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553A - Drive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ring stack - Google Patents

Drive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ring st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553A
KR20190104553A KR1020197021873A KR20197021873A KR20190104553A KR 20190104553 A KR20190104553 A KR 20190104553A KR 1020197021873 A KR1020197021873 A KR 1020197021873A KR 20197021873 A KR20197021873 A KR 20197021873A KR 20190104553 A KR20190104553 A KR 2019010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drive belt
transverse segment
segment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데르 메어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5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2Driving-belts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상호 중첩된 링들의 스택(9) 상에 장착된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열을 포함하는 벨트-앤드-풀리형 무단 변속기용 구동 벨트(6)에 관한 것이다. 횡방향 세그먼트(10)에는 그 전방면(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40) 및 그 후방면(12)에 제공된 대응 구멍(41)이 제공된다. 구동 벨트(6)의 반경방향(R)에서 돌출부(40)와 구멍(41) 사이에 오프셋이 제공되어, 구동 벨트(6)의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열에서, 횡방향 세그먼트들은 돌출부(40)를 구멍(41) 내에 강제 삽입함으로써 전방으로 틸팅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belt 6 for a belt-and-pul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rising a row of transverse segments 10 mounted on a stack 9 of several mutually overlapping rings. The lateral segment 1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40 protruding from its front face 11 and a corresponding hole 41 provided in its rear face 12. An offset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40 and the hole 41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drive belt 6, so that in the row of the transverse segments 10 of the drive belt 6, the transverse segments are provided with a protrusion ( 40 will be tilted forward by forcing insertion into the hole 41.

Description

횡방향 세그먼트와 링 스택을 갖는 무단 변속기용 구동 벨트Drive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ring stack

본 개시내용은 2개의 풀리와 구동 벨트를 갖는 무단 변속기를 위한 구동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 벨트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2015/063132-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여러 개의 상호 중첩된 연속 밴드, 즉 평탄하고 얇은 링들의 스택 상에 각각 장착된 횡방향 세그먼트의 열을 포함한다. 횡방향 세그먼트는, 횡방향 세그먼트가 링 스택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하면서 링 스택의 각각의 원주 섹션을 수용하고 구속하기 위한 슬롯을 획정한다. 이러한 특정 유형의 구동 벨트는 또한 푸시형 구동 벨트 또는 푸시 벨트로 지칭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two pulleys and a drive belt. Such drive belts are known from WO2015 / 063132-A1 and comprise several mutually overlapping continuous bands, ie rows of transverse segments each mounted on a stack of flat and thin rings. The transverse segments define slots for receiving and constraining each circumferential section of the ring stack while allowing the transverse segments to mov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ng stack. This particular type of drive belt is also referred to as a push type drive belt or push belt.

아래의 설명에서, 축방향,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은 원형 자세로 위치될 때 구동 벨트에 대해 정의된다. 게다가, 횡방향 세그먼트의 두께 치수는 구동 벨트의 원주방향에서 정의되고, 횡방향 세그먼트의 높이 치수는 상기 반경방향에서 정의되며, 횡방향 세그먼트의 폭 치수는 상기 축방향에서 정의된다.In the description below, the axial, rad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are defined for the drive belt when positioned in a circular attitude. In additio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transverse segment is defi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ive bel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transverse segment is defin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transverse segment is defined in the axial direction.

공지된 횡방향 세그먼트는 각각 베이스 부분, 중간 부분 및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횡방향 세그먼트의 중간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과 상부 부분을 상호 연결한다. 중간 부분의 양측에서, 횡방향 세그먼트는 구동 벨트의 각각의 링 스택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베이스 부분과 상부 부분 사이에 획정한다. 각각의 슬롯에서, 반경방향 외향 바닥면은 반경방향 외향으로 링 스택과 접촉하고 지지한다. 횡방향 세그먼트의 베이스 부분과 연관된 슬롯의 이들 바닥면은 이하에서 지지면으로 나타낸다.Known transverse segments each comprise a base part, a middle part and an upper part. The middle portion of the transverse segment extends radially to interconnect the bas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the transverse segments define a slot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upper part for receiving each ring stack of the drive belt. In each slot, the radially outwardly bottom surface contacts and supports the ring stack radially outwardly. These bottom surfaces of the slots associated with the base portions of the transverse segments are referred to as support surfaces below.

구동 벨트의 횡방향 세그먼트의 열에서, 횡방향 세그먼트의 전방 주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열에서 각각 선행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의 후방 주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반면, 횡방향 세그먼트의 후방 주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후행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의 전방 주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다. 횡방향 세그먼트의 이들 전방 및 후방 주 본체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방 주 본체 표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볼록하게 만곡된 표면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만곡된 표면 부분은 전방 주 본체 표면을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 반경방향 외부 표면 부분과 반경방향 내부 표면 부분으로 분할한다. 구동 벨트의 맞닿는 횡방향 세그먼트들은 서로에 대해 틸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후에 틸팅 에지로 나타내는 그러한 만곡된 표면 부분에서 그리고 만곡된 표면 부분을 통해 상호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틸팅 에지는 구동 벨트의 횡방향 세그먼트들의 열이 변속기 풀리에 의해 부여되는 링 스택의 국소 만곡을 따르게 한다.In the row of transverse segments of the drive belt,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main body surface of the transverse segment abuts at least a part of the rear main body surface of the preceding transverse segment, respectively, in the row, while the rear main body of the transverse seg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abu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main body surface of the trailing lateral segment, respectively. At least one of these front and rear main body surfaces of the transverse segment, for example the front main body surface, includes an axially extending and convexly curved surface portion. This curved surface portion divides the front main body surface into radially outer surface portions and radially inner surface portions orien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abutting transverse segments of the drive belt can be tilted relative to one another and thus remai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d through the curved surface portion, which is then indicated by the tilting edge. The tilting edge causes the row of lateral segments of the drive belt to follow the local curvature of the ring stack imparted by the transmission pulley.

횡방향 세그먼트에는 그 전방 주 본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그 후방 주 본체 표면에 제공된 대응 구멍이 더 마련된다. 구동 벨트의 횡방향 세그먼트들의 열에서, 후행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의 돌출부는 상기 선행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의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구동 벨트의 원주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맞닿는 횡방향 세그먼트들의 상호 변위가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제한된다. 통상적으로, 돌출부 및 구멍은 유사한 전체 형상을 갖고, 예를 들어 주로 원통형 또는 약간 원추형이다.The transverse seg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jecting from the front main body surface and corresponding holes provided in the rear main body surface. In the row of transverse segments of the drive belt, the projections of the trailing transverse segments are at least partially located in the openings of the preceding transverse segments such that mutual displacement of the transverse segments abut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rive belt. Is prevented or at least limited. Typically, the protrusions and holes have a similar overall shape, for example mainly cylindrical or slightly conic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벨트에서, 횡방향 세그먼트는 그 원주를 따라 링 스택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구동 벨트의 작동 중에, 링 스택이, 적어도 다른 유형의 구동 벨트에 비해 풀리들 사이에서 구동 벨트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에 관하여 비교적 낮은 레벨로 인장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횡방향 세그먼트와 링 스택 사이의 활주 운동 또는 슬립이 작지만 개념 상의 마찰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주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세그먼트의 틸팅 에지를 높이 방향에서 가능한 한 링 스택의 반경방향 내부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론상, 이와 관련하여, 틸팅 에지는 문제의 횡방향 세그먼트의 지지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rive belt, the transverse segments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ring stack along its circumferenc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during operation of the drive belt, the ring stack is tensioned to a relatively low level with respect to the torque transmitted by the drive belt between the pulleys, at least compared to other types of drive belts.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sliding motion or slip between the transverse segment and the ring stack is small but leads to a conceptual frictional loss. It is known that such sliding motion can be minimized by preferably placing the tilting edge of the transverse segmen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radial inside of the ring stack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ory, in this connection, the tilting edge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transverse segment in question.

그러나,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틸팅 에지를 지지면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는 문제점 또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틸팅 에지가 지지면에 가까울수록, 그 사이의 천이 에지가 보다 날카로워야 한다. 차례로, 보다 날카로운 천이 에지는 링 스택에서 보다 높은 접촉 응력을 초래한다. 실제로, 심지어는, 상기 높은 접촉 응력으로 인해 구동 벨트의 작동 중에 링 패키지의 반경방향 최내측 링의 항복 응력이 초과되어, 그 최내측 링의 서비스 수명을 손상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positioning the tilting edge close to the support surface creates a problem or disadvantage that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closer the tilting edge is to the support surface, the sharper the transition edge in between. In turn, sharper transition edges result in higher contact stresses in the ring stack. Indeed, even such a high contact stress may result in exceeding the yield stress of the radially innermost ring of the ring package during operation of the drive belt, thereby impairing the service life of the innermost ring.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놀랍게도, 그러한 단점은 돌출부와 개별 횡방향 세그먼트의 구멍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을 포함함으로써, 특히 구멍을 돌출부보다 약간 더 낮게, 즉 더 구동 벨트의 반경방향 내부를 향해 위치시킴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이 조치에 의해, 풀리 사이에서 달리 직선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횡방향 세그먼트는 돌출부가 (더 아래에 있는) 구멍 내로 강제 삽입되기 때문에 구동 벨트의 열에서 전방으로 틸팅될 것이다. 이에 따라, 특히, 링 스택의 반경방향 내부와, 지지면과 틸팅 에지 사이의 천이 에지 간의 접촉이 바람직하게는 회피되거나 또는 그 강도가 적어도 감소된다.Surpris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advantage is the inclusion of an off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rojections and the holes of the individual transverse segments, in particular by positioning the holes slightly lower than the projections, ie towards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drive belt. Can be mitigated. By this measure, even when moving straightly between pulleys, the transverse segments will be tilted forward in the row of drive belts because the projections are forced into the holes (below). Thus, in particular, contact between the radially interior of the ring stack and the transition edge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tilting edge is preferably avoided or at least reduced in strength.

뒤돌아 보면, 종래의 구동 벨트에서는, 상기 천이 에지가 비교적 큰 곡률 반경으로 매끄럽게 라운딩되고 지지면과 틸팅 에지 사이의 비교적 큰 이격에 의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조치가 상당한 효과를 갖지 않을 것으로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구동 벨트에서, 틸팅 에지는 지지면으로부터 약 1 mm만큼 떨어져 있어, 천이 에지의 곡률 반경이 0.5 mm 이상이 될 수 있다.Looking back, it can be observed that in conventional drive belts, the measure will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ince the transition edge is smoothly rounded to a relatively large radius of curvature and is enabled by a relatively large separation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tilting edge. . 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drive belt, the tilting edge is about 1 mm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such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ransition edge can be at least 0.5 mm.

특히, 본 개시내용에 따른 개별 횡방향 세그먼트의 돌출부에 대한 구멍의 반경방향 내향의 오프셋(O)은 다음과 같이 기하학적으로 정량화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adial inward offset (O) of the holes relative to the protrusions of the individual transverse seg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geometrically quantified as follows: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여기서, O_min은 상기 오프셋(O)의 최소값을 나타내고, Rr_min은 특히 변속기 풀리에서 구동 벨트의 길이방향 곡률의 최소 반경을 나타내며, D는 횡방향 세그먼트의 두께를 나타낸다.Where O_min represents the minimum value of the offset O, Rr_min represents the minimum radius of the longitudinal curvature of the drive belt, in particular in the transmission pulley, and D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segment.

수학식 1에 따른 최소 오프셋(O_min)에 의해, 구동 벨트의 횡방향 세그먼트는, 천이 에지가 반경(Rr_min)의 가상 원의 반경방향 내부에 대해 놓이고 지지면과 후방 주 본체 표면 사이의 에지와 교차할 정도까지 구동 벨트에서 전방으로 틸팅된다.By the minimum offset O_min according to Equation 1, the transverse segment of the drive bel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transition edge lies with respect to the radial inside of the imaginary circle of radius Rr_min and the edge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rear main body surface. Tilt forward on the drive belt to the extent that they cross.

예를 들어, Rr_min 값이 30 mm이고 D 값이 1.6 mm인 통상적인 구동 벨트의 경우, 11 마이크로미터의 최소 오프셋(O_min)이 수학식 1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생산 스프레드 및 기타 불확실성을 일부 허용하는 상기 오프셋(O)에 대한 실제적인 설계 값은 O_min의 1.5 내지 5 배 또는 또는 15 내지 75 미크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그렇게 실제로 적용되는 오프셋(O) 및 따라서 그에 의해 부여된 횡방향 세그먼트의 전방 틸팅은 그러한 최소 요구 값(O_min)의 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배로 제한된다. 그렇지 않으면, 돌출부 사이의 정렬 힘이 불필요하게 높아지고 및/또는 링 스택이 대신에 지지면의 후방 에지와 강제로 접촉하게 된다.For example, for a typical drive belt with an Rr_min value of 30 mm and a D value of 1.6 mm, a minimum offset O_min of 11 micrometers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The actual design value for the offset O which allows some production spreads and other uncertainties is 1.5-5 times or 15-75 microns of O_min. Prefer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offset O so applied and thus the forward tilting of the transverse segment imparted by it is limited to five times, more preferably three times, the minimum required value O_min. . Otherwise, the alignment force between the protrusions will be unnecessarily high and / or the ring stack will be forced into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support surface instead.

이제, 앞서 설명한 신규한 구동 벨트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2개의 풀리 위에서 동작하는 구동 벨트를 갖는 무단 변속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제공하고;
- 도 2는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공지된 구동 벨트의 개략적인 단면을 제공하며;
- 도 3은 공지된 구동 벨트의 횡방향 세그먼트의 개략적인 폭-방향 배향도를 제공하고;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지된 횡방향 세그먼트의 일부의 확대도이며;
- 도 5는 신규한 횡방향 세그먼트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그리고
- 도 6은 신규한 횡방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구동 벨트의 직선 궤도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Now, the novel drive belt described above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parts:
1 provide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a drive belt operating on two pulleys;
2 provides a schematic cross section of a known drive belt circumferentially oriented;
3 provides a schematic width-wise orientation of a transverse segment of a known drive belt;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known transverse segment shown in FIG. 3;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novel transverse segment; And
6 schematically shows a straight track part of a drive belt comprising a new transverse segment.

도 1은 원동기와 그 구동 휠 사이에서 자동차에 이용하기 위한 것과 같은 무단 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무단 변속기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로 나타낸다. 무단 변속기(1)는 2개의 풀리(2, 3)와, 풀리(2, 3) 둘레에 폐루프로 제공된 구동 벨트(6)를 포함한다. 풀리(2, 3)에는 풀리 샤프트축(4) 및 2개의 풀리 시브(7, 8)가 각각 제공되는데, 2개의 풀리 시브 중 제1 풀리 시브(7)는 각각의 풀리(2, 3)의 풀리 샤프트(4)에 고정되고, 제2 풀리 시브(8)는 그러한 풀리 샤프트(4)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한편, 회전 방향으로는 풀리 샤프트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변속기(1)의 작동 중에, 구동 벨트(6)는 각각의 풀리 시브(7, 8)에 의해 그리고 풀리 시브 사이에서 각 풀리(2, 3)에서의 동작 반경(Rr)으로 클램핑되며, 이 동작 반경(Rr)은 풀리(2, 3)의 풀리 시브(7, 8)를 서로를 향해, 각각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킴으로써 변속기의 속도비를 변경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such as for use in an automobile between a prime mover and its drive wheels.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indicated by the numeral 1 as a whole.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 includes two pulleys 2 and 3 and a drive belt 6 provided as a closed loop around the pulleys 2 and 3. The pulleys 2, 3 are provided with a pulley shaft axis 4 and two pulley sheaves 7, 8,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pulley sheave 7 of the two pulley sheaves is formed of each pulley 2, 3. It is fixed to the pulley shaft 4, and the second pulley sheave 8 is axially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such pulley shaft 4, while it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pulley shaf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During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1, the drive belt 6 is clamped by each pulley sheave 7, 8 and between the pulley sheaves to the operating radius Rr at each pulley 2, 3, which operation The radius Rr can be changed to change the speed ratio of the transmission by moving the pulley sheaves 7, 8 of the pulleys 2, 3 away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구동 벨트(6)는, 이후에 링 스택(9)으로 나타내는 2 세트의 상호 반경방향으로 적층된 연속 밴드 또는 링을 포함한다. 구동 벨트(6)의 횡방향 세그먼트(10)는 전체 원주를 따라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열을 형성하도록 링 스택(9) 상에 배치된다. 단순화를 위해, 이들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일부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The drive belt 6 comprises two sets of mutually radially stacked continuous bands or r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ing stack 9. The transverse segments 10 of the drive belt 6 are arranged on the ring stack 9 to form essentially continuous rows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For simplicity, only some of these transverse segments 10 are shown in FIG. 1.

횡방향 세그먼트(10)는 적어도 원주를 따라 링 스택(9)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그 결과, 토크가 마찰에 의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압박하고 풀리(2, 3)의 회전 방향에서 링 스택(9)의 원주를 따라 서로를 전방으로 푸시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에 의해 변속기 풀리(2, 3)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벨트(6)의 횡방향 세그먼트(10) 및 링 스택(9)(의 링)은 통상적으로 강철로 제조된다. 이러한 특정 유형의 변속기(1) 및 그 주요 작동은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The transverse segment 10 is provided movably with respect to the ring stack 9 at least along the circumference.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pulley (by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torqued by friction and against each other and pushes each other for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ng stack 9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ulleys 2, 3 ( Can be passed between 2, 3). The transverse segments 10 of the drive belt 6 and the rings of the ring stack 9 are typically made of steel. This particular type of transmission 1 and its main operation are well known per se.

도 2에서, 구동 벨트(6)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길이 또는 원주방향(C)으로, 즉 구동 벨트(6)의 폭 또는 축방향(A) 및 높이 또는 반경방향(R)에 수직으로 배향된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3에서, 도 2의 횡방향 세그먼트(10)만이 축방향(A)의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In FIG. 2,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rive belt 6 is oriented in length or circumferential direction C, ie perpendicular to the width or axial direction A and the height or radial direction R of the drive belt 6. It is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 3, only the lateral segment 10 of FIG. 2 is shown in side view in the axial direction A. In FIG.

도 2에서, 링 스택(9)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구동 벨트(6)의 하나의 횡방향 세그먼트(10)는 정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링 스택(9)은 각각 5개의 개별적인 평탄하고 얇은 가요성 무단 링(5)으로 구성되며, 이 무단 링(5)은 각각의 링 스택(9)을 형성하도록 반경방향(R)으로 상호 동심으로 적층된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링 스택(9)은 흔히 5개 초과의, 예를 들어 9개 또는 12개 또는 가능하게는 심지어는 그 이상의 무단 링(5)을 포함한다.In FIG. 2, the ring stack 9 is shown in cross section and one transverse segment 10 of the drive belt 6 is shown in front. In this case, the ring stack 9 consists of five individual flat and thin flexible endless rings 5, each endless ring 5 in radial direction R to form the respective ring stack 9. Are stack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In practice, however, these ring stacks 9 often comprise more than five, for example nine or twelve or possibly even more endless rings 5.

도 2 및 도 3에서, 횡방향 세그먼트(10)는, 주로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 부분(13), 비교적 좁은 중간 부분(14), 및 주로 삼각형 형상의 상부 부분(15)을 연속적으로 반경방향(R)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중간 부분(14)의 양측부에는, 베이스 부분(13)과 상부 부분(15) 사이에 슬롯(33)이 획정되어 있고, 슬롯 내에 링 스택(9)이 수용된다. 각각의 슬롯(33)에서, 베이스 부분(13)의 반경방향 외향 지지면(42)은 작동 중에 각각의 링 스택(9)의 반경방향 내부와 접촉한다.In FIGS. 2 and 3,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R) with a base part 13 mainly in the shape of a trapezoid, a relatively narrow middle part 14, and a top part 15 in a mainly triangular shape. It is shown to include).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4, a slot 33 is defined between the base portion 13 and the upper portion 15, and the ring stack 9 is accommodated in the slot. In each slot 33, the radially outwardly supporting surface 42 of the base portion 13 contacts the radially inner side of each ring stack 9 during operation.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전방면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1로 나타내는 반면, 횡방향 세그먼트(10)의 후방면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2로 나타낸다. 이하에서, 전방면(11) 및 후방면(12)은 전체적으로 주 본체 표면(11, 12)으로 나타낸다. 구동 벨트(6)에서,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전방면(11)의 적어도 일부는 후행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의 후방면(12)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반면, 횡방향 세그먼트(10)의 후방면(12)의 적어도 일부는 선행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전방면(11)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다.The front face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indicated generally by the reference numeral 11, while the rear face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indicated generally by the reference numeral 12. In the following, the front face 11 and the rear face 12 are collectively represented by the main body surfaces 11, 12. In the drive belt 6,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face 11 of the lateral segment 10 abut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face 12 of the trailing lateral segment 10, while the lateral segment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face 12 of the abuts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face 11 of the preceding transverse segment 10.

횡방향 세그먼트(10)는 각각의 풀리(2, 3)의 디스크(7, 8) 사이에 가해지는 클램핑력을 그 접촉면(37)을 통해 계속하고, 하나의 그러한 접촉면(37)은 횡방향 세그먼트(10)의 각각의 축방향 측면에 제공된다. 이들 접촉면(37)은, 벨트 각도(φ)로 나타내는 예각이 그 사이에 획정되고 풀리(2, 3)의 풀리 시브(7, 8) 사이에 획정된 풀리 각도(θ)에 긴밀하게 일치하도록 반경방향 외향으로 서로 발산한다.The transverse segment 10 continues the clamping force exerted between the disks 7, 8 of each pulley 2, 3 through its contact surface 37, and one such contact surface 37 is the transverse segment. On each axial side of 10. These contact surfaces 37 have a radius such that the acute angle represented by the belt angle φ is defined therebetween and closely matches the pulley angle θ defined between the pulley sheaves 7, 8 of the pulleys 2, 3. They diverge from one another outward.

횡방향 세그먼트(10)에는 그 전방면(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40) 및 그 후방면(12)에 제공되는 대응 구멍(41)이 마련된다. 구동 벨트(3)에서, 후행 횡방향 세그먼트(10)의 돌출부(40)는 선행 횡방향 세그먼트(10)의 구멍(4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구동 벨트(3)의 원주방향(C)에 수직인 평면에서 이들 인접한 횡방향 세그먼트들(10)의 상호 변위가 방지되거나 적어도 제한된다. 통상적으로, 10 내지 50 미크론의 공칭 클리어런스가 돌출부(40)의 외주와 구멍(41)의 내주 사이, 즉 돌출부/구멍-클리어런스 사이에 제공된다.The transverse segment 1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40 protruding from its front face 11 and a corresponding hole 41 provided in its rear face 12. In the drive belt 3, the projection 40 of the trailing transverse segment 10 is at least partially located in the hole 41 of the preceding transverse segment 10, so that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 of the drive belt 3 is achieved. The mutual displacement of these adjacent transverse segments 10 in a plane perpendicular to is prevented or at least limited. Typically a nominal clearance of 10 to 50 microns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4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e 41, ie between the protrusion / hole-clearance.

횡방향 세그먼트(10)의 베이스 부분(13)의 전방면(11)에는 요동 에지(18)가 형성된다. 요동 에지(18)는 전방면(11)의 볼록하게 만곡된 영역에 의해 표현되며, 이 영역은 반경방향(R)으로 상기 전방면(11)의 2개의 섹션을 분리하며, 2개의 섹션은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다. 요동 에지(18)의 중요한 기능은, 인접한 횡방향 세그먼트들이 풀리(2, 3)에서 서로에 대해 약간 회전된, 즉 틸팅된 위치에 있을 때에 인접한 횡방향 세그먼트들(10) 사이에 상호 푸싱 접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푸싱 접촉에서 최소 접촉 응력을 유리하게 실현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접촉의 안정성을 위해, 요동 에지(18)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전체 국소 폭을 따라 연장된다. 요동 에지(18)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면(42)에 가깝게, 즉 그 반경방향 내향으로 최소 거리(Drc)에 위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거리(Drc)가 더 작을수록, 전방면(11)과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지지면(42) 사이의 천이 에지(50)가 더 날카롭게 될 것이다.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설계에 대한 이 후자의 양태는 점선 원으로 나타낸 도 3의 영역(E)의 확대도인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좌측에서, 적어도 비교적 작은 요동 에지-대-지지면 거리(Drc)를 갖는 도 4의 우측에 있는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설계와 비교하여, 천이 에지(50)에 비교적 큰 곡률 반경(Rte)이 제공되게 하는 비교적 큰 요동 에지-대-지지면 거리(Drc)가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 반경(Rte)은 요동 에지(18)가 천이 에지(50)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대량 제조 시에 신뢰성 있게 보장하도록 요동 에지-대-지지면 거리(Drc)보다 약간 작다.A rocking edge 18 is formed in the front face 11 of the base portion 13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The rocking edge 18 is represented by a convexly curved region of the front face 11, which region separates the two sections of the front face 11 in the radial direction R, the two sections being from each other. Oriented at an angle relative to. An important function of the oscillating edge 18 is to establish mutual pushing contact between adjacent transverse segments 10 when adjacent transverse segments are in a slightly rotated, ie tilted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pulleys 2, 3. To provide. In order to advantageously realize the minimum contact stress in the pushing contact as well as for the stability of such contact, the swing edge 18 preferably extends along the entire local width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The swinging edge 18 is preferably located at a minimum distance Drc close to the support surface 42, ie radially inward thereof. However, the smaller this distance Drc, the sharper the transition edge 50 between the front face 11 and the support surface 42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will be. This latter aspect of the design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shown in FIG. 4,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E of FIG. On the left side of FIG. 4, a relatively large radius of curvature at the transition edge 50, compared to the design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on the right side of FIG. 4 with at least relatively small swinging edge-to-ground distance Drc. A relatively large rocking edge-to-earth ground distance Drc is shown that allows Rte to be provided. In practice and as shown in FIG. 4, the radius of curvature Rte is the oscillating edge-to-earth distance Drc to reliably ensure in mass production that the oscillating edge 18 does not overlap with the transition edge 50. Slightly smaller than)

도 4에서, 천이 에지(50)는 반경(Rte)의 원호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천이 에지(50)는 그렇게 균일하게 형상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적어도 본 개시내용의 맥락 내에서, 그 윤곽은 반경(Rte)의 원호(의 가장 가까운 맞음새)에 의해 근사화된다. 이와 같이, 지지면(42)과 전방면(11) 사이의 천이 에지 반경(Rte)은 중요하지 않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천이 에지(50)는 실제로 각각의 링 스택(9)의 반경방향 내부와 접촉하여 그 전체 응력 레벨을 상승시킨다. 특히 후자의 관점에서, 실질적인 응력 상승 효과는 천이 에지(50)의 반경(Rte)이 0.5 mm 미만, 특히 0.3 mm 미만이 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In FIG. 4, the transition edge 50 is shown as an arc of radius Rte. In practice, however, the transition edge 50 may not be so uniformly shaped, in which case the contour is approximated by an arc of radius R (closest fit), at least with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disclosure. do. As such, the transition edge radius Rte between the support surface 42 and the front surface 11 may seem insignificant. However, this transition edge 50 actually contacts the radial interior of each ring stack 9 to raise its overall stress level. Particularly in view of the latter, it has been found that a substantial stress raising effect occurs when the radius Rte of the transition edge 50 is less than 0.5 mm, in particular less than 0.3 mm.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천이 에지(50)와 링 스택(9) 사이의 이러한 접촉은 돌출부(40)의 반경방향 위치와 횡방향 세그먼트(10)의 구멍(41)의 반경방향 위치 사이에 오프셋(O)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회피되거나, 강도가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링 스택(9)의 전체 응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구동 벨트(3)의 하중 지지 능력 및/또는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is contact between the transition edge 50 and the ring stack 9 is offset between the radial position of the projection 40 and the radial position of the hole 41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By providing O) it is preferably avoided or the strength can be reduced at least. Thus, by lowering the overall stress level of the ring stack 9, the load bearing capacity and / or life of the drive belt 3 can be increased.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이러한 신규한 설계는 도 5에 그 일부의 확대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 일부는 횡방향 세그먼트(10)와 관련하여 도 3에 점선 타원으로 나타낸 영역(F)에 대응한다. 도 5에서, 원통형 돌출부(40)의 중심축은 실선(CA40)으로 나타내고 구멍(41)의 중심축은 점선(CA41)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오프셋(O)은 원통형 돌출부(40)의 중심축(CA40)과 구멍(41)의 중심축(CA41) 사이의 이격에 대응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이러한 오프셋(O)은 횡방향 세그먼트(10)의 통상적인 두께가 1.4 내지 1.8 mm인 경우에 15 내지 75 마이크로미터 정도에 달한다. 따라서, 도 5의 축척에서도, 오프셋(O)은 과장되어 있다.This novel design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5 in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thereof, in part in relation to the transverse segment 10 in the region F indicated by the dotted oval in FIG. 3. Corresponds. In FIG. 5,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40 i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CA4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41 i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CA41. Thus, the offset O corresponds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central axis CA40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40 and the central axis CA41 of the hole 41.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is offset O amounts to about 15 to 75 micrometers when the typical thickness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1.4 to 1.8 mm. Therefore, even in the scale of FIG. 5, the offset O is exaggerated.

신규한 횡방향 세그먼트(10)에 통합된 상기 오프셋(O)이 공칭 돌출부/구멍-클리어런스를 초과하면, 횡방향 세그먼트(10)는, 구동 벨트(3)의 열에서 함께 가압될 때에 제1 횡방향 세그먼트(10)의 돌출부(40)가 인접한 횡방향 세그먼트(10)의 (더 아래에 있는) 구멍(41) 내에 강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링 스택(9)에 대해 전방으로 강제 틸팅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링 스택(9)의 반경방향 내부와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천이 에지(50) 사이의 접촉은, 변속기 풀리(2, 3) 사이를 횡단하는 구동 벨트(3)의 직선 섹션에서 바람직하게 회피될 수 있다. 게다가, 횡방향 세그먼트(10)는 또한 링 스택(9)에 대한 그러한 틸팅된 위치에서 2개의 풀리 시브(7, 8) 사이에 진입하여, 풀리 시브(7, 8) 사이에 클램핑된 각각의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천이 에지(50)의 반경방향 위치는 횡방향 세그먼트(10)의 후방면(12) 측에 있는 지지면(42)의 대향 에지의 반경방향 위치보다 약간 작다. 이에 의해, 각각의 링 스택(9)의 반경방향 내부와, 지지면과 틸팅 에지 사이의 천이 에지(50) 간의 접촉은 그 강도가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감소된다.If the offset O incorporated in the novel transverse segment 10 exceeds the nominal protrusion / hole-clearance, then the transverse segments 10 are first transverse when pressed together in a row of drive belts 3. The protrusion 40 of the directional segment 10 is forcibly tilt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ring stack 9 by forcibly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41 (below) of the adjacent transverse segment 10. Thereby,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6, the contact between the radially interior of each ring stack 9 and the transition edge 50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is between the transmission pulleys 2, 3. It can preferably be avoided in the straight section of the drive belt 3 traversing. In addition, the transverse segment 10 also enters between two pulley sheaves 7, 8 at such a til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ing stack 9, with each transverse clamped between the pulley sheaves 7, 8. The radial position of the transition edge 50 of the directional segment 1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radial position of the opposite edge of the support surface 42 on the rear face 12 side of the lateral segment 10. Thereby, the contact between the radially interior of each ring stack 9 and the transition edge 50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tilting edge is at least preferably reduced in strength.

본 개시내용은, 앞서 설명한 설명의 전체 및 첨부 도면의 모든 세부 사항에 더하여, 첨부된 청구범위 세트의 모든 특징에 관한 것이고 또한 포함한다. 청구범위에서 괄호로 묶인 참조 번호는 그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단지 각각의 특징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청구된 특징은, 주어진 제품 또는 주어진 프로세스에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그러한 특징들의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d encompasses all features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all the details of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the detail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ence numerals enclosed in parentheses in the claims do not limit the scope, and are provided merely as a non-limiting example of each feature. The claimed features may be applied individually in a given product or given process, but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ose features.

본 개시내용에 의해 나타낸 본 발명(들)은 본원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실시예 및/또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보정, 수정 및 실제 적용, 특히 관련 기술분야의 숙련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s) represented b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and / or examples expressly mentioned herein, but include corrections, modif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within the scop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do.

Claims (8)

링 스택(9) 및 상기 링 스택(9)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연속적인 횡방향 세그먼트(10)를 갖는 구동 벨트(6)용 횡방향 세그먼트(10)이며, 횡방향 세그먼트(10)는, 구동 벨트(6)의 링 스택(9)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33)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33)는 그 하부측이 횡방향 세그먼트(10)의 베이스 부분(13)의 상부측에서의 지지면(42)에 의해 경계 설정되며, 상기 베이스 부분(13)은 또한 횡방향 세그먼트(1)의 베이스 부분(13)의 폭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전방면(11)의 볼록하게 만곡된 영역의 형태인 요동 에지(18) 및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지지면(42)과 전방면(11) 사이의 유사하게 볼록하게 만곡된 천이 에지(50)를 포함하고, 횡방향 세그먼트(10)는 그 전방면(11) 상의 돌출부(40) 및 상기 전방면(11)에 대향하게 위치된 그 후방면(12)의 구멍(41)을 더 포함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 및 구멍(41)은 주로 원추형, 또는 적어도 원통형으로 형상화되고, 상기 돌출부(40)의 중심축(CA40)과 상기 구멍(41)의 중심축(CA41) 사이에 오프셋(O)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
A transverse segment 10 for a drive belt 6 having a ring stack 9 and a plurality of consecutive transverse segments 10 movably disposed on the ring stack 9 and transverse segments 10. ) Comprises an opening 33 for receiving the ring stack 9 of the drive belt 6, the opening 33 of which is at the lower side the top of the base portion 13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Delimited by the support surface 42 at the side, the base portion 13 also extends over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3 of the transverse segment 1 in the front face 11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A rocking edge 18 in the form of a convexly curved region of the and a similarly convexly curved transition edge 50 between the support surface 42 and the front surface 11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The transverse segment 10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40 on its front face 11 and a hole 41 in its rear face 12 positioned opposite the front face 11. , In the lateral segment,
The protrusions 40 and the holes 41 are mainly conical or at least cylindrically shaped, with an offset O between the central axis CA40 of the protrusions 40 and the central axis CA41 of the holes 41. Transverse segment (10), characterized in that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만곡된 천이 에지(50)의 곡률 반경(Rte)은 0.5 mm보다 작고, 특히 0.3 m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Transverse segment (10)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Rte) of the curved transition edge (50) is smaller than 0.5 mm, in particular smaller than 0.3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에지(18)는 지지면(42)의 0.9 mm 미만 아래에 위치되고, 특히 지지면의 0.7 mm 미만 아래에 위치되며, 보다 특히 지지면의 0.6 mm 미만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3. The swinging edge 18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is located below 0.9 mm of the support surface 42, in particular below 0.7 mm of the support surface, more particularly 0.6 mm of the support surface. Transverse segment (10),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low less than.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O)은 15 내지 75 마이크로미터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4. Transverse segment (10) according to claim 1, 2 o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offset (O) amounts to 15 to 75 micromet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의 외주와 상기 구멍(41)의 내주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고, 이 클리어런스는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The transverse segment (10)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4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e (41), the clearance reaching between 10 and 50 micromet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O)은 상기 돌출부(40)의 외주의 직경과 상기 구멍(41)의 내주의 직경 사이의 차이의 절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세그먼트(10).Transverse segment (10)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offset (O) is greater than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40)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e (41). 제6항에 따른 다수의 횡방향 세그먼트(10)를 포함하는 구동 벨트(6)에 있어서, 이들 횡방향 세그먼트(10)에 적용된 오프셋(O)은 하기 수학식:
Figure pct00002
에 따른 그 최소값(O_min)보다 크고,
Rr_min은 구동 벨트(6)의 길이방향 곡률의 최소 반경을 나타내고, D는 전방면(11)과 후방면(12) 사이에서 측정된 횡방향 세그먼트(10)의 최대 두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6).
In a drive belt 6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nsverse segments 10 according to claim 6, the offset O applied to these transverse segments 10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ct00002
Greater than its minimum value (O_min),
Rr_min represents the minimum radius of the longitudinal curvature of the drive belt 6, and D represents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transverse segment 10 measured between the front face 11 and the rear face 12, Drive belt (6).
제7항에 있어서, 이들 횡방향 세그먼트(10)에 적용된 오프셋(O)은 그 최소값(O_min)의 5 배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3 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6).The drive belt (6)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offset (O) applied to these transverse segments (10) is less than 5 times and preferably less than 3 times its minimum value (O_min).
KR1020197021873A 2016-12-27 2017-12-27 Drive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ring stack KR2019010455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42198 2016-12-27
NL1042198A NL1042198B1 (en) 2016-12-27 2016-12-27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a ring stack
PCT/EP2017/025371 WO2018121884A1 (en) 2016-12-27 2017-12-27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a ring st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553A true KR20190104553A (en) 2019-09-10

Family

ID=5831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873A KR20190104553A (en) 2016-12-27 2017-12-27 Drive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ring stack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09502B2 (en)
KR (1) KR20190104553A (en)
CN (1) CN110114591B (en)
NL (1) NL1042198B1 (en)
WO (1) WO20181218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43501B1 (en) 2019-12-10 2021-08-31 Bosch Gmbh Robert A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and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ing the transverse segment and a ring stac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626A (en) * 1998-12-11 2000-06-27 Nissan Motor Co Ltd V-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562645B2 (en) * 2002-02-26 2004-09-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Belt elemen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906452B (en) * 2011-05-27 2015-05-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Drive belt and assembly method for drive belt
NL1039973C2 (en) * 2012-12-24 2014-06-25 Bosch Gmbh Robert Drive belt with a carrier ring and transverse segments.
CN104040216B (en) * 2012-12-27 2015-11-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The deformation state detector of metallic member
NL1040477C2 (en) * 2013-11-01 2015-05-04 Bosch Gmbh Robert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verse segment for a push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transverse segment thus obtai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9502B2 (en) 2022-01-25
CN110114591A (en) 2019-08-09
CN110114591B (en) 2021-11-26
WO2018121884A1 (en) 2018-07-05
JP2020503484A (en) 2020-01-30
NL1042198B1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294B (en) Push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provided with same
US8491426B2 (en) Transmission with convex pulley sheaves and a drive belt
US20190346016A1 (en) A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90104553A (en) Drive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ransverse segments and ring stack
US11486464B2 (en)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and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ing the transverse segment and a ring stack
NL1039981C2 (en)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with a carrier ring and multiple transverse segments.
KR102230400B1 (en)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with a carrier ring and multiple transverse segments
JP6542260B2 (en) Transverse segment with projecting tilting zone for push belt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WO2017114543A1 (en) Transverse member for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21085530A (en) Transverse segments for drive belt, an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drive belt having transverse segments
JP7078390B2 (en) A drive belt use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hich comprises a cross member and a ring stac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NL2002259C2 (en) DRIVE BELT FOR A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AND CROSS ELEMENT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