금홈(425)에 수용되면서, 승강커버(410)의 하강동작 또는 상승동작이 구속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승강커버(4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잠금홈이 형성되고, 고정커버(42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4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승강커버(410) 내측면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상기 고정커버(420) 외측면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걸쳐지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커버(420)에는 후방에 하단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슬릿(425)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커버(410)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시, 상기 슬릿(425)에 삽입되는 후벽(41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시, 슬릿(425)에 후벽(418)이 삽입되면서, 승강커버(410)의 최대 상승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로테이터>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로테이터와 정수기 본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메인구성요소인 '로테이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로테이터(200)와 연결되어,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하면서, 출수노즐(430)의 수평방향 위치를 가변시킨다.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로테이터(200)는 중공(202)을 갖는 원형의 로테이터 본체(210)와,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디스크(220) 및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디스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와 상부 디스크(220), 하부 디스크(230)는 조립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는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디스크(2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돌기를 복수 형성하고,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디스크(230)의 상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돌기를 복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돌기와 상부디스크, 제2안착돌기와 하부디스크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에는 각각 중심부에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중공(202)과 연통하는 통공(221,2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공(221,231)은 로테이터(200)의 회전중심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공(221,231)은 취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정수관 및 온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통공(221,231)을 통해, 온수관, 정수관, 냉수관이 로테이터(2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테이터(200) 내부로 진입한 온수관, 정수관, 냉수관을 구성하는 호스(600)는 로테이터(200)의 통로(201), 브릿지(500)의 통로(501), 고정커버(420)의 통로(412) 및 승강커버(410)의 통로(422)를 거쳐, 승강커버(410)의 수납공간(421)으로 진입한 후, 연결부재(700)를 통해서 출수노즐(4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본체(100) 내부에서 생성된 정수, 온수, 냉수는 각각 상기 출수노즐(4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200)는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일 예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101)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제1,2 연장부(111b,136)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디스크(220)의 상면 및 하부 디스크(230)의 하면에는 상기 제1,2 연장부(111b,136)의 단부가 수용되는 안내홈(222,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장부(111b,136) 및 안내홈(222,232)은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2 연장부(111b,136)는 각각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안내홈(222,23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장부(111b)는 상기 어퍼커버(111a)의 내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연장부(136)는 상기 필터브라켓(130)의 상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2연장부는 로어커버(111b)의 내측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연장부(111b,136)의 단부가 안내홈(222,232)에 수용되면서, 상기 로테이터(200)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장부(111b)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1안내돌기(111b')가 형성되고, 제2연장부(136)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제2안내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안내돌기(111b')는 'ㄴ'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안내돌기(136')는 'ㄱ'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돌기(111b') 및 제2안내돌기(136')는 각각 안내홈(222,232)에 수용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로테이터(200)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내돌기(111b')의 하단과 제2안내돌기(136')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홈(222,232)과 선접촉하는 가이드리브(111e, 137)가 형성된다.
이때, 제1,2 안내돌기(111b',136') 및 가이드리브(111e, 137)는 적어도 일부가 호(arc)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2 안내돌기(111b',136') 및 가이드리브(111e, 137)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리브(111e, 137)에 의해, 상, 하부 디스크(220,230)와 제1,2 연장부(111b,136)가 선접촉하면, 로테이터(200)와 정수기 본체(100) 사이의 마찰력은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로테이터(200)는 정수기 본체(100)에 접촉 지지되어, 로테이터(200)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로테이터(20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리브(111e, 137)는 볼록한 반원형의 종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리브(111e, 137)가 곡면으로 형성되면, 상기 상부 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가 제1,2 연장부(111b,136)에 선접촉된 상태에서, 로테이터(200)의 회전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이드리브(111e, 137)가 상부 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에 선접촉된 상태에서, 로테이터(200)가 반복적으로 회전하다 보면, 가이드리브(111e, 137)와의 마찰에 의해 상부 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의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 또는 가이드리브(111e, 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POM(polyoxymethylen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OM(polyoxymethylene)을 대신하여,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부 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가 가이드리브(111e, 137)에 선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가이드리브(111e, 137)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커버(111a)의 상단에는 탑 커버(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14)는 상기 정수기(1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탑 커버(114)에는 상기 조작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작부>
이하, 상기 '조작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조작부와 정수기 본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조작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정수기 본체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조작부와 정수기 본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 즉 탑커버(1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수모듈(400)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출수모듈(400)을 회전하기 위해 출수모듈(400)에 회전력을 가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출수모듈(400)과 연결된 로테이터(200)가 회전하고, 출수모듈(400)의 상단과 연결된 조작부(300)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300)의 회전축과 로테이터(200)의 회전축은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300)가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 즉 탑커버(114)에는 회전홀(114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은 상기 회전홀(114a)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홀(114a)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00)는 회전홀(114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회전홀(114a)을 차폐할 수 있다. 즉, 회전홀(114a)의 크기는 조작부(3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은 상기 회전홀(11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조작부(300)를 탑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홀(114a)을 형성하는 탑커버(114)의 내측 테두리가 끼워지는 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300)는 별도의 이음부재를 통해 상기 탑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조작부(300)와 탑커버(114)의 연결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회전홀(114a)에는 상기 회전홀(114a)을 형성하는 탑커버(114)의 테두리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14b)와, 상기 수직부(114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114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홀(114a)을 형성하는 탑커버(114)의 테두리와 수직부(114b) 사이에는 모서리(114f)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모서리(114f)에 걸쳐지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탑재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홀(114a)는 상기 탑재부(3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와 탑커버(114)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114c)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접촉 지지되면서, 수평부(114c)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브라켓(8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라켓(800)은 상기 조작부(300)와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브라켓(800)과 조작부(300)는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브라켓(800)이 수평부(114c)를 따라 회전하면, 조작부(300)도 회전브라켓(8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800)은, 적어도 일부가 호(arc)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브라켓(800)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브라켓(800)은 상기 수평부(114c) 또는 수직부(114b)와 대면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가이드리브(810)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114c) 또는 수직부(114b)와 선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수평부(114c) 또는 수직부(114b)에도 상기 회전 브라켓(800)과 선접촉하는 회전가이드리브(114d)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 브라켓(800)과 수평부(114c) 또는 수직부(114b)가 선접촉될 경우, 회전 브라켓(800)과 수평부(114c) 또는 수직부(114b) 사이의 마찰력은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회전 브라켓(800)과 수평부(114c) 또는 수직부(114b)가 서로 접촉(선접촉) 지지되어, 회전 브라켓(800)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회전 브라켓(800)과 연결된 조작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800)은, 상면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지지리브(820)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300)는 하단에 상기 상부지지리브(820)와 수직부(114b) 사이에 삽입되는 안착돌기(3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브라켓(800)과, 조작부(300)와 탑커버(114)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커버(114)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홀(114a)의 주변에 상부로 돌출된 이격리브(114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격리브(114e)의 구성으로, 상기 탑재부(340)는 탑커버(114)와 선접촉할 수 있고, 조작부(300)와 탑커버(114) 사이의 마찰력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80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840)와, 상기 연장부(84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4c)의 하단에 걸림구속되는 후크(8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회전브라켓(800)은 상기 수평부(114c)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브라켓(800)에는 호(arc)형상의 절개부(8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840)는 상기 절개부(840)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개부(840)의 구성으로, 상기 연장부(840) 및 후크부(830)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브라켓(800)은 상기 수평부(114c)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800)에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연결부(8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60)를 통해 상기 회전브라켓(800)과 조작부(300)는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브라켓(800)의 연결부(860)는 조작부(300)와 볼트,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해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회전브라켓(800) 또는 조작부(300)의 내측에는 보스(B)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800)은 상기 조작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 즉 탑커버(114)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돌기(320)의 높이보다 상기 상부지지리브(820)의 높이를 작게 형성하면, 상기 탑재부(340)와 탑커버(114) 사이에는 유격(G)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30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더욱 줄어들고, 조작부(300)의 회전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브라켓(800)이 탑커버(114)에 접촉(선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회전하다 보면, 회전브라켓(800)과 탑커버(114) 사이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고, 회전브라켓(800)과 탑커버(114)의 접촉 부위에는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조작부(300)의 회전조작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브라켓(800)과 탑커버(114)는 이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브라켓(800)과 탑커버(114)는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또는 POM(polyoxymethylen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OM(polyoxymethylene)을 대신하여,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채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브라켓(800) 및 조작부(300)가 회전할 때, 회전브라켓(800)과 탑커버(114)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상면(330)은 상기 출수모듈과 가까운 방향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있다.
<트레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트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11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900)는 출수모듈(4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출수노즐(430)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출수노즐(430)의 수직 하방에 그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베이스(1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91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0)는 회전링(910)에 의해 베이스(113)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는 상기 정수기(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는 둘레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15)과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에는 상기 트레이(900)의 저면의 후반부에 형성된 회전링(91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회전링(910)에 의해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 상단의 전반부는 베이스(113) 상단의 후반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프론트 커버(111) 및 사이드패널(115)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900)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트레이(900)의 회전시 트레이(9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0)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900)의 양쪽 측면은 상기 스토퍼에 접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9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정수기 100 : 청수기 본체
110 : 하우징 200 : 로테이터
210 : 로테이터 본체 220 : 상부 디스크
230 : 하부 디스크 300 : 조작부
310 : 출수버튼 400 : 출수모듈
410 : 고정커버 420 : 승강커버
430 : 출수노즐

Claims (18)

  1.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와 고정되어 상기 로테이터와 함께 회전 동작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단에 출수노즐이 장착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로테이터와 상기 출수모듈의 회전 시, 상기 출수모듈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모듈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는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홀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에는 상기 회전홀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상단과 하단에 접촉 지지되면서, 수평부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수평부 또는 수직부와 대면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가이드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 또는 수직부와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면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하단에 상기 상부지지리브와 수직부 사이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부의 하단에 걸림구속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정수기 본체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과 정수기 본체는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또는 POM(polyoxymethylene)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적어도 일부가 호(arc)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상면은 상기 출수모듈과 가까운 방향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테이터 본체;
    상기 로테이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디스크; 및
    상기 로테이터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디스크의 상면 및 하부 디스크의 하면에는 상기 제1,2 연장부의 단부가 수용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제1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제2연장부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제2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돌기의 하단과 제2안내돌기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홈과 선접촉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장부, 안내홈, 제1,2 안내돌기, 가이드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호(arc)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90108257A 2019-09-02 2019-09-02 정수기 KR10215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57A KR102151819B1 (ko) 2019-09-02 2019-09-02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57A KR102151819B1 (ko) 2019-09-02 2019-09-02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412A Division KR102020052B1 (ko) 2017-08-30 2017-08-3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66A true KR20190104966A (ko) 2019-09-11
KR102151819B1 KR102151819B1 (ko) 2020-09-04

Family

ID=6794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257A KR102151819B1 (ko) 2019-09-02 2019-09-02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580A (ko) * 2008-11-14 2010-05-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101381803B1 (ko)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KR20150004669A (ko) * 2013-07-0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63454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580A (ko) * 2008-11-14 2010-05-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KR20150004669A (ko) * 2013-07-0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81803B1 (ko)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KR20170063454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819B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2311B (zh) 净水器
KR102235345B1 (ko) 정수기
CN108298602B (zh) 净水器
KR102020052B1 (ko) 정수기
KR102158549B1 (ko) 정수기
KR20190104966A (ko) 정수기
CN109422312B (zh) 净水器
KR102068226B1 (ko) 정수기
KR102069174B1 (ko) 정수기
KR102111593B1 (ko) 정수기
KR102232820B1 (ko) 정수기
KR101907820B1 (ko) 정수기
KR101948704B1 (ko) 정수기
KR102362173B1 (ko) 정수기
KR101971283B1 (ko) 정수기
KR20240003631A (ko) 정수기
KR20220027107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