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842A -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842A
KR20190103842A KR1020180024765A KR20180024765A KR20190103842A KR 20190103842 A KR20190103842 A KR 20190103842A KR 1020180024765 A KR1020180024765 A KR 1020180024765A KR 20180024765 A KR20180024765 A KR 20180024765A KR 20190103842 A KR20190103842 A KR 20190103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ous
push rod
rod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갑휘
안남옥
Original Assignee
안남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남옥 filed Critical 안남옥
Priority to KR102018002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842A/en
Publication of KR2019010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8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8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co-operating with fixe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Provided is a perforated burlap bag opening device capable of mechanically opening an entrance of a perforated burlap bag comprising: a lower adhesion plate installed on a workbench and contacting a lower plate at an entrance side of the perforated burlap bag; at least one push rod extending into the entrance side upper plate of the perforated burlap bag; an upper adhesion plate installed in the push ro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of the perforated burlap bag; and a separation part for moving the push rod to separate a connected entrance of an upper plate end and a lower plate end by pushing the upper plate in close adhesion with the upper adhesion pl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of the perforated burlap bag in close adhesion with the lower adhesion plate.

Description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Opening device of perforated bed and packing equipment using it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 접합되어 있는 다공마대의 선단을 벌려 개방하기 위한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open end of the perforated stem is thermally bonded and a packaging facility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각종 생산품은 유통과정에서 보다 간편한 이송이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포대에 담아 이동하게 된다.In general, various products are moved in bags in order to prevent easier transportation or loss during distribution.

포대(Bag)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마대, 자루 또는 봉투로도 불리고 있다. 포대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포대에 넣고 입구를 막아 내용물을 포장하게 된다.Bags are for holding contents and are also called sacks, bags or envelopes. The bag is open at one end, and the contents are placed in the bag through the open inlet, blocking the inlet, and packing the contents.

포대 중 다공마대는 예를 들어, PP 재질의 밴드를 가로 세로로 엮어 만든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에, 다공마대는 매우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표면이 균일하게 매끄럽지 못하고 수많은 틈새가 존재하는 다공성의 재질 특성을 갖는다.Perforations of the bags are manufactured using, for example, a fabric made by weaving a band of PP material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us, the porous stem can be produced at a very low cost, but has a porous material property that the surface is not uniformly smooth and numerous gaps exist.

다공마대는 직물이므로 연속적인 제조 과정에서 입구 쪽 단부에 열을 가해 절단하게 된다. 열을 가하지 않는 경우 절단된 선단의 밴드가 풀어져 보푸라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다공마대의 입구 쪽 선단은 양면이 열에 의해 접합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perforated fabric is a fabric, it is cut by applying heat to the inlet end during subsequent manufacturing. If no heat is applied, the band of the cut edge is loosened and lint is generated. Therefore, both ends are joined together by heat at the inlet end of the porous rod.

통상 표면이 치밀한 포대의 경우 입구를 벌리기 위해 흡착 빨판을 이용하나, 다공마대의 경우 그 특성상 표면에 흡착력을 가하기 어려워 종래의 구조를 통해서는 입구를 개방하기 어려웠다. 이에, 다공마대를 이용한 포장 작업에 있어 자동화를 실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일일이 서로 붙어 있는 입구의 양면을 분리하여 입구를 벌리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the adsorption sucker is used to open an inlet in the case of a dense surface, but it is difficult to open the inlet through the conventional structure becaus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adsorption force to the surfa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us, in the packaging operation using the perforated can not be automated, the worker has to separate the two sides of the inlet that is attached to each other to open the inlet to open the work is a problem that the work is difficult and productivity is reduced.

다공마대의 입구를 기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perforated opening device and a packaging equipment using the perforated opening that can mechanically open the inlet of the perforated stem.

본 구현예의 개방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contact plate is installed on the work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inlet lower plate of the perforated rod, at least one push rod extending to the inlet top plate of the perforated rod, installed on the push ro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plate of the perforated rod The upper contact plate, and by moving the push rod may include 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joined inlet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end by pushing the upper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of the porous hemp contact the lower contact plate.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과 하판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portion for open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t the inlet side of the porous stem separated by the separating unit.

상기 밀대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벌림부는 상기 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wo of the rod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ga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ods.

상기 벌림부는 상기 작업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의 구동에 따라 상밀착판에 의해 밀려나 위로 볼록하게 솟은 상판의 주름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part may include a clamping part disposed on the work table and clamped to fix the pleats of the upper plate which is pushed up by the upper contact pl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parating part, and convexly raised upward, and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clamping part up and down. Can be.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상기 밀대을 지지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ng part may include a rail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a moving block supporting the push rod and moving along the rail, and a forward and backward moving part for moving the moving block.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밀착판을 다공마대 상판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unit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and connected to the rod to move the rod up and down to selectively adhere the upper contact plate to the upper plate of the perforated rod.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 및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더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밀대 선단의 상밀착판과 수직실린더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ntact part may include a vertical cylinder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and connected to the pushing rod to move up and down the pushing rod, a guide holder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and a guide bar installed on the pushing rod and guided along the guide holder. The guide bar may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contact plate and the vertical cylinder of the tip of the push rod.

상기 분리분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켜 상기 밀대를 상기 작업대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art which moves the moving block along the rail to move the push rod to the outside of the working table.

상기 레일은 상기 작업대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rail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work table.

상기 레일의 경사진 각도는 작업대 수평면에 대해 1ㅀ내지 4ㅀ일 수 있다.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ail may be between 1 ㅀ and 4 ㅀ with respect to the work surface horizontal surface.

상기 전후진부의 구동실린더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실린더는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cylinder of the forward and backward vibration portions and the moving cylinder of the mov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본 구현예의 포장설비는 다공마대를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장치, 상기 개방장치에서 개방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벌려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공마대의 벌어진 입구로 내용물을 넣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ckaging equip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pply unit for transporting the feed rod sequentially and supplying,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inlet of the porous feeder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the transporting unit for opening the porous inlet open from the opening device to transfer to the post-process And, and may include a charging unit for inserting the contents into the gap opening of the porous sack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표면에 다공의 홀이 형성되어 흡인력을 가하기 어려운 다공마대의 접합된 입구를 기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hole in the surface is formed, and thus the bonded inlet of the porous rod which is hard to apply suction force can be mechanically opened more easily.

다공마대 입구 개방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t will minimize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to open the perforated entrance.

다공마대 입구 개방을 포함하여 내용물을 포장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by automating the entire process of packaging the contents, including opening the perforated stem.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포장 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ackaging facility including a porous bed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orous stem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rous stem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orous stem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orous stem op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represen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mere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term "comprising" embod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 / 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below have the same meaning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erms defined in advance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sense unless defined.

이하 본 실시예는 표면이 다공성 재질로 된 다공마대의 입구 개방을 위한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공마대 외에 표면을 흡착하거나 잡기 어려운 다양한 재질의 포대에 대해 모두 적용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evice for opening the opening of the porous chopping the surface of the porous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all bags of various materials that are difficult to adsorb or hold the surface in addition to the porous ro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설비는 다공마대(도 2의 10 참조)를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00),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공마대(10)의 입구(도 2의 16 참조)를 개방하는 개방장치(200), 개방장치에서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벌려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 및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공마대(10)의 벌어진 입구로 내용물을 넣는 충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packaging equip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pply unit 100 for transporting and sequentially supplying the porous sack (see 10 of FIG. 2), the inlet of the porous sack 10 supplied from the supply (Fig. 2 Opening device 200 for opening the opening device 200, opening part of the porous stem 10 opened by the opening device, and a conveying part 300 for transferring to the post-process, and the opening of the porous stem 10 transferred from the conveying part. 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400 for putting the contents.

이에, 다공마대(10)를 공급하여 입구가 막혀 있는 다공마대(10)의 입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넣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해서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us, by supplying the porous stem 10 to open the inlet of the porous stem 10 is blocked inle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to put the contents through the open inlet continuously mechanically.

공급부(100)는 예를 들어, 적층되어 있는 다공마대(10)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는 흡착기를 이용하여 다공마대(10)를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부 상부에는 흡착기가 이동하는 이송레일이 공급부와 개방장치 사이로 연장된다. 이에, 흡착기는 다공마대(10)를 흡착하여 이송레일을 따라 개방장치로 이송할 수 있다. 공급부는 상기한 진공 흡착기를 이용한 이송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supply unit 100 may adsorb and move the porous stem 10 using an adsorber that applies a vacuum suction force to the stacked porous stems 10. In the upper part of the supply part, a transfer rail to which the adsorber moves extends between the supply part and the opening device. Thus, the adsorber may adsorb the porous rod 10 to be transferred to the opening device along the transport rail. The supply unit is not limited to the transfer structure using the vacuum adsorber described abov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개방장치(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이송된 다공마대(10)의 접합된 입구의 양면을 개방시킨다. 다공마대(10)는 PP 재질의 밴드를 가로 세로로 엮어 제조한 직조물로 만들어진다. 이에, 다공마대(10)는 표면에 수많은 틈새가 존재하며, 단부의 보푸라기 발생 방지를 위해 입구를 이루는 선단은 절단 과정에서 양면이 열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The opening device 200 opens both sides of the bonded inlet of the porous stem 10 transferred through the supply unit 100. The perforated stem 10 is made of a woven fabric produced by weaving a band of PP material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us, the porous stem 10 has a large number of gaps on the surface, the front end forming the inlet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lint at the end is joined by heat both sides in the cutting process.

개방장치(200)는 접합되어 있는 다공마대(10)의 입구의 양면을 기계적으로 벌려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별도의 조치 없이 후 공정에서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게 된다. 다공마대(10) 입구 개방을 위한 개방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The opening device 200 is mechanically open to open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porous stem 10 is joined.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ain the contents through the inlet of the porous bristle 10 opened in a later process without any further action.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opening device for opening the porous rod 10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본 설비는 개방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다공마대(10)를 사용하더라도 다공마대(10) 공급에서부터 내용물을 장입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다공마대(10)의 접합된 입구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개방해야 하므로, 일련의 공정을 연속해서 자동화하여 처리하기 어려웠다.As such, the facility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automate and process a series of processes to load the contents from the porous stem 10 supply even if the porous stem 10 is used.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operator must manually open the bonded inlet of the porous rod 10,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ocess a series of processes by automation.

이송부(300)는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벌려 후 공정으로 이송한다. 예를 들어, 이송부는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입구를 잡는 클램핑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는 클램핑 암으로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를 잡아 벌린 상태로 다공마대(10)를 후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는 클램핑 암을 이용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transfer part 300 opens the inlet of the open pore stem 10 and then transfers the process. For example, the transfer part may include a clamping arm inserted into the opening through the open inlet of the porous stem 10 to hold the inlet. The transfer unit may transfer the porous stem 10 to a later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open inlet of the porous stem 10 is opened with a clamping arm. The transfer par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using the clamping arm,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이송부(300)에 의해 다공마대(10)는 충전부로 이송된다. 충전부(400)에서는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담는다. 충전부는 예를 들어, 내용물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이송컨베이어 출측에 배치된 다공마대(10)로 내용물을 낙하하여 담을 수 있다. 다공마대(10)는 입구가 개방되어 벌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조치없이 바로 내용물을 다공마대(10)에 담아 포장할 수 있다. The porous stem 10 is transferred to the charging unit by the transfer unit 300. The charging unit 400 contains the contents through the inlet of the open pore stem 10. For example, the charging unit may include a conveying conveyor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conveyed, and drop the contents into the porous spigot 10 disposed on the conveying conveyor exit side. Since the perforated 10 is opened in the open state, the contents can be packed directly into the perforated 10 without any ac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 설비는 개방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입구 개방이 어려운 다공마대에 대해서도 내용물 포장의 전 과정을 기계적으로 연속해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equip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opening device 200, so that the whole process of the contents packaging can be mechanically and continuously processed even with respect to the porous stage where the inlet opening is difficult.

이하, 본 실시예의 개방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방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2 to 4 illustrate the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방장치(200)는 작업대(210)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10)의 입구(16) 쪽 하판(14)과 접하는 하밀착판(220), 다공마대(10)의 입구(16) 쪽 상판(1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240), 밀대(240)에 설치되어 다공마대(10)의 상판(12)에 밀착되는 상밀착판(230), 및 밀대(240)를 이동시켜 하밀착판(220)에 밀착된 다공마대(10)의 하판(14)에 대해 상밀착판(230)에 밀착된 상판(12)을 밀어 상판(12)과 하판(14)의 접합된 입구(16)를 분리하는 분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open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work table 210, the lower contact plate 220, the porous table 10 in contact with the lower plate 14 toward the inlet 16 of the porous table 10 At least one push rod 240 extending to the top plate 12 toward the inlet 16 side of the inlet), the top contact plate 230 is installed in the push rod 24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plate 12 of the porous stem 10, and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2 are moved by pushing the upper plate 1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14 of the porous rod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220 by moving the pusher 240. And a separator 250 for separating the bonded inlet 16 of 14.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방장치(200)는 분리부(250)에 의해 분리된 입구쪽 다공마대(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open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ap betwee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of the inlet-side porous stem 10 separated by the separating unit 250. A portion 270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설명에서 하, 하방향이라 함은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아래쪽을 의미하며, 상, 상방향이라 함은 그 반대쪽인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공마대(10)의 마주하는 양면 중 작업대(210) 상에 놓여져 위쪽에 위치한 면을 상판(12)이라 하고, 아래쪽에 위치한 면을 하판(14)이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ownward and downward directions may mean downward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FIG. 1, and the upward and upward directions may mean upward along the y-axis direction opposite thereto. In addition, the surface placed on the work table 210 of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of the porous stem 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called the upper plate 12, the lower surface is called the lower plate (14).

이에, 입구쪽 선단 양면 중 상판(12)은 상밀착판(230)에 밀착되고 하판(14)은 하밀착판(220)에 밀착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접합되어 있던 입구(16)의 양면이 벌어져 개방된다.Accordingly, the upper plate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nd the lower plate 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220 while being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relative to each other, while the inlet 16 has been joined. ) Both sides are opened and open.

하밀착판(220)은 작업대(2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하밀착판(220) 위로 다공마대(10)가 놓여져 하밀착판(220)은 다공마대(10)의 하판(14)에 밀착된다. 하밀착판(220)은 고무 등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밀착판(220)은 다공마대(10)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밀착판(22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contact plate 220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work table 210. The porous stem 10 is placed on the lower contact plate 220 so that the lower contact plate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late 14 of the porous stem 10.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force such as rubber.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friction force than the friction force of the porous stem 10.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밀대(240)에는 상밀착판(230)이 설치된다. 상밀착판(230)은 다공마대(10)의 상판(12)에 밀착된다. 상밀착판(230)은 고무 등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밀착판(230)은 상대적으로 다공마대(10)의 마찰력보다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상밀착판(2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밀착판(230)과 하밀착판(220)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installed on the pusher 240.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12 of the porous stem 10. The upper contact plate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force such as rubber. The upper contact plate 2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friction force than the friction force of the porous stem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contact plate 230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nd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이에, 다공마대(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에는 다공마대(10) 간에 마찰력이 가해지며, 상판(12)과 상밀착판(230) 사이 및 하판(14)과 하밀착판(220) 사이에는 실리콘에 의한 마찰력이 가해지게 된다. 실리콘에 의한 마찰력은 다공마대(10)간의 마찰력보다 높으므로, 밀대(240)를 이동시키게 되면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공마대(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가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판(12)과 하판(14) 사이가 미끄러지면서 상밀착판(230)에 밀착된 상판(12)이 하밀착판(220)에 밀착되어 있는 하판(14)에 대해 이격되면서 접합되어 있던 상판(12)과 하판(14) 사이 입구가 분리된다.Thus, a frictional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of the porous stem 10, between the porous stem 10, between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nd the lower plate 14 and lower contact Friction force by silicon is applied between the plates 220. Since the frictional force by silicon is high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erforated rods 10, when the push rod 240 is moved, the friction betwee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of the perforated rod 10 with relatively low friction force is slid. As such, while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are slipped, the upper plate 1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join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14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220. The inlet is separated betwee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that were present.

하밀착판(220)은 다공마대(10) 하판(14)과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으로 평판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밀착판(220)의 크기는 다공마대(1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한 구조 외에 하밀착판(220)은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formed in a flat structure with a large area so as to secure a sufficient contact area with the lower plate 14 of the porous stem 10. The size of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porous stem 10. 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stalled on the pusher 240.

본 실시예에서, 밀대(240)는 길게 연장된 바 구조물로, 선단에는 상밀착판(230)이 설치된다. 밀대(240)는 상밀착판(230)을 다공마대(10) 상판(12)에 가압 밀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대(24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밀착판(220)은 밀대(240) 선단에 감싸여져 설치되거나 밀대(240)의 하단에 접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4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두 밀대(240) 사이 간격은 다공마대(10)의 크기나 설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 rod 240 is a long bar structure, the top contact plate 230 is installed at the tip. The pusher 240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so as to support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plate 12. For example, the push rod 240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The lower contact plate 220 may be installed wrapped around the tip of the pusher 240 or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er 240. As shown in FIG. 3, the two push rods 2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irs. The spacing between the two push rods 240 may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rous chopping board 10 or equipment conditions.

분리부(250)는 밀대(240)를 이동시켜 상밀착판(230)에 밀착된 상판(12)을 밀어 하판(14)과 접합된 입구(16)를 분리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250)는 밀대(2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251), 밀대(240)을 지지하며 레일(25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252), 및 이동블럭(252)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 250 moves the pusher 240 to push the upper plate 1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to separate the inlet 16 joined to the lower plate 14.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ng part 250 supports the rail 251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sher 240 and the pusher 240 and moves along the rail 251. Block 252,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portions for moving the moving block 252.

작업대(210)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253) 상에 레일(251)이 하밀착판(220)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다. 레일(251) 상에 이동블럭(252)이 놓여져 레일(251)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블럭(252)에는 두 개의 밀대(240)가 하밀착판(22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전후진부의 구동에 따라 이동블럭(252)이 레일(251)을 따라 이동되어 밀대(240) 선단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하밀착판(220) 상에서 왕복 이동된다. 전후진부는 예를 들어,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구동실린더(2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실린더(254)는 이동블럭(252)의 후단과 브라켓(253) 후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rail 251 is extended toward the lower contact plate 220 on the bracket 25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210. The moving block 252 is placed on the rail 251 and moved along the rail 251. The movable block 252 is installed so that two push rods 240 protrude toward the lower contact plate 220. Accordingly, the moving block 252 is moved along the rail 251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ortions, an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usher 240 is reciprocated on the lower contact plate 220. For example, the forward and backward parts may include a driving cylinder 254 that is stretched and driven by air or hydraulic pressure. The driving cylinder 254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moving block 252 and the rear end of the bracket 25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51)은 작업대(210)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R)를 두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251)의 경사진 각도(R)는 작업대(210) 수평면에 대해 1ㅀ내지 4ㅀ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ail 251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work table 210.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ed angle R of the rail 251 may be 1 to 4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work bench 210.

레일(251)이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레일(25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252)과 이동블럭(252)에 설치된 밀대(240)는 작업대(210)에 수평설치된 하밀착판(220)에 대해 경사지게 진행하게 된다. 이에, 밀대(240)가 다공마대(10) 입구쪽 선단에서 계속 진행하면서 상밀착판(230)에 의한 가압력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밀착판(230)이 상판(12)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어 하판(14)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12)을 밀어 이동시킨 후 밀대(240)가 반대쪽으로 후진할 때에 점차적으로 상판(12)에 대한 상밀착판(230)의 가압력이 줄게 된다. 이에, 상밀착판(230)이 상판(1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되어 상판(12)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As the rail 25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he movable block 252 moving along the rail 251 and the push rod 240 installed on the movable block 252 have a lower contact plate 220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work bench 210. It will be inclined. Thus, while the push rod 240 continues at the inlet end of the porous rod 10, the pressing force by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upper contact plate 230 may push the upper plate 12 more effectively to separate from the lower plate 14. In addition, after the upper plate 12 is moved by pushing the push rod 240 to the opposite side gradually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gainst the upper plate 12 is gradually reduced. Thus,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easily moved from the upper plate 12 to escape the upper plate 12.

본 실시예에서, 레일(251)의 경사 각도(R)가 1ㅀ보다 작은 경우에는 경사에 따른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레일(251)의 경사 각도(R)가 4ㅀ를 넘게 되면 밀대(240) 이동에 따른 상밀착판(230)의 상판(12) 가압력이 너무 커져 상판(12)과 하판(14)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clination angle R of the rail 251 is smaller than 1 mm, the effect due to the inclination does not appear sufficiently. When the inclination angle R of the rail 251 exceeds 4 °,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plate 12 of the upper contact plate 230 due to the movement of the push rod 240 becomes too large to separate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Problems occur that do not work properly.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는 이동블럭(252)에 설치되고 밀대(240)에 연결되어 밀대(24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밀착판(230)을 다공마대(10) 상판(12)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에 의해 상밀착판(230)은 다공마대(10) 위쪽으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다공마대(10) 상판(12)을 확실하게 가압 밀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252 and connected to the pusher 240 to move the pusher 240 up and down to selectively adhere the upper contact plate 230 to the porous plate 10, the top plate 12 sel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lose contact portion. By the close contact portion, the upper contact plate 230 can more easily enter above the porous stem 10, and move downward to reliably press-contact the upper plate 12 of the porous stem 10.

밀착부는 이동블럭(252)에 설치되고 밀대(240)에 연결되어 밀대(240)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255), 이동블럭(252)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256), 및 밀대(240)에 설치되어 가이드홀더(256)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257)를 포함할 수 있다. 밀대(240)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바(257)가 가이드홀더(256)를 따라 안내되므로, 밀대(240)가 보다 정밀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ortion is installed on the movable block 252 and is connected to the push rod 240, the vertical cylinder 255 for lifting up and down the push rod 240, the guide holder 256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252, and the push rod 240 It may include a guide bar 257 installed in the guide holder 256 is guided along. Since the guide bar 257 is guided along the guide holder 256 while the pusher 240 is moved up and down, the pusher 240 may be moved up and down more precisely.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바(257)는 밀대(240) 선단의 상밀착판(230)과 수직실린더(2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밀대(240)가 하방향으로 하강되어 상밀착판(230)이 상판(12)에 가압 밀착시에 수직실린더(255)에 걸리는 힘을 최소화하고, 밀대(240)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bar 257 may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nd the vertical cylinder 255 at the tip of the pusher 240. Accordingly, the pusher 240 is lowered downward to minimize the force applied to the vertical cylinder 255 when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plate 12, and prevent the pusher 240 from being lifted. have.

분리부(250)는 레일(251)을 따라 이동블럭(252)을 이동시켜 밀대(240)를 작업대(210) 상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의 구동에 따라 밀대(240)가 작업대(210) 상에 위치하거나 작업대(210)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동부는 예를 들어,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이동실린더(2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실린더(258)는 이동블럭(252)과 브라켓(253) 선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parating part 250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moving block 252 along the rail 251 to move the pusher 240 outwardly on the work bench 210. As a result, the pusher 240 is positioned on the work bench 210 or moves away from the work bench 2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ving unit. The moving part may include, for example, a moving cylinder 258 that is telescopically driven by air or hydraulic pressure. The moving cylinder 258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oving block 252 and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253.

본 실시예에서, 전후진부의 구동실린더(254)와 이동부의 이동실린더(258)는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실린더(254)와 이동실린더(258)는 동일축선상에 놓여지고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선단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258)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이동블럭(252)에 연결되고,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구동실린더(254)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브라켓(253)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cylinder 254 of the forward and backward parts and the moving cylinder 258 of the moving part may be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driving cylinder 254 and the moving cylinder 258 may be placed on the same axi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piston rod tip of the moving cylinder 258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252, and the piston rod tip of the driving cylinder 254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tip of the bracket 253. .

이에, 이동실린더(258)의 구동을 통해 밀대(240)를 작업대(210) 상으로 위치시키고, 구동실린더(254)의 구동을 통해 작업대(210) 상에서 밀대(240)를 이동시켜 상밀착판(230)으로 상판(12)을 밀어내는 일련의 작업을 구분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이동실린더(258)와 구동실린더(254)의 구동에 따라 이동블럭(252)을 다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pusher 240 is positioned on the work bench 210 through the driving of the moving cylinder 258, and the pusher 240 is moved on the worktable 210 through the driving of the drive cylinder 254 to provide an upper contact plate ( 230, it is possible to proceed by separating the series of work to push the top plate 12.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block 252 can be moved in multiple step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ving cylinder 258 and the driving cylinder 254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작업대(210)의 상부에는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16)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270)가 구비된다.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16)는 벌림부(270)에 의해 보다 넓게 벌어지게 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2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270 for opening the open inlet 16 of the porous stem 10. The open inlet 16 of the porous stem 10 is widened by the opening 270.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다공마대의 접합된 상판과 하판이 이격되어 입구가 개방되고, 상판이 벌림부에 의해 들어올려져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opened b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onded to the perforated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nlet is opened by the upper plate being lifted by the opening part.

본 실시예의 벌림부(270)는 작업대(210) 상부에 배치되고 분리부(250)의 구동에 따라 상밀착판(230)에 의해 밀려나 위로 볼록하게 솟은 상판(12)의 주름(18)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272), 및 클램핑부(27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는 예를 들어, 상하로 배치되어 신축구동되는 승강실린더(2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part 27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work table 210 and clamped against the wrinkles 18 of the upper plate 12 that is pushed up by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nd raised convexly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parating part 250. And a clamping part 272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shanghai for moving the clamping part 272 up and down. Shanghai East may include, for example, a lifting cylinder 274 which is disposed vertically and stretched.

작업대(210) 상에 설치된 프레임(275)에 승강실린더(274)가 설치된다. 승강실린더(274)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클램핑부(272)가 설치된다. The lifting cylinder 274 is installed on the frame 275 installed on the work bench 210. A clamping part 272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iston rod of the lifting cylinder 274.

클램핑부(272)는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밀대(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상판(12)을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밀대(240) 선단쪽에서 상판(12)이 위로 들어 올려져 볼록한 형태의 주름(18)이 만들어진다. The clamping part 272 may be disposed between two push rods 24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stalled on the two push rods 240 pushes the upper plate 12 to move, the upper plate 12 is lifted upward from the tip of the push rod 240 to form a convex wrinkle 18.

다공마대(10)는 입구를 제외한 상판(12)과 하판(14)의 삼면이 모두 접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판(12) 입구쪽을 밀면 뒤쪽은 밀려나지 않으면서 밀려난 만큼 위쪽으로 불록하게 솟아 주름(18)을 형성하게 된다. 두 밀대(240) 사이에 배치된 클램핑부가 이동하여 이 주름(18)을 잡게 된다.Since the perforated stem 10 is in a state where all three surfaces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except for the inlet are joined, the upper plate 12 pushes toward the entrance of the upper plate 12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porous plate 10 rises upward without being pushed out. The wrinkles 18 are formed. The clamp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wo push rods 240 moves to catch the pleats 18.

클램핑부(272)는 밀대(240)의 상밀착판(230)이 완전히 상판(12)을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판(12)의 주름(18) 형성 위치 바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clamping part 272 may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pleat 18 forming position of the upper plate 12 in a state where the upper contact plate 230 of the pusher 240 completely pushes the upper plate 12 to move.

이에, 승강실린더(274)가 구동되면 클램핑부(272)가 상하로 이동되어 작업대(210) 위의 다공마대(10) 상판(12)의 주름(18)쪽으로 이동된다. 클램핑부(272)는 예를 들어, 한쌍의 클램핑암(276)을 구비하여 클램핑암(276)이 벌어지거나 모아지면서 주름(18)을 선택적으로 잡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부(272)로 상판(12)을 들어올려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16)를 넓게 벌려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lifting cylinder 274 is driven, the clamping portion 272 is moved up and down to move toward the corrugation 18 of the upper plate 12 of the porous rod 10 on the work bench 210. The clamping part 272 may include a pair of clamping arms 276 to selectively hold the pleats 18 as the clamping arms 276 are opened or collected. Therefore, the inlet 16 of the porous rod 10 opened by lifting the top plate 12 by the clamping part 272 can be widened.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개방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ope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Components already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장치의 작업대(210) 상으로 공급된 다공마대(10)는 하밀착판(220)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밀대(240)가 작업대(210) 상부로 이동되어,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The porous stem 10 supplied onto the work bench 210 of the apparatus is placed on the lower contact plate 220. Then, the push rod 240 is moved to the upper working table 210,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stalled on the push rod 240 is positioned above the porous rod 10.

밀대(240)가 다공마대(10) 위쪽으로 이동되면 밀대(240)가 하강되어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상판(12)에 가압 밀착된다. 이에, 다공마대(10)는 작업대(210)에 고정된 하밀착판(220)과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 사이에서 가압 상태로 놓여진다. 다공마대(10)의 상판(12)은 상밀착판(230)에 밀착된다. 다공마대(10)의 하판(14)은 하밀착판(220)에 밀착된다.When the rod 240 is moved upwards to the porous rod 10, the push rod 240 is lowered an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stalled on the push rod 240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plate 12 of the porous rod 10. Thus, the porous stem 10 is placed in a pressurized state between the lower contact plate 220 fixed to the work table 210 an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nstalled on the pusher 240. The upper plate 12 of the porous stem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The lower plate 14 of the porous stem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220.

이 상태에서 밀대(240)가 이동되고, 밀대(240)의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상판(12)을 밀착한 상태로 상판(12)을 밀어 이동하게 된다. 밀대(240)의 상밀착판(230)은 다공마대(10)를 하밀착판(220)에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고 있는 상태로, 다공마대(10)의 하판(14)은 하밀착판(220)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상판(12)을 밀게 되면, 마찰력이 큰 상밀착판(230)과 상판(12) 사이 및 하밀착판(220)과 하판(14) 사이에서는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고,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판(12)과 하판(14) 사이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된다. 따라서, 하밀착판(220)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하판(14)에 대해 상밀착판(230)에 밀착되어 있는 상판(12)이 미끄러지면서 하판(14)에 대해 상판(12)이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판(14)에 대해 상판(12)이 이동됨에 따라 상판(12)과 하판(14)의 접합되어 있던 입구(1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져 벌려지면서 개방된다.In this state, the push rod 240 is moved, an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of the push rod 240 pushes the upper plate 12 in a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12 of the push rod 10 is in close contact. The upper contact plate 230 of the pusher 240 is in the state of pressing the porous stem 10 to the lower contact plate 22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lower plate 14 of the porous stem 10 is the lower contact plate ( In close contact with 220). Thus, when the upper contact plate 230 pushes the top plate 12 of the porous spigot 10, between the upper contact plate 230 and the upper plate 12 having a large friction force and between the lower contact plate 220 and the lower plate 14 In this case, no slip is generated, and slip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having a relatively small frictional force. Therefore, the upper plate 12 is moved relative to the lower plate 14 while the upper plate 1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2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14 closely fixed to the lower contact plate 220. In this way, as the upper plate 12 is moved relative to the lower plate 14, the inlets 16 joined to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4 are opened while being pulled a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opened.

이 과정에서, 상밀착판(230)에 의해 밀려난 상판(12)은 진행방향을 따라 상밀착판(230) 앞쪽부분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위로 볼록하게 솟은 주름(18)을 형성한다.In this process, the upper plate 12 pushed by the upper contact plate 230 forms a wrinkle 18 that is convexly raised upward while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lifted upwar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밀대(240)가 완전히 이동되어 입구의 개방이 완료되면, 주름(18) 형성 위치 바로 위쪽에 위치한 클램핑부(272)가 하강하고, 클램핑암(276)이 주름을 잡아 고정한다.When the push rod 240 is completely moved and the opening of the inlet is completed, the clamping portion 272 located directly above the crease 18 forming position descends, and the clamping arm 276 catches and fixes the crease.

클램핑암이 주름을 완전히 고정하면, 밀대(240)가 후진한다. 상판(12)은 클램핑암에 의해 주름이 잡혀 고정된 상태이므로, 밀대(240) 후진에 따라 상밀착판(230)은 상판(12)에서 벗어나 하판(14)의 내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하판(14)으로 이동된 상밀착판(230)은 하판(14)을 눌러 고정하게 된다. 이에, 상판(12)은 클램핑암에 의해 주름이 잡혀 있고, 하판(14)은 하밀착판(220)과 상밀착판(230) 사이에서 눌려져 고정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clamping arm completely fixes the crease, the pusher 240 moves backwards. Since the upper plate 12 is crimped and fixed by the clamping arm, the upper contact plate 230 moves away from the upper plate 12 and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4 as the pusher 240 moves backwar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moved to the lower plate 14 is fixed by pressing the lower plate 14. Thus, the upper plate 12 is crimped by the clamping arm, the lower plate 14 is pressed between the lower contact plate 220 and the upper contact plate 230 is fixed.

밀대(240)가 후진하여 상판(12)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클램핑부(272)가 상승하여 상판(12)을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고정된 하판(14)에 대해 상판(12)이 들어올려지면서 간격이 벌어져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가 넓게 벌어지게 된다.When the pusher 240 moves backward from the upper plate 12 to completely move away from the upper plate 12, the clamping part 272 is raised to lift the upper plate 12 upward. Thus, the gap is opened while the upper plate 12 is lif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lower plate 14 so that the open inlet of the porous stem 10 is widened.

입구가 벌어지면 이송부가 다공마대의 개방되어 벌어진 입구를 잡고 다공마대를 후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름을 잡고 있던 클램핑부와 하판을 하밀착판에 가압하고 있던 밀대는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When the inlet is opened, the transfer unit can hold the open inlet to open the porous stem can be transferred to the post process. In this process, the clamping portion that was crimped and the pusher that presses the lower plate onto the lower contact plate can be releas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다공마대 12 : 상판
14 : 하판 16 : 입구
18 : 주름 100: 공급부
200: 개공장치 300: 이송부
400: 충전부 210: 작업대
220: 하밀착판 230: 상밀착판
240: 밀대 250: 분리부
251: 레일 252: 이동블럭
253: 브라켓 254: 구동실린더
255: 수직실린더 256: 가이드홀더
257: 가이드바 258: 이동실린더
270: 벌림부 272: 클램핑부
274: 승강실린더 276: 클램핑암
10: porous pore 12: top plate
14: bottom plate 16: entrance
18: pleat 100: supply part
200: opening device 300: transfer unit
400: charging unit 210: worktable
220: lower contact plate 230: upper contact plate
240: pusher 250: separating part
251: rail 252: moving block
253: bracket 254: drive cylinder
255: vertical cylinder 256: guide holder
257: guide bar 258: moving cylinder
270: opening part 272: clamping part
274: lifting cylinder 276: clamping arm

Claims (9)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상기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상기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기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
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A lower contact plate installed on the workbench and contacting the lower plate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erforated rod,
At least one push rod extending to the entrance top plate of the porous rod,
An upper contact plate installed on the push ro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of the porous rod, and
Separation part for moving the rod to separate the inlet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pushing the upper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of the porous f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Porous stem open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과 하판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를 더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orous stem ope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gap for open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let side separated by the separ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벌림부는 상기 밀대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wo rods are spaced apart at two intervals, the opening portion is porous open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rod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는 상기 작업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의 구동에 따라 상밀착판에 의해 밀려나 위로 볼록하게 솟은 상판의 주름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part includes a clamping part disposed on the work table and clamped to fix the pleats of the upper plate which is pushed up by the upper contact pl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parating part, and convexly raised upward, and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clamping part up and down. Perforated open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상기 밀대을 지지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부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parating part includes a rail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ush rod, a moving block for supporting the push rod and moved along the rail, and a forward and backward portion for moving the moving bloc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밀착판을 다공마대 상판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epar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and connected to the push rod further comprises a close contact portion for selectively adhering the upper contact plate to the top of the perforated bar by moving the push rod up and dow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 및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더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밀대 선단의 상밀착판과 수직실린더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act part includes a vertical cylinder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and connected to the push rod to move up and down the push rod, a guide holder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and a guide bar installed on the push rod and guided along the guide holder.
The guide bar is a porous hemp opening devic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contact plate and the vertical cylinder of the tip of the push r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작업대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rail is disposed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worktable.
다공마대를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상기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장치:
상기 개방장치에서 개방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벌려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공마대의 벌어진 입구로 내용물을 넣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포장설비.
Supply unit for supplying sequentially by feeding the pore stack;
A lower contact plate installed on a work surface and in contact with an entrance lower plate of the perforated rod, at least one push rod extending to the entrance upper plate of the porous rod, an upper contact plate installed on the push ro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of the porous rod, and the Including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joined inlet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pushing the upper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plate against the lower plate of the porous f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late, the inlet of the porous carriage supplied from the supply Opening device to open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o the post-process by opening the opening of the porous ford open from the opening device: And
Filling unit for inserting the contents into the gap opening of the porous chord conveyed from the conveying unit;
Packaging equipment comprising a.
KR1020180024765A 2018-02-28 2018-02-28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1038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65A KR20190103842A (en) 2018-02-28 2018-02-28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65A KR20190103842A (en) 2018-02-28 2018-02-28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842A true KR20190103842A (en) 2019-09-05

Family

ID=6794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65A KR20190103842A (en) 2018-02-28 2018-02-28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8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382B2 (en) Container packaging apparatus
JP5034338B2 (en) Container packaging equipment
CN105799958A (e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and automatic packaging technology thereof
US9272804B2 (en) Bundle unwrapping machine
CN108394583B (en) Sock packaging mechanism for packaging machine
CN113753329B (en) Full-automatic vacuum packaging equipment
KR101854537B1 (en) Cap automatic install system of vinyl bag inlet
GB2265596A (en) Valve bag handling apparatus
CN107640377B (en) Automatic packing line of sample cloth
KR20190103842A (en) 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CN112777044A (en) Bagging machine
CN113979117A (en) Automatic parcel system of seat frame
CN202147430U (en) Paster taping device and full-automatic paster taping machine
US50164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groups of articles
IT8224603A1 (en) Device for producing evacuated bag packs
JPS60194105A (en) Apparatus for adhering flate fiber product
KR101669053B1 (en) Automatic packaging system of paper block
CN208470217U (en) Socks package bag-making package mechanism
JP3850167B2 (en) Automatic desorption method and automatic desorption apparatus for a columnar workpiece bag
CN117602189A (en) Full-automatic film detaching equipment
CN112498832A (en) Bag opening device, automatic bagging machine and bagging method
KR100913764B1 (en) Apparatus for loading dried lavers
JPS59217541A (en) Device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sheet bundle
CN218751686U (en) Automatic boxing machine for finished clothes
CN219154874U (en) Automatic bagging machine and bag convey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